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717B1 -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717B1
KR101293717B1 KR1020130032840A KR20130032840A KR101293717B1 KR 101293717 B1 KR101293717 B1 KR 101293717B1 KR 1020130032840 A KR1020130032840 A KR 1020130032840A KR 20130032840 A KR20130032840 A KR 20130032840A KR 101293717 B1 KR101293717 B1 KR 10129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imeters
range
length
horizontal
fum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방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오기석
김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오기석, 김도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3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흄관과 철개 프레임 사이에서 노면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철개 프레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주변의 토사 유입을 차단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용 흄관의 상측 일부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디긋자 형상을 하는 흙막이 받침대부와 흄관 외측면의 곡률과 같은 곡면 형상을 하며 일측면이 흙막이 받침대부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흙막이 날개부 및 흙막이 받침대부와 흄관의 상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흙막이 받침대부가 흄관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블록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Apparatus of manhole cover hight for adjustmenting}
본 발명은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흄관과 철개 프레임 사이에서 노면과 일치하게 설치되는 철개 프레임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주변의 토사 유입을 차단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의 지하에는 상수관, 하수관,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의 각종 시설물이 지하관로를 통하여 설치되거나 토사 속에 매설되고 이러한 지하 시설물은 시간이 지나거나 각종 환경 변환에 의하여 유지, 보수, 재배치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유지 보수 등을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맨홀이 일정하게 설치된다.
맨홀은 지하 시설물의 윗부분에 원형 또는 사각형상의 중공을 형성하는 흄관을 일정 높이로 설치하며 흄관의 상부에는 맨홀프레임이 설치되고 맨홀프레임의 상부는 맨홀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철개가 설치된다.
맨홀철개는 도로면의 높이 및 기울기와 일치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높이조절 구성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맨홀용 흄관은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되어 지하에 고정상태로 설치되고 도로의 높낮이는 해당 주변의 지형에 따라 변하는 동시에 도로공사 등으로도 변하므로 흄관과 맨홀프레임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간격을 통하여 주변의 토사, 오폐수 등이 흄관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특허출원 제10-2005-0065822호(2005.07.20.)에 의한 “제수변용 철개 고정장치”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철개 높이 조절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공사 된 지하의 바닥을 잡석 또는 기초콘크리트 등으로 평탄하게 조정하고 배관 및 제수변(2) 등을 설치하며 배관의 주변에 일정한 높이로 벽돌을 설치한다.
설치된 벽돌 위에 흄관(3)을 설치하고 흄관(3)의 상부 일 측이 표출되도록 콘크리트박스(1)를 설치하며 표출된 흄관(3)의 상부에 철개(4)를 안착한 후 철개의 외측부분과 콘크리트박스(1)의 내측 공간을 몰탈(5)로 채워 흄관을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주변지형에 따라 높이와 기울기가 상이하거나 지형변화에 의하여 노면 또는 도로면의 높이가 크게 변하는 경우 철개(4)와 흄관(3) 사이에 간격 조절 작업이 어려우며 크게 벌어지는 간격에 의하여 토사 또는 오폐수 등의 이물질이 흄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하시설물 위에 설치된 흄관과 철개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65822호(2005.07.20.) “제수변용 철개 고정장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흄관이 설치된 노면 또는 도로면의 높낮이 차이와 경사도에 일치되도록 철개를 설치하는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 또는 도로면의 노후화에 의한 재포장 시에 철개의 재시공이 간편하며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주변의 토사, 오폐수 등이 흄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개 등의 하중에 의하여 흄관이 부분적으로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개의 높낮이 조정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맨홀 내부 작업자의 안전한 출입을 보호하는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는 맨홀용 흄관의 상측 일부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디긋자 형상을 하는 흙막이 받침대부; 상기 흄관 외측면의 곡률과 같은 곡면 형상을 하며 일 측면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흙막이 날개부; 및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와 상기 흄관의 상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블록부; 를 포함하되,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는 상기 흄관의 외측면 일부와 접촉하며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수직부; 상기 제 1 수직부의 외측면 가로방향 길이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1 개 이상의 다수가 설치되는 고정나사부; 상기 제 1 수직부의 상측단에 일 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수직부의 가로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로 연결되며 5.5 내지 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흄관의 상측 일부에 얹혀지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 내경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는 수평너트부; 상기 수평너트부의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숫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수평너트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고 15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 볼트;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나사결합 풀림을 방지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관통된 홀이 형성된 와샤부; 상기 와샤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나사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며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유지너트; 상기 수평부의 타측단에 일 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직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흄관의 내측 일부와 접촉하며 상기 흄관에 고정 