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7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70B1
KR101301270B1 KR1020117011729A KR20117011729A KR101301270B1 KR 101301270 B1 KR101301270 B1 KR 101301270B1 KR 1020117011729 A KR1020117011729 A KR 1020117011729A KR 20117011729 A KR20117011729 A KR 20117011729A KR 101301270 B1 KR101301270 B1 KR 101301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hannel state
state feedback
int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031A (ko
Inventor
알렉세이 와이. 고로코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7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4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 H04L25/0242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using matrix methods
    • H04L25/0248Eigen-space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04L2025/03808Transmission of equaliser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의 생성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제시된다. 여기 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네트워크 사용자로의 다운링크 전송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협력하는 경우,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보고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은 노드별 채널 상태들에 대한 인트라-노드 피드백 및 대응하는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및/또는 진폭에 대한 인터-노드 피드백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사용자는 네트워크 명령들, 각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이용되는 협력 전략, 또는 기타 등등에 기반하여 인트라-노드 피드백 및/또는 인터-노드 피드백 보고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 추가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인터-노드 및 인트라-노드 채널 피드백이 기반하는 각각의 코드북은 공간 채널 기술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에 이용되는 자원 유닛들(예를 들면, 서브-밴드들, 자원 블록들 등)에 기반하여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출원은 2008년 10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108,306, 제목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환경에서 네트워크 노드들을 통한 협력적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통해 음성, 비디오, 패킷, 방송 및 메시징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단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접속 시스템들의 예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을 포함한다.
고속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들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 성능을 가지면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 시스템들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근래에, 사용자들은 유선 통신들을 이동 통신들로 대체하기 시작하였고, 양호한 음성 품질, 신뢰성 있는 서비스 및 낮은 가격을 점점 더 요구하게 되었다. 현재 배치된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에 부가하여, 새로운 소형 기지국들 클래스가 출현하였고, 이들은 사용자 가정에 배치될 수 있고, 기존의 브로드밴드 인터넷 연결을 사용하여 이동 유닛들에게 실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인적인 소형 기지국들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또는 홈 노드(HNB) 또는 펨토 셀로 알려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형 기지국들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라우터, 케이블 모뎀 등을 통해 이동 운용자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연결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시스템 내의 각 위치들에 대해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는 일련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구조로 지칭되고,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이 네트워크에서 서빙하는 위치들은 일반적으로 셀들로 지칭된다.
또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각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소스들 및/또는 목적지들은 통신 시스템 내의 장치들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다른 정보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MIMO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전송들에 대한 다수의 소스들 및/또는 목적지들의 사용은 일부 경우들에서 단일 입력 및/또는 단일 출력 통신 시스템에 비해 높은 데이터 레이트, 개선된 신호 품질, 및 다른 이점들을 제공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MIMO 통신 시스템의 일 예는 네트워크 MIMO(N-MIMO) 또는 CoMP(Coordinated Multipoint) 시스템이고, CoMP 시스템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하나 이상의 수신 장치들(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UE) 등)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협력할 수 있다. CoMP 통신 시스템의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 상태 피드백 및/또는 다른 정보에 기반하여 조정된 빔형성(CBF), 공동 전송 등과 같은 다양한 조정 방식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로의 전송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CoMP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및/또는 조정된 다운링크 통신에 관한 다른 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들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일 방법이 제시된다. 상기 방법은 노드 별 채널 상태들(per-node channel conditions)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per-node channel condition), 및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inter-node codebook)을 식별하는 단계;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제2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노드 별 채널 상태들(per-node channel conditions)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per-node channel condition), 및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inter-node codebook)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상은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벡터 양자화를 통해서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채널 상태 정보(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이 제공될,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CSI 코드북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양상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련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벡터 양자화를 통해서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채널 상태 정보(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이 제공될,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선택된 CSI 코드북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양상은 방법에 관련되며, 상기 방법은 연관된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또는 네트워크 백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분석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연관된 UE와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다운링크 조정 전략(downlink coordination strategy)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연관된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양상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협력적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 및 네트워크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의 이동성 또는 상기 백홀 링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파라미터들을 분석하고, 상기 각각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다운링크 조정 전략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양상은 장치에 관련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네트워크 백홀 상태, 또는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UE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조정 전략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8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련되며, 상기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네트워크 백홀 상태, 또는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UE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조정 전략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들 및 관련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아래에서 상술되는 특징들 및 특히 청구범위에서 제시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특정 양상들을 상세히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보여준다. 또한, 제시된 양상들은 모든 이러한 양상들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1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 피드백 정보를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전달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 내지 3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CoMP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 및 처리하기 위한 각각의 시스템들의 블록도이다.
도4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다운링크 CoMP 통신에 대한 네트워크-구동(network-driven) 채널 상태 피드백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5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채널 상태 피드백을 보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코드북 구성들을 보여준다.
도6 내지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 및 보고하기 위한 각각의 방법들을 대한 흐름도이다.
도9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 보고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10 내지 11은 다운링크 CoMP 조정을 위한 개선된 채널 상태 피드백의 생성, 보고, 및 처리를 원활하게 하는 각각의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12 내지 13은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조정된 멀티포인트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각각의 예시적인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14는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15는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이 기능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16은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의 배치를 인에이블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무선 단말 및/또는 기지국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을 제공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무선 단말은 랩톱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와 같은 자립형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시스템,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이동, 원격국, 액세스 포인트,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가입자국, 무선 장치, 셀룰러 전화, PCS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단말기(PDA), 연결 능력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일 수 있다. 기지국(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또는 노드 B)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을 통해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장치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수신된 무선 인터페이스 프레임들을 IP 패킷으로 전환함으로써 무선 단말과 액세스 네트워크(IP 네트워크를 포함함)의 다른 단말들 사이에서 라우터로 동작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속성들에 대한 관리를 조정한다.
또한, 여기서 제시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별한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ROM,EEPROM,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특별한 컴퓨터,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별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통해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disk 및 disc은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 광 disc, 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disk는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disc은 레이저를 통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되는 기술들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시분할 다중접속(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DMA),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 단일 캐리어 FDMA(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서로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들을 구현한다. UTRA는 와이드밴드-CDMA(WCDMA) 및 저속 칩 레이트(LCR)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OFDMA 시스템은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한다. UTRA, E-UTRA, 및 GSM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벌루션(LTE)는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다음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또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의 문서들에 제시된다.
