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758B1 - 슈트용 라이너 - Google Patents

슈트용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758B1
KR101298758B1 KR1020110051124A KR20110051124A KR101298758B1 KR 101298758 B1 KR101298758 B1 KR 101298758B1 KR 1020110051124 A KR1020110051124 A KR 1020110051124A KR 20110051124 A KR20110051124 A KR 20110051124A KR 101298758 B1 KR101298758 B1 KR 10129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chute
shelf
fastening
fast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2782A (ko
Inventor
허재석
정종화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7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트용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슈트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부; 및 상기 선반부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고정되는 라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너가 체결돌기부에 결합되되, 슈트의 내측 벽면으로 편중되어 결합되어, 이송물에 의해 라이너가 마모되는 경우 편중 결합되는 부분까지 사용할 수 있고, 인입고정홈부까지 마모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라이너의 교체주기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라이너의 일측 모서리부터 마모가 시작되므로 이에 대해 마모진행을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슈트용 라이너{LINER FOR CHUTE}
본 발명은 슈트용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설비에서 이송물의 낙하에 따른 이송물과 충돌로부터 슈트의 내측을 보호하며 교체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슈트용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등의 광석과 석탄 및 기타 수송물들은 컨베이어 설비들을 통하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설비에서는 수송물의 이송경로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슈트 및 컨베이어 셔틀을 통해 수송물의 연계수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설비는 상측의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수송물을 상측 컨베이어 벨트의 낙하지점에 설치된 슈트를 통하여 하측의 컨베이어에 낙하되어 이송경로가 변경된다. 이러한 슈트는 하측의 컨베이어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수송물이 낙하되는 각각의 슈트에는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측의 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수송물의 통과가 가능하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낙하지점에 설치되어 롤러에 의한 벨트부의 이동에 따라 낙하되는 이송물과 충돌로 인해 마모되는 슈트의 내측 벽면을 보호하고, 이송물과의 접촉에 의해 마모되는 라이너의 교체주기 및 마모진행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슈트용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는 : 슈트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부; 및 상기 선반부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고정되는 라이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부에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결합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라이너의 하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인입되는 인입고정홈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상기 라이너의 일측면에서 반대측면으로 관통되게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돌기부는 'T'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상기 체결돌기부에 슬라이딩 인입가능하게 'T'형상으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라이너의 하측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중되게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이너는 하이망간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부에는 상기 선반부의 하단면과 상기 슈트 내측벽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너가 슈트의 내측 벽면으로 선반부에 돌출 결합되는 체결돌기부에 고정됨으로써, 라이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인입고정홈부가 라이너의 하측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중되게 구비됨으로써, 인입고정홈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때까지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어 라이너의 높은 사용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너가 이송물과 접촉에 의해 마모시, 체결돌기부가 마모되기까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라이너의 교체주기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라이너의 교체주기를 놓쳐 슈트의 내측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너의 일측 모서리부터 마모가 시작되므로 이에 대해 마모진행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너의 설치시 및 교체시에, 라이너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체결돌기부를 인입고정홈부에 끼워 설치하면 됨으로, 한 명의 작업자가 라이너를 교체 및 설치할 수 있어 라이너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가 설치된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인입고정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선반부 및 선반부에 결합되는 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가 선반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에서 라이너의 마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가 설치된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인입고정홈부(3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의 선반부 및 선반부에 결합되는 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가 선반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에서 라이너의 마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100)는 선반부(10)와 체결돌기부(20) 및 라이너(30)를 포함한다.
선반부(10)는 슈트(1)의 내측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설치된다.
