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976B1 - 도금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976B1
KR101294976B1 KR1020100120823A KR20100120823A KR101294976B1 KR 101294976 B1 KR101294976 B1 KR 101294976B1 KR 1020100120823 A KR1020100120823 A KR 1020100120823A KR 20100120823 A KR20100120823 A KR 20100120823A KR 101294976 B1 KR101294976 B1 KR 10129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material
plating
bracket
material input
plating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180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9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D21/14Controlled addition of electrolyte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1In horizonta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금용액탱크로의 도금재 투입시 스크린망의 손상 및 도금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는 도금용액이 수용된 도금용액탱크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된 탱크커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안착된 도금재가 낙하가능토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유도부; 및 도금용액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도금재 투입유도부와 연계되어 도금재가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투입되도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구동부를 포함하고,
도금재 투입유도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도금재가 위치되도록 형성된 브라켓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브라켓부에 연계되어, 도금재가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낙하되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 및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에 연계되어, 브라켓부의 승하강운동에 따라 가이딩플레이트의 이동을 유도토록 제공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도금재 투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PLATED MATERIAL}
본 발명은 도금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금용액탱크로의 도금재 투입시 스크린망의 손상 및 도금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코일 표면에 도금작업을 함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로셀(A)에서 아연(Zn)도금 또는 아연-니켈(Zn-Ni) 합금 도금을 하고, 수평셀(B)에서 아연(ZN)도금을 통상적으로 하고 있다.
이중, 수평셀((LCC-H; Lquid Cushion Cell-Horozontal) 타입의 전기도금 라인공정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황산욕 도금용액을 수용한 수평셀탱크(31), 1500~2000mm이며 전류밀도 약200A/dm, 도금 셀당 전류 50KA로 고전류밀도 조업가능하게 제공된 불용성 도금아노드(32), 수평셀탱크(31)로 도금용액을 공급토록 제공된 용액공급관(33)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셀탱크(31)를 통과하는 강판(30a)에 아연(Zn) 도금 코팅 작업이 발생되면 시간이 경과할수록 수평셀탱크 내의 도금용액 중 Zn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셀탱크(31)의 도금용액(4)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이 진행된다.
도 1b에 도시된 공정은 용액공급펌프(13)와 용액공급배관(14) 이용하여 용액공급탱크(12) 내의 용액을 도금용액믹싱탱크(7)로 이송하는 과정이 일차적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도금용액믹싱탱크(7) 내부로 투입된 징크바(1)는 도금용액믹싱탱크(7) 내의 농도가 높은 황산용액 성분에 의해 용해되어 도금용액의 농도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도금용액믹싱탱크(7) 내부로 징크바(1)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에는 징크바공급박스(2)를 와이어(3)를 통해 호이스트(10)에 걸어, 도금용액믹싱탱크(7) 상부로 이동시킨 후, 징크바(1)를 스크린망(5) 상부에 막바로 투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정은 스크린망(5) 상부에 징크바공급박스(2)내 징크바(1)를 곧바로 낙하시키므로써 장기간 동일한 작업에 따른 스크린망(5)의 잦은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수리작업에 따른 라인 정지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며 정비비가 상승하며 작업자 안전사고 발생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더불어, 징크바(1)가 도금용액믹싱탱크(7)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도금용액(40)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금용액탱크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재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재를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안정적으로 투입시킴으로써 도금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재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는 도금용액이 수용된 도금용액탱크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된 탱크커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안착된 도금재가 낙하가능토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유도부; 및 도금용액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도금재 투입유도부와 연계되어 도금재가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투입되도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구동부를 포함하고,
