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490B1 -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490B1
KR101293490B1 KR1020120027369A KR20120027369A KR101293490B1 KR 101293490 B1 KR101293490 B1 KR 101293490B1 KR 1020120027369 A KR1020120027369 A KR 1020120027369A KR 20120027369 A KR20120027369 A KR 20120027369A KR 101293490 B1 KR101293490 B1 KR 10129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ferrin
egg white
food composition
weight
se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월규
Original Assignee
하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월규 filed Critical 하월규
Priority to KR102012002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15Non-milk proteins or fats; Seeds, pulses, cereals or soja; Fatty acids, phospholipids, mono- or diglycerides or derivatives therefrom; Eg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6Amino acids; 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Nucle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48Lactofer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8Egg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은 천연 식품에서 유래하여 경구로 섭취될 때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지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피지 중에서 중성지방 및 유리 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며, 염증의 발적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글루타치온 함량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on for inhibiting secretion of sebum and for reducing acne comprising egg white hydrolysate and lactoferrin}
본 발명은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피,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는, 피부의 보습유지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여드름을 유발시킬 수 있고, 특히 20대 이후의 여성의 경우에는 피지의 과다 분비로 인해 피부 번들거림, 화장의 들뜸 및 모공이 넓어지는 등 미용 면에서 많은 문제를 유발시킨다.
피지의 과다 분비가 일어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로, 피지선의 활성에 있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의 하나인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의 증가에 따른 피지선 세포가 활성화가 알려져 있다.
여드름은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데,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 여드름을 일으키는 세균 즉,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증식 및 피지 분비 증가가 가장 중요한 원인이며, 사춘기의 남성 호르몬 기능 항진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세포가 이상을 이르켜 모낭이 막히고 이로인해 여드름의 기본 병변인 면포가 형성되고, 모낭 내에 상주하는 균은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을 생성하여 모낭을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이때 피지의 과다 분비는 여드름의 진행을 더욱 악화시킨다.
이러한 여드름의 예방과 치료는 피부의 과각화증(hyperkeratosis)과 모낭성전형성(follicular plugging)의 억제, 피지생산의 감소, 미생물과 염증반응의 감소 등을 통해 달성할 수 있고, 종래 에스트로겐 등의 여성 호르몬을 사용하거나 5α-리덕테이즈 억제제를 이용해왔다. 여성 호르몬 처방은 청년기와 장년기 여성의 여드름치료에 사용되지만, 체중증가와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남자에게는 사용이 제한되며 그 사용량이 극히 제한적이고, 5α-리덕테이즈 억제제의 경우 피부건조증, 발적(redness), 자극(irritation)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와 관련해서는 피부에 도포되는 외용제 또는 화장료와 관계된 것이 대부분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2616호는 제비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9072호는 살리실릭산 및 트리클로산(triclosan) 및 트리하이드록시팔미틱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특허 제0927970호는 능실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 제0858627호는 패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모두 피부에 도포되는 외용제 또는 화장료와 관계된 것으로 경구로 섭취되는 것이 아닌 피부에 도포되는 것들이다.
경구 섭취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조성물로는 일본 특허공개 평05-294836호에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식품에서 유래하여 부작용 없이 경구로 섭취되어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수평균분자량은 3 내지 10 kDa이고, 수평균분자량 0.5 kDa 이하는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0.05 내지 2 중량% 및 락토페린 0.02 내지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 락토페린 2 : 1 내지 40 : 1 중량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우유, 발효유, 치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산제, 과립제 및 캅셀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제화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식품에서 유래하여 부작용 없이 경구로 섭취되어 피지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피지 중에서 중성지방 및 유리 지방산 함량을 감소시키며, 염증의 발적수를 감소시키고, 혈중 글루타치온 함량을 높여 피지 분비 억제와 여드름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은 달걀 또는 오리알에서 분리한 생 난백단백질 또는 이를 건조시킨 난백단백질 분말을 가수분해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위하여 산가수분해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분자량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효소가수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락토페린은 우유에서 분리한 것으로, 순수한 락토페린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락토페린을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락토페린 농축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락토페린은 우유에서 분리하는 과정 또는 분리 후에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실활되지 않은 락토페린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은 수평균분자량이 3 내지 10 kDa,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kDa이다.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이 낮고 수용해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상기 하한치 미만이 경우에도 유리 아미노산, 특히 유리 시스테인 함량이 감소하여 역시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이 낮고 쓴 맛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에서 수평균분자량 0.5 kDa 이하인 분획은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로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할 경우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쓴 맛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0.05 내지 2 중량% 및 락토페린 0.02 내지 0.5 중량%를 함께 포함한다.