KR101302242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42B1
KR101302242B1 KR1020070032860A KR20070032860A KR101302242B1 KR 101302242 B1 KR101302242 B1 KR 101302242B1 KR 1020070032860 A KR1020070032860 A KR 1020070032860A KR 20070032860 A KR20070032860 A KR 20070032860A KR 101302242 B1 KR101302242 B1 KR 10130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connector
connector housing
contact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481A (ko
Inventor
판신 홍
Original Assignee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9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Abstract

<과제>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밀어 넣는 간단한 구조로 플러그 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일단에 접촉부(151) 및 타단에 전선 접속 단자(153)를 가지는 플러그 단자(15)와, 이 플러그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2)을 구비하고, 플러그 단자(15)는, 접촉부와 전선 접속부와의 사이를 신축이 자유로운 스프링부(15b)로 연결하여, 이 플러그 단자(15)와 함께 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10)를 커넥터 하우징(2)에 수용하고, 게이트 부재(10)로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151)를 커넥터 하우징 내에 스프링체를 압축하여 밀어 넣은 상태로 유지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한 방향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1(B)는 다른 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관(槪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외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X1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3(C)는 도 3(A)의 X2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게이트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외관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X3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4(C)는 도 4(A)의 X4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한쪽의 타입의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 도 5(B)는 다른 타입의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록 암을 나타내는 개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덮개 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A)는 외관 사시도, 도 7(B)는 도 7의 X5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7(C)는 도 7(A)의 X6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기본대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는 외관 사시도, 도 8(B)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조립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A)는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하우징 내에 밀어 넣어진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도 9(C)는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D)는 도 9(C)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각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A)는 도 9(A)의 XA-XA선으로 절단 한 단면도, 도 10(B)는 도 9(A)의 XB-XB선으로 절단 한 단면도, 도 10(C)는 도 10(A)의 XC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각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A)는 도 9(C)의 XIA-XI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1(B)는 도 9(C)의 XIB-XIB선으로 절단 한 단면도, 도 11(C)는 도 11(A)의 X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전기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4 돌출부
6 수용 구멍
10 게이트 부재
111, 112 암 피스(작동 부재)
15 플러그 단자
151 접촉부
152 고정부
153 전선 접속 단자
15b 스프링부
15u 가로 S자 스프링 유니트
16 록 암
17 커버체
19 누름 버튼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리셉터클(receptacle)형의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plug)형의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전기 커넥터는, 대부분의 전기 혹은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통상, 리셉터클형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끼워 넣어 접속되는 플러그형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下記)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플러그형의 전기 커넥터(3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플러그 단자(31a ~ 31c)와, 이러한 플러그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이하, 단지 「하우징」이라고 함)(32)과, 이 하우징을 덮는 커버체(3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32) 및 커버체(33)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2)은, 직방체(直方體) 모양의 몸통부(32a)와, 이 몸통부로부터 연장한 U자 모양의 머리부(32b)를 가지고, U자 모양 머리부(32b)의 사이에 3개의 플러그 단자(31a ~ 31c)가 같은 길이로 돌출해 있다. 또, U자 모양 머리부(32b)의 대향부는, 한 쌍의 측편(側片)(321, 322)으로 이루어지고, 각 측편(321, 322)에 아주 작은 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 내에 상대방 커넥터(도시 생략)와 걸어 맞춰지는 록 암(lock arm)(341, 342)이 수용되어 있다. 3개의 플러그 단자(31a ~ 31c)는, 선단부가 U자 모양 머리부(32b) 내에 위치하여 후단부가 몸통부(32a)의 단부로 돌출하도록 하여 하우징(3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각 플러그 단자(31a ~ 31c)의 후단부에는, 각각 전선이 접속된다. 이 하우징(32)은, 각각 플러그 단자(31a ~ 31c) 및 록 암(341, 342)을 수용한 후에, 하우징(32)의 몸통부(32a)에 통 모양의 커버체(33)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커버체(33)의 일면에는 푸쉬 버튼(33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푸쉬 버튼(33a)을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록 암(341, 342)이 하강하여 상대방 커넥터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30)는, 각 플러그 단자(31a ~ 31c)가 하우징(32)의 U자 모양 머리부(32b)로부터 돌출하고 있지만, 또,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하우징 내에 수납되도록 한 전기 커넥터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이 타입의 대표적인 전기 커넥터(35)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6) 및 플러그 단자(37)를 가지는 단자부(38)와, 이 단자부(38)를 수용하는 하우징(39)과, 이 하우징을 덮는 커버체(40)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방 커넥터(M)와의 결합은, 우선, 커넥터(30)의 커버체(40)를 상대방 커넥터(M)에 밀어 닿게 하여, 커버체(4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킨다. Y방향으로의 커버체(40)의 이동에 의해, 플러그 단자(37)가 커버체(40)로부터 돌출하여 컨택트(C)와 접촉된다. 