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701B1 -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701B1
KR101301701B1 KR1020110130352A KR20110130352A KR101301701B1 KR 101301701 B1 KR101301701 B1 KR 101301701B1 KR 1020110130352 A KR1020110130352 A KR 1020110130352A KR 20110130352 A KR20110130352 A KR 20110130352A KR 101301701 B1 KR101301701 B1 KR 10130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ixture
groove
lock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794A (ko
Inventor
조철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Priority to KR102011013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7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5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comprising a viscous mass, e.g. harde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의 코일을 저장 탱크에 고정하는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부를 삽입부 내부로 열융착 하여 코일을 고정구에 고정하도록 하여 코일을 저수탱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주파 가열을 할 때 고정구를 코일의 걸림턱 방향으로 가압하며 가열하거나 걸림홈의 폭을 달리하여 실링부재를 가압하며 가열함으로써 저수탱크의 기밀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FIXING METHOD AND FIXING DEVICE OF COIL FOR FIXING COOLING AND HEAT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코일을 저장 탱크에 고정하는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수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정수기는 냉수와 온수가 겸용되어 사용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고, 이를 위해 정수기의 저수탱크에는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코일이 설치된다. 이때 코일을 저수탱크에 고정할 필요성이 있는데, 코일을 저수탱크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892호(냉온 정수기용 냉각코일 고정장치) 2011.06.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797호(정수기의 물 냉각장치) 2008.06.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5625호(정수기의 물 냉각장치) 2003.09.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3079호(물 냉각장치의 고정수단 및 그 제조방법) 2005.04.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10128호(물 냉각장치) 2004.12.3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을 저수탱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일을 저수탱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은 정수기의 코일을 저수탱크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일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에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그리고 고주파 가열을 하여 상기 삽입부에 접하는 상기 고정구의 접촉부를 상기 삽입부 내부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일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코일에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에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 및 상기 실링부재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실링부재에 접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를 상기 코일에 끼울 때 상기 제2홈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제2홈 및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는 상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그리고 상기 코일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 접하는 상기 고정구의 접촉부는 고주파 가열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열융착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상기 코일의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홈,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에 접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가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주파 가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부를 삽입부 내부로 열융착 하여 코일을 고정구에 고정하도록 하여 코일을 저수탱크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주파 가열을 할 때 고정구를 코일의 걸림턱 방향으로 가압하며 가열하여 실링부재를 걸림턱과 걸림홈에 밀착함으로써 저수탱크의 기밀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코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b)는 도 4에 도시된 코일에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코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가 저수탱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은 정수기의 코일을 저수탱크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일에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에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그리고 고주파 가열을 하여 상기 삽입부에 접하는 상기 고정구의 접촉부를 상기 삽입부 내부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코일(10)은 그 내부로 냉매제를 유입시켜 코일(10)이 위치한 저장탱크의 물을 냉각시키거나, 코일(1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저장탱크의 물을 가열시키는 부재이다.
우선, 코일(10)에 삽입부(11)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코일(10)의 상단부에 음각 또는 양각의 삽입부(11)를 형성한다.
코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10)의 상단부 양 측에서 프레스기계 등을 이용하여 삽입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코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 쌍의 삽입부(11)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삽입부(11)의 개수는 코일(1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그 형상도 도시된 바와 달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부(11)도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지 아니할 수 있다.
이후, 도 2와 같이 고정구(20)를 코일(10)의 상단부에서 끼움결합 한다. 이때, 고정구(20)의 내경은 코일(1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고정구(20)는 코일(10)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므로 고정구(20)가 코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움직이지 아니하게 된다. 이때 고정구(20)는 코일(10)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삽입부(11)의 외측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고주파 가열기(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한 고주파 가열 압착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에 접하는 고정구(20)의 접촉부(21)를 삽입부(11) 내부에 충전시킨다.
코일(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구(20)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어 코일(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가소성의 성질이 높다. 따라서 고주파 가열기에 의해 코일(10)이 가열되고, 이로 인해 코일(10)에 접하고 있는 고정구(20)의 일부분이 변형되게 된다. 이때 코일(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1)로 접촉부(21)가 용융되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코일(10)과 고정구(20)가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구(20)의 접촉부(21)가 코일(10)의 삽입부(11) 내부에 열융착 되어 일체화되므로, 코일(10)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저수탱크(T)에서 이동하거나 코일(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지 아니하고 고정구(2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한편, 고정구(20)를 코일(10)에 끼우는 단계 이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0)에 걸림턱(12)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서 코일(10)을 가압하여 삽입부(11) 하단부의 코일(10) 일부분을 코일(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코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삽입부(11) 하단부에 걸림턱(12)을 형성한다.