다수의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다양한 양상들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및/또는 도면에서 제시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들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1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생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보여준다. 일 예에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연관 네트워크 노드들(130)(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셀, 노드 B, 이벌브드 노드 B(eNodeB 또는 eNB) 등)과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의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은 매크로 셀, 펨토 셀(예를 들면,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또는 홈 노드 B(HNB)), 및/또는 다른 적절한 커버리지 영역과 연관된 영역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커버리지 영역(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에 대응하고 및/또는 이러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UE(110)는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노드들(130)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114)를 이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은 각각의 UE(110) 및/또는 시스템(100) 내의 다른 엔티티와의 통신을 위해서 임의의 적절한 동일 또는 비동일한 수의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110)는 네트워크 노드(들)(130)로의 하나 이상의 업링크(UL, 또는 역방향 링크(RL)로 지칭됨)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30)는 UE(110)로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DL, 종종 순방향 링크(FL)로 지칭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다중 입력 다중 출력(네트워크 MIMO 또는 N-MIMO), 조정된 멀티포인트(CoMP), 및 또는 다른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UE(110)는 다수의 개별적인 네트워크 노드들(130)과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100) 내에서 수행되는 CoMP 통신은 네트워크 노드들(130) 사이의 협력을 위한 적절한 전략 또는 전략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들은 예를 들어, 침묵(silencing), 주파수 재사용, 조정된 빔형성(CBF), 협력적 간섭 널링, 공동 전송(JT), 및/또는 여기 제시되거나 및/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협력 전략 또는 전략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다운링크 CoMP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수 있고, 다운링크 CoMP 프레임워크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은 인터 노드 간섭을 실질적으로 최소화하고, 수신 UE(110)에서 다수의 노드들(130)에 대응하는 채널 이득의 결합을 인에이블하고, 및/또는 다른 적절한 이점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UE(110)로의 협력적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130)가 협력적 이득, 협력적 간섭 널링, 및/또는 다운링크 CoMP 프레임워크의 다른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 네트워크(130)는 자신과 관련된 전송기의 채널 상태 정보(CSIT)와 같은 채널 상태 정보(CSI)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100)의 각각의 엔티티가 다운링크 CoMP 통신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점의 정도는 일부 경우들에서 각각의 협력 네트워크 노드(130)에서의 CSIT 정보의 정확성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CSIT는 CSIT 피드백 형태로 하나 이상의 연관된 UE(110)에 의해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3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CSI 측정 모듈(112) 및/또는 UE(110)와 연관된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은 하나 이상의 채널 측정을 수행하거나 및/또는 UE(110) 및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치들에 기반하여, CSI 보고 모듈(120) 및/또는 UE(100)의 다른 적절한 수단은 대응하는 CSIT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고, UE(110)를 서빙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로 생성된 피드백을 보고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110)에 의해 보고되는 CSIT 피드백은 프리코딩 지령에 관한 정보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단일 공간 스트림 전송의 경우) 프리코딩 벡터들의 하나 이상의 코드북, (단일 또는 다중-사용자 MIMO 전송의 경우) 프리코딩 행렬,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UE(110)에 의해 유지되는 코드북의 각각의 엘리먼트들(예를 들면, 벡터들, 행렬들 등)은 주어진 네트워크 노드(130) 및 UE(110)에서 한 세트의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최적 빔(또는 빔들의 세트)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북에 기반하여, UE(110)은 현재 다운링크 채널 측정치에 기반하여 코드북에서 최적 엔트리 인덱스를 포함하는 CSIT 피드백을 네트워크 노드(1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들을 생성하고 이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각각의 프리코딩 벡터 또는 행렬의 각각의 스칼라 계수에 대한 개별적인 양자화와는 반대로, 이러한 설계는 각각의 빔 벡터들(또는 다중 MIMO 스트림들의 경우에 빔들의 행렬들)의 양자화에 기반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코드북 설계는 예를 들어 다중-차원 오브젝트(예를 들면, 벡터, 행렬 등)의 스칼라 엔트리 각각을 개별적으로 양자화하고, 스칼라 엔트리들에 대응한 엔트리-별 인덱스들을 피드백함으로써 이뤄지는 다중-차원 오브젝트 스칼라 양자화가, 다중-차원 오브젝트가 자신의 대응하는 다중-차원 공간으로 양자화되는 벡터 양자화에 비해 열등하다는 개념에 기반함이 추가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는 벡터 양자화를 사용하는 구성되는 프리코딩 코드북을 이용하며, 이 경우 생성된 코드북은 적절한 차원을 갖는 각각의 복합 벡터들에 의해 기술되는 한 세트의 빔들에 각각 대응하는 엔트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엔트리들에 기반하여, 연관된 UE(110)는 (예를 들어, CSI 측정 모듈(112)을 통해서) UE(110)에서 측정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최적으로 매칭하는 벡터의 인덱스를 피드백으로서 네트워크 노드(1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각각의 네트워크 셀(130)로부터 UE(110)로의 최적의 다운링크 CoMP 통신에 필요한 피드백 양은 네트워크 셀들(130)에 의해 이용되는 조정 기술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셀들(130)에 의해 (예를 들어, 조정된 빔형성을 통해서) 협력적 전송 간섭 널링이 이용되는 경우, 각각의 네트워크 셀들(130)은 일부 경우들에서 자신의 인트라-노드(intra-node) 채널 조건들에 대응하는 CSIT 피드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130) 사이에서의 공동 전송(또한 공동 처리, 사이트 간 패킷 공유 등으로 지칭됨)의 경우, 각각의 협력적인 네트워크 노드들(130)은 일부 경우들에서 노드들(130) 사이의 인터-노드(inter-node) 채널 조건들뿐만 아니라,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의 인트라-노드 채널 조건들에 대응하는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단일-안테나 네트워크 노드(130) 및/또는 UE(130)와의 조정된 전송에 관여하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노드(130)는 일부 경우들에서 인터-노드 채널 조건들에 관한 정보만을 필요로 하고, 네트워크 노드(130)에 특정된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들(13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조정 기술들 및 이러한 조정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서 UE(1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피드백의 특정 예들은 아래에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전통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하는 피드백 요건들과 관련된 이슈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의해 이용되는 해법들은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카테고리에서, 잠재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모든 노드들에 걸친 전송 안테나들의 총 수에 대응하는 차원을 이용하여 수퍼 코드북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연관된 UE는 이러한 UE를 서빙함에 있어서 가능하게는 협력할 수 있는 모든 노드들에 걸친 전송 안테나들의 총 수에 대응하는 채널 벡터(또는 행렬)에 기반하여 벡터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각각 4개의 전송 안테나들이 구비된 3개의 노드들 세트의 임의의 서브셋으로부터의 공동 전송으로부터 잠재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UE에 대해서, UE는 모든 3개의 노드들에 대응하는 수퍼-코드북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12 차원 공간에서 벡터 양자화를 수행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12 차원 공간에서의 벡터 양자화는 단일 수신 안테나가 UE에서 이용되거나 또는 하나의 "등가" 수신 안테나에 대응하는 피드백 폼(form)이 이용되는 시나리오에서 요구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UE에 의해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이 이용되는 경우, 벡터 양자화에 필요한 요구되는 공간은 일부 경우들에서 12 차원을 초과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들의 카테고리는 실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수퍼-코드북 설계의 효과를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결점들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예로서,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값비싸다는 이유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는 상대적으로 높은 복잡도를 다중-차원 양자화가 필요로 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를 참조하면, UE는 12 차원 공간에서 벡터 매칭을 수행할 것이 요구되고, 대응하는 코드북의 사이즈는 차원들의 수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수퍼-코드북 설계는 인트라-노드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동일 네트워크 노드의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및 (예를 들면, 노드들 간의 상대적인 채널들에 대응하는) 인터-노드 파라미터들에 대한 양자화 정확도 요건들을 관리함에 있어서 열악한 유연성을 초래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파라미터 타입들에 대한 상이한 요건들은 예를 들면, UE 이동성이 보다 강한 부정적인 영향 또는 인터-노드 파라미터 예측 정확도를 갖는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를 들면, 보다 저속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업데이트될 수 있는 인트라-노드 양자화와는 반대로) 인터-노드 파라미터들의 빈번한 업데이트를 촉진하기 위해서 인터-노드 양자화에 대한 낮은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퍼-코드북 설계는 인터-노드 및 인트라-노드 채널 파라미터들 사이를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식으로 단일 채널 코드북을 설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코드북 설계 및 기술 복잡도를 초래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주어진 노드의 동일-배치된 안테나들에 대해 최적화되는 코드북이 연관된 전파 환경뿐만 아니라 안테나 구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하게 배치된(예를 들어, 연관된 파장만큼 이격되는) 안테나들을 가지며 및/또는 전송기 (노드) 주위에 상대적으로 제한된 스캐터링을 가지는 노드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넓게 이격된 안테나들(예를 들면, 파장의 수배에 달하는 이격거리)을 가지며 및/또는 전송기 (노드) 주위에 상대적으로 풍부한 스캐터링을 가지는 노드들과는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들에 걸친 채널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각각의 노드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큰 물리적인 이격거리로 인해 풍부한 스캐터링 모델을 따를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주어진 시스템에 대해서 모든 상대적인 전파 및 동일-위치의 안테나 배치 시나리오들을 합리적으로 커버하는 인트라-노드 코드북 타입들의 총 수는 N i 로 표시될 수 있고, 인터-코드북 타입들의 총 수는 N o 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들에 기반하여, 최대 n개의 대응하는 노드들을 갖는 시스템에 대해 고려될 필요가 있는(예를 들면, 설계 및 코드북 선택의 관점에서) 수퍼-코드북 타입들의 총 수는 N o * N i n 이고, 이는 예를 들어, n = 3의 경우 매우 큰 수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수퍼-코드북 설계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운링크 CoMP 통신에 대한 가변하는 피드백 요건들과 연관된 이슈들을 극복하기 위한 기존의 방식들에 대한 예시적인 제2 카테고리는 각각의 관련 노드에 대한 상대적인 피드백을 개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기존의 노드 별 코드북을 이용하고, 각각의 노드들 사이의 채널들의 상대적인 위상들 및/진폭들의 적절한 양자화된 값들을 추가적으로 피드백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3-노드 시스템에서의 UE의 특정 예들을 참조하면, 연관된 UE는 3개의 연관된 노드들의 코드북들에 대응하는 3개의 프리코딩 인덱스들을 피드백하고, 여기서 각 코드북은 각각의 노드들의 전송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의 벡터 양자화에 대응한다. 또한, UE는 인터 노드-상태들을 나타내는 2개의 스칼라 값들(예를 들면, 위상만이 요구되는지 혹은 위상 및 진폭 모두가 요구되는지에 따라 실수값 또는 복소수 값)을 피드백한다. 그러나, 후 단계는 노드들 사이의 상대적인 채널 이득들 및 위상들을 캡쳐하는 벡터(또는 행렬)에 스칼라 양자화를 적용함으로써 수행됨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벡터 오브젝트의 스칼라 양자화로 인해 양자화 효율(및 관련된 피드백 효율) 손실이 초래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UE(110)은 분리가능하고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해 하이브리드 설계를 이용하는 CSI 보고 모듈(120)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기존 기술들의 결점을 UE는 완화할 수 있다. 