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903B1 -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903B1
KR101295903B1 KR1020130029154A KR20130029154A KR101295903B1 KR 101295903 B1 KR101295903 B1 KR 101295903B1 KR 1020130029154 A KR1020130029154 A KR 1020130029154A KR 20130029154 A KR20130029154 A KR 20130029154A KR 101295903 B1 KR101295903 B1 KR 10129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vehicle
working fluid
pipe lin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성
신권철
Original Assignee
김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성 filed Critical 김경성
Priority to KR102013002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신뢰성은 확보되면서도 전체적인 구성을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동유체의 제공을 위한 메인 유압제공부;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트랜스미션의 저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1메인관로 및 상기 트랜스미션의 고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2메인관로; 상기 제1메인관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일부에 대한 유동을 안내하는 분지관로;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작동유체를 상기 두 메인관로 중 어느 한 메인관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방향전환밸브; 상기 분지관로를 통해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2메인관로로 전환시키는 제2방향전환밸브;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유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shift interlock device of transmission for a car}
본 발명은 산업용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차량의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급격한 변속에 따른 역부하 발생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차량이 고속 모드로 주행되는 도중 순간적인 저속 모드로의 변속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이러한 급격한 변속에 따른 역부하에 의해 해당 차량의 구동을 위한 장치에 제공되는 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속도(저속 모드로의 변속이 이루어지더라도 역부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을 정도의 속도)에 이르기까지 상기 시프트 인터락 장치가 고속 모드로 유지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산업용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시프트 인터락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등록특허공보 제10-03086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으며, 이의 개략적인 회로도는 첨부된 도 1과 같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서보펌프(10)의 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유체를 제1관로(21) 및 제2관로(22)를 통해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 혹은,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에 선택적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서보펌프(10)의 작동유체 유출측에는 방향 전환밸브(30)가 구비되어 상기 서보펌프(10)로부터 발생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관로(21) 혹은, 제2관로(22)에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관로(21) 및 제2관로(22)에는 유로 변환밸브(40)와, 복수의 체크밸브(51,52) 및 셔틀 밸브(5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저속주행 상태에서 저속모드로 운전될 경우 상기 서보펌프(10)에서 제공된 작동유체는 상기 방향 전환밸브(30)를 거쳐 제1관로(21)를 따라 유동된 후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23)로 제공되고, 고속주행 상태에서 고속모드로 운전될 경우 상기 서보펌프(10)에서 제공된 작동유체는 상기 방향 전환밸브(30)를 거치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후 제2관로(22)를 따라 유동되어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4)로 제공됨에 따라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고속주행 상태에서 저속모드로의 조작이 발생될 경우에는 윤활유 펌프(60)의 토출 압력에 의해 유로 변환밸브(40)와 셔틀밸브(54)가 동작되면서 상기 제1관로(21)는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4)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여 저속모드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4)로 작동유체가 제공되도록 하고, 만일 상기의 상태에서 주행속도가 떨어져서 저속주행 상태를 이루게 되면 윤활유 펌프(60)의 압력이 떨어짐에 따른 셔틀밸브(54)의 동작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관로(21)를 통해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23)로 작동유체가 제공된다.
