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845A -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845A
KR20070001845A KR1020060093245A KR20060093245A KR20070001845A KR 20070001845 A KR20070001845 A KR 20070001845A KR 1020060093245 A KR1020060093245 A KR 1020060093245A KR 20060093245 A KR20060093245 A KR 20060093245A KR 20070001845 A KR20070001845 A KR 2007000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racter
wheel
ke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상욱
Priority to KR102006009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1845A/ko
Publication of KR200700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존의 버튼식 작동 방식을 휠과 소정 수의 버튼으로 수 많은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키 입력부는 본체의 좌측 상부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하 회전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메뉴 상하 이동 기능 값을 발생하는 휠, 상기 본체의 우측 상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가 수신된 경우에 전화 받기 기능값을 발생하고, 화면이 꺼졌을 때 켜지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는 확인 버튼, 상기 본체의 우측 하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다음 페이지로 넘기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고, 인터넷 사용시에 이전 메뉴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는 앞뒤로 넘김 버튼, 상기 확인 버튼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입력시 스페이스 띄움 기능 값을 발생하는 스페이스 키,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문자 키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발생한 기능 값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휴대폰, 문자 입력

Description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Portable phon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 입력부의 버튼들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도 2의 휴대폰을 동작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휠을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를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메뉴의 항목이 한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항목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횔에 의해 메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앞뒤로 넘김 버튼에 의하여 전화번호부 검색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 손의 자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본체 200: 키 입력부
210: 휠 220: 확인 버튼
230: 앞뒤로 넘김 버튼 240: 스페이스 키
250: 문자 버튼 300: 제어부
40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버튼식 작동 방식을 휠과 약간의 버튼으로 다수의 기능을 보다 더 편리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가능한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지 버튼 만으로 커서 바를 움직이며, 조밀한 버튼 배열 때문에 메뉴 이용, 인터넷 이용 등에 상당히 불편하다. 마치 키보드 이동 키로 마우스의 역할을 대신하였다. 또한 문자 입력 방식 역시, 불편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 기존의 버튼식 작동 방식을 휠과 소정 수의 버튼으로 수 많은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은 본체의 좌측 상부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하 회전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메뉴 상하 이동 기능 값을 발생하는 휠, 상기 본체의 우측 상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가 수신된 경우에 전화 받기 기능값을 발생하고, 화면이 꺼졌을 때 켜지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는 확인 버튼, 상기 본체의 우측 하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다음 페이지로 넘기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고, 인터넷 사용시에 이전 메뉴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는 앞뒤로 넘김 버튼, 상기 확인 버튼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입력시 스페이스 띄움 기능 값을 발생하는 스페이스 키,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값을 발생하는 다수의 문자 키를 구비하는 키 입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에 의해 발생한 기능 값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휠의 외부 모형은 톱니 바퀴 모양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뉴의 항목이 한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확인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휠을 아래로 내려 다음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음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확인 버튼을 놓으면 커서바가 상기 다음 화면의 제일 아래 항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의 문자 입력 방법은 (i)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우측에 문자창을 갖는 메시지 작성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소정수의 문자가 각각 할당된 다수의 문자 버튼 중 하나의 문자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문자창의 중앙에 기본자, 상부 및 하부에 연결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본자, 상기 상부 연결자, 또는 상기 하부 연결자가 원하는 문자인 지에 따라 다음 문자 버튼을 선택하거나 휠을 상하로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iii)에서, 상기 기본자가 원하는 문자인 경우에는 다음 문자 버튼을 선택하고 상부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는 경우 휠을 위로 돌리고 하부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휠을 아래로 돌린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 입력부(200)의 버튼들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은 본체(100), 키 입력부(200), 제어부(300), 및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200)는 휠(210), 확인 버튼(220), 앞뒤로 넘김 버튼(230), 스페이 스 키(240), 및 다수의 문자 키(250)를 포함한다.
