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622B1 - 파형관 포설장비 - Google Patents

파형관 포설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622B1
KR101300622B1 KR1020100098156A KR20100098156A KR101300622B1 KR 101300622 B1 KR101300622 B1 KR 101300622B1 KR 1020100098156 A KR1020100098156 A KR 1020100098156A KR 20100098156 A KR20100098156 A KR 20100098156A KR 101300622 B1 KR101300622 B1 KR 10130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ipe
driving
main body
delete delete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461A (ko
Inventor
최석영
황정호
유성종
설세훈
이정교
신은미
Original Assignee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6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54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 B66C1/56Internally-expanding grippers for handling hollow articles for handl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는 포크레인의 버킷 결합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집게부; 상기 베이스 집게부에 대향하여 왕복 작동되는 구동 집게부; 및 상기 구동 집게부를 왕복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파형관 포설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현장에 야적된 파형관을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형관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집어 올려 포설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포설장비에 설치된 구동롤러를 작동시켜 파형관을 자동으로 풀어주면서 포설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포설작업이 편리하고, 포설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파형관 포설장비{Apparatus for laying Corrugated Pipe}
본 발명은 파형관 포설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전력공급을 위한 송-배전선은 지상으로 설치되는 가공선로와 지하로 매립되는 지중선로로 나누어진다.
가공선로의 경우는 전주 및 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한데 반해, 도시미관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낙뢰나 태풍,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신도시 등과 같은 신규 개발단지에서는 도시환경의 미화, 중복 굴착으로 인한 교통체증 및 시민생활 불편을 근원적인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중선로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중선로의 공사방식 중 선로의 증설과 철거, 보수와 점검이 비교적 용이하며 외상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 관로식 시공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관로식 시공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이하, 파형관이라 함.)을 땅에 매설시켜 송-배전선용 지중선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파형관은 직경100~200mm 사이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파형관은 길이방향으로의 휨 변형이 자유로워 공사현장의 지형에 따른 포설 작업이 쉽고, 외압에 대한 구조적 강도가 뛰어난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파형관을 이용한 지중선로의 시공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시공구간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파형관을 임시 야적한다.
이때, 파형관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평상시 일정단위 길이의 롤 상태로 감겨져 운송 및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파형관이 임시 야적되는 야적장 간의 거리는 파형관의 길이에 맞춰지게 되는데, 이때 지중선로를 다층(1~6개)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파형관(1~6개)을 동시에 야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파형관의 임시 야적작업이 끝나게 되면, 롤 상태로 감겨진 파형관을 직선형태로 풀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굴착된 매립부에 시공하게 된다.
이때, 파형관을 펴주는 작업은 통상, 3~5명의 작업인력이 동원되어 수작업으로 펴주게 되며, 펼쳐진 파형관을 터파기 현장에 시공한 후, 흙을 덮어 매립하게 된다.
이때, 파형관과 파형관 사이는 별도의 클램프를 이용해 접속함으로써, 관로의 지속적인 연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파형관 시공방법은 전체 작업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된다.
우선, 종래에는 화물차량에 적재된 파형관을 작업인력을 이용해 하차시키게 되는데, 파형관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하차 작업에 여러 명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하차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작업 미숙으로 인해 파형관의 중심이 무너져 전복되거나 이때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원형으로 말려져 있는 상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포설작업 전에 지상에서 다수의 작업인력(통상 3~5人)을 동원해 일일이 펴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시공기간이 연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파형관을 펴는 작업이 대부분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파형관을 작업자가 끌고 터파기 현장까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한편 과도한 작업인력이 소요되고, 지표면에 파형관이 긁히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 야적된 파형관을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형관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집어 올려 포설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포설장비에 설치된 구동롤러를 작동시켜 파형관을 자동으로 풀어주면서 포설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포설작업이 편리하고, 포설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파형관 포설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포크레인의 버킷 결합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 집게부; 상기 베이스 집게부에 대향하여 왕복 작동되는 구동 집게부; 및 상기 구동 집게부를 왕복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파형관 포설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는 포크레인의 버킷 결합부와 착탈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 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집게부에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구동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를 축 지지하도록 된 베이스 집게부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구동부가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집게부에 자전 가능한 상태의 프리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롤러를 축 지지하도록 된 구동 집게부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는 유압모터와,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 상에 축 결합되어 구동 집게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 야적된 