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459B1 -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459B1
KR101300459B1 KR1020110112322A KR20110112322A KR101300459B1 KR 101300459 B1 KR101300459 B1 KR 101300459B1 KR 1020110112322 A KR1020110112322 A KR 1020110112322A KR 20110112322 A KR20110112322 A KR 20110112322A KR 101300459 B1 KR101300459 B1 KR 10130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nding solution
heat exchanger
bonding
accommoda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356A (ko
Inventor
서명렬
변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엠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엠씨(주) filed Critical 한국엠씨(주)
Priority to KR102011011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4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9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separate articles
    • B05C3/1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separate articles the articles being moved through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를 접합하기 위하여 헤드에 형성하는 버(Burr)의 내면에 접합용액을 빠짐없이 정확하고 용이하게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접합용액이 수용되고 상부로 열교환기의 헤드가 이동하는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 접합용액과 접촉되도록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에서 승강되면서 헤드와 접촉되는 접합용액 도포부; 및 프레임에 설치되어 접합용액 도포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WELDING SOLUTION SPREAD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를 접합하기 위하여 헤드에 형성하는 버(Burr)의 내면에 접합용액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포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Heat Exchanger)라 함은 서로 온도가 다르고, 고체벽으로 분리된 두 유체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좁은 의미의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없는 두 공정 흐름 사이에 열을 교환하는 장치를 말하고, 넓은 의미로는 냉각기, 응축기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난방, 공기조화, 동력발생, 냉각 및 폐열회수 등에 널리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기의 종류로는 기하학적 형태에 따른 분류로써 원통다관식 열교환기, 이중관식 열교환기, 평판형 열교환기, 공냉식 냉각기, 가열로 및 코일식 열교환기가 있다. 또한, 기능에 따른 분류로써 열교환기(Heat Exchanger), 냉각기(Cooler), 응축기(Condenser), 재비기(Reboiler), 증발기(Evaporator), 예열기(Preheater) 및 2상 흐름 열교환기(Two Phase Flow Heat Exchanger)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 제작되는 열교환기는 제품의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재 열교환기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심재(Core Material)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제작된 튜브가 상호 결합된다. 이때, 심재와 튜브는 Al 내지 Si 합금이나 Al 내지 Si 내지 Mg 합금을 대립해 맞춘 브레이징 시트지를 사용하여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 제조방법으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29042호의 "공기조화 장치의 열교환기 제조방법"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63771호의 "하이브리드 라디에이터 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교환기 제조방법은 튜브와 헤드를 접합하기 위하여 시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튜브 또는 헤드의 접합부위에 시트지를 부착하기가 매우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부착하기가 매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튜브와 결합하기 위하여 헤드에 형성하는 버(Burr)의 내면에 접합용액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포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접합용액이 수용되고 상부로 열교환기의 헤드가 이동하는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 접합용액과 접촉되도록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헤드와 접촉되는 접합용액 도포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접합용액 도포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가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되며,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헤드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 케이스에서 승강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승강을 통해 상기 헤드에 접촉 및 이격되면서 접합용액을 상기 헤드에 도포하는 도포부재로 이루어진 접합용액 도포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에 상기 도포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헤드로 삽입되면서 상기 헤드에 접촉되는 헤드 접촉부로 이루어진 도포부재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부재가 합성수지, 실리콘, 합성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접촉부에 상기 헤드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와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라운드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가 액추에이터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 장착틀 부재; 및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헤드 고정부로 이루어진 헤드 장착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일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헤드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헤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에 의하면, 튜브가 결합되는 헤드의 결합부위에 접합용액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에 의해 접합용액이 도포되는 증발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나타낸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합용액 도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및 헤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및 헤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및 헤드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 고정부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열교환기(Condenser)(10)는 내부로 열교환 매체가 순환되도록 헤드(11) 및 튜브(13)를 포함한다. 헤드(11)는 튜브(13)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결합되며, 어느 하나의 헤드(11)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 매체가 튜브(13)를 거쳐 다른 하나의 헤드(11)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헤드(11)로 유입되는 열교환 매체는 튜브(1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10)는 헤드(11)와 튜브(13)가 알루미늄 파우더가 포함된 접합용액을 이용하여 상호 긴밀하게 접합된다.
