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24A -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24A
KR20210001024A KR1020190076428A KR20190076428A KR20210001024A KR 20210001024 A KR20210001024 A KR 20210001024A KR 1020190076428 A KR1020190076428 A KR 1020190076428A KR 20190076428 A KR20190076428 A KR 20190076428A KR 20210001024 A KR20210001024 A KR 2021000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corrugated pipe
drum
bottom plat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465B1 (ko
Inventor
정명옥
Original Assignee
(주)엠알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알솔루텍 filed Critical (주)엠알솔루텍
Priority to KR102019007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4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devices movable insid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4/00Electricity: conductors and insulators
    • Y10S174/08Shrinkable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종 방향으로 리프트 설치 공간부를 구비하고,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한 쌍의 기둥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기둥 상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양 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해 주는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와; 좌,우 휠의 내측 중앙에 파형관 지지돌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 전면에는 복수의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가 힌지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 개방형 드럼과; 몸체의 저단부는 힌지 축을 통해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 각각 축지되고, 각 로드의 자유 단부는 상기 힌지 축의 외측으로 돌출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의 연장부 배면에 각각 축지된 형태에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들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지거나 파형관 지지돌부 측으로 접혀지게 하는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형관 받침판과, 리프팅 실린더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받침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X"자형 링크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바닥판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받침판의 상부에 올려지는 파형관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리프팅 실린더로 구성된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어느 일측 기둥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각 실린더의 구동을 포함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반;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롤 형태의 파형관을 터파기 홈에 포설하고자 할 때 다조(적어도 2개)의 파형관을 롤의 지름에 관계없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장착하여 포설작업에 임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Multilayer unwinding device for synthetic resin wave tube}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한 롤 형태의 파형관을 터파기 홈에 포설하고자 할 때 다조(적어도 2개)의 파형관을 롤의 지름에 관계없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장착하여 포설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발명한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전력공급을 위한 송-배전선은 지상으로 설치되는 가공선로와 지하로 매립되는 지중선로로 나누어진다.
가공선로의 경우는 전주 및 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한데 반해, 도시미관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낙뢰나 태풍,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신도시 등과 같은 신규 개발단지에서는 도시환경의 미화, 중복 굴착으로 인한 교통체증 및 시민생활 불편을 근원적인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중선로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중선로의 공사방식 중 선로의 증설과 철거, 보수와 점검이 비교적 용이하며, 외상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 관로식 시공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관로식 시공방법은 합성수지 파형관(이하, "파형관"이라 함)을 땅에 매설시켜 송-배전선용 지중선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파형관은 직경 100~200mm 사이의 주름관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파형관은 길이방향으로의 휨 변형이 자유로워 공사현장의 지형에 따른 포설 작업이 쉽고, 외압에 대한 구조적 강도가 뛰어난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파형관을 이용한 지중선로의 시공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시공구간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파형관을 임시 야적한다.
이때, 파형관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평상시 일정단위 길이의 및 지름을 갖는 롤 상태로 감겨져 운송 및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 파형관이 임시 야적되는 야적장 간의 거리는 파형관의 길이에 맞춰지게 되는데, 이때 지중선로를 다층(11~6개)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파형관(11~6개)을 동시에 야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파형관의 임시 야적작업이 끝나게 되면, 롤 상태로 감겨진 파형관을 직선형태로 풀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굴착된 매립부에 시공하게 된다.
이때, 오랜 시간 동안 롤 상태로 감겨져 보관되던 파형관을 풀어서 펼치게 되면, 파형관은 휨 변형에 의해 일직선 상태로 펼쳐지지 않고 감겨져 있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형관이 휘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파형관을 펴주는 별도의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파형관을 펴주는 작업은 통상, 3~5명의 작업인력이 동원되어 버너 등을 이용해 파형관을 가열시켜 수작업으로 펴주게 된다.