반면, 저속주행 상태에서 고속모드로의 조작이 발생될 경우에는 제2관로(22)를 통해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4)로 작동유체가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차량이 고속모드로 고속주행되는 도중 순간적인 저속 모드로의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일정속도 이하로 주행속도가 낮아지기 전까지는 계속 고속모드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급격한 변속에 따른 역부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시프트 인터락(shift interlock)을 위한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이를 위한 많은 구성요소들이 사용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비쌀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신뢰성은 확보되면서도 전체적인 구성을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따르면 작동유체의 제공을 위한 메인 유압제공부;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트랜스미션의 저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1메인관로 및 상기 트랜스미션의 고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2메인관로; 상기 제1메인관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일부에 대한 유동을 안내하는 분지관로;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작동유체를 상기 두 메인관로 중 어느 한 메인관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방향전환밸브; 상기 분지관로를 통해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2메인관로로 전환시키는 제2방향전환밸브;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유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는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폐쇄하고,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상기 주행에 의해 생성된 높은 압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차량의 각 모드별 주행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고속 모드로의 고속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저속 모드로의 변속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일정 속도(저속 주행에 해당되는 속도)까지는 고속 모드로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순간적인 모드 변경에 따른 역부하에 의한 차량구동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시프트 인터락을 위한 구조가 단일 개폐밸브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셔틀밸브나 복수의 체크밸브 등 복수의 밸브를 제공하여 구축한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비해 그 설계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동작 신뢰성의 저하는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대한 각 모드 및 속도별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의 회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크게 메인 유압제공부(100)와, 제1메인관로(210) 및 제2메인관로(220)와, 분지관로(230)와, 제1방향전환밸브(300)와, 제2방향전환밸브(400) 및 개폐밸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작 신뢰성은 확보되면서도 시프트 인터락을 위한 전체적인 구성이 최대한 단순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100)는 차량용 트랜스미션으로 작동유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통상의 서보펌프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메인 유압제공부(100)는 트랜스미션에만 작동유체를 제공하는 구성이 아닌, 차량의 각 작동유체를 필요로 하는 부위에 상기 작동유체를 제공하는 유압펌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메인관로(210) 및 제2메인관로(220)는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100)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트랜스미션의 각 변속용 조작장치(211,221)로 각각 제공하는 관로이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관로(210)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211)로 상기 작동유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메인관로(220)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상기 작동유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지관로(230)는 상기 제1메인관로(210)로부터 분지되도록 형성된 관로로써, 상기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후술될 제2방향전환밸브(400)를 절환시키는데 사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두 메인관로(210,220) 중 어느 한 메인관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밸브이다.
이때,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도 모드가 저속 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제1메인관로(210)에 전달하도록 동작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도 모드가 고속 모드일 경우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제2메인관로(220)에 전달하도록 동작된다.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솔레노이드(320) 및 복원부재(310)에 의해 그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400)는 상기 두 메인관로(210,220) 중 어느 한 메인관로를 통해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을 선택적으로 다른 한 메인관로로 전환시키는 밸브이다.
상기와 같은 제2방향전환밸브(400)는 해당 차량의 고속 주행 중 저속 모드로의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차량이 일정 속도에 이르기까지 고속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메인관로(210)에서 분지된 분지관로(230)를 통해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동작하면서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2메인관로(220)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400)로 그의 동작을 위한 작동유체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밸브(500)는 상기 분지관로(2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이다.
상기한 개폐밸브(500)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유압력 및 그 자체에 제공되는 복원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밸브(500)는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상기 복원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분지관로(230)를 폐쇄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상기 주행에 의해 생성된 높은 압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230)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면부호 520은 상기 개폐밸브(500)로의 유압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되는 유압력을 상기 개폐밸브(500)로 제공하는 유압펌프(이하, “보조 유압제공부”라 함)이다.
또한, 도면부호 240은 상기 제2메인관로(220)로부터 분지되는 분지관로이며, 도면부호 250은 상기 분지관로(240)에 설치되면서 상기 분지관로(240)를 따라 순방향으로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체크밸브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각 속도모드 및 트랜스미션의 주행 상태별로 도시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시된 도 2는 해당 차량이 저속 모드를 이루면서 저속 주행시 작동유체의 흐름 및 각 방향전환밸브(300,400)와 개폐밸브(5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해당 차량이 저속 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 저속 주행될 경우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가 제1메인관로(210)로 유동되도록 그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개폐밸브(500)는 저속 주행으로 인해 고압의 제공을 받지 않으면서 복원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분지관로(230)를 차단하는 최초의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제2방향전환밸브(400) 역시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에 어떠한 관여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는 제1메인관로(210)를 통해 트랜스미션의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211)로 곧장 제공되면서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3은 해당 차량이 고속 모드를 이루면서 고속 주행시 작동유체의 흐름 및 각 방향전환밸브(300,400)와 개폐밸브(5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해당 차량이 고속 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 고속 주행시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솔레노이드(320)에 의해 동작되면서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가 제2메인관로(220)로 유동되도록 그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개폐밸브(500)를 동작시키는 보조 유압제공부(520)는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 상태로 주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높은 압력을 생성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압력의 영향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500)는 분지관로(230)가 개방되도록 동작된다.