이 경우,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고정구(20)의 걸림홈(22)이 코일(10)의 걸림턱(12)에 걸려 고정구(20)의 위치가 정해지게 된다.
즉,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고정구(20)가 코일(10)의 삽입부(11)를 감싸는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고정구(20)의 위치를 사용자가 일일이 제어하지 아니하고 고정구(20)를 코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순 삽입하여도, 걸림홈(22)이 걸림턱(12)에 걸려 고정구(20)가 더 이상 코일(1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로 가열하기 전에 고정구(2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재조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림턱(12)을 형성한 후,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하기 전에 코일(10)에 실링부재(30)를 삽입할 수 있다(도 5(a) 참고).
이 경우, 실링부재(30)가 걸림홈(22)의 공간을 구획하므로 코일(10)과 고정구(20) 사이의 기밀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0)를 걸림턱(12) 방향으로 가압하며 접촉부(21)를 고주파 가열기로 열융착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고정구(20)를 걸림턱(12)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고정구(20)와 걸림턱(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실링부재(30)가 가압되어 압축되게 된다. 동시에 접촉부(21)가 고주파 가열에 의해 삽입부(11) 내부로 충전되므로, 실링부재(30)가 압축된 상태로 고정구(20)와 코일(10)이 결합되게 된다.
실링부재(30)에서 걸림턱(12)에 접하는 제1부분(31)은 걸림턱(12)의 형상에 대응되어 변형되어 걸림턱(12)에 밀착되고, 고정구(20)의 걸림홈(22)에 접하는 제2부분(32)은 걸림홈(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변형되어 걸림홈(22)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재(30)를 기준으로 그 하부와 상부의 공간이 구획되어 저수탱크(T)의 기밀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코일(10)과 열융착 되어 결합한 고정구(20)가 충격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코일(10)과 고정구(20)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코일(10)에 녹이 슬어 코일(10)이 부식되는 경우, 코일(10)과 고정구(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기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도 5(b)와 같이 실링부재(30)가 걸림홈(22) 및 걸림턱(12)의 형상에 대응되어 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으면 실링부재(30)가 걸림홈(22)과 걸림턱(12) 단순히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공간 기밀력이 우수해지게 된다.
도 6(a) 및 (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가 코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20)에는 제1홈(22a) 및 제2홈(22b)을 포함하는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22)은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걸림턱(12)에 걸리면서 고정구(20)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고정구(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다.
이때, 걸림홈(22)은 걸림턱(12)에 걸리는 제1홈(22a) 및 실링부재(30)에 접하는 제2홈(22b)을 포함한다.
제1홈(22a)은 고정구(20)의 일단에서 고정구(2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고정구(20)가 걸림턱(12)에 걸려 코일(10)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부재이다.
제2홈(22b)은 제1홈(22a)과 연통되어 있으며, 제1홈(22a) 및 실링부재(30)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홈(22)은 서로 폭이 상이한 제1홈(22a)과 제2홈(22b)을 포함하여 걸림홈(22)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22b)이 실링부재(30)에 비해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링부재(30)에 코일(1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30)는 그 형상이 변하여 제2홈(22b)과 걸림턱(12)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12)의 하부 및 상부를 밀폐하여 기밀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11)의 개수는 코일의 길이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삽입부(11)의 형상도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다. 즉, 삽입부(11)의 형상은 프레스기계 등 삽입부(11)를 형성하는 부재의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삽입부(11)는 코일(10)의 수평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삽입부(11)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고정구(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접촉부(21)가 삽입부(11)에 삽입되어 열융착 되므로 삽입부(11)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지 아니한 경우에 비하여 고정구(20)와 코일(10)의 결합력이 견고해지게 된다.
삽입부(11)는 코일(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두 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120°의 간격으로 세 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90°의 간격으로 네 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는 상단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10), 그리고 상기 코일(1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구(20)를 포함한다.
코일(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로 냉매제를 유입시켜 코일(10)이 위치한 저장탱크의 물을 냉각시키거나, 코일(1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저장탱크의 물을 가열시키는 부재이다.