도금재 투입유도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도금재가 위치되도록 형성된 브라켓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브라켓부에 연계되어, 도금재가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낙하되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 및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에 연계되어, 브라켓부의 승하강운동에 따라 가이딩플레이트의 이동을 유도토록 제공된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부는 하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단에 한쌍의 와이어걸림고리가 구비며, 개구를 통해 가이딩플레이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토록 연계되되,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 1 브라켓; 및 한쌍의 제 1 브라켓을 연계토록 제공된 제 2 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수단은 상부가 제 1 브라켓에 연계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작동유도유닛; 및 작동유도유닛의 하부에 연계되어, 브라켓부의 승하강시 가이딩플레이트가 움직이도록 제공된 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유도유닛은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하우징; 상단이 실린더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실린더로드축; 및 실린더로드축의 상부에 삽입되어, 브라켓부의 승하강시 탄성력에 의해 나사산에 연계된 제 1 피니언기어가 작동되도록 제공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유닛은 제 1 피니언기어에 삽입되어, 제 1 피니언기어가 회전토록 제공된 제 1 축수부; 제 1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제 1 피니언기어의 회전시 회전토록 제공된 제 1 기어; 제 1 축수부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 2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제 1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제공된 제 2 기어; 및 제 2 축수부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 3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제 2 기어와 기어결합되고, 가이딩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산에 랙기어결합된 제 2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금재 투입구동부는 도금용액탱크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된 승강구동실린더; 승강구동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며, 상단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플레이트가 구비된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 및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에 삽입되어, 도금재 투입유도부에 안착된 도금재를 지지가능토록 제공된 제 2 돌출플레이트를 구비한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금용액탱크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재를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안정적으로 투입시킴으로써 도금용액을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망의 수리작업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작업에 따른 라인 정지에 따른 생산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a는 전기도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 및 도금재 투입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유도부에 대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도금재 투입장치의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도금재의 투입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100)는 도금용액(4)이 수용된 도금용액탱크(110), 도금용액탱크(110)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된 탱크커버(111), 도금용액탱크(110) 내부에 설치된 스크린망(115), 탱크커버(111) 상에 위치된 도금재 투입유도부(120), 및 도금용액탱크(110)를 관통하여 도금재 투입유도부(120)에 연계된 도금재 투입구동부(1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금용액(4)으로는 아연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금재(1)로는 징크바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커버(111)에는 도금재(1)가 투입되는 도금재 투입개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도금재 투입개구(112)는 도금재(1)의 형상에 따라 가변가능하나, 일반적으로 도금재(1)가 사각바 형상을 가지므로, 사각형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탱크커버(111)의 표면에는 도금재 투입개구(112)의 인접한 위치에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는 탱크커버(111)와 마찬가지로 도금재(1)가 투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 상에는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위치된다.
한편, 도금용액탱크(110) 내부에는 도금용액탱크(110) 내부로 투입된 도금재(1)가 도금용액탱크(110) 하부까지 내려가지 않도록 제공된 스크린망(115)이 설치된다. 스크린망115)의 하단에는 도금용액(4)이 용이하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량흐름구멍(116)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금재 투입유도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금재 투입유도부(120)는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안착된 도금재(1)가 낙하가능토록 작동되어, 탱크커버(111)에 형성된 도금재 투입개구(112)를 통해 도금용액탱크(110) 내로 투입되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유도부(120)는 브라켓부(130),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140) 및 작동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부(13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쌍의 제 1 브라켓(131)과, 상기 제 1 브라켓(131)에 연결된 한쌍의 제 2 브라켓(133)으로 이루어진, 내부가 중공된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제 1 브라켓(131)에는 후술할 가이딩플레이트(140)가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브라켓(131)에 형성된 개구를 제 1 브라켓개구(132)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브라켓개구(132)에는 후술할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브라켓(131)의 상단에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 한쌍의 와이어걸림고리(135)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와이어걸림고리(135)는 호이스트(10)에 연결된 와이어(3)가 걸리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130)는 와이어(3)에 의해, 호이스트(10)의 작동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쌍의 제 1 브라켓(131)은 상호 간에 후술할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140) 상에 적층되는 도금재(1)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 1 브라켓(131)은 한쌍의 제 2 브라켓(133)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부(130)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 단면을 가지며, 하부에 후술할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설치된다. 