설치되고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수직부; 상기 제 2 수직부의 하단 일 측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부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 내경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는 수직너트부; 상기 수직너트부의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수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수직너트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에 설치된 상태를 고정시키고 3 내지 5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설치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날개부는 상기 제 1 수직부의 가로방향 길이에 1.2 내지 1.5 배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상기 고정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나사 관통공; 상기 밀착부의 폭방향 일 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 측 끝단을 연결하며 1.6 내지 3.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턱부; 상기 제 1 턱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턱부를 중심으로 상기 밀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30 내지 3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면서 상기 흄관의 외경 곡률과 같은 곡률을 형성하는 제 1 날개부; 상기 밀착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 측 끝단을 연결하며 1.6 내지 3.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턱부; 상기 제 2 턱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턱부를 중심으로 상기 밀착부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30 내지 3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면서 상기 흄관의 외경 곡률과 같은 곡률을 형성하는 제 2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블록부는 가로방향으로 4.5 내지 6.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를 형성하고 세로방향으로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를 형성하며 가로방향의 어느 한쪽이 영어 알파벳의 유(U)자 형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의 수평부 하단에 삽입되면서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수용하고 3 센티미터, 2 센티미터, 1 센티미터, 0.5 센티미터 길이의 높이를 오차 범위 10 % 이내로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4 끼움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흄관은 오차 범위 10 % 이내의 내부 지름이 80 센티미터이며 두께는 5 센티미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노면 또는 도로면의 높낮이 차이와 경사도에 일치되도록 철개를 설치하면서 주변의 토사 또는 오폐수가 흄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 또는 도로의 노후화에 의한 재포장 시에 철개의 재시공이 신속하고 간편하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개 등의 하중이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흄관의 상측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맨홀 내부의 작업자가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출입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철개 높이 조절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흙막이 받침대부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흙막이 날개부의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높이조절블록부의 기능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설치방법의 순서도,
그리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의 조립 및 사용상태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지면, 노면, 도로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문맥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조정과 조절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며 문맥에 따라 이해하기 쉽도록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흙막이 받침대부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흙막이 날개부의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높이조절블록부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900)는 흄관(8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흙막이 받침대부(100), 흙막이 날개부(200), 높이조절블록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흄관(800)은 철근이 포함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며 원통 형상을 하고 내부 지름이 800 밀리미터(mm), 오차범위 10 % 이내이고 두께는 5 센티미터(cm)이며 오차범위는 10 % 이내가 일반적이다.
흙막이 받침대부(100)는 맨홀용 흄관(800)의 상측 일부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안착되어 상기 흄관(800)에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디긋자(ㄷ) 형상을 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1100), 고정나사부(1200), 수평부(1300), 수평너트부(1400), 높이조절 볼트(1500), 와샤부(1600), 결합유지너트(1700), 제 2 수직부(1800), 수직너트부(1900), 고정설치볼트(15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수직부(1100)는 흄관(800)의 외측면 일부와 접촉하며 5 내지 7 센티미터(cm)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5 센티미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수직부(1100)는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며 15 센티미터가 바람직하다.
고정나사부(1200)는 제 1 수직부(1100)의 외측면 가로방향 길이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1 개 이상의 다수가 설치되며 2 개 설치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하다.
수평부(1300)는 흄관(800)의 상측 일부에 직접 얹혀지는 것으로 제 1 수직부(1100)의 상측단에 그 일 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제 1 수직부(1100)의 가로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로 연결되며 5.5 내지 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수평너트부(1400)는 수평부(1300)의 가로와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수평부(1300)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1410)의 내경에는 암 나사산이 형성된다.
높이조절볼트(1500)는 수평부(1300)가 흄관(8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수평너트부(1400)의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숫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한다.
즉, 높이조절볼트(1500)는 수평너트부(1400)와 나사결합하여 흙막이 받침대부(100)가 흄관(800)의 상측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15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길이로 형성된다.