휠(210)은 본체(100)의 좌측 상부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상하 회전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메뉴 상하 이동 기능 값을 발생한다. 휠(210)이 잘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 모형에 톱니 바퀴 모양을 적용할 수 있다. 휠(210)의 정확한 동작을 위하여 각도마다 간격을 두어 슬그머니 걸리게 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확인 버튼(220)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 상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가 수신된 경우에 전화 받기 기능값을 발생하고, 화면이 꺼졌을 때 켜지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한다. 상기 확인 버튼(220)은 주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횔(210)과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앞뒤로 넘김 버튼(230)은 휠(210) 및 확인 버튼(220)을 보완하면서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키이다. 앞뒤로 넘김 버튼(230)은 상기 본체(100)의 우측 하부벽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메뉴 선택 상황에서 처음 화면에 원하는 정보가 없을시 바로 다음 장으로 넘어 가게 하는 키로서,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다음 페이지로 넘기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하고, 인터넷 사용시에 이전 메뉴로 이동하게 하는 기능 값을 발생한다. 앞뒤로 넘김 버튼(230)은
스페이스 키(240)는 상기 확인 버튼(220)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입력시 스페이스 띄움 기능 값을 발생한다.
다수의 문자 키(25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값을 발생한다.
도 3은 사용자가 도 2의 휴대폰을 동작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이 휠(210)을 돌리고 검지 손가락이 확인 버튼(220), 스페이스 키(240)를 누르며 중지 손가락이 앞뒤로 넘김 버튼(230)을 누르며 나머지 손가락은 쉬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휠(210)을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를 화면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210)을 아래로 돌리면 아래 항목으로 이동하고, 휠(210)을 위로 돌리면 위 항목으로 이동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키 입력부(200)에 의해 발생한 기능 값에 따른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메뉴의 항목이 한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항목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라인을 불투명하게 차지하면서 현 위치를 가리키는 것을 커서 바라 하자. 도 5의 상황 1 처럼 보통 메뉴의 항목이 한 화면에 전부 나타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휠(210) 만 아래로 동작할 경우, 커서 바 만 아래로 움직이지만, 동작 전 항목을 다 보았을 때, 휠(210)을 돌려 커서 바를 1. 부터 8. 까지 내린 뒤 그 아래 항목을 보기는 번거롭다. 그래서, 확인 버튼(220)을 누르고 있을 때(홀딩 시) 휠(210)을 내리면 상황. 2처럼 화면이 올라간다. 그 후 확인 버튼(220)을 놓으면 상황. 3처럼 제일 아래 항목에 커서 바가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크롤을 멈춘 제일 아래 항목이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3의 휠(210)에 의해 메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뉴를 좌우로 움직여야 할 땐 휠(210)을 아래로 돌리면 우로 이동, 휠(210)을 위로 돌리면 좌로 이동한다.
도 7은 도 3의 앞뒤로 넘김 버튼(230)에 의하여 전화번호부 검색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로 넘김 버튼(230)은 전화 번호부의 다음 화면으로 이동할 때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 손의 자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검지 a는 휠(210)을 돌리고 오른손 검지 b는 스페이스 키(240)를 누른다. 왼손 엄지 c와 오른손 검지 d는 문자키(250)를 누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시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메시지 작성창(910)에 표시한다. 920은 문자창인데 문자 버튼(250)을 누르면 기본적으로 930에 기본자가 적혀지고 940에 위 연결자가 950에 아래 연결자가 나타난다. 기본자가 원하는 문자이면 다음 문자 버튼을 누르고 위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으면 휠(210)을 위로 원하는 만큼 돌려 선택하고 아래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으면 휠(210)을 아래로 원하는 만큼 돌려 선택한다.
휴대폰의 문자 버튼(250), 예를 들어 a, b, A, ㄱ, ㄴ, ㄷ, ㅏ, ㅡ,... 을 누를 경우, 문자창 제일 중앙에 나타나는 문자를 기본자라 하고 기본자 아래 위에 나타난 문자를 연결자라 하자. 버튼 하나당 기본자는 영문에 하나 한글에 하나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의 일예로서 문자가 어떻게 입력되어 지는 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영문자 b를 적고자 할 때, (영문 모드 시) 문자 2 번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작성창(910)엔 a가 보여지고 문자창(920)엔 기본자 a, 아래 연결자 (b,c) 위 연결자 (A,B,C)가 보여진다. 커서 바는 a에 위치하여 있다.