코일(10)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1)는 프레스 기계 등에 의해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20)는 코일(10)을 저수탱크(T)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고정구는 외측에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20)의 외측에 너트(N)가 체결되어 저수탱크(T)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구(20)는 하부가 상부에 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20)의 하부에는 플랜지부(F)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구(20)를 저수탱크(T)에 결합하면 플랜지부(F)는 저수탱크(T)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구(20)의 나사산은 저수탱크(T)의 외측에 위치하여 플랜지부(F)에 의해 고정구(20)는 저수탱크(T)의 외측으로 분리되지 아니하게 저수탱크(T)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구(20)가 저수탱크(T)에 결합될 때, 플랜지부(F)와 저수탱크(T) 사이에는 패킹부재(P)가 삽입되어 고정구(20)와 저수탱크(T)의 결합력을 높이고, 기밀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패킹부재(P)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킹부재(P)는 고정구(20)에 끼워져 고정구(20)와 저수탱크(T)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또는 고정구(20)를 저수탱크(T)에 결합한 후 고정구(20)와 저수탱크(T) 사이에 액상 형태의 패킹부재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0)는 코일(10)의 외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삽입부(11)에 접하는 고정구(20)의 접촉부(21)는 고주파 가열기에 의해 삽입부(11) 내부로 삽입되어 열융착 되어있다. 구체적으로, 고정구(20)는 플라스틱 등 코일(10)에 비해 열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나 열전도율은 낮은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10) 및 고정구(20)의 외측에서 고주파 가열기로 고주파 가열을 하게 되면, 열전도율이 높은 코일(10)이 가열되고 코일(10)과 접하고 있는 고정구(20)의 일면이 코일(10)의 열에 의해 변형이 되게 된다. 이때, 코일(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1)에 접하는 고정구(20)의 접촉부(21)가 용융되어 삽입부(11) 내부로 열융착 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20)의 접촉부(21)가 삽입부(11) 내부로 삽입되어 코일(10)이 고정구(2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코일(10)이 저수탱크(T)에서 움직이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코일(10)에는 삽입부(11)의 하단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20)에는 걸림턱(12)에 대응되어 플랜지부(F)의 내측에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걸림턱(12)에 의해 걸림홈(22)이 걸림으로써 고정구(20)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고정구(20)가 코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의 하부로 깊이 이동하거나 코일(10)에 충분히 삽입되지 아니하면, 삽입부(11) 외측에 고정구(20)가 위치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10)과 고정구(20)의 결합력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삽입부(11)의 하단부에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걸림홈(22)이 걸림턱(12)에 걸려 고정구(20)의 이동이 제어되므로, 고정구(20)의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실링부재(30)는 걸림턱(12)과 고정구(20) 사이에 배치되어 저수탱크(T) 내부와 외부의 기밀성을 높여주는 부재이다.
실링부재(30)는 일례로 고무패킹이나 오링(O-ring)일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는 코일(10), 고정구(20) 및 실링부재(3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10) 및 고정구(2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및 고정구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3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실링부재와 같이 걸림홈(22)에 배치되어 고정구(20)와 걸림턱(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실링부재(30)는 고정구(20)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구(20)와 걸림턱(12) 사이에서 그 형태가 변형되어 걸림홈(22)에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2)의 상단부에 접하는 실링부재(30)의 제1부분(31)은 걸림턱(12)의 형상에 대응되어 변형되어 걸림턱(12)에 밀착되어 있다. 일례로, 도 9와 같이 걸림턱(12)이 코일(10) 둘레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실링부재(30)는 일 방향으로 늘어나 제1부분(31)이 걸림턱(12)과 접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홈(22)의 상단부에 접하는 실링부재(30)의 제2부분(32)은 걸림홈(22)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변형되어 걸림홈(22) 상단부에 밀착되어 있다. 즉, 제1부분(31)과 같이 제2부분(32)도 일 방향으로 늘어나 제2부분(32)이 걸림홈(22) 상단부와 접하는 접촉 면적이 일 실시예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재(30)가 고정구(20)에 의해 가압되어 일 방향으로 늘어나며 걸림홈(22)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실링부재(30)가 걸림턱(12) 및 걸림홈(22) 상단부와 접하는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재(30)를 기준으로 걸림홈(22) 내부 공간을 구획하여 저수탱크(T)의 기밀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는 코일(10), 고정구(20) 및 실링부재(30)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10) 및 고정구(2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및 고정구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20)는 상기 걸림턱(12)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구(2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22)을 포함한다.
걸림홈(22)은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걸림턱(12)에 걸리면서 고정구(20)의 위치가 제어되도록 고정구(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이다.
이때, 걸림홈(22)은 걸림턱(12)에 걸리는 제1홈(22a) 및 실링부재(30)에 접하는 제2홈(22b)을 포함한다.