이 전기 커넥터(35)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플러그 단자가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단자가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는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6896529B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30)는, 3개의 플러그 단자(31a ~ 31c)는 U자형 머리부(32b)의 U자 모양의 측편(321, 322) 내에 위치하여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이지만, 3개의 플러그 단자(31a ~ 31c)는, 모두 상대방 커넥터와 결합되기 전에는, U자 모양의 측편 내에는 있지만 평상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출한 플러그 단자에 장애물 등이 접촉하여 플러그 단자가 손상 또는 변형, 최악의 경우는 파손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플러그 단자가 손상, 변형 등 하면, 상대방 커넥터와의 양호한 접속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점, 종래 기술의 전기 커넥터(35)는, 플러그 단자(37)가 커버체(40)로 덮여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이 없다. 그렇지만, 이 커넥터의 단자부(38)는, 플러그 단자(37)와 스프링체(36)가 각각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그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또, 플러그 단자와 스프링체와의 사이에서 안정된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커버체를 이동시키므로, 커버체를 이동시키는 기구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밀어 넣은 간단한 구조로 플러그 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부와 스프링체를 일체로 한 플러그 단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의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의 발명은, 일단에 접촉부 및 타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플러그 단자와, 이 플러그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의 사이를 신축이 자유로운 스프링체로 연결하여, 이 플러그 단자와 함께 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하고, 상기 게이트 부재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상기 스프링체를 압축하여 밀어넣은 상태로 유지하며,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스프링체는, 복수 개의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를 동일면 내에서 연결한 것으로 형성하고, 이들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가 상기 플러그 단자의 긴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체의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긴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며, 또한 이 고정부에 는 상기 전선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2종류의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플러그 단자의 전선 접속부는 상기 고정부의 서로 다른 개소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서로 번갈아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한 상기 접촉부의 유지를 해제시키는 작동 부재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접합면에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설치한 홈 내에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 및 상기 게이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가 삽입하여 통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록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 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체를 수용하고, 커버체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록 부재를 작동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단자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있어서 그 접촉부가 스프링체가 압축된 상태로 게이트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밀어 넣어져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커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접촉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스프링체는 플러그 단자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하지 않고, 종래 기술과 같이 접촉부와 스프링체와의 접촉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어져, 또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조립해 넣기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단자의 스프링체는, 복수 개의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를 연결하고, 이들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가 플러그 단자의 긴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스프링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된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의 일단에 접촉부, 타단에 고정부 및 전선 접속부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같이 접촉부와 스프링체를 별도의 부재로 하지 않고 일체화할 수 있다. 또, 이 플러그 단자는 도전성의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2종류의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는, 전선 접속부의 고정부로의 형성 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에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를 서로 번갈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제 1, 제 2 플러그 단자에 설치한 전선 접속부의 위치가 인접하는 플러그 단자끼리 겹치지 않게 되고, 게다가 각 전선 접속부간의 간격이 넓어져 전선과의 접속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단자간의 단락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부재는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수용하고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결합시에 유지 수단의 유지를 해제시키는 작동 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플러그 단자의 돌출·수납을 조작할 수 있는 게이트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또,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의 접촉 및 상기 게이트 부재의 작동 부재의 조작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 8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하우징에 록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또, 커넥터 하우징을 커버체로 덮도록 하고, 하우징과 커버체를 별도의 부재로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스프링체를 장착한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체에 