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883B1 -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883B1
KR101299883B1 KR1020070001867A KR20070001867A KR101299883B1 KR 101299883 B1 KR101299883 B1 KR 101299883B1 KR 1020070001867 A KR1020070001867 A KR 1020070001867A KR 20070001867 A KR20070001867 A KR 20070001867A KR 101299883 B1 KR101299883 B1 KR 10129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key
jog dia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026A (ko
Inventor
최익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8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그 다이얼(JOG DIAL)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는, 조그 다이얼(JOG DIAL)을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 문자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저장부에서 문자열입력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입력 명령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그 다이얼(JOG DIAL), 문자 입력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in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JOG DIAL)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조그 키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형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키 입력부 102...저장부
104...디스플레이부 106...제어부
본 발명은 조그 다이얼(JOG DIAL)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기술은 통상적으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으로 메모장에 직접 필기를 하는 것과 가상 키보드 창을 열어서 그 문자를 터치하여서 입력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대부분의 PDA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이므로 문자 입력에 대해서는 키를 사용하지 않고 터치를 통해 문자 입력을 하게 된다.
또 다른 경우에는 커티(Qwerty) 키보드를 기구적으로 추가하여서 키 입력을 하는데,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휴대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문자입력을 쉽게 하기 위해서 키보드를 장착하면 부티가 커지므로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고 터치 패드(Touch Pad)로만 문자입력을 할 경우에는 크기가 작아지는 추세에 정확한 포인트를 찍기도 어렵고, 필기를 하는 것도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이렇듯, 휴대단말기는 휴대성이 좋아야 하고, 어디서나 기록 가능하게 되어야 하는데, 휴대성은 좋아지고 있지만, 문자입력은 크기가 작아지면서 더 불편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기구적인 키(KEY)를 추가하지 않고 문자를 입력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는, 좌우 이동 동작과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선택 키 및 짧게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열간 이동 동작을 수행하고, 길게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키를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 문자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저장부에서 문자열 입력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입력 명령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 키는 좌우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좌우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조그 다이얼(JOG DI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 키는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은, 조그 다이얼 입력 시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문자 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조그 다이얼이 창안에서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조그 다이얼을 이동하거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이동 버튼이 짧게 입력되면 문자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이동 버튼이 길게 입력되면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문자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각각 수행한 후에는 현재 창을 유지한 후 다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JOG DIAL)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는, 조그 다이얼(JOG DIAL)을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100)와 문자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2)와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4) 상기 키 입력부(100)를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저장부(102)에서 문자열 입력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입력 명령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00)는 문자 열 안에서 좌/우로 이동하고 커서가 위치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키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JOG DIAL)과 문자 열간의 이동과 문자 형식 전환 명령을 수행하는 이동키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02)는 문자 입력을 위해 한글/영문(대,소)/특수 문자열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저장부(102)에 저장된 문자 테이블을 불러온다.
최초 한글 문자 테이블이 로딩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다.
상기 문자 테이블 구성에 따른 조그 다이얼의 동작은 한 열에서는 조그 다이얼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다이얼을 누르게 되면 해당 위치의 문자를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해당 열에서의 입력이 완료되어 다른 열로 이동하게 될 때는 이동키를 눌러서 다음 열로 커서를 옮기게 된다.
만약 한글 문자 입력이 아닌 영문이나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이동키를 길게 눌러서 문자 테이블을 변경하도록 한다.
조그 다이얼과 문자열 구성은 도2 내지 도4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조그 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그 다이얼의 구성은 선택 키(100a)와 이동 키(100b)로 구성된다.
상기 선택 키(100a)는 다이얼을 이용하여 좌우로 이동하거나 클릭을 하게 되면 해당 위치의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상하로 움직이는 기능을 구현하여 문자열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키(100b)는 짧게 누르면 열간의 이동이 되고 길게 누르면 디스플레이 되는 문자형식이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해당 열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좌/우키를 이용하여 움직이고 해당 조그 다이얼를 클릭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 형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한글 문자 테이블(a)과 영문 대문자 테이블(b)을 예시로 나타낸 것인데, "안녕하세요 HI"를 입력한다고 가정하면,
최초 문자 테이블이 디스플레이되면 상단 왼쪽 끝에 커서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키를 짧게 눌러서 한 칸 아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ㅇ"을 선택하기 위해 조그 키를 선택하고 다시 이동키를 짧게 눌러서 한 칸 아래로 내려와 "ㅏ"를 입력한다.