이에, 브라켓부(130)는 가이드플레이트(140)에 의해 중공된 내부가 차단되어 브라켓부(130)의 내부에 도금재(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이딩플레이트(140)와 작동수단(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제 1 브라켓개구(132)를 통해 제 1 브라켓(131)에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제 1 브라켓개구(132)를 통과하는 부분의 상부 표면에 플레이트나사산(14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딩플레이트(140) 표면에 형성된 플레이트나사산(141)에는 후술할 제 2 피니언기어(177)가 랙기어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제 2 피니언기어(177)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제 2 피니언기어(177)를 통해, 작동수단(150)에 연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작동수단(150)의 작동에 따른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시, 제 2 브라켓(133)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수단(150)은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140)에 연계되어, 호이스트(10)에 의한 브라켓부(130)의 승하강운동에 따라 작동되어, 가이딩플레이트(140)의 좌우이동을 유도토록 제공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수단(150)은 한쌍의 제 1 브라켓(13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총 4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수단(150)은 상부가 제 1 브라켓(131)에 연계되고, 내부에 탄성부재(164)가 구비된 작동유도유닛(160)과, 작동유도유닛(160)의 하부에 연계되어, 브라켓부(130)의 승하강시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움직이도록 제공된 작동유닛(17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수단(150)은 작동유도유닛(160)이 호이스트(10)에 의한 브라켓부(130)의 하강시 작동되어, 후술할 작동유도유닛(160)의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이 상부로 밀려 올라도록 작동되고, 작동유도유닛(160)에 연계된 작동유닛(170)이 작동됨으로써 최종적으로 가이딩플레이트(140)의 움직임을 유도토록 제공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도유닛(160)은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하우징(161), 실린더하우징(161)에 삽입되도록 위치된 제 1 및 제 2 실린더로드축(162a, 162b),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에 삽입된 탄성부재(164),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을 실린더하우징(16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65), 실린더하우징(161)과 제 1 브라켓(131)을 연계하는 제 1 연계프레임(167), 및 실린더하우징(161)과 작동유닛(170)을 연계하는 제 2 연계프레임(16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하우징(161)은 제 1 브라켓(13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되, 제 1 연계프레임(167)에 의해 제 1 브라켓(131)에 연계된다. 제 1 연계프레임(167)은 일단이 제 1 브라켓(131)이 볼트결합되고, 타단이 실린더하우징(161)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하우징(161)은 제 2 연계프레임(169)에 의해, 후술할 작동유닛(170)의 제 1 축수부(171)와 연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연계프레임(169)의 일단은 실린더하우징(161)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며, 제 2 연계프레임(169)의 타단은 제 1 축수부(171)에 연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린더하우징(161)은 내부에 실린더로드축이 삽입되어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재(165)에 실린더하우징(161)의 상단에 고정된 실린더로드축을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이라 지칭하고,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가진 실린더로드축을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의 외면에는 탄성부재(164)가 삽입된다. 탄성부재(164)는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받침대(5)에 놓여졌을 때, 탄성에 의해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을 밀어줌으로써,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하부표면에 형성된 로드사각가이드플레이트(163)(162c), 제 1 피니언기어(172), 제 1 기어(173), 제 2 기어(175), 제 2 피니언기어(177), 마지막으로 플레이트나사산(141)의 위치가 홈위치(도 6a에 도시)에 오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64)는 제 1 피니언기어(172), 제 1 기어(173), 제 2 기어(175), 및 제 2 피니언기어(177)의 작동시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이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을 따라 실린더하우징(161)의 상부로 밀려 올라감에 따라 수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은 상단이 실린더하우징(161) 내부에 위치되어 제 1 실린더로드축(162a)에 연계되고, 하단이 실린더하우징(161)의 외부에 위치되어 바닥에 닫도록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하부에는 제 1 피니언기어(172)와 랙기어결합되도록 하는 로드축나사산(162c)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로드축나사산(162c)은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린더하우징(161)과 제 2 실린더로드축(16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꾸기 위한 사각가이드플레이트(163)가 삽입된다. 