특히, CSI 보고 모듈(120)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의 모든 전송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노드 별 또는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4개의 전송 안테나들을 갖는 3개의 네트워크 노드들(130)을 구비한 전술한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UE(110)는 3개의 노드들의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에 대응하는 3개의 프리코딩 인덱스들 세트를 피드백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122)은 각 노드에서의 4개의 전송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의 벡터 양자화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CSI 보고 모듈(120)은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124)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124)은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130)의 각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에서 관계들을 특성화하는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상대적인 위상 및/또는 진폭 등)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 및 인터-노드 코드북(들)(124)은 벡터 양자화를 통해 구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칼라 양자화에 의존하는 기존의 피드백 전략과 관련된 다양한 단점들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노드 코드북(124)은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인터-노드 채널 파라미터들의 벡터 양자화에 기반하여 구축 및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다시 3-노드 시스템의 예를 참조하면, UE(110)는 UE(110)의 CSI 측정 모듈(112)에 의해 측정된 인터-노드 채널 파라미터들 세트에 매칭하는 관련된 인터-노드 코드북(124)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단일 프리코딩 인덱스를 피드백하기 위해서 CSI 보고 모듈(120)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터-노드 코드북(들)(124)의 차원은 시스템(100) 내의 잠재적인 협력 노드들(130)의 수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노드 시스템에 대응하는 인터-노드 코드북은 각각 3-차원 엔트리들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CSI 보고 모듈(120)은 추가적으로 코드북 선택기(12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코드북 선택기(126)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30)에 의해 이용될 조정 전략에 기반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로 제공될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코드북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CSI 보고 모듈(1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북 선택기(126)는 조정 또는 UE(110)로의 전송에 관련되는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130), 셀들에 걸쳐서 수행될 조정 전략(예를 들면, 빔형성, 전송 널링, 공동 전송 등) 등에 기반하여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 및/또는 인터-노드 코드북(들)(124)에 기반한 피드백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제1 특정 예로서, 다운링크 조정된 전송 간섭 널링(또는 조정된 빔형성(CBF))이 도2의 시스템(200)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다운링크 CoMP 조정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200)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UE(110)에 대한 서빙 노드(220)는 (예를 들면, 전통적인 비-협력적 빔형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UE(110) 방향으로 에너지를 방사하면서,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이웃 노드들에 의해 서빙되고, 그리고 (예를 들면, 서빙 노드(220)의 충분히 근접함으로 인해) 서빙 노드(220)로부터 잠재적으로 간섭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UE들(110) 방향으로 방사되는 에너지를 동시에 감소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전송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UE(110)에 대해서, 시스템(200)은 UE(110)에 대한 서빙 노드(220) 및 이웃 협력 노드(230)가 각각의 전송 조정기(222)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협력 노드(230)로부터 완화된 간섭을 가지고 서빙 노드(220)로부터 UE(110)로 다운링크 통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시스템(200)과 관련하여, UE(110)와의 조정된 통신에 관여하는 각 노드(220-230)는 일부 경우들에서 각 노드들(220-230)의 전송 안테나들 및 UE(110)와 연관된 수신 안테나들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에 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인지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CSI 보고 모듈(120) 및/또는 UE(110)와 연관된 다른 메커니즘들은 각각의 노드들(220-230)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들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상대적인 진폭 및 위상 정보)에 대한 추가적인 인터-노드 코드북들(122)을 필요로 하지 않고, UE(110)가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220-230)에 대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하나 이상의 연관된 노드들(220-230)이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을 가지는 경우, 시스템(200)에 의해 제시되는 협력적 전송 간섭 널링 및/또는 다른 유사한 프로시져들이 약간의 이동성을 갖는 UE(110)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제2 예로서, 공동 처리(예를 들면, 공동 전송(JT), 사이트 간 패킷 공유 등)가 도3에 제시된 시스템(30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CoMP 조정에 대해 하나 이상의 전송 안테나들을 구비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220-230)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300)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UE(110)에 대한 서빙 노드(220)는 UE(110)로 하나 이상의 패킷들을 공동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각각의 전송 조정기(222)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잠재적으로 이격된) 협력 노드들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방식은 모든 협력 노드들(22-230)로부터의 에너지 결합, UE(110)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협력 노드들(22-230)로부터의 간섭 완화, 및 다른 적절한 이점들을 허용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협력은 각각의 노드들(220-230)에 걸친 제어 및 데이터 전달을 인에이블하기 위해서 노드들(220 및 230) 사이에 고속 브로드밴드 백홀에 의존함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300)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공동 전송을 인에이블하기 위해서, CSI 보고 모듈(120) 및/또는 UE(110)와 연관된 다른 적절한 수단은 각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을 이용하여 시스템(200)에 의해 제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각각의 연관 노드(220-23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의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E(110)는 노드들(220-230)에 걸친 채널들에 대응하는 상대적인 진폭 및/또는 위상 정보에 관한 피드백을 노드들(220-230)로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인터-노드 코드북(124)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노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UE(110)로의 공동 전송에 관여하여 각각의 노드들(220-230)은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노드들(220-230)로부터의 UE(110)로의 패킷 전송들을 코히어런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라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 및 인터-노드 코드북(들)(124)은 유사한 범용 원리들에 따라 UE(110)에 의해 사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북(122 및/또는 124)은 완전한 채널 설명(description)을 전달할 수 있고, 여기서 코드북 엔트리들은 복소 채널 벡터 등의 대표 분포(representative distribution) 등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코드북 설명은 공간 방향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드북 엔트리들은 단위 멀티-차원 구(unit multi-dimensional sphere)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벡터들의 분포로서 정의될 수 있는, 한 세트의 고유-방향들(a set of eigen-directions)의 대표 분포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피드백은 예를 들어 성능, 간섭 등에 기인하여 1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 랭크에 대응하는 전송들을 일반적으로 수신하는 UE(1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적의 수신기 구성을 적용함에 기인하는 유효 단일-안테나에 대응하는 주 고유-컴포넌트(principal eigen-component)에 관한 피드백이 피드백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풀 채널 피드백 대신에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위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계층적인 고유-피드백은 모든 연관된 전송(TX) 안테나들 및 모든 연관된 수신(RX) 안테나들 사이의 전체 채널과는 반대로, 채널의 고유-컴포넌트들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10)은 모든 보고된 네트워크 노드들(130)에 걸친 MTX개의 전송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 및 UE(110)에서의 MRX 개의 수신 안테나들(114) 사이의 MIMO 채널을 모든 보고된 네트워크 노드들(130)에 걸친 MTX개의 전송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 및 주어진 MIMO 스트림에 대응하는 UE(110)에서의 (단일) RX 결합기 출력 사이의 등가의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채널로 압축하기 위해서 주어진 RX 처리 방식을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랭크-K 또는 등가적으로 K개의 MIMO 스트림들의 경우, UE(110)은 이러한 MTX개의 벡터들 중 K개의 벡터들을 피드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유-피드백은 전술한 제한되지 않은 특정 예로서 사용되며, 여기서 UE(110)의 RX 결합기는 채널의 대응하는 고유-컴포넌트와 연관된다. 계층적인 피드백이 이용되는 경우에, (MIMO 스트림에 대응하는) 사이즈 MTX의 각각의 벡터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30)의 전송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에 대응하는 인트라-노드 컴포넌트 및 네트워크 노드들(130)에 걸친 상대적인 진폭/위상을 캡쳐하는 인터-노드 컴포넌트들로 분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코드북 엔트리들은 양자화된 다운링크 채널 정보에 부가하여 또는 양자화된 다운링크 채널 정보 대신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130)로 UE(110)에 의해 추천되는 양자화된 다운링크 빔들(또는 행렬들)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코드북들(122-124)의 구조는 일부 경우들에서 (안테나 이격거리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안테나 구성들 및 예상되는 전형적인 채널 전파 상태들에 매칭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주어진 UE에 의해 사용될 코드북(들)의 선택은 UE 스스로에 의해 결정에 부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각각의 연관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도4의 시스템(400)에 의해 제시되며, 여기서 주어진 UE와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130)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네트워크 노드(130)로 제공함에 있어서 UE(110)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코드북들(122-124)을 제어하기 위해서 코드북 선택기(126)를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 양호한 백홀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리고 낮은 이동성을 갖는 UE에 대해서만 이용될 수 있는 공동 처리를 인에이블하기 위해서 인터-노드 채널 상태 정보가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여기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정보는 덜 제한적인 구성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UE 분석기(412) 및 네트워크 분석기(414) 각각에 의해 관측되는) 네트워크 특성들 및 UE 상태들에 기반하여, 코드북 선택기(126)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130)와 연관된 다른 수단은 인트라-노드 피드백 및 인터-노드 피드백, 또는 인트라-노드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거나, 또는 인트라-노드 피드백 및 인터-노드 피드백 어느 것도 인에이블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일 안테나 네트워크 노드(130)의 경우, 코드북 선택기(126)는 인터-노드 피드백만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5를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채널 상태 피드백을 지원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코드북 구성들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500)이 제시된다. 여기에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인트라-노드 코드북(122) 및/또는 인터-노드 코드북(124)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은 (예를 들면, 전체 연관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단일 특성에 기반한) 브로드밴드 채널 특성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고, 이는 낮은 주파수 채널 선택도를 갖는 UE에 대해 상당한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이어그램(500)에 제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채널 상태 피드백에 이용될 수 있는 각각의 코드북들(122 및/또는 124)은 자원 유닛(예를 들면, 서브-대역, 자원 블록 등) 별로 정의되는 각각의 엔트리들(512 및/또는 5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여기서 이용되는 채널 설명들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간 (예를 들면, 전파 지연 탭) 도메인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제 도6 내지 9를 참조하면,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된다.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서, 상기 방법들이 일련의 동작들로 제시되지만, 상기 방법들은 이러한 동작들의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일부 동작들이 여기 제시된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일 방법이 예를 들면 상태 다이어그램에서 일련의 상호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시된 모든 동작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일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하고 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600)이 제시된다. 방법(600)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예를 들면, UE(110)) 및/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방법(600)은 블록(602)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노드 별 채널 상태들(예를 들면,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과 연관된 상태들)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들(예를 들면, 인트라-노드 코드북들(122))이 식별된다. 다음으로, 블록(604)에서, 각각의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예를 들면,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130)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및/또는 진폭)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들(예를 들면, 인터-노드 코드북(124))이 식별된다. 그리고 나서 방법(600)은 블록(606)에서 종료되고, 여기서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다운링크 조정 전략(예를 들면, JT, CBF 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어떤 채널 상태 피드백이 (예를 들면, CSI 보고 모듈(120)을 통해서)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되는지에 대한 기초로서, 블록(602)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및/또는 블록(604)에서 식별된 인터-노드 코드북이 (코드북 선택기(126)에 의해) 선택된다.