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쓴 맛 또는 펩타이드 특유의 풍미가 증가하여 식품 조성물의 관능이 저하되고,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이 충분치 않다. 락토페린의 첨가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의 병용사용에 따른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의 상승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비용만 상승할 뿐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 락토페린의 혼합비율이, 2 : 1 내지 40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5 : 1 중량비를 가질 때 피지 분비 억제 활성의 상승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은 음료, 우유, 발효유, 치즈 등과 같은 일반 식품의 형태일 수 있고, 또한 정제, 산제, 과립제 및 캅셀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제화된 건강기능식품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건강기능식품 또는 일반 식품의 유효성분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개별적으로 계량하여, 또는 미리 혼합하여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에 첨가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첨가량은 식품 조성물의 섭취량과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제조공정 중 또는 제조 후 열처리가 수반되는 경우, 락토페린이 실활되어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의 피지 분비 억제와 관련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멸균 조건을 요구하지 않고 저온 유통이 가능한 식품들, 예를 들어 음료, 우유, 발효유, 치즈 등과 같은 일반 식품이나, 유효성분을 분말 형태로 첨가한 후 열처리를 하지 않거나 락토페린의 실활이 이루어지지 않는 조건으로 제제화가 가능한 정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일반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시 통상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 퓨레, 과일 농축액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정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제화 될 때에는 상기 천연 탄수화물이나 첨가제 이외에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제화를 위해 통상의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제화 되는 경우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기간, 투여 목적이 예방인지 치료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제조
단백질 100g 당 시스테인 2.2g 및 메티오닌을 3g을 함유하는 단백질 함량 80 중량% 이상의 난백단백질 분말을, 증류수에 5 중량%로 희석하고, 먼저 펩신(pepsin)으로 pH 5.0, 40℃에서 약 2시간 동안 예비가수분해하고, 다음으로 pH를 8.0으로 유지하는 pH stat technique을 이용하여 55℃에서 트립신(trypsin)과 카이모트립신(chymotrypsin)을 50:50 중량비로 혼합하여 8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그리고 가수분해가 종료되면 75℃에서 10분간 살균하여 효소를 실활시키고, 분무건조하였다.
상기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아미노질소 함량으로 계산된 단백질 함량은 85 중량%이고, 수평균평균분자량은 6,400 dalton이었고, 500 dalton 이하는 4.8 중량%이었다.
실시예 1:
원유 91.9 중량%, 탈지분유 8 중량%을 30 ℃에서 균질화한 후 95 ℃에서 20분 동안 살균하고 다시 38 ℃로 냉각한다. 냉각된 혼합물에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로 이루어진 유산균 0.1 중량%를 접종하여 40 ℃에서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이를 냉각하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또한, 과당 17 중량%, 올리고당 20 중량%, 펙틴 0.5 중량%, 향료 0.1 중량%, 물 61.9 중량% 및 상기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0.6 중량%를 혼합한 후 95 ℃에서 20분 동안 살균하고 다시 38 ℃로 냉각하여 당액을 얻었다.
또한 락토페린 90 중량%를 함유하는 동결건조 락토페린 추출물 분말을 5 중량%가 되도록 멸균 증류수에 용해하고 0.45 ㎛ 필터로 여과 제균한 락토페린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배양액 50 중량%, 상기 당액 48.75 중량% 및 상기 락토페린 용액 1.25 중량%를 혼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유에는 100 ml당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500mg과 락토페린 57mg의 락토페린을 함유하여, 1일 1병(145ml) 음용하여 여드름의 호전효과가 부여 되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양액을 얻고, 다만 당액 제조시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을 첨가하지 않고, 과당 첨가량을 17.6 중량%로 늘려 당액을 제조한 후, 배양액, 당액, 락토페린 용액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합하여 비교예 1의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의 발효유는 100 ml당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은 포함하지 않고 락토페린만 57 mg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양액 및 당액을 얻고, 다만 락토페린 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배양액 및 당액을 5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교예 2의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2의 발효유는 100 ml당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을 513 mg 포함하고, 락토페린은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양액을 얻고, 다만 당액 제조시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을 첨가하지 않고 대신에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제조에 사용된 난백단백질 분말을 첨가하여 당액을 제조한 후, 배양액, 당액, 락토페린 용액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합하여 비교예 3의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3의 발효유는 100 ml당 난백단백질 500mg과 락토페린 57mg의 락토페린을 함유하는 것이다.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배양액 및 당액을 얻고, 락토페린 용액의 첨가 없이 배양액과 당액만을 5 : 5 중량비로 혼합한 비교예 4의 발효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의 발효유는 음성대조군으로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 락토페린을 전혀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18세에서 30세까지의 여드름 증상을 나타내고 피지 분비량이 증가된 여성을 평균 연령이 동일하게 실험군을 조정한 후, 각 실험군별로 10명씩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발효유를 1일 1회씩, 그리고 양성대조군으로 Zyflo 타블렛(600 mg)을 1일 4회씩 12주 동안 섭취하게 한 후 피지 분비량, 피지중 중성지질 함량의 변화, 유리지방산 함량 변화, 염증발적수의 변화 및 혈액 중 환원형 글루타치온의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실험예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피지 분비량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발효유와 Zyflo 타블렛(600 mg)의 섭취 전과 섭취 후의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피지 분비량은 이마와 볼 부분의 피지분비량을 10 tape strip으로 스트립핑하여 지방함량(㎍/㎠)을 정량하였다.