조작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 전기 커넥터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한 방향으로부터 본 외관 사시도, 도 1(B)는 다른 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관(槪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A)는 외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X1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3(C)는 도 3(A)의 X2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게이트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는 외관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X3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4(C)는 도 4(A)의 X4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A)는 한쪽의 타입의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 도 5(B)는 다른 타입의 플러그 단자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록 암을 나타내는 개관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덮개 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A)는 외관 사시도, 도 7(B)는 도 7의 X5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7(C)는 도 7(A)의 X6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기본대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A) 는 외관 사시도, 도 8(B)는 배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기 커넥터(1)는, 리셉터클형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형의 전기 커넥터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에 접촉부를 가지고 타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15)(도 5 참조)와, 이러한 플러그 단자(15) 및 이 플러그 단자(15)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10)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이하, 간단히 「하우징」이라고 함)(2)과, 이 하우징(2)의 바깥 둘레를 덮는 커버체(17)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는, 이 전기 커넥터(1)를 구성하는 개개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하우징(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이루고, 전후 벽면(3a, 3b), 상하 벽면(3c, 3d) 및 양측 벽면(3e, 3f)을 가지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2)은, 그 전벽면(3a)에 상대방 커넥터의 공동(空洞)부(도시 생략)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부(4)와, 이 전벽면(3a)에 근접한 위치에 상하 벽면(3c, 3d)을 관통하여 게이트 부재(10)가 수용되는 수용 구멍(6)과, 양측 벽면(3e, 3f)의 대략 중앙부에 커버체(17)에 설치된 작동편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71, 72)을 가지고 있다. 이 하우징(2)은, 조립시에는 내부에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15)가 수용되고, 돌출부(4) 내에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가 밀어 넣어지며, 후벽면(3b)으로부터 전선 접속 단자가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전벽면(3a)의 돌출부(4)는, 상대방 커넥터(도시 생략)의 공동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춤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 공동부의 형상에 맞추어,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전벽면(4a), 상하 벽면(4c, 4d) 및 양측 벽면(4e, 4f)을 가지며, 하우징(2)의 전벽면(3a)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는, 그 상벽면(4c)의 양 사이드에 록 암(16)(도 6 참조)이 장착되는 장착 구멍(51, 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구멍(51, 52)은, 록 암(16)의 형상에 맞추어 돌출부(4) 및 전벽면(3a)으로부터 후벽면(3b)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2)의 전벽면(3a)에는 가이드 홈(31, 32)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 홈은 하벽면(3d)에 연통하고 있다.
돌출부(4)의 하벽면(4d)에는, 그 양 사이드에 게이트 부재(10)의 암 피스(arm piece)(111, 11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3, 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53, 54)은 하우징(2)의 전벽면(3a)에 설치된 가이드 홈(33, 34)에 연통하고 있다. 또, 돌출부(4)의 전벽면(4a)에는,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가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출 구멍(41 ~ 43)이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 구멍(41 ~ 4 n)은, 돌출부(4)의 전벽면(4a) 및 하우징(2)의 전벽면(3a)으로부터 하우징(2) 내를 관통하여 하우징(2)의 후벽면(3b)에 이르러 있으며, 이러한 홈 상태는, 후술하는 플러그 단자(15)(도 5 참조)가 후벽면(3b)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플러그 단자(15)의 형상에 맞춰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 부재(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상체(板狀體)로 이루어지고, 전후 벽면(10a, 10b), 상하 벽면(10c, 10d) 및 양측 벽면(10e, 10f)을 가지고, 하우징(2)의 수용 구멍(6)으로 삽입되는 크기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부재(10)에 있어서, 전벽면(10a)에는, 양측부 근방에 있어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한 한 쌍의 암 피스(111, 112)와, 이러한 암 피스(111, 112)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록 암(16)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연통 구멍(121, 122)과, 이러한 암 피스(111, 112) 및 연통 구멍(121, 122)들 사이에 설치한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131 ~ 13n)을 가지고 있다. 각 암 피스(111, 112)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의 작동편에 맞닿아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작동 부재로 되어 있다. 또, 각 암 피스(111, 112)의 선단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작동편에 맞닿았을 때에 위쪽으로의 들어올림이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 4(C)에 있어서 오른쪽 어깨 경사진 경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 부재(10)의 각 가이드 홈(131 ~ 13n)은, 전벽면(10a)으로부터 후벽면(10b)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고, 전벽면(10a)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홈 폭보다 후벽면(10b)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의 홈 폭을 길게 하여 이 가이드 홈(131 ~ 13n) 내에 경사부(130)를 형성한다. 이 경사부(130)는, 후술하는 플러그 단자(15)의 걸어 맞춤 돌기(15a)가 걸어 맞춰진 견부(肩部)로 되어 있다(도 10(C) 참조). 또, 상벽면(10c)에는, 양 사이드에 위쪽으로 돌출한 소돌기(141, 142)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소돌기(141, 142)에는 각각 코일 모양의 스프링(22)이 장착된다.