제1홈(22a)은 고정구(20)의 일단에서 고정구(2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할 때 고정구(20)가 걸림턱(12)에 걸려 코일(10)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부재이다.
제2홈(22b)은 제1홈(22a)과 연통되어 있으며, 제1홈(22a)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홈(22)은 서로 폭이 상이한 제1홈(22a)과 제2홈(22b)을 포함하여 걸림홈(22)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구(20)를 코일(10)에 삽입하게 되면, 제1홈(22a)의 상단부는 걸림턱(12)에 걸리게 되고, 제2홈(22b)의 측면부는 실링부재(30)를 코일(10)을 향하여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2홈(22b)이 제1홈(22a)에 비해 폭이 좁으므로 제2홈(22b)에 접하는 실링부재(3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변형된다. 실링부재(30)가 제2홈(22b)과 걸림턱(12)에 밀착되므로 저수탱크의 기밀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코일
11 : 삽입부 12 : 걸림턱
20 : 고정구
21 : 접촉부
22 : 걸림홈
22a : 제1홈 22b : 제2홈
F : 플랜지부
30 : 실링부재
31 : 제1부분 32 : 제2부분
T : 저수탱크
N : 너트
P : 패킹부재

Claims (4)

  1. 정수기의 코일을 저수탱크에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코일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일에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그리고
    고주파 가열을 하여 상기 삽입부에 접하는 상기 고정구의 접촉부를 상기 삽입부 내부에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일의 양측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코일에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고정구를 끼우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홈 및
    상기 제1홈 및 상기 실링부재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며 실링부재에 접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를 상기 코일에 끼울 때 상기 제2홈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가 가압되어 상기 제2홈 및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3. 상단부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코일, 그리고
    상기 코일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 접하는 상기 고정구의 접촉부는 고주파 가열에 의해 상기 삽입부에 열융착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상기 코일의 둘레를 따라 상기 코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어 상기 고정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홈,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에 접하는 제2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홈은 상기 제1홈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고정구에 의해 가압되는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구조.
  4. 삭제
KR1020110130352A 2011-12-07 2011-12-07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KR101301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52A KR101301701B1 (ko) 2011-12-07 2011-12-07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352A KR101301701B1 (ko) 2011-12-07 2011-12-07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794A KR20130063794A (ko) 2013-06-17
KR101301701B1 true KR101301701B1 (ko) 2013-08-30

Family

ID=4886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352A KR101301701B1 (ko) 2011-12-07 2011-12-07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7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45Y1 (ko) * 2003-02-12 2003-05-22 (주)혜원전기 플랜지 일체형 정수기용 냉·온수 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45Y1 (ko) * 2003-02-12 2003-05-22 (주)혜원전기 플랜지 일체형 정수기용 냉·온수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794A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0050B (zh) 嵌入式結合座、組合式殼體及製作嵌入式結合座之方法
KR101229919B1 (ko) 열간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RU2016105239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пособы создания электрофузио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KR101301701B1 (ko) 냉온 정수기용 코일 고정방법 및 고정구조
US9873224B2 (en) Reshaping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20180068395A (ko) 차량용 컵홀더
US2017016002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heat exchanger
KR200409519Y1 (ko) 호스연결구의 캡 고정구조
JP6906527B2 (ja) 可塑性材料から成る戸枠及び窓枠の具現化方法
KR101816333B1 (ko) 실링 장치
US8550432B2 (en) Stopcock
KR101502121B1 (ko) 물탱크의 삽입부재 어셈블리
KR101647276B1 (ko) 열전도 차단 및 방수기능을 갖는 리드선 연결부를 구비한 카트리지히터
JP5877454B1 (ja) 金型冷却水流路遮断装置
KR101311917B1 (ko) 파우치용 열융착 접합기의 열접합 금형
JP6904698B2 (ja) 分岐サドル継手
KR20170060304A (ko) 이온 알칼리수 생성용 필터하우징
KR100556566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 제조장치
KR200426191Y1 (ko) 관 이음매 구조
KR200447233Y1 (ko) 열융착용 툴
KR200394741Y1 (ko) 순간 가열 히팅 파이프
JP6600853B2 (ja) 樹脂部材の製造方法、筐体部材の製造方法及び基板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200376711Y1 (ko) 커플링 결합구조
KR101569497B1 (ko) 자동차 내장재의 흡음재 부착장치
KR101202436B1 (ko) 전기 융착을 이용해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