이제 도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하고 보고하기 위한 제2 방법의 흐름도(700)가 제시된다. 방법(700)은 예를 들어 UE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700)은 블록(702)에서 개시되고, 여기서 벡터 양자화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CSI 코드북들 및/또는 인터-노드 CSI 코드북들이 구축된다. 다음으로, 블록(704)에서 CSI 피드백이 요청되는 각각의 CSI 코드북들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이용되는 조정 전략에 관한 정보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30)를 통해서) 연관된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다. 그리고 나서, 방법(700)은 블록(706)에서 종료하고, 여기서 블록(704)에서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대로, 블록(702)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CSI 코드북들에 대응하는 통신 네트워크로 CSI 피드백이 제공된다.
도8은 자원 유닛 단위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생성하고 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800)을 보여준다. 방법(800)은 예를 들어, 이동국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800)은 블록(802)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연관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들(예를 들면, 시간 인터레이스, 자원 블록, 주파수 서브-대역 등)이 식별된다. 다음으로, 블록(804)에서, 자원 유닛 단위로 구축되는 엔트리들을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CSI 코드북들이 식별된다. 마지막으로, 방법(800)은 블록(806)에서 종료하며, 여기서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이용될 각각의 자원 유닛들에 대해 구축되는, 블록(804)에서 식별되는 CSI 코드북(들)의 엔트리들에 대응하는 CSI 피드백이 하나 이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로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상태 피드백 보고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900)이 제시된다. 방법(900)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30)), 통신 네트워크 제어기,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방법(900)은 블록(902)에서 개시되고, 여기서 방법(900)을 수행하는 엔트리들과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예를 들면, 전송 안테나들(132 및/또는 134))의 수가 식별된다. 블록(904)에서, 연관된 UE(예를 들면, UE(110))의 이동성 및/또는 네트워크 백홀 상태에 대한 분석이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방법(900)은 블록(906)으로 계속되고, 여기서 블록(904)에서 수행된 식별 및/또는 블록(904)에서 수행된 분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다운링크 조정 전략이 선택된다. 블록(906)에서 선택된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인트라-노드 및/또는 인터-노드 CSI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연관된 UE에게 (예를 들면, 코드북 선택기(126)를 통해서) 지시될 수 있다.
이제 도10 내지 11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CoMP 조정을 위한 개선된 채널 상태 피드백의 생성, 보고 및 처리를 원활하게 하는 각각의 장치들(1000-1100)이 제시된다. 장치(1000-1100)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먼저 도10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CoMP 조정을 위한 계층적인 채널 상태 피드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제시된다. 장치는 UE(예를 들면, UE(110)) 및/또는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벡터 양자화를 통해서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CSI 코드북들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1002),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둘 모두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모듈(10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11은 다운링크 CoMP 조정을 위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원활하게 하는 또 다른 장치(1100)를 보여준다. 장치(1100)는 네트워크 셀 및/또는 다른 적절한 타입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노드(130))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UE의 이동성, 네트워크 백홀 상태, 또는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UE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수 있는 조정 전략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1102), 및 선택된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기 위한 모듈(1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조정된 멀티포인트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200)이 제시된다. 도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200)은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UE(1210)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셀들(121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1200)의 각각의 셀들(1210)은 주어진 UE(1220)와의 통신과 연관된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시스템(1200) 내의 다른 셀들(1210) 및/또는 UE들(1220)에 야기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조정 전략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1200) 내의 각각의 셀들(1210)은 하나 이상의 UE(1220)와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에 대해 다양한 조정 기술들(예를 들면, 조정된 침묵(CS), eNodeB 간(셀 간) 패킷 공유를 통한 공동 전송(JT), 조정된 빔형성(CBF), 및/또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셀 협력 기술(들))을 이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시스템(1200)의 다양한 동작 양상들(예를 들면,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각각의 셀 협력 기술들), 이러한 동작 기술들의 위해 이용될 셀들(1210)의 다양한 동작 양상들, 및 협력 통신을 통해 서빙될 각각의 UE(1220)의 다양한 동작 양상들은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 및/또는 각 셀들(1210)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에 의해 이뤄지는 결정은 (예를 들어,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4)을 통해) 하나 이상의 셀들(1210)에 의해 수행되는 마지널(marginal) 유틸리티 계산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메트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협력 전략 선택기(1214)는 노드 클러스터링, 스케줄링, 이용될 협력 전송의 형태들 등에 관한 스케줄링 결정을 계산하고 및/또는 이러한 스케줄링 계산을 행하기 위해서 셀(12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협력 전략은 UE 이동성, 각각의 UE(1220)와 연관된 C/I 레벨, 각 셀들 사이의 백홀 링크들의 성능 등과 같은 인자들에 기반하여 협력 타입 선택기(1214)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UE의 이동성이 활발하거나 및/또는 주어진 UE(1220)와 연관된 채널 상태가 빠르게 변경되는 경우에, 협력 타입 선택기(1214)는 CS 및/또는 다른 유사한 단순한 셀 협력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주어진 UE(1220)의 이동성이 낮은 것으로 결정되거나, UE(1220)에 대해 높은 안테나 상관도가 존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셀들(1210) 사이의 상대적으로 저속의 백홀 링크의 경우에는) 셀간 패킷 공유를 통한 JT 또는 (예를 들어, 셀들(1210) 사이의 상대적으로 고속의 백홀 링크의 경우에는) CBF와 같은 보다 진보된 협력 기술들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 및/또는 협력 전략 선택기(1214)는 (예를 들어, 각각의 UE(1220)에서의 피드백 모듈(1222)을 통해서) 각각의 UE(122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각각의 UE(1220)와 연관된 예상되는 레이트는 (예를 들어,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각각의 협력 기술들 중에서 선택하기 위해서 백홀 대역폭, 레이턴시 제한 등과 같은 인자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 타입 선택기(1212)는 연관된 선험적(a priori) 및/또는 롱-텀 백홀 링크 분류들에 기반하여 백홀 대역폭 및 레이턴시 불확실성을 이용하는 JT 기술을 배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스케줄링 지연 및/또는 다른 적절한 인자뿐만 아니라, 전송기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CSIT) 전달 지연 및 정확도가 예상되는 레이트 계산에서 고려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협력 타입 선택기(1214)는 다음과 같이 한 세트의 협력 기술 선택 규칙들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협력 타입 선택기(1214)는 롱-텀 백홀 링크 분류에 기반하여 JT 기술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협력 타입 선택기(1214)는 결합된 에너지 C/I 대 가장 양호한 노드 C/I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JT에 우선하여 CBF 기술들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연관된 채널 예측 에러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협력 타입 선택기(1214)는 (예를 들어, CBF 및/또는 JT가 가능한 경우) CS를 고려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은 다양한 인자들에 기반하여 UE 별로 예상된 레이트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인자들은 (예를 들어, 링크 별로 할당되는 전력 및 다운링크 자원들을 고려하여) 이용되는 협력 전략에 관여되는 각각의 링크들에 대한 전파 채널들; 각각의 UE(1220)에서의 예상되는 다운링크 추정 에러에 기반한 채널 예측 정확도 및 대응하는 피드백 지연; 적용가능한 경우 공간 간섭 구조들을 고려하여, 협력적 및 비-협력적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면, 셀들(1210) 및/또는 UE들(1220))로부터의 예상되는 간섭 레벨들; 및 또는 다른 적절한 인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시스템(1200) 내의 각각의 UE(1220)는 다운링크 추정 에러, 피드백 지연, UE 처리 손실, 간섭 널링 성능에 관한 정보 및/또는 각각의 UE(1220)의 동작 성능에 관한 다른 정보를 피드백 모듈(1222)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해 각각의 셀들(121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틸리티 계산 모듈(1212)은 전송기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CSIT)에 대한 다양한 요건들에 기반하여 주어진 UE(1220)에 대한 유틸리티 계산들을 수행할 수 있다. CSIT 요건들은 예를 들어 주어진 UE(1220)와 관련하여 각각의 셀들(1210)에 의해 이용되는 협력 전략에 기반하여 가변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반복적인 신호 처리 및/또는 CBF와 연관된 CSIT 요건들은 CS에 대한 CSIT 요건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다를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셀(1210)은 연관된 CSIT 결과의 제1차 근사화를 이용하기 위해서 보통 내지는 높은 후-처리 캐리어 대 간섭(C/I) 레벨들에서 CSIT가 정확하다는 가정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공간 에러로 인해) 실질적으로 높은 에러 결과에 직면하는 경우, 보다 복잡한 신호 처리 기술들에 비해 CS가 셀(1210)에 의해 선호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이러한 기술들에 우선하여 CS가 선택되는 임계치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채널 예측의 경험적(empirical) 측정치에 기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협력 전략 선택기(1214)는 각각의 UE(1220)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협력 전략을 최적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전략 유틸리티 최대화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반복적 유틸리티 최대화 알고리즘(예를 들면, 반복적 프라이싱(iterative pricing)과 유사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반복 탐색이 각각의 후보 협력 전략들에 대해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면, 셀들(1210), 셀들(1210) 내의 섹터들 등)에서 수행된다. 일 예에서, 다양한 협력 기술 제한들이 고려될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어 다양한 노드들의 빔 계수들에 대한 제한들에서 반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컨버젼시(convergence)가 이뤄질 때까지 각각의 반복들에서 각각의 빔 가중치들을 업데이트하는데 제1차 연장(first order extension)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들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는 알고리즘 시작 포인트에 기반하여 컨버젼시가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포인트는 각각의 협력 노드에 걸친 제로-포싱(ZF), 최대비 결합(MRC), 및 /또는 MMSE-기반 방식 등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 할당 기술이 ZF 및/또는 MRC에 부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3을 참조하면,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조정된 멀티포인트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300)이 제시된다. 