플러그 단자(1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접속 단자의 부착 위치가 다른 2개의 타입의 플러그 단자(15A, 15B)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타입의 플러그 단자 15A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방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부(151)와, 이 접촉부(151)에 연결된 스프링부(15b)와, 이 스프링부(15b)의 단부에 연결된 고정부(152)와, 이 고정부(152)에 설치된 전선 접속 단자(153)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의 양도전성(良導電性)의 금속판을 펀칭한 후 필요한 프레스 가공 등을 시행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15b)는, 대략 가로 S자 모양을 이룬 스프링 유니트(15u)를 복수 개 동일면 내에서 연결하여, 각 스프링 유니트(15u)를 구성하는 스프링 선조체(線條體)가 사행(蛇行)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사행한 스프링 선조체를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15u)의 원호 모양의 굴곡부(150)를 지점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탄성적으로, 플러그 단자(15)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된다. 따라서, 접촉부(151)를 고정부(152) 방향으로 누르는 것으로, 이 사행한 스프링부(15b)가 압축되어 스프링 성질이 부여된다. 접촉부(151)는, 일단(一端)의 스프링 유니트(15u)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접촉부(151)와 스프링 유니트(15u)와의 결합부에는, 게이트 부 재(10)의 가이드 홈(131 ~ 13n) 내의 경사부(130)에 걸어 맞춤되는 걸어 맞춤 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52)는, 하우징(2)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하우징(2) 내에 있어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52)를 넓은 폭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2)으로의 고정이 견고하게 된다.
다른 한쪽의 타입의 플러그 단자 15B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플러그 단자 15A와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고, 고정부(152)로의 전선 접속 단자의 부착 위치만이 다르게 있다. 즉, 플러그 단자 15A의 전선 접속 단자(153)는 위쪽에 설치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플러그 단자 15B의 전선 접속 단자(15'3)는 아래쪽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플러그 단자(15A, 15B)는, 하우징(2) 내로는 서로 번갈아 배치하여 장착된다. 서로 번갈아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각 전선 접속 단자(153, 15'3)가 상하에 위치하므로 접속하는 전선과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플러그 단자(15)간의 단락 사고를 경감할 수 있다.
록 암(16)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폭 길이 및 길이의 선상을 이루고, 선단에는 상대방 커넥터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기(16b)와, 후단에 하우징(2)에 고정되는 고정부(16c)와, 이들 걸어 맞춤 돌기(16b)와 고정부(16c)를 결합하는 연결부(16a)로 이루어지며,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록 암(16)의 고정부(16c)는, 연결부(16a)가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하우징(2)에 고정 된다. 이 고정에 의해, 록 암(16)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는, 록 암(16)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어 맞춤 돌기(16b)가 상대방 커넥터에 걸어 맞춰지고, 또한, 커버체(17)에 설치한 작동 돌기편(191, 192)을 연결부(16a)에 맞닿음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 맞춤 돌기(16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커버체(1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대 케이스(20)와, 이 기본대 케이스(20)의 개구(開口)를 덮는 이 케이스와 조합 결합되는 덮개 커버(1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버체(17) 중, 덮개 커버(1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上板)(18a)과, 외주벽(18b ~ 18e)을 가짐과 동시에 아래쪽에 개구부(180)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2)의 대략 위쪽 반분(半分)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상자형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18a)은, 바깥 둘레 근방에 U자 모양의 절개 홈(190)을 형성하고, 압편(押片), 이른바 누름 버튼(19)이 형성되며, 이 누름 버튼(19)은 상판(18a)과 연결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누름 버튼(19)의 이면(裏面)에는, 록 암(16)에 맞닿아 이 암을 아래쪽으로 눌러 내리는 2개의 작동 돌기편(191, 19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18a)의 이면에는, 스프링(22)(도 2 참조)을 고정하는 2개의 돌기(181, 18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벽(18b ~ 18e) 가운데, 벽면 18b에는, 하우징(2)의 돌출부(4)에 끼움 홈(18b')이 형성되고, 이 벽면 18b에 대향하는 다른 벽면 18d에 는 전선 삽통구(揷通口)를 형성하는 반원형의 홈(18d')이 형성되어 있다.