사각가이드플레이트(163)의 형상은 실린더하우징(16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형상에 따라 가변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가이드플레이트(163)이 설치된 실린더하우징(161)의 하단을 이중으로 폐쇄하기 위한 하우징커버(168)가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커버(168)의 형상 및 실린더하우징(161)과 하우징커버(168)와의 결합방식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작동수단(150)의 작동유닛(1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닛(170)은 상술한 작동유도유닛(160)의 제 2 연계프레임(169)에 연계된 제 1 축수부(171), 제 1 피니언기어(172), 제 1 기어(173), 제 2 축수부(174), 제 2 기어(175), 제 3 축수부(176), 및 제 2 피니언기어(17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축수부(171)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 작동유도유닛(16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1 축수부(171)는 제 1 회전축(171a)과, 제 1 회전축(171a)의 양단에 위치되어 제 2 연계플레이트(169)에 고정된 제 1 베어링(171b)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회전축(171a)에는 제 1 피니언기어(172)와, 제 2 축수부(174)에 설치된 제 2 기어(175)와 기어결합되는 제 1 기어(173)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피니언기어(172)는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로드축나사산(162c)과 랙기어결합되는 기어로서, 로드축나사산(162c)과 맞물려 접촉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기어(17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전축(174a)에 설치된 제 2 기어(175)와 기어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어(173)는 제 1 피니언기어(172)가 로드축나사산(162c)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 1 회전축(171a)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된다.
다음으로, 제 2 축수부(174)는 제 1 축수부(17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축수부(174)는 제 2 기어(175)가 설치된 제 2 회전축(174a)과, 제 2 회전축(174a)이 회전가능토록 하는 제 2 베어링(17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기어(175)는 제 1 기어(173)와 기어결합되어, 제 1 회전축(171a)이 회전함에 따라 제 1 기어(17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 2 회전축(174a)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축수부(176)는 제 2 축수부(174)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축수부(176)는 제 2 피니언기어(177)가 설치된 제 3 회전축(176a)과, 제 3 회전축(176a)이 회전가능도록 하는 제 3 베어링(176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2 피니언기어(177)는 제 2 기어(175)와 기어결합되고, 가이딩플레이트(140)에 형성된 플레이트나사산(141)과 랙기어결합된다. 제 2 피니언기어(177)는 제 2 기어(175)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플레이트나사산(141)을 통해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직선운동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호이스트(10)에 의한 브라켓부(130)의 승하강시 제 1 피니언기어(172)가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가이딩플레이트(140)는 제 1 및 제 2 기어(173, 175)와 제 2 피니언기어(177)가 제 1 피니언기어(172)에 연동되어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금재 투입구동부(18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재 투입구동부(180)는 도금재 투입구동부(180)는 도금용액탱크(110)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된 승강구동실린더(181), 승강구동실린더(181)에 삽입되어 승강운동가능토록 제공된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 및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에 삽입되어 승강운동가능토록 제공된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구동실린더(181)는 하단이 도금용액탱크(110) 외부에 위치되고, 상단이 도금용액탱크(110)의 스크린망(115)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승강구동실린더(181)에는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와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가 삽입된다.
이때,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의 직경은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의 직경보다 큰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플레이트(184)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돌출플레이트(184)는 후술할 제 2 돌출플레이트(186)와 함께, 도금재(1)를 지지하여 도금재(1)를 도금용액탱크(110) 안으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다음으로,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는 상술했던 바와 같이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는 상단에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직경을 가진 제 2 돌출플레이트(186)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1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받침대(5)에 놓여진 상태에서, 도금재(1)가 가이딩플레이트(140) 상에 적층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받침대(5)에 놓여진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재 투입유도부(120) 내부에 도금재(1)의 적층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제 1 브라켓(131) 상에 구비된 와이어걸림고리(135)에 연결된 와이어(3)가 호이스트(10)의 후크(20)에 걸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재(1)가 적층된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호이스트(10)에 의해 받침대(5)로부터 상승이동된다.