상기한 작업을 통해 파형관이 일직선 상태로 펼쳐지게 되면, 상기 파형관을 터파기 현장에 시공한 후, 흙을 덮어 매립하게 된다.
이때, 파형관과 파형관 사이는 별도의 클램프를 이용해 접속함으로써, 관로의 지속적인 연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파형관 시공방법은 전체 작업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된다.
우선, 종래에는 화물차량에 적재된 파형관을 작업인력을 이용해 하차시키게 되는데, 파형관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하차 작업에 여러 명의 작업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하차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작업 미숙으로 인해 파형관의 중심이 무너져 전복되거나 이때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원형으로 말려져 있는 상태의 합성수지 파형관을 포설작업 전에 지상에서 다수의 작업인력(통상 3~5人)을 동원해 일일이 펴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이때, 파형관이 휨 변형된 경우에는 휨 부분을 작업자가 직접 버너를 이용해 가열작업 후 재차 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시공기간이 연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겨울철에는 파형관의 휨 변형 정도가 심해 가열작업 빈도 및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버너 가열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파형관의 특정부위가 뚫리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파형관을 펴는 작업이 대부분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파형관을 작업자가 끌고 터파기 현장까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한편 과도한 작업인력이 소요되고, 지표면에 파형관이 긁히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합성수지 파형관 풀림장치에 구비된 드럼은 정해진 지름을 갖게 감은 하나의 합성수지 파형관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터파기한 홈 내에 여러 개의 파형관을 포설해야 하거나, 지름이 서로 다른 파형관을 포설해야 할 경우, 롤 형태로 감겨진 복수의 파형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합성수지 파형관 풀림장치의 드럼에 장착하고 해당 파형관에 대한 풀림작업을 실시한 다음 또 다른 파형관 다시 드럼에 장착하여 풀림작업을 실기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나의 파형관만 장착할 수 있는 드럼을 구비한 종래 합성수지 파형관 풀림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관들을 풀어주는 작업을 실시할 경우, 파형관들의 장착 및 풀림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시민에게 많은 불편함을 줄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고, 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파형관 장착 절차도 복잡하여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됨은 물론 각 작업자들의 작업량도 증가하며, 안전사고가 발생 우려가 매우 높고, 특히 반복되는 파형관들의 장착 및 풀림 작업 중 발생되는 손상으로 인해 파형관 자체의 품질도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436885호(2014년 08월 27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84007호(2010년 09월 17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52128호(2014년 01월 08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한 파형관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권취한 다음, 보관하고 있다가 포설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송한 후, 터파기 홈 내에 포설하고자 할 때, 하나의 개방형 드럼 내에 다조(적어도 2개)의 파형관을 롤 내 지름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장착시켜 포설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파형관 장착 및 풀림 작업의 간소화를 통해 시민들의 불편함 감소와 민원발생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고, 투입인력의 최소화를 통해 파형관 포설에 따른 인건비는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가운데 1일 작업량은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포설되는 파형관 자체의 품질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해진 넓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 함체형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종 방향으로 리프트 설치 공간부를 구비하고,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정해진 높이를 갖는 한 쌍의 기둥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기둥 상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기둥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개방형 드럼의 양 휠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밀거나 당겨주며 양 휠 사이의 간격이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들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갖게 조절해 주는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좌,우 휠의 내측 중앙에 파형관 지지돌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 전면에는 정해진 각도를 두고 복수의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가 힌지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배면 중심점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를 통해 휠들이 아이들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에서 파형관들이 휠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방형 드럼과;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들의 각도에 대응한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몸체의 저단부는 힌지 축을 통해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 각각 축지되고, 각 로드의 자유 단부는 상기 힌지 축의 외측으로 돌출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의 연장부 배면에 각각 축지된 형태에서,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들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지거나 파형관 지지돌부 측으로 접혀지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프트 설치 공간부보다 넓은 폭을 갖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형관 받침판과, 상기 파형관 받침판의 저면과 바닥 플레이트의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리프팅 