구분 음용 전 음용12주 후
양성대조군 138±15.6 83.3±10.4b#
비교예1 131.7±17.9 55.6±8.3b#
비교예2 139±16.3 59.4±7.8c#
비교예3 132.6±15.8 52.4±7.3b#
비교예4 130.9±20.7 65.6±30.7c#
실시예1 140.5±17.3 20.4±4.8a#
a,b,c : p<0.05(처리군 간의 비교), #:p<0.01(음용전과 12주 음용한 이후의 비교)
양성대조군과 비교예 4(음성대조군)에서 음용전 보다 각각 22.9%와 약 59.96%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p<0.01).
비교예 1의 락토페린 단독 첨가군 및 비교예 3의 락토페린 및 난백단백질 복합 첨가군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피부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3에서 락토페린에 난백단백질을 첨가하더라도 복합 첨가에 따른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2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단독 첨가군의 경우 피지 분비량이 음성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토페린 및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복합 첨가군에서는 피지의 분비량이 양성대조군은 물론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지중의 중성지질 함량 분석
실험예 1에서 회수한 지방을 high 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420nm에서 TLC scanner로서 scanning하여 표준물질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분리대(band)를 확인하였고, 각 지질의 external standard를 이용한 standard curve로서 정량하여, 중성지질의 함량(㎍/㎍ protein)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음용 전 음용12주 후
양성대조군 6700±2000 5000±1100c$
비교예1 7500±1500 4000±500b#
비교예2 7000±1300 4300±670b#
비교예3 7200±1500 4000±500b#
비교예4 6300±1100 6200±1080d
실시예1 6900±1450 3000±870a#
a,b,c,d : p<0.05(처리군간의 비교); $ : p<0.05(양성대조군의 움용정과 12주 음용후의 비교); #:p<0.01(락토페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락토페린 첨가군의 음용전과 12주 음용후의 비교)
음용전과 12주 음용후의 피지의 중성지방 함량은 비교예4의 음성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양성대조군에서는 중성지질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양성대조군에 비해서도 피지중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비교예 3에서 락토페린에 난백단백질을 첨가한 복합 첨가군에서는 중성지방 감소의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시예 1에서 락토페린에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을 더 첨가한 경우에는 중성지방 함량 감소에 있어서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음성대조군의 절반 수준으로 중성지방을 감소시켰다.