체결돌기부(20)는 후술하는 라이너(30)가 장착되도록 선반부(10)의 상단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라이너(30)는 체결돌기부(20)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결합되어 선반부(10)의 상단면에 안착된다. 라이너(30)는 벨트부(2)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A)의 낙하시 이송물(A)의 낙하속도에 따라 슈트(1) 내측 벽면과 충돌하여 발생되는 슈트(1)의 마모 및 손상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라이너(30)는 충돌로 인해 마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0)와 슈트(1) 내측 벽멱 사이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는데, 공간부(S) 상에는 일부 이송물(A)이 쌓인다. 공간부(S)에 쌓여지는 이송물(A)은 슈트(1) 내측 벽면을 감싸게 되므로 낙하되는 이송물(A)로부터 슈트(1) 내측 벽면을 간접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라이너(30)는 선반부(10)에 안착시, 라이너(30) 우측부(도 1 기준)일부분이 선반부(1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이로 인해 이송물(A)이 선반부(10)에 충돌되어 선반부(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10)에는 체결돌기부(20)가 결합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체결부(11)가 구비된다. 또한, 라이너(30)의 하측면에는 체결돌기부(20)가 인입되는 인입고정홈부(31)가 구비된다.
체결부(11)는 선반부(10)를 따라 소정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돌기부(20)가 체결부(11)에서 돌출 결합되어 복수개의 라이너(30)를 고정할 수 있게 구비된다. 그러나 체결부(11)의 개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선반부(10)에 안착되는 라이너(30)의 형상이나 개수에 따라 라이너(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돌기부(20) 및 체결공(12)의 형상이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체결돌기부(20)를 선반부(10)의 상단면으로 돌출 결합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개수나 형상은 다르게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고정홈부(31)는 체결돌기부(20)와 결합되어 라이너(30)를 선반부(10)의 상단면에 안착시킴은 물론 낙하되는 이송물(A)의 속도나 충돌에 의해 라이너(30)가 선반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입고정홈부(31)는 라이너(30)의 일측면에서 반대측면으로 관통되게 구비된다. 이로 인해 인입고정홈부(31)를 체결돌기부(20)의 위치와 대면되게 위치시킨 후, 라이너(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라이너(30)는 체결돌기부(20)에 결합고정되면서, 라이너(30)가 선반부(10)의 상단면에 안착된다.
체결돌기부(20)는 'T'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입고정홈부(31)는 체결돌기부(20)를 슬라이딩 인입 가능하게 'T'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인입고정홈부(31)는 선반부(10)에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2)는 선반부(10)를 지지한다. 지지부(12)의 일단은 선반부(10)의 하단면에 결합되고, 지지부(12)의 타단은 슈트(1) 내측 벽면에 결합되어 선반부(10)를 지지한다. 지지부(12)는 '\'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반부(10)를 지지하거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반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라이너(30) 및 라이너(30) 후측 공간으로 선반부(10) 상에 쌓이는 이송물(A)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0)의 하측면에 관통되는 인입고정홈부(31)는 라이너(30)의 하측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중되게 위치된다.
라이너(30)가 체결돌기부(20)에 체결될 때 인입고정홈부(31)는 슈트(1) 벽면 측으로 편중되도록 위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라이너(30)가 체결돌기부(20)에 편중 결합됨으로써, 라이너(30)가 이송물(A)과 충돌 접촉할 때, 라이너(22) 마모상태가 80% 이상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라이너(30)는 하이망간강(HI-MN)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이망간강은 고망간강이라고도 하며, 가공경화성이 풍부하여 내마모성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라이너(3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이송물(A)의 접촉이나 충격 등의 마찰 시, 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이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라이너(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용 라이너(100)는 벨트부(2)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A)의 낙하에 따른 슈트(1) 내측 벽면과의 접촉이나 충돌 등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슈트(1) 내측 벽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선반부(10)는 슈트(1)의 내측 벽면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선반부(10)는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어, 선반부(10)에 놓이는 복수개의 라이너(30)나, 슈트(1)의 내측면과 라이너(30) 사이에 쌓이게 되는 이송물(A)의 무게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선반부(10)에는 선반부(10) 상하면을 관통하는 체결부(11)가 형성되고, 체결부(11)에 체결돌기부(20)가 인입 체결된다. 이때, 체결돌기부(20)의 상단부는 선반부(10)의 상단면으로 돌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0)의 인입고정홈부(31)가 슈트(1) 내측 벽면 측으로 위치되도록 인입고정홈부(31)와 체결돌기부(20)를 대면시키고, 라이너(3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체결돌기부(20)는 인입고정홈부(31)에 인입되어 라이너(30)가 체결돌기부(20)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0)는 체결돌기부(20)에 결합시 편중 결합됨으로써, 이송물(A)의 낙하에 따른 충돌로 발생되는 라이너(30)의 마모가 라이너(30)의 80%이상 발생할 때까지 라이너(3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0)의 마모에 따라 체결돌기부(20)가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는 라이너(30)를 교체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돌기부(20)가 'T'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맞물려 고정되는 인입고정홈부(31)도 'T'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되어 선반부(10)에 안착되는 라이너(30)를 고정시켜 선반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0)가 선반부(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도 라이너(30)를 안정적으로 선반부(1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슈트용 라이너 1 : 슈트
10 : 선반부 11 : 체결부
12 : 지지부 20 : 체결돌기부
30 : 라이너 31 : 인입고정홈부