실린더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받침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X"자형 링크 및 로드의 단부가 "X"자형 링크의 일측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바닥판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받침판의 상부에 올려지는 파형관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리프팅 실린더로 구성된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와;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어느 일측 기둥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각 실린더의 구동을 포함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반;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방형 드럼의 각 휠에 구비되는 파형관 지지돌부는 중앙의 직경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방형 드럼의 휠 사이 공간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조의 롤형 파형관을 대략 끼워 넣은 다음,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개방형 드럼의 양 휠 사이 간격을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들의 폭에 대응하는 조절할 때, 롤형 파형관의 내측 지름에 무관하게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의 외면이 롤형 파형관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 각각 축지되는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들은 유압호스를 통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에 연결시켜 개방형 드럼의 회전과 무관하게 자체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성형한 파형관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권취한 다음, 보관하고 있다가 포설하고자 하는 장소로 운송한 후, 터파기 홈 내에 포설하고자 할 때, 하나의 개방형 드럼 내에 다조(적어도 2개)의 파형관을 롤 내 지름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장착시켜 포설작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하여, 파형관 장착 및 풀림 작업의 간소화를 통해 시민들의 불편함 감소와 민원발생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고, 투입인력의 최소화를 통해 파형관 포설에 따른 인건비는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가운데 1일 작업량은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포설되는 파형관 자체의 품질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에 롤 형상을 갖는 두 개의 파형관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 중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개방형 보빈의 일측 휠 내 측면도.
도 5는 도 1 중 B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에 롤 형상을 갖는 두 개의 파형관을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 중 A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개방형 보빈의 일측 휠 내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1 중 B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해진 넓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 함체형 바닥 플레이트(111)의 중앙에서 종 방향으로 리프트 설치 공간부(112)를 구비하고, 바닥 플레이트(111)의 상면 양측에는 정해진 높이를 갖는 한 쌍의 기둥(113)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기둥(113) 상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기둥(113)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밀거나 당겨주며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 사이 간격이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400)들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갖게 조절해 주는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좌,우 양 휠(131)의 내측 중앙에 소정형상을 갖는 파형관 지지돌부(132)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 전면에는 정해진 각도를 두고 복수의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가 힌지 축(13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배면 중심점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들의 로드(121)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122)를 통해 휠(131)들이 아이들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에서 파형관(400)들이 휠(131)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방형 드럼(130)과;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의 각도에 대응한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몸체의 저단부는 힌지 축(142)을 통해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 각각 축지되고, 각 로드(141)의 자유 단부는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의 힌지 축(134) 외측으로 돌출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의 연장부 배면에 각각 축지된 형태에서,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지거나 파형관 지지돌부(132) 측으로 접혀지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리프트 설치 공간부(112)보다 넓은 폭을 갖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111)의 중앙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형관 받침판(151)과,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의 저면과 바닥 플레이트(111)의 바닥판(111a) 상면 사이에 설치되어 리프팅 실린더(153)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X"자형 링크(152) 및 로드(154)의 단부가 "X"자형 링크(152)의 일측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111)의 바닥판(111a)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의 상부에 올려지는 파형관(400)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리프팅 실린더(153)로 구성된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150)와;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어느 일측 기둥(113)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의 조작부(161)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각 실린더의 구동을 포함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반(16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방형 드럼(130)의 각 휠(131)에 구비되는 파형관 지지돌부(132)는,