파형관을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형관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집어 올려 포설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포설장비에 설치된 구동롤러를 작동시켜 파형관을 자동으로 풀어주면서 포설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포설작업이 편리하고, 포설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포설된 파형관을 제거할 때에도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감아 올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포크레인에 장착한 상태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100)는 포크레인의 버킷 결합부에 장착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는 베이스 집게부(120)와,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 대향하여 왕복 작동되는 구동 집게부(130)와, 상기 구동 집게부(130)를 왕복 작동시키는 동력원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에 대해 설명하면, 베이스 집게부(120), 구동 집게부(130), 제1구동부(140), 제2구동부(150)를 설치하기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금속판재를 용접하거나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본체(110)에는 포크레인(200)의 버킷 결합부와 착탈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111)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는 본체(110)의 하부에 "ㄴ" 형태로 연장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본체(110)에 고정상태이며,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구동롤러(121)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롤러(121)는 제2구동부(150) 측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150)는 포크레인(200)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유압모터(15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본체(110)의 일측에 별도의 설치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121)를 축 지지하도록 된 베이스 집게부(120)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턱(1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탈방지턱(123)은 파형관(300)을 집어 올리거나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베이스 집게부(120)에서 파형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집게부(130)는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 대향하여 왕복 작동되는 구성으로서, 본체(110)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이때, 본체(110)에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판(113)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판(113) 상에 구동 집게부(130)를 탑재시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집게부(130)에 자전 가능한 상태의 프리롤러(1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리롤러(131)를 축 지지하도록 된 구동 집게부(130)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이탈방지턱(133)이 형성되도록 하여 파형관(300)이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 집게부(130)는 본체(110)에 설치된 제1구동부(140)로부터 왕복 작동되는 동력원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한 제1구동부(140)에 대해 설명하면, 포크레인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는 유압모터(141)와, 상기 유압모터(14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43)와, 상기 이송스크류(143) 상에 축 결합되어 구동 집게부(130)를 함께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45)가 포함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이용한 포설작업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포설장비를 포크레인에 장착한 상태의 개념도로서, 포크레인(200)의 버킷 장착부에 파형관 포설장비(100)를 장착하여 포크레인(200)의 유압에 의한 작동 동력을 제공받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설장비(100)는 지중배전공사에서 합성수지 파형관(300)을 운반하고 포설하기 위한 기계장치로서, 본체(110)에 파형관(300)을 집을 수 있도록 된 베이스 집게부(120)와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 대향하여 상대 왕복 운동되는 구동 집게부(130)를 형성하고 있다.
지상에 야적되어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300)은 대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누여진 상태로 야적될 수도 있다.
이때, 파형관(300)은 직경 200㎜ 1롤의 경우, 길이 30m, 무게 90kg으로서 대단히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의 취급이 어렵다.
이와 같은 파형관(300)이 다수 수직방향에 적층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포설장비(100)의 베이스 집게부(120)와 구동 집게부(130)가 최대한 벌려진 상태에서 베이스 집게부(120)가 파형관(300) 의 롤 중심에 위치하도록 포설장비(10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이후, 포설장비(100)가 바닥에 닿게 되면, 구동 집게부(130)를 베이스 집게부(120) 쪽으로 이동시켜 파형관(300)의 일측 둘레를 압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설장비(100)를 수직방향으로 집어 올리더라도, 파형관(300)은 이탈방지턱(123)(133)에 의해 막혀져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포크레인(200)의 아암을 이용해 포설장비(100) 및 파형관(300)을 도 3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포설장비(100)는 다수의 파형관(300)을 동시에 집어 올려 작업할 수 있다.
상기 도3에서와 같이 파형관(300)을 수평방향으로 누인 상태에서 포크레인(200)을 이동시켜 매설 장소로 운반한 후, 파형관(300)을 매설장소에 풀어서 매설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설장비(100)의 베이스 집게부(120)에 설치된 구동롤러(121)를 정방향(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파형관(300)이 자동으로 풀려 포설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121)와 프리롤러(131) 사이를 파형관(300)이 통과하게 되는 것으로서, 프리롤러(131)는 공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파형관(300)이 풀려나감에 따라 구동 집게부(130)와 베이스 집게부(120)와의 간격이 함께 줄어 들도록 콘트롤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파형관(300)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파형관 포설장비(100)는 베이스 집게부(120)의 구동롤러(121)를 역방향 회전시킴으로써, 매설장소에서 파형관(300)을 역으로 되감아 올리는 파형관(300) 회수작업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 야적된 파형관을 포크레인에 장착된 파형관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집어 올려 포설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포설장비에 설치된 구동롤러를 작동시켜 파형관을 자동으로 풀어주면서 포설 작업되도록 함으로써, 포설작업이 편리하고, 포설작업에 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포설된 파형관을 제거할 때에도 포설장비를 이용해 쉽게 감아 올릴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이점을 갖는다.
100: 포설장비 110: 본체
111: 설치브라켓 113: 슬라이딩 가이드판
120: 베이스집게부 121: 구동롤러
123: 이탈방지턱 130: 구동 집게부
131: 프리롤러 133: 이탈방지턱
140: 제1구동부 141: 유압모터
143: 이송스크류 145: 이송부재
150:제2구동부 151:유압모터
200: 포크레인 300: 파형관