도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300)은 서빙 셀(들)(113) 및 보조 셀(들)(132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네트워크 셀과 통신할 수 있는 각각의 사용자 장치(1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빙 셀(들)"(1310) 및 "보조 셀(들)"(1320)의 이름에 의해 그 기능이 정해지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서빙 셀(1310)에 부가하여, 또는 이 대신에 사용자 장치(1330)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보조 셀(1320)이 사용자 장치(1330)를 서빙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각각의 서빙 셀들(1310) 및 보조 셀들(132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1330)와의 N-MIMO 또는 CoM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셀들(1310-1320)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1310-1320)과 연관된 각각의 섹터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서 협력을 원활하게 하는데 다양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은 각각의 셀들(1310-1320)과 연관된 TX/RX 조정 모듈(1312)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TX/RX 조정 모듈(1312)은 임의의 적절한 네트워크 협력 전략(들)(예를 들면, 부분적 주파수 재사용, 침묵, 조정된 빔형성, 공동 전송 등)에 따라 각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사이에서 협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정된 빔형성이 각각의 셀들(1310-1320)로부터의 전송을 조정함으로써 각각의 셀들(1310-1320)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수행되어, 사용자 장치(1330)로의 전송이 주어진 셀(1310 또는 1320)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1330)로의 전송이 이웃셀들(1310 및/또는 1320) 상에서 스케줄링되는 사용자 장치들로의 전송과 직교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미스매치되도록, 주어진 셀(1310 또는 1320)에 의해 사용 장치(1330)를 서빙할 빔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요구되는 사용자(1330)에 대한 빔형성 이득이 실현됨과 동시에, 이웃 네트워크 장치들에 대한 간섭 효과를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조정된 빔형성은 스케줄링, 빔 선택, (예를 들어, 이웃 장치들에서의 간섭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바람직한 빔들을 갖는 사용자 장치들(1330)을 선택함에 의한) 사용자 선택 등을 수행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주어진 사용자 장치(1330)로의 전송을 위해 예정된 자원들을 풀링(pooling)하고, 다수의 별개의 네트워크 노드들(예를 들면, 보조 셀(1320)뿐만 아니라 서빙 셀(1310)에 대응하는 노드들)을 통해서 풀링된 자원들을 전송함으로써, 공동 전송이 주어진 사용자 장치(1330) 및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셀이 제1 사용자로 변조 심벌 x를 전송하고 제2 셀이 변조 심벌 y를 제2 사용자로 전송하는 대신에, 제1 셀이 사용자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게 ax + by 를 전송하고, 제2 셀이 동일한 사용자(들)로 cx + dy 를 전송하도록 셀들이 협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a, b, c, 및 d 는 사용자들의 신호대잡음비(SNR), 시스템 용량,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트릭(들)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되는 계수들이다. 일 예에서, 상이한 셀들(1310-1320)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자원 풀링은 셀들(1310-1320)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유사한 기술들이 업링크 공동 전송에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330)는 데이터,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업링크 및 다운링크 CoMP 통신의 다양한 양상들은 각각의 사용자 장치(1330)에 의해 제공되는 피드백에 기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장치(1330)의 N-MIMO 피드백 모듈(1332)은 다양한 셀들(1310-1320)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고, 다양한 셀들(1310-1320)은 시스템(1300) 내에서 협력적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피드백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피드백 처리 모듈(1314)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예로서, 다운링크 CoMP 통신의 경우, 사용자 장치(들)(1310)의 N-MIMO 피드백 모듈(1332)은 하나 이상의 이웃하는 비-협력적 셀들뿐만 아니라 각각의 서빙 셀들의 각 셀들(1310-1320)로 채널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업링크 CoMP 통신의 경우, N-MIMO 피드백 모듈(1332)은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들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서 셀들(1310-13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셀들(1310-1320)로의 각각의 스케줄링된 업링크 전송들과 조합하여 각각의 셀들(1310-1320)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1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400)이 제시된다. 일 예에서, 시스템(1400)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양한 실시예들 및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400)은 다수의 셀들(1402)(예를 들면, 매크로 셀들(1402a-1402g))에 대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은 셀들은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1404)(예를 들면, AP 1404a-1404g)에 의해 서비스된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은 각각의 섹터들(미도시)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도14에 제시된 바와 같이, AT(1406a-1406k)를 포함하는 다양한 액세스 단말들(AT)(1406)이 시스템(1400) 전역에 분포될 수 있다. 일 예에서, AT(1406)는 AT이 활성인지 여부 및 AT(1406)이 소프트핸드오프 중인지 및/또는 다른 유사한 상태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하나 이상의 AP(1404)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AT(1406)은 사용자 장비(UE), 이동 단말,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시스템(1400)은 실질적으로 넓은 지리적 영역을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1402a-1402g)은 이웃하는 복수의 블록들에 대한 커버리지 및/또는 다른 적절한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 도15를 참조하면, 여기 제시된 다양한 양상들이 기능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500)을 보여주는 블록이 제공된다. 일 예에서, 시스템(1500)은 전송기 시스템(1510) 및 수신기 시스템(1550)을 포함하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이다. 그러나, 전송기 시스템(15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1550)은 (예를 들어, 기지국 상의)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이 하나 이상의 스트림을 하나의 안테나 장치(예를 들면, 이동국)로 전송할 수 있는 단일-입력-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 제시된 전송기 시스템(1510)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1550)의 양상들이 단일 출력 단일 입력 안테나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15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1514)로 제공된다. 일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그리고 나서 각각의 전송 안테나(1524)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5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반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인코딩, 및 인터리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인코딩된 데이터는 그리고 나서 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기지의 데이터 패턴일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데이터는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수신기 시스템(1550)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송기 시스템(1510)으로 돌아와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벌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반하여 변조(즉, 심벌 매핑)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530) 상에서 수행되거나 및/또는 프로세서(1530)에 의해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이 전송 프로세서(1520)로 제공될 수 있고, 전송 프로세서(1520)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한) 변조 심벌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전송 프로세서(1520)는 N T 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 T 개의 트랜시버들(1522a 내지 1522t)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트랜시버(15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트랜시버(1522)는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컨디셔닝(예를 들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시버들(1522a 내지 15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 T 개의 안테나들(1524a 내지 1524t)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 R 개의 안테나들(1522a 내지 1522r)에 의해 수신기 시스템(15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각 안테나(15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그리고 나서 각각의 트랜시버들(155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트랜시버(15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팅)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그리고 나서 대응하는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서 샘플들을 처리할 수 있다. 수신 MIMO/데이터 프로세서(1560)는 그리고 나서 N T 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N R 개의 트랜시버들(1554)로부터 N R 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은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전송되는 변조 심벌들의 추정치들인 심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560)는 그리고 나서 대응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검출된 심벌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함에 의해 각 심벌 스트림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프로세서(1560)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1510)의 전송 MIMO 프로세서(1520) 및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516)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는 상보적일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560)는 추가적으로 처리된 심벌 스트림들을 데이터 싱크(1564)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수신 프로세서(1560)에 의해 생성된 채널 응답 추정치는 수신기에서 공간/시간 처리를 수행하고, 전력 레벨들을 조정하고, 변조 레이트 또는 방식들을 변경하거나 및/또는 다른 적절한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 프로세서(1560)는 예를 들어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의 신호 대 잡음 및 간섭비(SNR)와 같은 채널 특성들을 더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수신 프로세서(1560)는 추정된 채널 특성들을 프로세서(1570)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수신 프로세서(1560) 및/또는 프로세서(1570)는 시스템에 대한 "동작" SNR에 대한 추정치를 추가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1570)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채널 상태 정보(CS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동작 SNR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CSI는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51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580)에 의해 변조되며, 트랜시버들(1554a 내지 15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전송기 시스템(1510)으로 다시 전송된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1550)의 데이터 소스(1512)는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518)에 의해 처리될 추가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기 시스템(1510)으로 다시 돌아와서, 수신기 시스템(15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1524)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15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1540)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42)에 의해 처리되어 수신기 시스템(1550)에 의해 보고되는 CSI를 복원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보고된 CSI는 프로세서(1530)로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사용될 코딩 및 변조 방식들뿐만 아니라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정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은 양자화 및/또는 수신기 시스템(1550)으로의 차후 전송에서 사용을 위해 트랜시버들(1522)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보고된 CSI는 프로세서(1530)에 의해 사용되어 전송 데이터 프로세서(1514) 및 전송 MIMO 프로세서(1520)에 대한 다양한 제어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CSI 및/또는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1542)에 의해 처리되는 다른 정보는 데이터 싱크(154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송기 시스템(1510)의 프로세서(1530) 및 수신기 시스템(1550)의 프로세서(1570)는 그들 자신의 시스템에서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전송기 시스템(1550)의 메모리(1532) 및 수신기 시스템(1550)의 메모리(1572)는 각각 프로세서(1530 및 157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 시스템(1550)에서, 다양한 처리 기술들이 NT개의 전송된 심벌 스트림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NR개의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기 처리 기술들은 공간 및 공간-시간 수신기 처리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들은 또한 등화 기술, 및/또는 "연속적 널링/등화 및 간섭 소거" 수신기 처리 기술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은 또한 "연속적 간섭 소거" 또는 "연속적 소거" 수신기 처리 기술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16은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의 배치를 인에이블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600)을 보여준다. 