중앙의 직경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방형 드럼(130)의 휠(131) 사이 공간부(135)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조의 롤형 파형관(400)을 대략 끼워 넣은 다음,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를 작동시켜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 사이 간격을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400)들의 폭에 대응하는 조절할 때, 롤형 파형관(400)의 내측 지름에 무관하게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의 외면이 롤형 파형관(400)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 각각 힌지 축지되는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들은, 유압호스(143)를 통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들의 로드(121)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122)에 연결시켜 개방형 드럼(130)의 회전과 무관하게 자체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프레임(110)과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 개방형 드럼(130),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150) 및 제어반(160)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철판을 이용하여 정해진 넓이와 두께를 갖게 제작한 직사각 함체형 바닥 플레이트(111)의 중앙에서 종 방향으로 리프트 설치 공간부(112)를 구비시키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111)의 상면 양측에는 정해진 높이를 갖는 한 쌍의 기둥(113)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기둥(113) 상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기둥(113)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밀거나 당겨주며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 사이 간격이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400)들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갖게 조절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개방형 드럼(130)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휠(131)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휠(131) 내측 중앙에는 다각형을 갖는 파형관 지지돌부(132)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 전면에는 정해진 각도를 두고 복수의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가 힌지 축(134)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개방형 드럼(130)은 배면 중심점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들의 로드(121)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122)를 통해 휠(131)들이 아이들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에서 파형관(400)들이 휠(131)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개방형 드럼(130)의 각 휠(131)에 구비되는 파형관 지지돌부(1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직경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다각형(도면상 대략 8각)의 뿔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개방형 드럼(130)의 휠(131) 사이 공간부(135)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조(예를 들어 2개)의 롤형 파형관(400)을 대략 끼워 넣은 다음,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를 작동시켜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 사이 간격을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400)들의 폭에 대응하는 조절할 때, 롤형 파형관(400)의 내측 지름에 무관하게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가 롤형 파형관(400)의 내경 측으로 밀려 들어가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의 외면이 롤형 파형관(400)의 내면에 밀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의 외면과 롤형 파형관(400)의 내면 사이에서 큰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파형관(400)들이 도시 생략한 파형관 추진장치 등에 의해 당겨질 때 상기 개방형 드럼(130)의 휠(131) 내에서 파형관(400)들이 슬립되지 않고 휠(131)의 회전에 대응하여 파형관들이 자동적으로 풀리게 된다.
또, 상기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의 각도에 대응한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몸체의 저단부는 힌지 축(142)을 통해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 각각 축지되고, 각 로드(141)의 자유 단부는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의 힌지 축(134) 외측으로 돌출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의 연장부 배면에 각각 축지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는,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지도록 하거나, 반대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이 파형관 지지돌부(132) 전면 측으로 접혀지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의 길이는 도 1의 일측과 같이 접었을 때, 파형관 지지돌부(132)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는 힌지 축(134)을 기준으로 했을 때, 파형관(400)이 취부되는 반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들의 로드(141)를 축지시켜 주었다.