기본대 케이스(2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20a)과, 외주벽(20b ~ 20e)을 가짐과 동시에 아래쪽에 개구부(200)를 가지고, 하우징(2)의 대략 하반신이 수용되는 크기의 상자형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외주벽(20b ~ 20e) 가운데, 벽면 20b에는, 하우징(2)의 돌출부(4)에 끼움 홈(20b')이 형성되고, 이 벽면 20b에 대향하는 벽면 20c에는 전선 삽통구를 형성하는 반원형의 홈(2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플러그 단자, 하우징, 및 커버체는, 이하의 순서로 조립할 수 있다. 이하, 그 조립 순서를 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게이트 부재(10)를 하우징(2)의 수용 구멍(6)의 하부, 즉 하우징(2)하벽면(3d) 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게이트 부재(10)의 각 암 피스(111, 112)를 하우징(2)의 전벽면(3a)의 각 가이드 홈(31, 32)으로부터 삽입하여, 수용 구멍(6)의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이 밀어 올림에 의해, 각 암 피스(111, 112)의 상단부는 돌출부(4)의 각 가이드 홈(53, 54)으로 삽입된다(도 3(C) 참조).
다음에 게이트 부재(10)를 장착한 하우징(2)에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15) 및 2개의 록 암(16)을 장착한다. 플러그 단자(15)의 장착은, 하우징(2)의 후벽면(3b)(도 3(B)참조)의 각 돌출 구멍(41 ~ 4n)으로, 게이트 부재(10)의 가이드 홈(131 ~ 13n)을 통하여 플러그 단자(15)의 선단의 접촉부(151)가 돌출부(4) 내에 위치할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 때, 2종류의 플러그 단자(15A, 15B)는, 플러그 단자 15A의 근처에 플러그 단자 15B가 오도록 서로 번갈아 끼워 넣는다. 끼워 넣어진 각 플러그 단자(15)의 고정부(152)는 하우징(2) 내에서 압접(壓接) 고정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2개의 록 암(16)도, 하우징(2)의 후벽면(3b)의 각 장착 구멍(51, 52)에 삽통한다. 이 삽통에 의해, 록 암(16)의 걸어 맞춤 돌기(16b)가 돌출부(4)의 각 장착 구멍(51, 52)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고정부(16c)가 하우징(2) 내에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15) 및 록 암(16)을 장착한 하우징(2)을 기본대 케이스(20)에 수용하여, 게이트 부재(10)의 각 돌기(141, 142)에 각각 스프링(22)을 장착하여 덮개 커버(18)로 덮어 고정한다. 하우징(2)을 기본대 케이스(20)에 수용하여 덮개 커버(18)로 덮으면, 기본대 케이스(20)의 홈(20b')과 덮개 커버(18)의 홈(22b')과의 사이로 할 수 있는 틈으로부터 하우징(2)의 돌출부(4)가 돌출하고, 기본대 케이스(22)의 홈(22c')과 덮개 커버(18)의 홈(18d')과의 사이로 할 수 있는 틈새에 전선 삽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커넥터(1)가 완성한다. 이와 같이 커버체(17)가 하우징(2)과 별체로 되어 있으면,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조립한 전기 커넥터의 사용법을 주로 도 9 ~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조립된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9(A)는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하우징 내에 밀어 넣어진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도 9(C)는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D)는 도 9(C)의 전기 커넥터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각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0(A)는 도 9(A)의 XA-X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0(B)는 도 9(A)의 XB-X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0(C)는 도 10(A)의 XC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커넥터의 각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A)는 도 9(C)의 XIA-XI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1(B)는 도 9(C)의 XIB-XI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11(C)는 도 11(A)의 XIC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은, 복수 개의 플러그 단자(15)는, 스프링부(15b)가 압축된 상태, 즉,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151)가 고정부(152) 측으로 밀어 넣어진 상태가 되어 있고, 이 때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151)는 하우징(2) 내에 수납되어 돌출부(4)의 전벽면(4a)에서부터는 돌출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게이트 부재(10)가 하우징(2)의 수용 구멍(6) 내에 있어서 스프링(22)의 신장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 내리고 있는 것에 의해, 가이드 홈(131)의 경사부(130)가 플러그 단자(15)의 걸어 맞춤 돌기(15a)에 걸어 맞춰지고, 플러그 단자(15)의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해,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는, 상대방 커넥터에 설치한 작동편(도시 생략)이 하우징(2)의 돌출부(4)의 각 가이드 홈(53, 54)에 비집고 들어가 게이트 부재(10)의 각 암 피스(111, 112)를 스프링(22)의 신장력에 저항하여 게이트 부재(1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린다. 게이트 부재(10)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면, 각 플러그 단자(15)의 걸어 맞춤 돌기(15a)와 게이트 부재(10)의 각 경사부(130)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각 플러그 단자(15)의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부(15b)의 탄성력에 의해, 각 접촉부(151)가 돌출부(4)의 전벽면(4a)으로부터 돌출하고, 상대방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는, 각 록 암(16, 16)의 걸어 맞춤 돌기(16b)가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 맞춤부(도시 생략)와 맞물림 되어 결합이 고정된다. 