Claims (7)

  1. 슈트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선반부;
    상기 선반부의 상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부; 및
    상기 선반부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돌기부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고정되는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의 하측면에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인입되는 인입고정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상기 라이너의 일측면에서 반대측면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상기 라이너의 하측면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에는 상기 체결돌기부가 결합되는 체결홀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라이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부는 'T'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고정홈부는 상기 체결돌기부에 슬라이딩 인입가능하게 'T'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라이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는 하이망간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라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에는 상기 선반부의 하단면과 상기 슈트 내측벽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라이너.
KR1020110051124A 2011-05-30 2011-05-30 슈트용 라이너 KR10129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24A KR101298758B1 (ko) 2011-05-30 2011-05-30 슈트용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124A KR101298758B1 (ko) 2011-05-30 2011-05-30 슈트용 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82A KR20120132782A (ko) 2012-12-10
KR101298758B1 true KR101298758B1 (ko) 2013-08-21

Family

ID=47516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124A KR101298758B1 (ko) 2011-05-30 2011-05-30 슈트용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7633A (zh) * 2014-11-18 2015-04-01 攀钢集团矿业有限公司 一种下料漏斗及皮带机输送系统
KR101606977B1 (ko) 2014-03-27 2016-03-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마모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04B1 (ko) * 2014-04-29 2016-01-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마모 방지장치
KR101603520B1 (ko) * 2014-05-23 2016-03-15 우민기술(주) 원료 이송적재장치
CN110217503A (zh) * 2019-07-10 2019-09-10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运送烧结物料的耐磨料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311U (ko) * 1989-04-19 1990-11-15
JPH0585448U (ja) * 1992-04-17 1993-11-19 呉羽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ライナー
JPH0710234A (ja) * 1993-06-21 1995-01-13 Marushiyou:Kk 均等供給装置
JPH0910613A (ja) * 1995-06-26 1997-01-14 Kureha Elastomer Kk ゴムライナ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7311U (ko) * 1989-04-19 1990-11-15
JPH0585448U (ja) * 1992-04-17 1993-11-19 呉羽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ライナー
JPH0710234A (ja) * 1993-06-21 1995-01-13 Marushiyou:Kk 均等供給装置
JPH0910613A (ja) * 1995-06-26 1997-01-14 Kureha Elastomer Kk ゴムライナ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77B1 (ko) 2014-03-27 2016-03-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마모 방지장치
CN104477633A (zh) * 2014-11-18 2015-04-01 攀钢集团矿业有限公司 一种下料漏斗及皮带机输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782A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58B1 (ko) 슈트용 라이너
KR101387605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100979789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에어 크리너
KR101550059B1 (ko) 이중화 슈트 사이드 스커트 실링 장치
JP5862726B1 (ja) シュート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KR101281379B1 (ko) 운송물 운송장치
KR101606977B1 (ko) 슈트 마모 방지장치
JP5373879B2 (ja) 廃棄物供給装置
KR101291541B1 (ko) 슈트용 라이너
KR10155591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용 임팩트 바 베드 장치
KR101922468B1 (ko) 웨어링 유닛을 이용한 슈트 파공 방지 시스템
KR20150106072A (ko) .슈트용 라이너
KR100988468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에어 크리너
JP2015113226A (ja) ベルトコンベアの乗り継ぎ部シュート装置
KR101586904B1 (ko) 슈트 마모 방지장치
KR1012987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09466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KR200468047Y1 (ko) 롤러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레일 프레임
KR101368935B1 (ko) 연속하역장비
KR20170076049A (ko) 벨트 컨베어의 벨트 삽입형 스커트박스
KR101564376B1 (ko) 석탄 취급 설비의 슈트 하부 사이드 커버부의 개선된 구조를 갖는 웨어 라이너
KR101193835B1 (ko) 슈트 개폐장치
KR101666359B1 (ko) 부착물 생성 방지 기구를 구비한 슈트
KR100648619B1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