따라서,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들로부터 전달된 직선방향 동력은 힌지 축(134)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으로 바뀌게 되며,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을 회전시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은 3개 이상 복수 개를 등 간격 설치하여 동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가 펼쳐진 상태에서 파형관(400)을 개방형 드럼(130) 사이에 취부하게 되면, 파형관(40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150)는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파형관 받침판(151)과 "X"자형 링크(152) 및 리프팅 실린더(153)로 구성한 것으로, 이들 구성요소 중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리프트 설치 공간부(112)보다 넓은 폭을 갖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111)의 중앙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된 형태에서 비교적 중량체인 상기 파형관(400)들을 직접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X"자형 링크(152)는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의 저면과 바닥 플레이트(111)의 바닥판(111a) 상면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리프팅 실린더(153)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받침판(151)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실린더(153)는 로드(154)의 단부가 "X"자형 링크(152)의 일측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111)의 바닥판(111a)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160)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X"자형 링크(152)를 통해 파형관 받침판(151)을 숭강 또는 하강시키며, 상기 개방형 드럼(130)의 양 휠(131) 사이에 대략적으로 장착된 파형관(400)들을 승강 및 하강시켜 파형관(400)의 중심부가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132)와 일치되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한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150)를 작동시켜 비교적 중량체인 파형관(400)들을 개방형 드럼(130)의 중심부와 일치시키고,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를 작동시켜 양 휠(131) 사이의 공간부(135)를 좁혀주는 방식을 통해 파형관 지지돌부(132)들이 파형관(400)들의 내경 측으로 끼워지게 한 후,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를 작동시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133)들을 파형관(400)들의 내측으로 펼쳐 파형관들의 낙하를 방지한 다음에는 상기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150)의 파형관 받침판(151)을 하강시켜 차후 도시 생략한 파형관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관(400)들을 강제로 풀어 터파기 홈 측으로 추진시킬 때 파형관 받침판(151)과의 접촉에 의해 파형관의 풀림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어반(160)은 복수의 스위치들(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한 실린더들의 구동에 필요한 스위치들)을 구비한 조작부(161)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어느 일측 기둥(113)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가 조작하는 상기 조작부(161)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각 실린더의 구동을 포함하여 본 발명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휠(131)의 파형관 지지돌부(132) 배면에 각각 축지되는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들은, 유압호스(143)를 통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120)들의 로드(121)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122)에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개방형 드럼(130)이 파형관(400)의 풀림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140)들의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유압 조인트(122)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바닥 플레이트 111a : 바닥판
112 : 리프트 설치 공간부 113 : 기둥
120 :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
121 : 로드 122 : 유압 조인트
130 : 개방형 드럼 131 : 휠
132 : 파형관 지지돌부 133 :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
134 : 힌지 축 135 : 휠 사이 공간부
140 :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
141 : 로드 142 : 힌지 축
143 : 유압호스
150 :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
151 : 파형관 받침판 152 : "X"자형 링크
153 : 리프팅 실린더 154 : 로드
160 : 제어반 161 : 조작부
400 : 파형관

Claims (3)

  1. 정해진 넓이와 두께를 갖는 직사각 함체형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에서 종 방향으로 리프트 설치 공간부를 구비하고, 바닥 플레이트의 상면 양측에는 정해진 높이를 갖는 한 쌍의 기둥이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기둥 상면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고,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며 기둥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개방형 드럼의 양 휠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거리만큼 밀거나 당겨주며 양 휠 사이의 간격이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들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갖게 조절해 주는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와;
    정해진 지름을 갖는 좌,우 휠의 내측 중앙에 파형관 지지돌부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됨은 물론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 전면에는 정해진 각도를 두고 복수의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가 힌지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배면 중심점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를 통해 휠들이 아이들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에서 파형관들이 휠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방형 드럼과;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서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들의 각도에 대응한 각도로 배치된 상태에서 몸체의 저단부는 힌지 축을 통해 상기 휠의 파형관 지지돌부 배면에 각각 축지되고, 각 로드의 자유 단부는 상기 힌지 축의 외측으로 돌출된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의 연장부 배면에 각각 축지된 형태에서,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낙하 방지날개들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지거나 파형관 지지돌부 측으로 