실험예 3: 피지중의 유리지방산 분석
실험예 1에서 회수한 지방에서 유리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음용 전 음용12주 후
양성대조군 6300±1300 2900±630b#
비교예1 6000±1100 2700±500b#
비교예2 6100±1320 2900±430b#
비교예3 5900±1100 2750±500b#
비교예4 6200±1200 3000±200b#
실시예1 6400±1050 2010±470a#
a, b : p<0.05(처리군 간의 비교); #: p<0.01(음용전과 12주 음용후의 비교)
비교예 1 내지 4에서 모두 양성대조군과 동등하게 유리지방산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중 비교예 3의 경우 락토페린에 난백단백질을 복합 첨가한 경우에도 복합첨가로 인한 유리지방산 감소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더욱 크게 유리지방산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염증발적수 확인
각 시험군의 염증성 발적의 갯수를 음용전과 후를 비교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음용 전 음용12주 후
양성대조군 25.5±4.7 11.3±2.0b#
비교예1 24.8±3.3 10.5±1.6b#
비교예2 22.6±2.9 9.9±2.4b#
비교예3 24.1±2.2 10.5±1.6b#
비교예4 20.7±2.7 14.2±2.8c
실시예1 22.9±3.0 7.0±1.5a#
a,b,c:p<0.05(처리군 간의 비교); #:p<0.05(음용 전과 12주 음용 후의 비교)
발효유의 음용에 따른 염증성발적수의 변화는 비교예 4의 음성대조군의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양성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의 발적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1은 양성대조군은 물론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현저히 염증성 발적의 갯수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혈액 중 환원형 글루타치온 함량 분석
웅성 Sprague-Dawley(체중 225-275g)에게 7일 간 비교예 1, 2 및 4, 그리고 실시예1의 발효유를 매일 150 ml씩 섭취하게 한 다음 혈중 환원형 글루타치온 함량(μmol/L)을 분석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음용 전 음용7일 후
비교예1 4.7±0.36 5.7±0.92b
비교예2 5.4±0.29 9.7±0.74a#
실시예1 4.3±0.49 10.8±0.69a#
비교예4 4.94±0.27 5.9±1.03b
a,b:p<0.01(처리구간의 비교); #:p<0.01(음용 전, 후의 비교)
비교예 4의 음성대조군과 비교예 1의 락토페린 단독 첨가군은 음용 전과 음용 후 혈중 글루타치온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비교예2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단독 첨가군과 실시예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 복합 첨가군은 혈중 환원형 글루타치온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고, 특히 실시예 1에서 비교예2에 비해 글루타치온 함량을 더욱 증가시켰다.
하기에 본 발명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의 다른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20 mg
실시예 1에 사용된 동결건조 락토페린 추출물 분말 2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30 mg
실시예 1에 사용된 동결건조 락토페린 추출물 분말 2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10 mg
실시예 1에 사용된 동결건조 락토페린 추출물 분말 2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제조예 1의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900 mg
실시예 1에 사용된 동결건조 락토페린 추출물 분말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제를 제조한다.

Claims (6)

  1.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및 락토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의 수평균분자량은 3 내지 10 kDa이고, 수평균분자량 0.5 kDa 이하는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 0.05 내지 2 중량% 및 락토페린 0.02 내지 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백단백질가수분해물과 락토페린 2 : 1 내지 40 : 1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음료, 우유, 발효유, 치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산제, 과립제 및 캅셀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제화된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27369A 2012-03-16 2012-03-16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129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369A KR101293490B1 (ko) 2012-03-16 2012-03-16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369A KR101293490B1 (ko) 2012-03-16 2012-03-16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490B1 true KR101293490B1 (ko) 2013-08-07

Family

ID=4921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369A KR101293490B1 (ko) 2012-03-16 2012-03-16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4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4750A1 (en) 2003-04-28 2004-10-28 Georgiades Izolda M. Medicaments for healing skin conditions in humans
US7094415B2 (en) * 2001-06-18 2006-08-22 L'avenir, Llc Skin care products containing whole egg
KR20070110518A (ko) * 2005-03-15 2007-11-19 캄피나 네덜란드 홀딩 베.붸. 유즙 단백질의 피부학적 용도
KR20080047307A (ko) * 2006-11-24 2008-05-28 파스퇴르유업 주식회사 락토페린 추출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제조방법에 의한 요구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4415B2 (en) * 2001-06-18 2006-08-22 L'avenir, Llc Skin care products containing whole egg
US20040214750A1 (en) 2003-04-28 2004-10-28 Georgiades Izolda M. Medicaments for healing skin conditions in humans
KR20070110518A (ko) * 2005-03-15 2007-11-19 캄피나 네덜란드 홀딩 베.붸. 유즙 단백질의 피부학적 용도
KR20080047307A (ko) * 2006-11-24 2008-05-28 파스퇴르유업 주식회사 락토페린 추출물을 함유하는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이제조방법에 의한 요구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913B1 (ko)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KR101975671B1 (ko) 유산균의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5468757B2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能を有する組成物
KR101938864B1 (ko) 항산화 및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119980A (ko) 미백제
KR20190064667A (ko) 피부 미용제
KR100716123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및 비만의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20090269424A1 (en) Peripheral blood flow-improving composition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0707707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예방 및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97781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g-101 및 이의 용도
US20130225501A1 (en) Skin collagen production-promoting agent
KR101293490B1 (ko) 피지 분비 억제 및 여드름 완화용 식품 조성물
EP2022345A1 (en) Food composition for functional food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KR10177651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향나무 열매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JP5083504B2 (ja) 経口育毛剤及び育毛用経口組成物
KR101906798B1 (ko) 항균성 락토패드 조성물
KR20210075916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037A (ko) 구스베리 추출물 또는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142633A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483814B1 (ko) 파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02139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홍화자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20170036640A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