다음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10)에 의해 이송된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 상에 도금재 투입유도부(120)가 안착되고, 제 1 및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가 승강구동실린더(181)로부터 상부로 이동되고, 이중 제 2 승강구동실린더(181)의 제 2 돌출플레이트(186)가 도금재(1)를 받친다.
다음으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승강구동실린더(181)의 제 2 돌출플레이트(186)가 도금재(1)를 받친 상태에서, 호이스트(10)가 서서히 도금재 투입유도부(120)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브라켓부(130)가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 상에 안착된다.
브라켓부(130)가 도금재 투입플레이트(118) 상에 안착되면,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이 탄성부재(164)를 밀면서 실린더하우징(161)의 상부로 이동되며, 이때, 제 2 실린더로드축(162b)의 로드축나사산(162c)에 랙기어결합된 제 1 피니언기어(172)가 로드축나사산(162c)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 1 피니언기어(17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1 피니언기어(172)가 설치된 제 1 회전축(171a)이 회전하고, 제 1 회전축(171a)이 회전됨에 따라 제 1 회전축(171a)에 설치된 제 1 기어(173)도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 1 기어(173)와 기어결합된 제 2 기어(175), 그리고 제 2 기어(175)에 기어결합된 제 2 피니언기어(177), 마지막으로 제 2 피니언기어(177)와 랙기어결합된 플레이트나사산(141)이 이동하게 되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플레이트(140)가 위치된다.
이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가 하강운동하여, 제 2 돌출플레이트(186)가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3)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 2 돌출플레이트(186)는 제 1 돌출플레이트(184)와 함께 도금재(1)를 지지한다.
마지막으로,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185)가 함께 하강운동하여, 도금재(1)를 도금용액탱크(11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금재(1)는 도금용액탱크(110) 내의 스크린망(11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금용액탱크(110) 내의 도금용액(4)의 황산성분에 의해 도금재(1)가 용해되는 작용이 발생한다. 이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도금재(1)가 모두 도금용액(4)에 용해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어, 연속적으로 도금용액탱크(110) 내의 도금용액(4)의 아연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재 투입장치(100)는 도금재(1)가 서서히 도금용액탱크(11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망(11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도금재(1)가 도금용액탱크(110)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금용액(4)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도금재 투입장치 110: 도금용액탱크
120: 도금재 투입유도부 130: 브라켓부
140: 가이딩플레이트 150: 작동수단
160: 작동유도유닛 170: 작동유닛
180: 도금재 투입구동부

Claims (7)

  1. 삭제
  2. 도금용액이 수용된 도금용액탱크의 상부를 덮도록 제공된 탱크커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안착된 도금재가 낙하가능토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유도부; 및
    상기 도금용액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도금재 투입유도부와 연계되어 상기 도금재가 상기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투입되도록 작동되는 도금재 투입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금재 투입유도부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도금재가 위치되도록 형성된 브라켓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부에 연계되어, 상기 도금재가 상기 도금용액탱크 내부로 낙하되도록 작동되는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가이딩플레이트에 연계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승하강운동에 따라 상기 가이딩플레이트의 이동을 유도토록 제공된 작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하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단에 한쌍의 와이어걸림고리가 구비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가이딩플레이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토록 연계되되,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쌍의 제 1 브라켓; 및
    상기 한쌍의 제 1 브라켓을 연계토록 제공된 제 2 브라켓;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부가 상기 제 1 브라켓에 연계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작동유도유닛; 및
    상기 작동유도유닛의 하부에 연계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승하강시 상기 가이딩플레이트가 움직이도록 제공된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도유닛은
    내부가 중공된 실린더하우징;
    상단이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고정되고,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실린더로드축; 및
    상기 실린더로드축의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부의 승하강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나사산에 연계된 제 1 피니언기어가 작동되도록 제공된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기어가 회전토록 제공된 제 1 축수부;
    상기 제 1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의 회전시 회전토록 제공된 제 1 기어;
    상기 제 1 축수부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 2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제공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축수부와 이격되어 위치된 제 3 축수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기어와 기어결합되고, 상기 가이딩플레이트에 형성된 나사산에 랙기어결합된 제 2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재 투입구동부는
    상기 도금용액탱크 내부를 관통하여 위치된 승강구동실린더;
    상기 승강구동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지며, 상단 테두리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돌출플레이트가 구비된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 및
    상기 제 1 승강구동실린더로드에 삽입되어, 상기 도금재 투입유도부에 안착된 도금재를 지지가능토록 제공된 제 2 돌출플레이트를 구비한 제 2 승강구동실린더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재 투입장치.