도1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600)은 예를 들어, 1610과 같은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들(예를 들면, 펨토 셀들 또는 홈 노드 B 유닛들(HN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HNB(1610)들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 거주지(1630)와 같은 대응하는 소형 네트워크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HNB(1610)들은 연관된 및/또는 에일리언(alien) UE(들)(1620)을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각각의 HNB(1610)는 DSL 라우터, 케이블 모뎀, 및/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미도시)를 통해 인터넷(1640) 및 이동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6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펨토 셀 또는 HNB(1610)의 소유자는 예를 들어, 이동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650)를 통해 제공되는 3G/4G 이동 서비스와 같은 이동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매크로 셀룰러 환경(1660) 및 거주지 소형 네트워크 환경 모두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일 예에서, UE(1620)는 매크로 셀 이동 네트워크(1660)뿐만 아니라, 한 세트의 펨토 셀들 또는 HNB(1610)(예를 들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630) 내에 존재하는 HNB(1610))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관련분야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홈 펨토 셀은 AT 또는 UE가 동작하는 것이 인가된 기지국이며, 게스트 펨토 셀은 AT 또는 UE가 동작하는 것이 일시적으로 인가된 기지국이며, 에일리언 펨토 셀은 AT 또는 UE가 동작하는 것이 인가되지 않는 기지국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펨토 셀 또는 HNB(1610)는 단일 주파수, 또는 각각의 매크로 셀 주파수들과 오버랩될 수 있는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양상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은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프로시져, 함수, 서브프로그램, 프로그램, 루틴, 서브루틴, 모듈, 소프트웨어 패키지, 클래스, 또는 명령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프로그램 스테이트먼트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코드 세그먼트는 정보, 데이터, 인수, 파라미터, 또는 메모리 컨텐츠들을 전달 및/또는 수신함으로써 다른 코드 세그먼트 또는 하드웨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인수, 파라미터, 데이터 등은 메모리 공유, 메시지 전달, 토큰 전달, 네트워크 전송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달, 포워딩,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의 경우, 여기 제시된 기술들은 여기 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를 들어, 프로시져, 함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 유닛들에 저장되어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에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구성되는" 및 "구비하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용어 "또는"은 "다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 또는(non-exclusive or)"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며,
    노드 별 채널 상태들(per-node channel conditions)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intra-node codebooks), 및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inter-node codebook)을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노드 별 채널 상태들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함 ―;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채용되는 다운링크 조정 전략(downlink coordination strategy)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전송 안테나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가 조정된 다운링크 전송 간섭 널링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가 공동 다운링크 전송(joint downlink transmission)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가 단일 전송 안테나를 이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코드북은 부분 채널 설명(partial channel description)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채널 설명은 고유-컴포넌트 정보(eigen-component information), 추천된 빔 정보, 또는 추천된 빔 행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코드북은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각각의 연관된 수신기 안테나들 및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송 안테나들 사이의 각각의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채널들을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송 안테나 및 대응하는 수신 결합기 출력 사이의 등가의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채널들로서 표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의 각각의 전송 안테나에 대응하는 인트라-노드 컴포넌트들, 또는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인터-노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트라 노드 코드북들 및 인터-노드 코드북들은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안테나 구성 또는 표준 관측 전파 상태(standard observed propagation condi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되도록 구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연관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을 식별하는 단계 및 자원 유닛 단위별로 구축되는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될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 내의 하나 이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들 또는 주파수 서브-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정된 채널 상태들에 실질적으로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 내의 각각의 엔트리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인덱스를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함으로써,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노드 별 채널 상태들(per-node channel conditions)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intra-node codebooks), 및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에 관한 한 세트의 벡터 양자화된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inter-node codebook)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 상기 노드 별 채널 상태들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함 ―; 및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리고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채용되는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가 조정된 다운링크 전송 간섭 널링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가 공동 다운링크 전송(joint downlink transmission)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할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코드북은 부분 채널 설명(partial channel description)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채널 설명은 고유-컴포넌트 정보(eigen-component information), 추천된 빔 정보, 또는 추천된 빔 행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코드북은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의 각각의 수신 안테나들 및 대응하는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각각의 전송 안테나들 사이의 각각의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채널들을 대응하는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의 각각의 전송 안테나 및 상기 무선 통신 장치와 연관된 수신 결합기의 출력 사이의 등가의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채널들로서 표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의 각각의 전송 안테나에 대응하는 인트라-노드 컴포넌트들, 또는 각각의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인터-노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다운링크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들에 관한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트라-노드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코드북은 자원 유닛 단위별로 구축되는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될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 내의 하나 이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로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정된 채널 상태들에 실질적으로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코드북 내의 각각의 엔트리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인덱스를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함으로써,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로서,
    벡터 양자화를 통해서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채널 상태 정보(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별 CSI 코드북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함 ―;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채용되는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이 제공될,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선택된 CSI 코드북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27. 삭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가 조정된 빔형성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노드 별 CSI 코드북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가 공동 전송을 채용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노드 별 CSI 코드북 및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2.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 별 CSI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부분 채널 설명(partial channel description)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 채널 설명은 고유-컴포넌트 정보(eigen-component information), 추천된 빔 정보, 또는 추천된 빔 행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3. 제2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노드 별 CSI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각각의 연관된 수신 안테나들 및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전송 안테나들 사이의 각각의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채널들을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전송 안테나들 및 대응하는 수신 결합기 출력 사이의 등가의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채널들로서 표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고유-컴포넌트 정보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각각의 전송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노드 별 컴포넌트들, 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인터-노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연관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자원 유닛 단위별로 구축되는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될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선택된 CSI 코드북 내의 하나 이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들 또는 주파수 서브-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3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벡터 양자화를 통해서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채널 상태 정보(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 별 CSI 코드북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함 ―;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채용되는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이 제공될,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선택된 CSI 코드북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노드 별 CSI 코드북, 인터-노드 CSI 코드북, 또는 이 둘 모두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진폭 또는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연관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각각의 자원 유닛들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자원 유닛 단위별로 구축되는 각각의 엔트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노드 