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358B1 -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358B1
KR101301358B1 KR1020110098371A KR20110098371A KR101301358B1 KR 101301358 B1 KR101301358 B1 KR 101301358B1 KR 1020110098371 A KR1020110098371 A KR 1020110098371A KR 20110098371 A KR20110098371 A KR 20110098371A KR 101301358 B1 KR101301358 B1 KR 10130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camera module
eccentric
optical center
mecha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87A (ko
Inventor
신명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3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11/2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7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involving a rotating movement, e.g. gearing, cam, eccentric, or centrifu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 및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Concentricity measuring system for camera modu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소형으로써 카메라 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국내공개번호 2010-957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렌즈 배럴과 하우징이 나사결합에 의해 가결합된 상태에서 기 조립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이미지센서를 실장한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센서 모듈의 하면에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다.
이때,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센서장착부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의 패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속 패드가 구비되어 납땜을 매개로 하여 센서 모듈과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접착 고정된다.
그러나 이때, 납땜이 고르지 않게 도포되지 않거나 완전 경화되지 않는 경우, 하우징에 삽입된 렌즈배럴의 렌즈군을 통과하는 광축이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이미지센서의 수광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광축 틀어짐 현상이 발생되어 해상도 불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광축 틀어짐에 의한 문제점은 카메라 모듈이 소형화됨에 따라 더욱 민감하게 관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홀과 보스를 적용한 종래 카메라 모듈보다 고화소 적용에 따른 공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스를 사용하지 않는 보스리스(bossless)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 광축 틀어짐에 대하여 더욱더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은 VMS-X2라는 장비를 사용하여 광축 틀어짐을 기구적으로 측정하여 이미지 센서의 중심과 하우징의 중심축을 좌표로 인식하여 광축 틀어짐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렌즈를 해체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측정후에 카메라 모듈을 폐기 처분하게 되어 비용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처럼 검사를 실시한 제품의 폐기 처분에 따라 전수 검사가 아닌 샘플 검사로 검사의 완전성을 기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의 기구적인 위치를 확인 한 후에 영상 데이터의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확인하여 광축 틀어짐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 및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 판정 모듈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판단하는 광학적 중심 판정부; 및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심 판정부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고,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 입력기;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에서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는 편심 산출기; 및 픽셀이 이미지 센서의 실제 크기와 대응되는 대응값을 이용하여 편심 산출기에서 산출한 편심값을 편심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거리 산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구적 중심 판정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단계; 및 (B) 편심 판정 모듈이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B)단계는, (B1) 편심 판정 모듈이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판단하는 단계; 및 (B2) 편심 판정 모듈이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B2)단계는, (B2-1) 편심 판정 모듈이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 단계; (B2-2) 편심 판정 모듈이 입력받은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에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3) 편심 판정 모듈이 픽셀이 이미지 센서의 실제 크기와 대응되는 대응값을 이용하여 편심 산출기에서 산출한 편심값을 편심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분해등이 없이 광축 틀어짐 정도를 파악함에 따라 전체 수량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여 불량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 검사에 따른 내부 유실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편심 판정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0)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와,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0)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상기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 모듈(20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편심 판정 모듈(2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판단하는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와, 상기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00)에서 산출한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는 카메라 모듈(10)의 기구적인 중심을 판정하는 것으로,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그 크기를 이용하여 기구적 중심을 판단한다.
이때,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가 카메라 모듈(10)의 기구적인 중심을 판정하는 방법은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모서리에서 그려지는 대각선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을 기구적 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의 픽셀수를 계산한 후에 이를 이등분하여 파악되는 중심 픽셀을 기구적 중심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는 카메라 모듈(10)의 기구적 중심이 판정되면 판정 결과를 편심 판정부(220)로 출력한다.
한편, 편심 판정 모듈(200)의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실제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 렌즈 등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중심점을 판정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0)에서 최초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판정하여 가장 밝은 픽셀을 광학적 중심으로 판정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밝기를 가지고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였을 때 가장 밝기가 큰 부분이 광축과 일치되는 광학적 중심이 된다.
따라서, 실제 카메라 모듈(10)에 있어서 렌즈 등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의 중심점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모듈(10)에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판정하여 가장 밝은 픽셀을 광학적 중심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가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전송받아 사용하는 영상 데이터가 최초일 필요가 있는 이유는 렌즈 쉐이딩 보정(LSC : Lens shading callbration)되지 않은 원래 영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에 렌즈 쉐이딩 보정을 수행하게 되면 영상 데이터의 밝기가 변화되어 정확한 광학적 중심을 산출할 수 없다.
따라서,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가 사용하는 영상 데이터를 최초 영상 데이터가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레지스트 설정을 통하여 렌즈 쉐이딩 보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 후에 입력되는 최초가 아닌 영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레지스트 설정을 통하여 LSC를 오프한 후에 이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렌즈 쉐이딩 보정이 수행되지 않은 영상데이터의 각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판단된 일예가 도 2에 십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산출된 광학적 중심값을 편심 판정부(22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편심 판정부(220)는 상기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에서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에서 판정한 광학적 중심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이때, 편심 판정부(220)는 픽셀의 이미지 센서상의 실제 거리를 참조하여 편심 거리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분해등이 없이 광축 틀어짐 정도를 파악함에 따라 전체 수량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여 불량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 검사에 따른 내부 유실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은 보스와 홀이 있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보스와 홀이 없는 보스리스 카메라 모듈이 더 좋다.