와샤부(1600)는 원반 형상을 하고 중앙에 높이조절볼트(1500)가 원활하게 삽입되는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와샤부(1600)는 수평너트부(1400)와 높이조절볼트(1500)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너트부(1400)와 높이조절볼트(1500)의 나사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고 풀리지 않도록 방지한다.
결합유지너트(1700)는 와샤부(1600)와 높이조절볼트(1500) 사이에 설치되고 수평너트부(1400)와 높이조절볼트(1500)의 나사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며 중앙에 높이조절볼트(1500)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 2 수직부(1800)는 수평부(1300)의 타측단에 일 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 1 수직부(1100)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흄관(800)의 내측 일부와 직접 접촉하므로 흙막이 받침대부(100)를 흄관에 고정상태로 설치한다.
제 2 수직부(1800)는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또한,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한다.
수직너트부(1900)는 제 2 수직부(1800)의 하단 일 측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제 2 수직부(1800)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1910) 내부에 암 나사산을 형성한다.
고정설치볼트(1550)는 수직너트부(1900)의 내경에 형성된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수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한다.
고정설치볼트(1550)는 수직너트부(1900)와 나사결합하여 흙막이 받침대부(100)가 흄관(800)에 설치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3 내지 5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길이로 형성된다.
흙막이 날개부(200)는 전체적으로 흄관(800) 외측면의 곡률과 같은 곡면 형상을 하며 일 측면이 흙막이 받침대부(100)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것으로, 밀착부(2100), 고정나사 관통공(2200), 제 1 턱부(2300), 제 1 날개부(2400), 제 2 턱부(2500), 제 2 날개부(2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밀착부(2100)는 제 1 수직부(1100)에 직접 밀착상태로 접촉하는 것으로 제 1 수직부(1100)의 가로방향 길이에 1.2 내지 1.5 배의 값에 해당하는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한다.
또한, 밀착부(2100)는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한다.
고정나사 관통공(2200)은 밀착부(2100)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고정나사부(1200)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제 1 턱부(2300)는 밀착부(2100)의 폭방향 일 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 측 끝단을 연결하며 1.6 내지 3.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한다.
제 2 턱부(2500)는 밀착부(2100)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 측 끝단을 연결한다. 가로방향의 길이와 세로방향의 길이는 제 1 턱부와 동일한 값이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즉, 제 1 턱부(2300)와 제 2 턱부(2500)는 밀착부(2100)를 중심으로 각각 양쪽 끝단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제 1 날개부(2400)는 흄관(80)의 외부면 또는 외경에 접촉하는 것으로 흄관의 외경의 곡률과 동일 유사한 곡률을 형성한다.
제 1 날개부(2400)는 제 1 턱부(2300)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 1 턱부(2300)를 중심으로 밀착부(2100)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30 내지 3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한다.
제 2 날개부(2600)는 제 2 턱부(2500)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제 2 턱부(2500)를 중심으로 밀착부(2100)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2 날개부(2600)의 가로방향 길이와 세로방향 길이 및 흄관(800)의 곡률과 동일 유사한 곡률을 갖는 형상은 제 1 날개부(240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흙막이 날개부(200)의 고정나사관통공(2200)은 흙막이 받침대부(100)의 고정나사부(1200)에 삽입되고 고정나사부(1200)에 나사결합으로 채워지는 너트에 의하여 흙막이 날개부(200)가 고정 설치된다.
흙막이 날개부(200)를 구성하는 밀착부(2100)의 폭은 제 1 수직부(1100)의 폭보다 1.2 내지 1.5 배 넓으므로 고정나사관통공(2200)을 중심으로 흙막이 날개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 기울일 수 있다.
기울이는 각도는 최대 15 도 범위가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 고정나사부에 와샤를 다수 채우고 나서 고정나사관통공과 결합시키는 경우 더 큰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높이조절블록부(300)는 흙막이 받침대부(100)와 흄관(800)의 상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흙막이 받침대부(100)가 흄관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4.5 내지 6.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길이를 형성하고 5 센티미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블록부(300)는 세로방향으로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값에 의한 길이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6 센터미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조절블록부(300)의 어느 한쪽 가로방향을 영어 알파벳의 유(U)자 형상으로 개방시켜 흙받이 받침대부(100)의 수평부 하단에 삽입되면서 개방된 부분으로 높이조절볼트(1500)가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3 센티미터, 2 센티미터, 1 센티미터, 0.5 센티미터 길이의 높이를 오차 범위 10 % 이내로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4 끼움블록(3100, 3200, 3300, 3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맨홀 철개 높이 조절장치 설치방법의 순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흄관(800) 위에 설치되는 철개의 높이를 조정 또는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흄관(80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4 개의 지점을 표시한다.