다시 "ㄴ"를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 키를 두 번 짧게 클릭하고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ㄴ"의 위치에서 다이얼을 클릭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ㅎ","ㅏ","ㅅ","ㅔ","ㅇ","ㅛ"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한글 입력이 완료되면 영문 입력을 하기 위하여 이동키를 길게 눌러서 영문 대문자 문자 테이블(b)을 불러온다.
최초 커서의 위치는 "A"에 위치하며, "H"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이얼을 이용하여 우측 끝으로 이동 후, "H" 문자열 위에서 다이얼을 클릭한다.
그 다음 "I"를 입력하기 위하여 이동 키를 짧게 입력하여 다음 문자열로 이동하고 "I" 위치에서 다이얼을 클릭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한다.
이런 식으로 "안녕하세요 HI"의 입력을 마친다.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조그 다이얼 입력 명령이 하달되면(S500), 최초 한글 문자 테이블을 디스플레이 한다(S502).
상기 최초 한글 문자 테이블이 디스플레이되면 조그 다이얼은 해당 테이블 내에서 이동하도록 활성화 된다(S504).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조그 다이얼을 이동 후 다이얼 클릭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506).
단계 506의 판단결과, 다이얼의 클릭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위치의 문자를 출력하고(S508), 조그 다이얼 이동 후 클릭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이동 키 버튼이 짧게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510).
단계 510의 판단결과, 이동키 버튼이 짧게 입력되면 해당 문자 테이블의 문자 열을 변경한다(S512).
이동키 버튼이 짧게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키 입력이 길게 되었는지 판단한다(S514).
단계 514의 판단결과, 이동 키 버튼이 길게 입력되면 문자 테이블을 변경한다(S516).
단계 508, 512, 516의 과정 수행 후에는 명령 수행 직후의 창을 유지한다(S518).
삭제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수행 동작이 편리하고 단말기에 작은 비중을 차지하는 조그 다이얼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의 무게를 적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좌우 이동 동작과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선택 키 및 짧게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열간 이동 동작을 수행하고, 길게 누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키를 통해 문자 입력 명령을 받는 키 입력부;
    문자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명령이 들어오면 상기 저장부에서 문자열 입력 데이터를 불러오고 상기 입력 명령에 따라 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키는 좌우로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좌우 이동 동작을 수행하는 조그 다이얼(JOG DI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키는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조그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4. 삭제
  5. 조그 다이얼 입력 시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문자 입력창이 표시되고 상기 조그 다이얼이 창안에서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조그 다이얼을 이동하거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이동 버튼이 짧게 입력되면 문자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이동 버튼이 길게 입력되면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문자열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형식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각각 수행한 후에는 현재 창을 유지한 후 다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70001867A 2007-01-08 2007-01-08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9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67A KR101299883B1 (ko) 2007-01-08 2007-01-08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867A KR101299883B1 (ko) 2007-01-08 2007-01-08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026A KR20080065026A (ko) 2008-07-11
KR101299883B1 true KR101299883B1 (ko) 2013-08-23

Family

ID=3981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867A KR101299883B1 (ko) 2007-01-08 2007-01-08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8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030A (ko) * 2003-04-23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
KR100488971B1 (ko) * 2002-09-11 2005-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60039202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의 키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971B1 (ko) * 2002-09-11 2005-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텔레메틱스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92030A (ko) * 2003-04-23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정보 입력 장치
KR20060039202A (ko) * 2004-11-02 2006-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의 키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026A (ko) 200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1913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05674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22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Pointing Device
JPWO2007086371A1 (ja) 文字入力装置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20130123705A (ko) 추가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와 그를 사용한 추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220236967A1 (en) Virtual keyboard for writing programming codes in electronic device
JP5395819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32189A (ja) 文字入力制御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0678922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2998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3186613A (ja) 文字入力装置
KR100650124B1 (ko) 소프트 키패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6090289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JP6311807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7056686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773404B1 (ko) 디지털 처리 장치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17034B1 (ko)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KR100909592B1 (ko) 커서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01845A (ko)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JP5692155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05222342A (ja) 携帯情報端末
KR200000201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