KR1020100120823A 2010-11-30 2010-11-30 도금재 투입장치 KR10129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23A KR101294976B1 (ko) 2010-11-30 2010-11-30 도금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23A KR101294976B1 (ko) 2010-11-30 2010-11-30 도금재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80A KR20120059180A (ko) 2012-06-08
KR101294976B1 true KR101294976B1 (ko) 2013-08-08

Family

ID=4661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823A KR101294976B1 (ko) 2010-11-30 2010-11-30 도금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257Y1 (ko) * 2016-10-20 2017-04-19 홍승환 도금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016A (ja) * 1993-03-25 1994-10-04 Kobe Steel Ltd 連続真空蒸着めっきにおけるめっき原料供給装置
JPH07247117A (ja) * 1993-11-27 1995-09-26 Sms Schloeman Siemag Ag 酸性の電解質の液体により亜鉛を溶解するための装置
KR19980017543U (ko)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20030049948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공정의 염화칼륨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0016A (ja) * 1993-03-25 1994-10-04 Kobe Steel Ltd 連続真空蒸着めっきにおけるめっき原料供給装置
JPH07247117A (ja) * 1993-11-27 1995-09-26 Sms Schloeman Siemag Ag 酸性の電解質の液体により亜鉛を溶解するための装置
KR19980017543U (ko)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20030049948A (ko) * 2001-12-17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공정의 염화칼륨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80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2516B (zh) 一种液体浸没式冷却机柜
CN210508329U (zh) 一种拼接式室内外可延展型建筑脚手架
KR101294976B1 (ko) 도금재 투입장치
KR100917231B1 (ko) 원형관의 내주면 직선홈 가공기
CN106392549B (zh) 电磁阀隔磁组件装配机的旋转伸缩装置
CA2529655C (en) Lifting construction method and raising/lowering equipment of boiler module
CN104723459B (zh) 一种混凝土预制板材生产线用模具组装与拆卸装置
CN1145174C (zh) 用于吊装核反应堆芯的装载装置及方法
CN212243922U (zh) 立体组合过流系统切换装置
CN210986791U (zh) 一种液体浸没式冷却机柜
CN112727237B (zh) 一种建筑工程现场施工安全管理系统
CN109628972B (zh) 活塞环电镀生产线的自动上下料及储料机构
US20150013413A1 (en) Water Jet Peening Apparatus and Water Jet Peening Method
KR101012475B1 (ko) 래크기어 및 이에 의한 수문승강장치
CN211256143U (zh) 一种电镀产品生产系统
CN208120673U (zh) 一种线盘支撑装置
CN202519331U (zh) 一种白炽灯灯壳镀层的加工装置
DE102011003462B3 (de) Vorrichtung zum Ziehen eines Brennelementes aus einem Kern eines Kernreaktors
KR20110034962A (ko)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수문낙하 방지장치
CN108639926B (zh) 乏燃料水池扩容用旧格架翻转方法
CN109573787B (zh) 一种真空精密铸造炉用提升装置及其控制方法
JP2013096156A (ja) 多重式選択取水装置の扉体の点検方法
CN207090891U (zh) 物料箱提升省力装置和上料移料设备
KR101778467B1 (ko) 도금욕 온도측정장치
CN208072223U (zh) T梁自落式钢绞线穿束简易台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