흄관(800) 위에 등간격으로 표시된 4 개 위치에 각각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900)를 구성하는 흙막이 받침대부(100)를 배치하고 높이조절볼트(1500)를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켜 설치될 철개의 설치 높이가 지면과 일치되도록 반복 조절한다.
높이조절볼트의 조정이 완료되면 결합유지너트(1700)를 단단히 조여 높이조절볼트가 진동 등에 의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고, 흙막이 받침대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설치볼트(1550)를 조인다.
이때, 흄관의 상부와 흙막이 받침대부의 수평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제 1 내지 제 4 끼움블록(3100, 3200, 3300, 3400)을 억지끼움으로 끼우면서 공간이 채워지도록 선택적으로 끼워 채운다.
그리고 흙막이 받침대부(100)의 고정나사부(1200)와 흙막이날개부(200)의 고정나사관통공(2200)을 결합시키고 너트로 조이면서 흙막이날개부(20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흄관(800)의 상부와 철개 사이의 공간으로 토사 또는 오폐수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킨다.
설치가 완료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900) 위체 맨홀 철개를 고정상태로 설치하고 주변을 토사로 메꾸는 동시에 도로포장 공사를 완료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의 조립 및 사용상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흄관의 상부에 흙막이 받침대부(100)가 설치되고 높이조절볼트(1500)를 조절(조정)하여 철개가 설치될 높이를 설정한다.
높이조절볼트(1500)의 조정에 의하여 흄관(800)과 흙막이 받침대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높이조절블록부(300)로 채워 흄관 상부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높이조절볼트(1500)의 조정에 의하여 설치된 철개와 흄관 상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은 흙막이 날개부(200)를 설치하여 밀폐시키므로 흄관의 내부로 토사 또는 오폐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킨다.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이 너무 깊게 매설되거나 또는 노후된 도로의 재포장에 의하여 5 센티미터 이상 높이가 높아지는 등의 경우 철개의 상부면과 도로의 면을 신속하고 간편하며 용이하고 쉽게 일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철개의 하부면과 흄관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신속하며 용이하고 간편하며 쉽게 밀폐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흙막이 받침대부 200 : 흙막이 날개부
300 : 높이조절 블록부 800 : 흄관
900 :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1100 : 제 1 수직부 1200 : 고정나사부
1300 : 수평부 1400 : 수평너트부
1410, 1910 : 관통공 1500 : 높이조절볼트
1600 : 와샤부 1700 : 결합유지너트
1800 : 제 2 수직부 1900 : 수직너트부
2100 : 밀착부 2200 : 고정나사관통공
2300 : 제 1 턱부 2400 : 제 1 날개부
2500 : 제 2 턱부 2600 : 제 2 날개부
3100 : 제 1 끼움블록 3200 : 제 2 끼움블록
3300 : 제 3 끼움블록 3400 : 제 4 끼움블록

Claims (1)

  1. 맨홀용 흄관의 상측 일부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디긋자 형상을 하는 흙막이 받침대부;
    상기 흄관 외측면의 곡율과 같은 곡면 형상을 하며 일측면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를 감싸면서 설치되는 흙막이 날개부; 및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와 상기 흄관의 상부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 상부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블록부; 를 포함하되,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는
    상기 흄관의 외측면 일부와 접촉하며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수직부;
    상기 제 1 수직부의 외측면 가로방향 길이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1 개 이상의 다수가 설치되는 고정나사부;
    상기 제 1 수직부의 상측단에 일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수직부의 가로방향 길이와 같은 길이로 연결되며 5.5 내지 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흄관의 상측 일부에 얹혀지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 내경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는 수평너트부;
    상기 수평너트부의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숫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수평너트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높이를 조절하고 15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 볼트;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나사결합 풀림을 방지하며 원반 형상을 하고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되는 관통된 홀이 형성된 와샤부;
    상기 와샤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너트부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나사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며 중앙에 상기 높이조절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유지너트;
    상기 수평부의 타측단에 일측단이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수직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흄관의 내측 일부와 접촉하며 상기 흄관에 고정 설치되고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14 내지 19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수직부;
    상기 제 2 수직부의 하단 일측 중앙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부를 함께 관통하는 관통공 내경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는 수직너트부;