구체적으로, 헤드(11)에 튜브(13)를 접합하기 위한 결합구멍(15)을 프레싱 가공을 통해 형성하고, 결합구멍(15)에 튜브(13)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결합구멍(15)의 내면에는 튜브(13)가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버(Burr)(15a)가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11)의 결합구멍(15) 및 버(15a)에 접합용액을 도포하고 튜브(13)를 결합한 후, 열교환기(10)를 고열의 용접기에 통과시키면, 용접기의 열에 의해 접합용액의 알루미늄 파우더가 녹으면서 헤드(11)와 튜브(13)의 결합부위가 긴밀하게 접합된다.
또한, 헤드(11)와 튜브(13)의 긴밀한 접합을 위하여 헤드(11)에 도포되는 접합용액은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100)를 통해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 도포된다. 이러한,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100)를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10), 접합용액이 수용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 이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접합용액을 헤드(11)에 도포하는 접합용액 도포부(130) 및 이 접합용액 도포부(1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접합용액 도포장치(100)는 헤드(11)를 복수개 고정하여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헤드 장착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헤드 장착부(150)는 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송레일(도시생략)이나 컨베이어(도시생략)에 고정되어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프레임(110)은 헤드 장착부(150)의 하측에 위치되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 접합용액 도포부(130) 및 구동부(140)가 설치된다.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는 양단부가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내부에 접합용액 도포부(130)가 승강 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는 상면이 개방되며, 상측으로 헤드 장착부(150)가 이동하게 된다.
접합용액 도포부(130)는 접합용액과 접촉되도록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되며, 구동부(140)에 의해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에서 승강되면서 헤드(11)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합용액 도포부(130)는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131) 및 이 베이스 부재(131)에 결합되어 베이스 부재(131)의 승강을 통해 헤드(11)에 접촉 또는 이격되면서 헤드(11)에 접합용액을 도포하는 도포부재(133)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31)는 도포부재(133)가 결합되는 결합부(131a)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131)는 도포부재(133)가 헤드(11)의 결합구멍(15)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결합되도록 결합부(131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부재(131)의 결합부(131a)는 헤드(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도포부재(133)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결합부(131a)는 베이스 부재(131)의 가로 방향으로 장홈 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31)의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31)는 양단부가 연결 플레이트(135)를 통해 구동부(140)에 연결되며, 구동부(140)의 구동을 통해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에서 승강된다. 이때, 연결 플레이트(135)는 중앙부가 베이스 부재(131)의 하면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절곡되어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부재(131)의 결합부(131a)가 장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홀더, 클램프, 클립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포부재(133)는 하단부가 결합부(131a)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헤드(11)의 결합구멍(15)에 삽입되어 접촉되면서 접합용액을 헤드(11)의 결합구멍(15) 및 버(15a)에 도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포부재(133)는 베이스 부재(131)의 결합부(13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부(137)와, 고정부(137)의 상단에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어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삽입되는 헤드 접촉부(139)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포부재(133)는 베이스 부재(131)의 승강에 따라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에 수용된 접합용액에 잠기면서 표면에 접합용액이 뭍게 되고, 헤드 접촉부(139)가 헤드(11)로 삽입되어 접촉되면서 표면에 뭍어있는 접합용액이 헤드(11)에 도포된다. 이를 위하여, 도포부재(133)는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실리콘, 합성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며, 외면에 많은 양의 접합용액이 도포되도록 외면에 미세하게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헤드 접촉부(139)는 고정부(137)에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삽입되면서 표면에 뭍어 있는 접합용액을 헤드(11)의 결합구멍(15) 및 버(15a)의 내면에 도포하게 된다.