Claims (9)

  1. 포크레인(200)의 버킷 결합부와 착탈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111)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고정되는 베이스 집게부(120);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 대향하여 왕복 작동되는 구동 집게부(130); 및 유압모터(14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43)에 이송부재(145)가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 집게부(130)를 이송시키는 제1구동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에는 포크레인의 버킷 결합부와 착탈 결합되는 설치 브라켓(1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집게부(120)에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구동롤러(121)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121)를 축 지지하도록 된 베이스 집게부(120)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턱(123)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롤러(12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모터(151)가 설치된 제2구동부(150)가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집게부(130)에 자전 가능한 상태의 프리롤러(131)가 설치되고, 상기 프리롤러(131)를 축 지지하도록 된 구동 집게부(130) 선단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턱(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포설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98156A 2010-10-08 2010-10-08 파형관 포설장비 KR10130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156A KR101300622B1 (ko) 2010-10-08 2010-10-08 파형관 포설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156A KR101300622B1 (ko) 2010-10-08 2010-10-08 파형관 포설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461A KR20120036461A (ko) 2012-04-18
KR101300622B1 true KR101300622B1 (ko) 2013-08-27

Family

ID=4613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156A KR101300622B1 (ko) 2010-10-08 2010-10-08 파형관 포설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24A (ko) * 2019-06-26 2021-01-06 (주)엠알솔루텍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KR102219931B1 (ko) 2019-11-18 2021-02-2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85B1 (ko) *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KR101675264B1 (ko) * 2015-03-31 2016-11-1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087U (ko) * 1987-11-09 1989-05-22
JPH0175085U (ko) * 1987-11-09 1989-05-22
JPH06293490A (ja) * 1993-04-08 199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機能付き吊具
US20040217610A1 (en) * 2003-05-01 2004-11-04 Hollman Bert D. Coil hoo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5087U (ko) * 1987-11-09 1989-05-22
JPH0175085U (ko) * 1987-11-09 1989-05-22
JPH06293490A (ja) * 1993-04-08 199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機能付き吊具
US20040217610A1 (en) * 2003-05-01 2004-11-04 Hollman Bert D. Coil hoo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024A (ko) * 2019-06-26 2021-01-06 (주)엠알솔루텍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KR102276465B1 (ko) 2019-06-26 2021-07-12 (주)엠알솔루텍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KR102219931B1 (ko) 2019-11-18 2021-02-24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461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017B1 (ko) 케이블 멀티 풀링장치
US3458396A (en) Demolition machine
KR101300622B1 (ko) 파형관 포설장비
KR101930403B1 (ko) 지중 전력 케이블의 철거 및 신설방법
KR101262806B1 (ko) 지중포설용 파형관 자동공급장치
JP2010163795A (ja) 後方台車、後方台車の移動方法及びトンネルの構築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構築されたトンネル
CN105438292A (zh) 一种多功能管路锚定运输车
CN207159775U (zh) 一种用于混凝土预制砖铺设的机械手夹具
CN206600173U (zh) 一种新型大坡度斜井开敞式tbm
CN106368718B (zh) 地铁深埋隧道钢筋混凝土管片拆除作业车
JP4778476B2 (ja) 推進管移動装置
JP2007321429A (ja) 地下構造物施工方法
KR20210001017A (ko) 다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3594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及び伸長装置
CN206486780U (zh) 电磁式钢板铺设车
CN206092012U (zh) 地铁深埋隧道钢筋混凝土管片拆除作业车
CN108194111A (zh) 一种隧道顶拱防水板、钢筋网片铺设辅助设备
CN114922241A (zh) 一种市政用预埋管铺设辅助装置
CN107503374A (zh) 一种管廊作业车
JP7357517B2 (ja) 推進工法を用いた管路構築工法
CN207944966U (zh) 一种隧道顶拱防水板、钢筋网片铺设辅助设备
KR20190019424A (ko) 지중케이블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철거방법
CN109653276A (zh) 一种铁路隧道排水沟步进液压掘进机
CN216811713U (zh) 分离岛式地铁暗挖车站二衬结构施工自行式液压拱架台车
CN203845716U (zh) 一种走轨式插板机轨道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