    상기 수직너트부의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수 나사산을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수직너트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가 상기 흄관에 설치된 상태를 고정시키고 3 내지 5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설치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날개부는
    상기 제 1 수직부의 가로방향 길이에 1.2 내지 1.5 배의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중앙 위치이면서 상기 고정나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나사 관통공;
    상기 밀착부의 폭방향 일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측 끝단을 연결하며 1.6 내지 3.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1 턱부;
    상기 제 1 턱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턱부를 중심으로 상기 밀착부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30 내지 3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면서 상기 흄관의 외경 곡률과 같은 곡률을 형성하는 제 1 날개부;
    상기 밀착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일측 끝단을 연결하며 1.6 내지 3.1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는 제 2 턱부;
    상기 제 2 턱부의 폭방향 타측 끝단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턱부를 중심으로 상기 밀착부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며 30 내지 36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가로방향 길이를 형성하고 6 내지 2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한 세로방향 길이를 형성하면서 상기 흄관의 외경 곡률과 같은 곡률을 형성하는 제 2 날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블록부는
    가로방향으로 4.5 내지 6.0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를 형성하고 세로방향으로 5 내지 7 센티미터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를 형성하며 가로방향의 어느 한쪽이 영어 알파벳의 유(U)자 형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흙막이 받침대부의 수평부 하단에 삽입되면서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수용하고 3 센티미터, 2 센티미터, 1 센티미터, 0.5 센티미터 길이의 높이를 오차 범위 10 % 이내로 각각 형성하는 제 1 내지 제 4 끼움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흄관은 오차 범위 10 % 이내의 내부 지름이 80 센티미터 이며 두께는 5 센티미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KR1020130032840A 2013-03-27 2013-03-27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KR10129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40A KR101293717B1 (ko) 2013-03-27 2013-03-27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840A KR101293717B1 (ko) 2013-03-27 2013-03-27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717B1 true KR101293717B1 (ko) 2013-08-06

Family

ID=4921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840A KR101293717B1 (ko) 2013-03-27 2013-03-27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725U (ko) * 1992-08-18 1994-03-18 최상순 지하 상수도관의 제수변실용 뚜껑받침
KR200189741Y1 (ko) 2000-02-28 2000-07-15 김창우 미관용제수변보호실철개
KR200313436Y1 (ko) 2003-02-06 2003-05-16 주식회사 신영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이용한 맨홀
KR20040070864A (ko) * 2003-02-05 2004-08-11 주식회사 금호산업개발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725U (ko) * 1992-08-18 1994-03-18 최상순 지하 상수도관의 제수변실용 뚜껑받침
KR200189741Y1 (ko) 2000-02-28 2000-07-15 김창우 미관용제수변보호실철개
KR20040070864A (ko) * 2003-02-05 2004-08-11 주식회사 금호산업개발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KR200313436Y1 (ko) 2003-02-06 2003-05-16 주식회사 신영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이용한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57B2 (en) Tower foundation system
US20100257794A1 (en) Lateral support device
US20160289912A1 (en) Manhole Repair Bracket
KR20150017281A (ko) 맨홀프레임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용이한 밸브실
KR101674117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 장치
JP2014005597A (ja) 地下構造物の浮上防止杭及び地下構造物の浮上防止工法
KR10060444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하수도용 맨홀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20090065858A (ko) 관로 보호용 하우징
KR101293717B1 (ko) 맨홀 철개 높이조절 장치
KR101619330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수평보 지지 브라켓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077127B1 (ko) 맨홀하우징 설치를 위한 맨홀하우징지지장치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KR101326860B1 (ko) 송전, 변전, 배전용 케이블의 보호 구조물
JP2019007222A (ja) 高さ調整可能な地下構造物
CN107701810A (zh) 一种石油管线的支护方法
CN207213329U (zh) 一种石油管线的支护结构
KR100753970B1 (ko) 강선을 이용한 하중 분산형 연약지반용 지중 하수도 박스지지장치
KR102460306B1 (ko) 지하 매설 점검구 뚜껑의 높이조절장치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KR20080002652U (ko) 강관주기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