별 CSI 코드북 및 하나 이상의 인터-노드 CSI 코드북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이용될 각 자원 유닛에 대응하는, 각각의 선택된 CSI 코드북 내의 하나 이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빙 네트워크 노드로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원 유닛은 자원 블록들 또는 주파수 서브-대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며,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또는 네트워크 백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분석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UE와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다운링크 조정 전략(downlink coordination strategy)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UE의 분석된 이동성 또는 분석된 네트워크 백홀 상태들이 공동 전송에 부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협력적 전송 간섭 널링(cooperative transmit interference nulling)을 상기 다운링크 조정 전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명령하는 단계는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UE의 분석된 이동성 및 분석된 네트워크 백홀 상태들이 공동 전송을 지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공동 전송을 상기 다운링크 조정 전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명령하는 단계는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및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용되는 전송 안테나들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명령하는 단계는 하나의 전송 안테나가 이용된다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만을 제공하도록 상기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UE로부터 채널 상태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채널 상태 피드백은 상기 명령에 따라 하나 이상의 노드 별 프리코딩 코드북 또는 인터-노드 프리코딩 코드북 내의 각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리코딩 인덱스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로의 전달을 위해 이용될 한 세트의 자원 유닛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명령하는 단계는 상기 UE로의 전달을 위해 이용될 상기 한 세트의 자원 유닛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연관된 프리코딩 코드북 내의 엔트리들에 대응하는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UE에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자원 유닛들은 주파수 서브-대역들 또는 자원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5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협력적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백홀 링크 및 네트워크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의 이동성 또는 상기 백홀 링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각각의 파라미터들을 분석하고, 상기 각각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다운링크 조정 전략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다운링크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의 이동성 또는 백홀 링크 상태가 공동 전송에 부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협력적 빔형성을 상기 다운링크 조정 전략으로서 선택하고, 그리고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명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의 이동성 및 백홀 링크 상태가 공동 전송을 지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공동 전송을 상기 다운링크 조정 전략으로서 선택하고, 그리고
    인트라-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및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모두를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명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이용되는 전송 안테나들의 수를 식별하고, 그리고
    하나의 전송 안테나가 상기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이용된다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명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무선 통신 장치.
  5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네트워크 백홀 상태, 또는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UE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조정 전략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E의 이동성 또는 네트워크 백홀 상태가 공동 전송에 부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협력적 전송 간섭 널링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요청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E의 이동성 및 네트워크 백홀 상태가 패킷 공유를 지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사이트 패킷 공유(inter-site packet sharing)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요청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및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기 위한 수단은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가 1이라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UE로부터 요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장치.
  5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 장비 유닛(UE)의 이동성, 네트워크 백홀 상태, 또는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UE와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들에 걸쳐 이용될 조정 전략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 및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조정 전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또는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 중 하나 이상을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은 특정 사용자 장비(UE)와 단일 개별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채널 상태들을 반영하고, 상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은 단일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응하는 채널들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의 이동성 또는 네트워크 백홀 상태들이 공동 전송에 부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협력적 전송 간섭 널링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을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의 이동성 및 네트워크 백홀 상태들이 패킷 공유를 지원하기에 적합하다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사이트 패킷 공유(inter-site packet sharing)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로부터 노드 별 채널 상태 피드백 및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는 컴퓨터로 하여금 연관된 전송 안테나들의 수가 1이라고 결정되는 경우, 인터-노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상기 UE로부터 요청하도록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17011729A 2008-10-24 2009-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01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30608P 2008-10-24 2008-10-24
US61/108,306 2008-10-24
US12/582,166 2009-10-20
US12/582,166 US8385452B2 (en) 2008-10-24 2009-10-20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9/061854 WO2010048513A2 (en) 2008-10-24 2009-10-23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031A KR20110075031A (ko) 2011-07-05
KR101301270B1 true KR101301270B1 (ko) 2013-08-30

Family

ID=4211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729A KR101301270B1 (ko) 2008-10-24 2009-10-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85452B2 (ko)
EP (1) EP2351276B1 (ko)
JP (1) JP5575782B2 (ko)
KR (1) KR101301270B1 (ko)
CN (2) CN104009821B (ko)
TW (1) TW201108694A (ko)
WO (1) WO20100485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736B2 (en) 2008-03-31 2012-11-20 Golba Llc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US7800541B2 (en) 2008-03-31 2010-09-21 Golb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9829560B2 (en) 2008-03-31 2017-11-28 Golba Llc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US20120260777A1 (en) 2010-06-23 2012-10-18 Baer Jr Russel F Protective gripping sleeve on rotating tool extension arm
US8077664B2 (en) * 2008-12-11 2011-12-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recoding with reduced feedbac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on the downlink
US8494031B2 (en) * 2009-02-27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 operation and message design for SDMA data transmission to a plurality of stations
KR101589607B1 (ko) * 2009-03-02 2016-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기지국과 통신 단말기를 갖는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CN101854199B (zh) * 2009-03-31 2015-01-14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无线通信中自适应协作传输的方法、系统和发射机
KR101607988B1 (ko) * 2009-04-23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24137B1 (en) * 2009-04-24 2015-12-02 Sharp Kabushiki Kaisha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2430857B1 (en) * 2009-05-11 2017-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instructing mobile stations communicating with cooperating access nodes
CN102656817B (zh) * 2009-06-23 2016-08-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协作波束成形的天线配置
US8639270B2 (en) 2010-08-06 2014-01-28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positioning utilizing distributed transceivers with array processing
US8427978B2 (en) * 2009-07-16 2013-04-2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KR101574334B1 (ko) * 2009-10-16 2015-12-03 애플 인크. 복수 기지국에 의한 조인트 상향링크 데이터 처리
US8737505B2 (en) * 2009-12-15 2014-05-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of codebook transformation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codebook-based precoding
US20120307639A1 (en) * 2009-12-22 2012-12-06 Wolfgang Zirwas Method and Device for Data Processing in a Network
WO2011085817A1 (en) * 2010-01-15 2011-07-21 Nokia Siemens Networks Oy Feedback signaling
US20110200139A1 (en) * 2010-02-12 2011-08-18 Yu-Chih J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reof for reducing the quantization effect of precoding operations utilizing a finite codebook
KR20110093379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팬택 채널상태정보 피드백 장치와 그 방법, 기지국, 그 기지국의 전송방법
CN102244567A (zh) * 2010-05-13 2011-11-16 清华大学 通信控制服务器、基站、终端、联合服务系统及方法
WO2011145824A2 (ko) * 2010-05-18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통신을 위한 적응적 피드백 및 적응적 전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615236B1 (ko) 2010-05-18 2016-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통신을 위한 적응적 피드백 및 적응적 전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CN101841492B (zh) * 2010-05-26 2012-04-04 华为终端有限公司 在家庭网关中统一号码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US8891652B2 (en) 2010-06-24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Structured MIMO codebook
US8532214B2 (en) * 2010-07-01 2013-09-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MO channel state information estimation with coupled iterative two-stage ranking
EP2593801B1 (en) * 2010-07-15 2018-10-03 Sony Corporation Network topology
CN102377527B (zh) * 2010-08-09 2014-12-24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多小区反馈开销的方法和装置
CN103299555B (zh) 2010-11-05 2016-09-1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蜂窝通信网络中的comp操作方法及支持该方法的基站
KR20120049134A (ko) * 2010-11-08 201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59884B2 (en) 2011-02-07 2017-01-31 Intel Corporation Co-phasing of transmissions from multiple infrastructure nodes