도 3은 도 1의 편심 판정부(22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편심 판정부(220)는 입력기(222)와, 편심 산출기(224)와, 거리 산출기(2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입력기(222)는 상기 기구적 중심 판정부(100)에서 판정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또한 입력기(222)는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에서 판정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편심 산출기(224)는 상기 입력기(222)를 통하여 입력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에서 상기 입력기(222)를 통하여 입력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편심값은 X축과 Y축에 대하여 각각 산출될 수 있으며, 벡터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편심값은 단지 픽셀의 차이만을 나타내고 있을 뿐, 실제 이미지 센서가 얼마정도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거리 산출기(226)는 실제 픽셀이 이미지 센서의 해당 실제 크기와 대응되는 대응값을 이용하여 픽셀에 의해 표현되는 실제 거리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거리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벗어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방법은, 먼저 기구적 중심 판정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구적 중심을 산출한다(S100).
이때, 상기 기구적 중심 산출부가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식적으로, 즉 영상 데이터의 네 모서리에서 대각선을 표시하여 교차점을 찾는 방법과, 픽셀수를 계산하여 이등분한 점을 기구적 중심으로 정하는 비도식적인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광학적 중심 산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영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한다(S120).
이때, 광학적 중심 판정부는 카메라 모듈에서 최초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판정하여 가장 밝은 픽셀을 광학적 중심으로 판정하거나, 레지스트 설정을 통하여 렌즈 쉐이딩 보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 후에 입력되는 최초가 아닌 영상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광학적 중심 판정부(210)는 레이지스트 설정을 통하여 LSC를 오프한 후에 이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편심 판정모듈의 편심 판정부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에서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한 광학적 중심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여 출력한다(S140).
이때, 편심 판정 모듈은 픽셀의 이미지 센서상의 거리를 참조하여 편심거리를 산출하여 출력한다(S16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분해등이 없이 광축 틀어짐 정도를 파악함에 따라 전체 수량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여 불량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괴 검사에 따른 내부 유실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카메라 모듈 100 : 기구적 중심 판정부
200 : 편심 판정 모듈 210 : 광학적 중심 판정부
220 : 편심 판정부 222 : 입력기
224 : 편심 산출기 226 : 거리 산출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 및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편심 판정 모듈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판단하는 광학적 중심 판정부; 및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편심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심 판정부는,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고,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 입력기;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에서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는 편심 산출기; 및
    픽셀이 이미지 센서의 실제 크기와 대응되는 대응값을 이용하여 편심 산출기에서 산출한 편심값을 편심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거리 산출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A) 기구적 중심 판정부가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중심을 산출하는 단계; 및
    (B) 편심 판정 모듈이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의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단계는,
    (B1) 편심 판정 모듈이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촬상 데이터의 픽셀별 밝기를 이용하여 광학적 중심을 산출하여 광학적 중심을 판단하는 단계; 및
    (B2) 편심 판정 모듈이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기구적 중심과 광학적 중심 판정부에서 산출한 광학적 중심의 차이를 산출하여 편심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2)단계는
    (B2-1) 편심 판정 모듈이 기구적 중심 판정부에서 판정된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입력받는 단계;
    (B2-2) 편심 판정 모듈이 입력받은 기구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에서 광학적 중심에 해당하는 픽셀값을 감산하여 편심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3) 편심 판정 모듈이 픽셀이 이미지 센서의 실제 크기와 대응되는 대응값을 이용하여 편심 산출기에서 산출한 편심값을 편심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방법.
KR1020110098371A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0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71A KR101301358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71A KR101301358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7A KR20130034387A (ko) 2013-04-05
KR101301358B1 true KR101301358B1 (ko) 2013-09-10

Family

ID=4843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71A KR101301358B1 (ko) 2011-09-28 2011-09-28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751B1 (ko) * 2015-01-16 2021-12-02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조심 장치 및 방법
CN109946046B (zh) * 2017-12-21 2022-01-07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偏心测试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920A (ko) * 2009-02-27 2010-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에서 렌즈계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55992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장치의 광학적 위치 어긋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920A (ko) * 2009-02-27 2010-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에서 렌즈계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55992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장치의 광학적 위치 어긋남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7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3599B1 (ko) 장치에서의 렌즈의 광축 오프셋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7307709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tical center detection
US80591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field of view of digital camera modules
US7405816B2 (en) Scalable test target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camera image quality
CN104854496A (zh) 摄像装置、散焦量运算方法及摄像光学系统
US9928598B2 (en) Depth measurement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depth measurement method that calculate depth information of a target pixel using a color plane of which a correlation value is at most a threshold
CN107221275B (zh) 显示屏对比度检测系统及方法
CN103108114A (zh) 用于对准印刷电路板的元件的相机系统
WO2014141561A1 (ja) 撮像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
CN102262348A (zh) 光学检测装置
KR100649983B1 (ko) 동작 감지를 이용한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70070296A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 장치
CN103179322A (zh) 一种图像颜色校正方法及电子设备
KR101301358B1 (ko) 카메라 모듈 편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9270984B2 (en) Camera with dust checking function
CN100525475C (zh) 影像清晰检测方法
US20130155257A1 (en) Test device for testing camera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0834029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CN203101022U (zh) 一种中继镜检测装置
CN106908225B (zh) 一种检测装置、方法及系统
US7155119B2 (en) Multi-processing of a picture to speed up mathematics and calculation for one picture
CN103176349A (zh) 镜头检测装置及方法
CN100518335C (zh) 数码影像解析度测试图的制作方法
CN113432554B (zh) 一种镜头感光芯片偏移检测方法及装置
JP2007071618A (ja) 画質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