접혀지게 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복수의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프트 설치 공간부보다 넓은 폭을 갖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중앙 상부에서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파형관 받침판과, 상기 파형관 받침판의 저면과 바닥 플레이트의 바닥판 사이에 설치되어 리프팅 실린더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파형관 받침판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X"자형 링크 및 로드의 단부가 "X"자형 링크의 일측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바닥판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파형관 받침판의 상부에 올려지는 파형관들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리프팅 실린더로 구성된 파형관 승하강용 리프트와;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어느 일측 기둥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여 각 실린더의 구동을 포함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반;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드럼의 각 휠에 구비되는 파형관 지지돌부는,
    중앙의 직경이 좁고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다각형의 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개방형 드럼의 휠 사이 공간부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조의 롤형 파형관을 대략 끼워 넣은 다음, 한 쌍의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를 작동시켜 개방형 드럼의 양 휠 사이 간격을 장착하고자 하는 파형관들의 폭에 대응하는 조절할 때, 롤형 파형관의 내측 지름에 무관하게 상기 파형관 지지돌부의 외면이 롤형 파형관의 내면에 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날개 구동용 실린더들은,
    유압호스를 통해 상기 드럼 간격 조절용 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 각각 구비된 유압 조인트에 연결시켜 개방형 드럼의 회전과 무관하게 자체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KR1020190076428A 2019-06-26 2019-06-26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KR10227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28A KR102276465B1 (ko) 2019-06-26 2019-06-26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28A KR102276465B1 (ko) 2019-06-26 2019-06-26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24A true KR20210001024A (ko) 2021-01-06
KR102276465B1 KR102276465B1 (ko) 2021-07-12

Family

ID=7412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28A KR102276465B1 (ko) 2019-06-26 2019-06-26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4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66Y1 (ko) * 2005-07-26 2005-10-14 임용호 전선 드럼용 긴장기
KR100984007B1 (ko) 2009-10-28 2010-09-28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파형관 자동포설설비
KR101262806B1 (ko) * 2012-03-09 2013-05-09 임용호 지중포설용 파형관 자동공급장치
KR101300622B1 (ko) * 2010-10-08 2013-08-27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파형관 포설장비
KR101352128B1 (ko) 2013-05-03 2014-01-15 금오이엔씨(주) 파형관 풀림 장치
KR101436885B1 (ko)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KR20180134069A (ko) * 2017-06-08 2018-12-18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KR101950238B1 (ko) * 2017-03-28 2019-02-21 양희성 전선 포설을 위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666Y1 (ko) * 2005-07-26 2005-10-14 임용호 전선 드럼용 긴장기
KR100984007B1 (ko) 2009-10-28 2010-09-28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파형관 자동포설설비
KR101300622B1 (ko) * 2010-10-08 2013-08-27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파형관 포설장비
KR101262806B1 (ko) * 2012-03-09 2013-05-09 임용호 지중포설용 파형관 자동공급장치
KR101436885B1 (ko) 2012-08-10 2014-09-02 금여파워텍 주식회사 차량형 파형관 포설장비
KR101352128B1 (ko) 2013-05-03 2014-01-15 금오이엔씨(주) 파형관 풀림 장치
KR101950238B1 (ko) * 2017-03-28 2019-02-21 양희성 전선 포설을 위한 독립형 전선드럼 거치대
KR20180134069A (ko) * 2017-06-08 2018-12-18 미래이앤시주식회사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465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419A (en) Underground duct banks
KR100984007B1 (ko) 파형관 자동포설설비
US2948510A (en) Portable cable puller and power unit
KR102305697B1 (ko) 다조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 시스템
KR20180134195A (ko) 레일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 장치
KR20210001024A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풀림장치
CN210661646U (zh) 一种pccp管道内拉安装设备
KR101300622B1 (ko) 파형관 포설장비
CN205442567U (zh) 钢管杆作业平台
KR101352128B1 (ko) 파형관 풀림 장치
JP6579703B2 (ja) 防水シートロール受台、防水シートの敷設機構及び敷設方法
CN201738936U (zh) 柔性金属网托架及铺装装置
JP2020089192A (ja) 仮支持柱、電柱建替支援装置及び電柱建替方法
KR20210001006A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다조 추진장치
KR102239809B1 (ko) 지중관로용 케이블 포설장치
US20170338634A1 (en) Winch and method of use
US6830235B2 (en) Hydraulic powered capstan attachment
JP2002135932A (ja) 管接続装置および管接続方法
CN218259788U (zh) 一种波形腹板钢混组合箱梁运输保护套装置
KR101675264B1 (ko) 합성수지 파형관 포설장치
CN212486098U (zh) 一种电力安装用管道铺设装置
CN214889296U (zh) 破损顶管回拉装置
KR102590667B1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CN220209845U (zh) 一种管线防护装置
CN211397600U (zh) 隧道初支拱架自动安装工作台车以及初支拱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