이 전기 커넥터를 상대방 커넥터로부터 이탈할 때는, 덮개 커버(18)에 설치한 누름 버튼(19)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작동 돌기편(191, 192)이 각 록 암(16)의 연결부(16a)를 눌러 내려 걸어 맞춤 돌기(16b)를 작동시킴으로써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해제하고, 전기 커넥터(1)를 당겨 뽑는 것에 의해 이탈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비결합시에 각 플러그 단자(15)의 접촉부를 돌출부로 밀어넣도록 하였으나, 도 11(A)의 상태로 누름 버튼(19)을 가압하고, 게이트 부재(10)의 하강에 연동시켜, 각 플러그 단자(15)의 스프링부(15b)가 압축되어, 각각의 접촉부(151)가 돌출부(4) 내에 밀어 넣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이하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단자는,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 전에 있어서 그 접촉부가 스프링체에 압축된 상태로 게이트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밀어 넣어져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커버체를 이동시키 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접촉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스프링체는 플러그 단자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증가하지 않고, 종래 기술과 같이 접촉부와 스프링체와의 접촉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없어져, 또 커넥터 하우징으로의 조립해 넣기도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일단에 접촉부 및 타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플러그(plug) 단자와, 이 플러그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의 사이를 신축(伸縮)이 자유로운 스프링체로 연결하여, 이 플러그 단자와 함께 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하고, 상기 게이트 부재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상기 스프링체를 압축하여 밀어넣은 상태로 유지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의 스프링체는, 복수 개의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를 동일면 내에서 연결한 것으로 형성하고, 이들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가 상기 플러그 단자의 긴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연결된 가로 S자 모양 스프링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스프링체의 한쪽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긴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며, 또한 이 고정부에는 상기 전선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는, 2종류의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제 2 플러그 단자의 전선 접속부는 상기 고정부의 서로 다른 개소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제 2 플러그 단자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서로 번갈아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록(lock)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체를 수용하고, 커버체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록 부재를 작동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일단에 접촉부 및 타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플러그(plug) 단자와, 이 플러그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의 사이를 신축(伸縮)이 자유로운 스프링체로 연결하여, 이 플러그 단자와 함께 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하고, 상기 게이트 부재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상기 스프링체를 압축하여 밀어넣은 상태로 유지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게이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한 상기 접촉부의 유지를 해제시키는 작동 부재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이동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록(lock)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체를 수용하고, 커버체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록 부재를 작동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일단에 접촉부 및 타단에 전선 접속부를 가지는 플러그(plug) 단자와, 이 플러그 단자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전선 접속부와의 사이를 신축(伸縮)이 자유로운 스프링체로 연결하여, 이 플러그 단자와 함께 이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유지하는 게이트 부재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하고, 상기 게이트 부재로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로 상기 스프링체를 압축하여 밀어넣은 상태로 유지하고,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기 유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접합면에서부터 전방(前方)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 설치한 홈 내에 상기 플러그 단자의 접촉부 및 상기 게이트 부재를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가 삽입하여 통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대방 커넥터와의 결합을 고정하는 록(lock) 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게이트 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체를 수용하고, 커버체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에는 조작 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작 수단에 의해 상기 록 부재를 작동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70032860A 2006-04-04 2007-04-03 전기 커넥터 KR101302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602224-8A SG136017A1 (en) 2006-04-04 2006-04-04 Electric connector