이 때, 휠(210)을 한 칸 아래로 돌리면 아래 연결자 b에 커서 바가 위치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자음의 거센 소리(ㅋ,ㅌ,ㅍ,ㅊ,ㅎ)는 아래 연결자에 위치하고, 자음의 된소리(ㄲ,ㄸ,ㅃ,ㅆ,ㅉ)는 위 연결자에 위치한다. 한글 키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숫자 1 키: 기본자(ㄱ) 아래 연결자(ㅋ) 위 연결자(ㄲ)
숫자 2 키: 기본자(ㄴ) 아래 연결자(ㄷ,ㅌ) 위 연결자(ㄸ)
숫자 3 키: 기본자(ㅏ) 아래 연결자(ㅐ) 위 연결자(ㅑ,ㅒ)
숫자 4 키: 기본자(ㄹ) 아래 연결자(ㅁ)
숫자 5 키: 기본자(ㅂ) 아래 연결자(ㅍ) 위 연결자(ㅃ)
숫자 6 키: 기본자(ㅓ) 아래 연결자(ㅔ) 위 연결자(ㅕ,ㅖ)
숫자 7 키: 기본자(ㅅ) 아래 연결자(ㅇ,ㅎ) 위 연결자(ㅆ)
숫자 8 키: 기본자(ㅈ) 아래 연결자(ㅊ) 위 연결자(ㅉ)
숫자 9 키: 기본자(ㅗ) 아래 연결자(ㅛ) 위 연결자(ㅜ,ㅠ)
숫자 0 키: 기본자(ㅣ) 아래 연결자(ㅡ) 위 연결자()
숫자 * 키: 기본자(.) 아래 연결자(!) 위 연결자(?)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문 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영문 입력은 대문자는 위 연결자로 선택하고 소문자는 기본자 및 아래 연결자로 선택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영문 키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숫자 1 키: 기본자(@) 아래 연결자(/) 위 연결자(:)
숫자 2 키: 기본자(a) 아래 연결자(b,c) 위 연결자(A,B,C)
숫자 3 키: 기본자(d) 아래 연결자(e,f) 위 연결자(D,E,F)
숫자 4 키: 기본자(g) 아래 연결자(h,i) 위 연결자(G,H,I)
숫자 5 키: 기본자(j) 아래 연결자(k.l) 위 연결자(J,K,L)
숫자 6 키: 기본자(m) 아래 연결자(n.o) 위 연결자(M.N,O)
숫자 7 키: 기본자(p) 아래 연결자(q,r) 위 연결자(P,Q,R)
숫자 8 키: 기본자(s) 아래 연결자(t,u) 위 연결자(S,T,U)
숫자 9 키: 기본자(v) 아래 연결자(w,x) 위 연결자(V,W,X)
숫자 0 키: 기본자(y) 아래 연결자(z) 위 연결자(Y,Z)
숫자 * 키: 기본자(.) 아래 연결자(!) 위 연결자(?)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휠을 추가한 하드웨어와 그것을 뒷받침하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핸드폰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신속하게 핸드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i)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우측에 문자창을 갖는 메시시 작성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소정수의 문자가 각각 할당된 다수의 문자 버튼 중 하나의 문자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문자창의 중앙에 기본자, 상부 및 하부에 연결자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기본자, 상기 상부 연결자, 또는 상기 하부 연결자가 원하는 문자인 지에 따라 다음 문자 버튼을 선택하거나 휠을 상하로 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상기 기본자가 원하는 문자인 경우에는 다 음 문자 버튼을 선택하고 상부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는 경우 휠을 위로 돌리고 하부 연결자에 원하는 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휠을 아래로 돌리는 방법.
KR1020060093245A 2006-09-26 2006-09-26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01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45A KR20070001845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245A KR20070001845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53A Division KR20070001302A (ko) 2005-06-29 2005-06-29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45A true KR20070001845A (ko) 2007-01-04

Family

ID=3786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245A KR20070001845A (ko) 2006-09-26 2006-09-26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18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4753S1 (en) 2018-06-1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lf for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4753S1 (en) 2018-06-1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lf for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6356258B1 (en) Keypad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20090265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JP2009169456A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3526171A (ja) 補助キーのストリップをもつ仮想キーボード
WO201008991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3186613A (ja) 文字入力装置
KR20070001845A (ko)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US20060202965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KR20070001302A (ko) 휴대폰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00122379A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6090289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311807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KR20120029562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JP6525082B2 (ja) 電子機器、該電子機器に用いられる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装置
KR101299883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111764A (ko) 그래픽 메뉴바 작동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기록 장치
CA253864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display of disambiguation choices, and associ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