더하여, 헤드 접촉부(139)는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단부 양측에 경사면(139a)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 접촉부(139)는 원형 또는 타원 형으로 형성되는 헤드(11)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라운드 형상의 단차부(139b)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접합용액 도포부(1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40)는 몸체가 프레임에 고정되고 작동로드가 연결 플레이트(135)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40)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벨트구동방식, 체인구동방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부(140)로 벨트구동방식이나 체인구동방식을 사용할 때에는 벨트나 체인이 연결 플레이트(135)에 고정된다. 또한, 구동부(140)로 유공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헤드(11)를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헤드 장착부(150)는 헤드(11)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헤드 장착틀 부재(151)와, 헤드(11)의 양단을 고정하는 헤드 고정부(153)를 포함한다.
헤드 장착틀 부재(151)는 헤드(11)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가로부재(151a) 및 세로부재(151b)의 결합을 통해 수용공간부(151c)가 형성된다. 이때, 가로부재(151a)에는 헤드 고정부(153)가 형성되어 헤드(11)의 양단부를 탄성 지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또한, 헤드 장착틀 부재(151)는 헤드(11)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개 적층할 수 있도록 지지바(151d)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지지바(151d)는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세로부재(151b)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다른 하나의 세로부재(151b)에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헤드 장착틀 부재(151)는 고정된 헤드(11)가 접합용액 도포부(130)에 의해 스탬핑되어 용접용액이 도포될 때 변형되거나 휨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용접용액이 헤드(11)에 보다 정확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헤드 고정부(153)는 어느 하나의 가로부재(151a)에 구비되는 탄성 지지부재(155) 및 다른 하나의 가로부재(151a)에 구비되는 헤드 걸림부재(157)를 포함하며, 탄성 지지부재(155) 및 헤드 걸림부재(157)가 헤드(1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탄성 지지부재(155)는 어느 하나의 가로부재(151a)에 결합되며, 내부에 탄성 스프링(155a)이 내장되는 스프링 지지구(155b) 및 탄성 스프링(155a)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스프링 지지구(155b)에 결합되는 제1 접촉러버(155c)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접촉러버(155c)는 스프링 지지구(155b)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일단부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헤드(1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타단부에 테이퍼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155)는 스프링 지지구(155b)에 제1 접촉러버(155c)가 관통되어 걸리도록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 접촉러버(155c)에 탄성 스프링(155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된다.
헤드 걸림부재(157)는 다른 하나의 가로부재(151a)에 마련되어 헤드(11)와 결합되며, 탄성 지지부재(155)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헤드(11)를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헤드 걸림부재(157)는 가로부재(151a)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57a)와, 이 볼트부재(157a)에 결합되어 헤드(11)에 접촉되는 제2 접촉러버(157b)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접촉러버(157b)는 일단이 볼트부재(157a)를 통해 가로부재(151a)에 고정되고, 헤드(11)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타단에 테이퍼가 형성된다. 제2 접촉러버(157b)의 테이퍼는 헤드(11)에 삽입된다.
한편, 헤드 장착틀 부재(151)는 탄성 지지부재(155)가 설치되는 가로부재(151a)가 볼트를 통해 세로부재(151b)에 고정되고, 걸림부재(157)가 설치되는 가로부재(151a)가 토글 클램프(159)에 의해 세로부재(151b)에 용이하게 탈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헤드 장착부(150)는 헤드(11)를 장착할 때 헤드(11)의 결합구멍(15)을 정확하게 정렬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헤드(11)를 정렬용 지그(20) 위에 배열한 후 헤드(11)를 결하하게 된다. 이때, 정령용 지그(20)에는 헤드(11)의 결합구멍(15)에 삽입되는 정렬플레이트(21)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헤드(11)가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 상측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헤드(11)를 헤드 장착부(150)에 고정시킨 후, 헤드 장착부(150)를 프레임(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컨베이어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시켜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헤드(11)의 양단이 탄성 지지부재(155) 및 헤드 걸림부재(157)에 의해 헤드 장착부(150)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되므로, 도포부재(133)가 헤드(11)에 접촉되어도 헤드(11)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헤드(11)에 접합용액을 안정되고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헤드(11)가 헤드 장착틀 부재(151)에 고정될 때 양단부가 제1 접촉러버(155c) 및 제2 접촉러버(157b)에 의해 지지됨은 물론 탄성 스프링(155a)을 통해 탄성지지되므로, 외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파손이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복수의 헤드(11)가 고정된 헤드 장착부(150)가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1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140)가 작동하면서 베이스 부재(131)를 승강시킨다. 그러면, 접합용액이 뭍어 있는 도포부재(133)가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삽입되면서 헤드(11)의 결합구멍(15) 및 버(15a)의 내면에 접합용액이 도포된다.