SG200602224-8 200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81A KR20070099481A (ko) 2007-10-09
KR101302242B1 true KR101302242B1 (ko) 2013-09-02

Family

ID=3855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860A KR101302242B1 (ko) 2006-04-04 2007-04-03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4729B2 (ko)
JP (1) JP2007280936A (ko)
KR (1) KR101302242B1 (ko)
CN (1) CN101051713A (ko)
SG (1) SG1360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172Y1 (ko) * 2009-04-30 2011-04-15 양기선 커넥터 검사 지그
US8512079B2 (en) * 2009-09-17 2013-08-20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interface
US9285831B2 (en) 2009-09-17 2016-03-15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s
US7824206B1 (en) * 2009-11-20 2010-11-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gital multimedia connectors that secure to corresponding digital multimedia receptacles
EP2688154B1 (en) * 2012-07-19 2017-12-06 Massimo Facconi An industrial electric connector with push button for the fast unhooking of the complementary connector
TWI500222B (zh) * 2013-07-12 2015-09-11 Ccp Contact Probes Co Ltd 連接器組合
JP6190245B2 (ja) * 2013-11-06 2017-08-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US9927838B2 (en) 2013-12-31 2018-03-27 Henge Docks Llc Sensor system for docking station
US9650814B2 (en) 2013-12-31 2017-05-16 Henge Docks Llc Alignment and drive system for motorized horizontal docking station
JP2016139545A (ja) * 2015-01-28 2016-08-04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9999127B2 (en) * 2015-05-22 2018-06-12 Uber Technologies, Inc. Device connector assembly
US9727084B2 (en) 2015-10-23 2017-08-08 Henge Docks Llc Drivetrain for a motorized docking station
US9811118B2 (en) 2015-10-23 2017-11-07 Henge Docks Llc Secure assembly for a docking station
US9575510B1 (en) 2015-10-23 2017-02-21 Matthew Leigh Vroom Precision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retention mechanism
KR101865884B1 (ko) * 2017-03-23 2018-06-08 윤근환 테스트용 커넥터
US10365688B1 (en) 2018-04-19 2019-07-30 Henge Docks Llc Alignment sleeve for docking station
US11575226B2 (en) * 2021-02-11 2023-02-07 Txs Industrial Design, Inc. Pass-through pl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945B1 (en) * 1999-06-16 2001-06-26 Yazaki Corporatio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198A (ja) * 2000-11-09 2002-05-24 Yazaki Corp 自動車の電源供給スイッチ
CN2575872Y (zh) 2002-10-29 2003-09-24 美国莫列斯股份有限公司 具有端子保护装置的连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945B1 (en) * 1999-06-16 2001-06-26 Yazaki Corporatio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2152A1 (en) 2007-10-04
JP2007280936A (ja) 2007-10-25
US7404729B2 (en) 2008-07-29
CN101051713A (zh) 2007-10-10
SG136017A1 (en) 2007-10-29
KR20070099481A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242B1 (ko) 전기 커넥터
JP3121388U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
CN110534957B (zh)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US74047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142836U (ja) 嵌合保護及び整合手段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181895B2 (ja) リセプタクル
JP4958645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CN201041875Y (zh) 电连接器
TWI750343B (zh) 電連接器
JP5282156B1 (ja) コネクタ
US20060030212A1 (en) Shield connector
CN109478742B (zh) 具有缆线保持体的缆线连接器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EP2840662A1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JPWO2014030627A1 (ja) 電子部品組立体、電子部品組立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電子部品組立体を有する電気接続箱
KR10205481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2234655A (ja) コネクタ
JP2018200765A (ja) コネクタ
JP2005535069A (ja) 電気コネクタ用ラッチシステム
JP3745318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13951B2 (ja) 部品付きホルダの取付構造
KR101111595B1 (ko) 커넥터 하우징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2221615A (ja) 圧着端子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