하지만, 상기 분지관로(230)가 연결된 제1메인관로(210)로는 작동유체가 유동되지 않음을 고려할 때 상기 분지관로(230)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제2방향전환밸브(400)의 동작을 위한 부위로 작동유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400)는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에 어떠한 관여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는 제2메인관로(220)를 통해 트랜스미션의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곧장 제공되면서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4는 해당 차량이 고속 모드를 이루면서 저속 주행시 작동유체의 흐름 및 각 방향전환밸브(300,400)와 개폐밸브(5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해당 차량이 고속 모드로 조작된 상태에서 저속 주행시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솔레노이드(320)에 의해 동작되면서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가 제2메인관로(220)로 유동되도록 그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개폐밸브(500)는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됨으로 인해 보조 유압제공부(520)로부터 고압의 유압력을 제공받지 않기 때문에 복원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분지관로(230)를 폐쇄한 최초의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제2방향전환밸브(400) 역시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에 어떠한 관여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는 제2메인관로(210)를 통해 트랜스미션의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곧장 제공된다. 물론,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된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고속 모드로의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작동유체가 제공됨으로써 저속 주행에서 고속 주행으로의 주행 속도 증가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는 해당 차량이 저속 모드를 이루면서 고속 주행시 작동유체의 흐름 및 각 방향전환밸브(300,400)와 개폐밸브(5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상태는 고속 모드로 고속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저속 모드로의 변속이 이루어진 상태이며, 상기 운전자가 고속 모드로 고속 주행 상태에서 저속 모드로 순간적인 변속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해당 차량은 관성에 의해 계속해서 고속으로 주행되면서 점차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속 모드로 고속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저속 모드로의 변속이 이루어질 경우 제1방향전환밸브(300)는 메인 압력제공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작동유체가 제1메인관로(210)로 유동되도록 그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개폐밸브(500)를 동작시키는 보조 유압제공부(520)는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 상태로 주행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높은 압력의 유압을 개폐밸브(500)로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밸브(500)는 고속 모드로의 고속 주행시의 상태와 동일하게 분지관로(230)가 개방되도록 동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메인관로(210) 뿐만 아니라 상기 분지관로(230)를 따라서도 유동되며, 이렇게 분지관로(230)를 따라 유동된 작동유체의 유압력에 의해 제2방향전환밸브(400)는 상기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가 제2메인관로(220)로 제공되도록 전환되어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2메인관로(220)를 통해 트랜스미션의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제공되면서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즉, 고속 모드로 고속 주행 상태에서 저속 모드로의 변속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개폐밸브(500) 및 제2방향전환밸브(400)의 동작에 의해 작동유체는 고속 주행을 위한 트랜스미션의 고속 변속용 조작장치(221)로 제공되어 순간적인 역부하에 의한 차량 구동장치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어 저속 주행 속도를 이루게 되면 보조 유압제공부(520)를 통해 생성되는 압력이 낮아지면서 개폐밸브(500)가 복원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로 인해 분지관로(230)는 차단된 상태를 이루면서 제2방향전환밸브(400)로 제공되는 작동유체의 공급을 중단함에 따라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400)는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되는 관로는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400)를 통과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제1메인관로(210)를 따라 유동하면서 트랜스미션의 저속 변속용 조작장치(211)로 제공되어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 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는 차량의 각 모드별 주행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고속 모드로의 고속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에 의한 저속 모드로의 변속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일정 속도(저속 주행에 해당되는 속도)까지는 고속 모드로 유지시켜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순간적인 모드 변경에 따른 역부하에 의한 차량구동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시프트 인터락을 위한 구조가 단일 개폐밸브의 추가적 제공을 통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셔틀밸브나 복수의 체크밸브 등 복수의 밸브를 제공하여 구축한 시프트 인터락 장치에 비해 그 설계가 용이하고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 메인 유압제공부 210. 제1메인관로