이때,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삽입되는 헤드 접촉부(139)에 경사면(139a) 및 단차부(139b)가 형성되어 있어 헤드 접촉부(139)가 헤드(11)의 결합구멍(15)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헤드 접촉부(139)의 접합용액이 헤드(11)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도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열교환기 11 : 헤드
15 : 결합구멍 13 : 튜브
100 : 접합용액 도포장치 110 : 프레임
120 :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 130 : 접합용액 도포부
131 : 베이스 부재 133 : 도포부재
135 : 연결 플레이트 137 : 고정부
139 : 헤드 접촉부 140 : 구동부
150 : 헤드 장착부 151 : 헤드 장착틀 부재
153 : 헤드 고정부 155 : 탄성 지지부재
157 : 헤드 걸림부재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접합용액이 수용되고 상부로 열교환기의 헤드가 이동하는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
    접합용액과 접촉되도록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헤드와 접촉되는 접합용액 도포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접합용액 도포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헤드가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되며, 상기 접합용액 수용 케이스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헤드 장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용액 도포부는,
    상기 수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 케이스에서 승강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승강을 통해 상기 헤드에 접촉 및 이격되면서 접합용액을 상기 헤드에 도포하는 도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도포부재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헤드로 삽입되면서 상기 헤드에 접촉되는 헤드 접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합성수지, 실리콘, 합성고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접촉부는 상기 헤드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와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라운드 형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로드가 상기 접합용액 도포부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부는,
    상기 헤드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는 헤드 장착틀 부재; 및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헤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부는,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일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헤드 장착틀 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헤드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KR1020110112322A 2011-10-31 2011-10-31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KR10130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22A KR101300459B1 (ko) 2011-10-31 2011-10-31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22A KR101300459B1 (ko) 2011-10-31 2011-10-31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56A KR20130047356A (ko) 2013-05-08
KR101300459B1 true KR101300459B1 (ko) 2013-08-27

Family

ID=4865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322A KR101300459B1 (ko) 2011-10-31 2011-10-31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4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148A (ja) * 1999-08-23 2001-03-06 Murata Mfg Co Ltd 粘性材料の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10057752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디엠에스 약액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148A (ja) * 1999-08-23 2001-03-06 Murata Mfg Co Ltd 粘性材料の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KR20110057752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디엠에스 약액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56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786B1 (ko) 자동차용 열교환기
CN110081765A (zh) 热交换器
JP2019058934A (ja) 液冷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6297437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105390462A (zh) 半导体装置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CN203599765U (zh) 一种散热器焊接固定装置
KR101300459B1 (ko)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CN101890551B (zh) 换热器夹持装置
KR101359778B1 (ko) 쉘앤튜브 용접방법
US20090188654A1 (en) Automotive Heater Core
JP3885053B2 (ja) 摩擦撹拌接合用装置
KR20120083597A (ko) 응축기의 브레이징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응축기의 제조방법
KR101300415B1 (ko) 열교환기용 접합용액 도포장치
JP5370443B2 (ja) シールパッキン組付装置およびシールパッキン組付方法
CN108817644B (zh) 一种采用搅拌摩擦焊焊接边缘焊缝的静止轴肩及焊接方法
JP6922414B2 (ja) 熱交換器の固定装置および熱交換器
CN210147343U (zh) 一种智能机器人焊用快速定位夹具
CN217303706U (zh) 换热器连接机构及换热器装置
KR100868576B1 (ko) 불소수지재 열교환기 제조장치
KR101239895B1 (ko) 열교환기 고정용 고정브래킷
KR101062748B1 (ko) 열교환기용 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지방법
KR100710617B1 (ko) 차량용 열교환기
CN214747410U (zh) 一种交互型板式换热器
KR100382363B1 (ko) 자동차용 증발기의 플레이트
JP2011167711A (ja) ろう付け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