KR20120093027A (ko) * 2011-02-14 2012-08-22 주식회사 팬택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2131612A1 (en) * 2011-03-31 2012-10-04 Marvell World Trade Ltd. Channel feedback for cooperative multipoint transmission
CN103563315A (zh) * 2011-04-01 2014-02-05 英特尔公司 无线通信网络的多流联合传输方案
US9425881B2 (en) 2011-05-13 2016-08-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9787B2 (en) * 2011-07-07 2013-08-13 Cygnus Broadband, Inc. Communications base station with decision function for distributing traffic across multiple backhauls
US8923224B2 (en) * 2011-08-12 2014-12-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Quantizing relative phase and relative amplitude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P) transmissions
US8797966B2 (en) 2011-09-23 2014-08-05 Ofinno Technologies, Llc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855523B1 (ko) * 2011-10-06 2018-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30039644A (ko) * 2011-10-12 2013-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002345B2 (en) 2011-10-12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80943B2 (en) 2011-10-17 2014-07-15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ultiplexing to increase throughput in a network of distributed transceivers with array processing
US8976696B2 (en) * 2011-11-15 2015-03-10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batch scheduling with external beamforming
US8885569B2 (en) 2011-12-19 2014-11-11 Ofinno Technologie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1921669B1 (ko) * 2011-12-27 201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FDD 모드로 동작하는 Massive MIMO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정보량을 이용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피드백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74742B2 (ja) * 2012-01-30 2016-03-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レポーティング設定制御方法
CN104115518B (zh) * 2012-02-20 2018-11-06 索尼公司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基站和通信控制系统
US9155098B2 (en) * 2012-03-29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 and CSI reporting restrictions
CN103391181B (zh) * 2012-05-11 2017-05-10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基站向终端传输数据的方法、基站装置及中心控制服务器
KR101997822B1 (ko) * 2012-06-18 201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US10645599B2 (en) 2012-07-02 2020-05-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007512A1 (ko) 2012-07-02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JP5921774B2 (ja) * 2012-07-23 2016-05-24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的チャネル推定/予測フィルタ設計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0020861B2 (en) 2012-08-08 2018-07-10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transceivers and mobile device connectivity
AU2013306572B2 (en) * 2012-08-21 2015-04-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885506B (zh) * 2012-12-30 2018-10-19 Lg电子株式会社 在多小区无线通信系统中共享无线电资源信息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装置
US9294172B2 (en) * 2013-01-25 2016-03-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downlink channel state
WO2015019728A1 (ja) * 2013-08-07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
CN105247928B (zh) * 2014-05-06 2019-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小区协同工作的装置和方法
US9397736B2 (en) * 2014-11-21 2016-07-19 Intel IP Corporation Quantized eigen beams for controlling antenna array elements in a wireless network
GB2539269A (en) * 2015-06-12 2016-12-14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6557026A (zh) * 2015-09-24 2017-04-05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频域约束的模型预测控制器
US10404332B2 (en) * 2016-01-28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mmon burst channelization
US10321332B2 (en) 2017-05-30 2019-06-11 Movandi Corporation Non-line-of-sight (NLOS) coverage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20180367197A1 (en) * 2017-06-16 2018-12-20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Combination Codebook Design And CSI Feedback In Mobile Communications
US10484078B2 (en) 2017-07-11 2019-11-19 Movandi Corporation Reconfigurable and modular active repeater device
US10862559B2 (en) 2017-12-08 2020-12-08 Movandi Corporation Signal cancellation in radio frequency (RF) device network
CN110034788B (zh) * 2018-01-12 202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测量方法和装置
US10637159B2 (en) 2018-02-26 2020-04-28 Movandi Corporation Waveguide antenna element-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11088457B2 (en) 2018-02-26 2021-08-10 Silicon Valley Bank Waveguide antenna element 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WO2020022720A1 (ko) * 2018-07-24 2020-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2534733A (zh) * 2018-08-08 2021-03-19 索尼公司 多个传输面板和非理想回程链路
US11363549B2 (en) 2018-08-29 2022-06-14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Frame formats for distributed MIMO
JP7383624B2 (ja) * 2018-09-27 2023-11-2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181609B (zh) * 2018-11-13 2021-06-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码本信息反馈方法、终端和网络设备
EP3884655A4 (en) * 2019-01-17 2022-07-20 Nokia Technologies Oy OVERHEAD REDUCTION I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US11695462B2 (en) * 2019-01-29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ordinated beamforming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1050465B2 (en) * 2019-06-21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initiated channel state feedback codebook selection
KR102261924B1 (ko) * 2019-11-07 2021-06-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릴레이 협력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수신 노드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스케줄링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노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58097B2 (en) * 2019-11-08 2023-01-1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to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US11996934B2 (en) 2020-06-09 2024-05-28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ing packets using network coding with feedback
CN113965291B (zh) * 2020-07-20 2024-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基站、终端及存储介质
WO2022082523A1 (zh) * 2020-10-21 2022-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相关装置以及设备
CN112672402B (zh) * 2020-12-10 2022-05-03 重庆邮电大学 超密集异构无线网络中基于网络推荐的接入选择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704A1 (en) * 2007-02-12 2008-08-14 Mark Kent Method and system for an alternating channel delta quantizer for mimo pre-coders with finite rat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WO2008116181A2 (en) * 2007-03-22 2008-09-25 Marvell Semiconductor Inc. Variable codebook for mim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538A (ja) * 1998-01-26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JP3423275B2 (ja) * 2000-08-03 2003-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ップラー周波数推定回路およびドップラー周波数推定回路を用いた無線装置
US6990087B2 (en) * 2002-04-25 2006-01-24 Raytheon Company Dynamic wireless resource utilization
EP1919231A4 (en) * 2005-08-23 2012-01-25 Nec Corp RADIO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REDUCE INTER-CELL INTERFERENCE, SYSTEM AND ITS MOBILE STATION AND ITS BASE STATION
WO2007043459A1 (ja) * 2005-10-07 2007-04-19 Nec Corporation 複数の基地局と移動局によるmimo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030058A9 (en) * 2006-05-17 2015-01-29 Texas Instruments Inc. Cqi feedback for mimo deployments
US8073069B2 (en) * 2007-01-05 2011-12-06 Apple Inc. Multi-user MIMO-SDMA for finite rate feedback systems
CN101257367B (zh) * 2007-02-28 2013-03-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选择预编码的方法和装置
US7629902B2 (en) * 2007-06-08 2009-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MO wireless precoding system robust to power imbalance
CN101325741B (zh) * 2007-06-14 2012-12-12 Nxp股份有限公司 用于操作多用户多输入多输出(mu-mimo)无线通信系统的方法和系统
CN101132214B (zh) * 2007-09-25 2011-02-16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Mimo系统中的资源发送设备与方法及分配系统与方法
US8644408B2 (en) * 2008-10-10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704A1 (en) * 2007-02-12 2008-08-14 Mark Kent Method and system for an alternating channel delta quantizer for mimo pre-coders with finite rat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WO2008116181A2 (en) * 2007-03-22 2008-09-25 Marvell Semiconductor Inc. Variable codebook for mim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04033A1 (en) 2010-04-29
JP5575782B2 (ja) 2014-08-20
TW201108694A (en) 2011-03-01
CN102204141A (zh) 2011-09-28
WO2010048513A2 (en) 2010-04-29
CN102204141B (zh) 2014-06-18
EP2351276B1 (en) 2017-11-22
CN104009821B (zh) 2018-09-28
US8385452B2 (en) 2013-02-26
EP2351276A2 (en) 2011-08-03
CN104009821A (zh) 2014-08-27
JP2012507203A (ja) 2012-03-22
KR20110075031A (ko) 2011-07-05
WO2010048513A3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2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리가능한 채널 상태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83185B1 (ko) N-mimo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리포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42592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のアップリンクネットワークmimo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867493B2 (en) Scheduling algorithms for cooperative beamforming based on resource quality indication
US8867380B2 (en) Scheduling algorithms for cooperative beamforming
KR1012442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485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299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on strategy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337906B2 (en) Feedback and scheduling for coordinated multi-point (CoMP) joint transmission (JT)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Falconetti et al. Distributed uplink macro diversity for cooperating base stations
Auer et al. Document Title: Final Innovation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