220. 제2메인관로 230. 분지관로
300. 제1방향제어밸브 320. 솔레노이드
400. 제2방향제어밸브 500. 개폐밸브
520. 보조 유압제공부 310,410,510. 복원부재

Claims (2)

  1. 작동유체의 제공을 위한 메인 유압제공부;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작동유체를 제공받아 트랜스미션의 저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1메인관로 및 상기 트랜스미션의 고속 주행 동작을 위한 관로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제2메인관로;
    상기 제1메인관로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일부에 대한 유동을 안내하는 분지관로;
    상기 메인 유압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작동유체를 상기 두 메인관로 중 어느 한 메인관로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1방향전환밸브;
    상기 분지관로를 통해 유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제1메인관로를 따라 유동되는 작동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2메인관로로 전환시키는 제2방향전환밸브;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유압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해당 차량이 저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원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폐쇄하고,
    해당 차량이 고속 주행에 해당되는 주행속도로의 주행시에는 상기 주행에 의해 생성된 높은 압력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분지관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KR1020130029154A 2013-03-19 2013-03-19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KR10129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154A KR101295903B1 (ko) 2013-03-19 2013-03-19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154A KR101295903B1 (ko) 2013-03-19 2013-03-19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903B1 true KR101295903B1 (ko) 2013-08-12

Family

ID=49220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154A KR101295903B1 (ko) 2013-03-19 2013-03-19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961U (ko) * 1985-03-07 1986-09-13
JPH07259978A (ja) * 1994-03-24 1995-10-13 Iseki & Co Ltd トラクタ等のリバ−スコントロ−ルバルブ
JPH09190233A (ja) * 1996-01-10 1997-07-22 Kawasaki Heavy Ind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液圧制御機構
JP2005140215A (ja) 2003-11-05 2005-06-02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8961U (ko) * 1985-03-07 1986-09-13
JPH07259978A (ja) * 1994-03-24 1995-10-13 Iseki & Co Ltd トラクタ等のリバ−スコントロ−ルバルブ
JPH09190233A (ja) * 1996-01-10 1997-07-22 Kawasaki Heavy Ind Ltd 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液圧制御機構
JP2005140215A (ja) 2003-11-05 2005-06-02 Aisin Aw Co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3689B2 (ja) 走行直進用油圧回路
KR101783566B1 (ko) 건설 기계의 다연 방향 전환 밸브
JP6004900B2 (ja) パワーショベルの流体圧制御装置
KR102026550B1 (ko) 유체압 제어 장치
KR101652612B1 (ko) 하이브리드 건설 기계
KR101295903B1 (ko)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시프트 인터락 장치
KR20140109884A (ko) 건설기계의 주행 제어시스템
KR101844170B1 (ko) 건설 기계의 유체압 제어 장치
JP6145386B2 (ja) 建設機械の流体圧制御装置
KR101728596B1 (ko) 파워 셔블의 제어 밸브 장치
WO2014073551A1 (ja) パワーショベルの流体圧制御装置
KR10120520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JP4229872B2 (ja) 油圧制御装置
KR101524380B1 (ko)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101937787B1 (ko) 건설기계의 주행 시스템
JP4020878B2 (ja) 油圧制御装置
KR101756558B1 (ko)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JP3957664B2 (ja) 油圧制御装置
KR20100010367A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시스템
JPS60123629A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KR20000021957A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JP2008286264A (ja) 油圧制御装置
KR100518748B1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JP5036486B2 (ja) 油圧回路および建設機械用油圧制御装置
KR100892698B1 (ko) 무단 변속기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