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95B1 - 클러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95B1
KR101293295B1 KR1020100072572A KR20100072572A KR101293295B1 KR 101293295 B1 KR101293295 B1 KR 101293295B1 KR 1020100072572 A KR1020100072572 A KR 1020100072572A KR 20100072572 A KR20100072572 A KR 20100072572A KR 101293295 B1 KR101293295 B1 KR 101293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clutch
working fluid
main body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903A (ko
Inventor
박상석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배출포트와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배출포트와 작동포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포트 또는 상기 제2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몸체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제어장치 {CLUTCH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동변속기는 엔진 동력을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 상기한 토크 컨버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속에 따라 변속시켜서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유성기어세트, 상기한 유성기어세트를 제어하여 변속을 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클러치 및 브레이크와, 상기한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유압으로 제어하도록 전자제어장치(TCU) 및 밸브바디로 이루어진 유압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압제어시스템은 오일펌프의 유압을 공급받고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 변속 레인지로 전환되는 매뉴얼밸브와, 매뉴얼밸브를 통한 유압에 의해 각 변속단마다 마찰요소를 선택 제어하는 유압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는 변속작동이 이루어질 때에 마찰요소에 공급되던 작동유체의 작동압이 해제되면서 변속충격이 발생되는데, 변속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해 변속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작동유체의 작동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므로 자동변속기의 부품수를 절감하기 어렵고 자동변속기의 소형화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배출포트와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배출포트와 작동포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포트 또는 상기 제2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몸체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뉴얼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획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며 제1격벽과 제2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선택적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매뉴얼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밸브는,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배출포트와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배출포트와 작동포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포트 또는 상기 제2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몸체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레인지에서 N레인지로 스태틱 변속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매뉴얼밸브로부터 제1클러치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작동압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므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 변속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자동변속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D레인지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변속작동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N레이지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100)는 제1클러치(82 : 도 2 참조)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배출포트(12)와 제2클러치(84 : 도 2 참조)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배출포트(14)와 작동포트(16)를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배출포트(12) 또는 제2배출포트(1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몸체부(30)와,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부(50)와, 작동부(50)와 몸체부(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좌우 방향으로 긴 공간을 형성하고 둘레면에 제1배출포트(12)와 제2배출포트(14)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작동포트(16)가 형성된다.
몸체부(30)는 본체(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슬라이딩되는 방향 및 정도에 따라 제1배출포트(12) 또는 제2배출포트(14)를 개폐하게 된다.
또한, 몸체부(30)의 일측 단부에는 작동포트(16)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되어 몸체부(30)가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압부(36)가 형성된다.
작동부(50)는 몸체부(30)의 타측 단부에 대향되도록 본체(10)에 삽입되고 변속레버에 설치되는 작동전달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홀부(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작동전달부의 구동에 의해 작동부(50)가 일측 방향으로 슬랑이딩되면서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작동부(50)는 몸체부(30)의 타측 단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만 작동부(50)와 몸체부(30)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70)가 팽창되면서 몸체부(30)를 본체(10)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몸체부(30)는 이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변속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배출포트(12) 및 제2배출포트(14)를 통해 작동유체의 공급 상태가 유지되므로 D레인지 상태에서 작동유체가 공급되던 자동변속기의 마찰요소에 작동유체의 공급이 지속된다.
몸체부(30)는 본체(10)에 삽입되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10) 내부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획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며 제1격벽(32)과 제2격벽(34)이 형성된다.
제1격벽(32)과 제2격벽(34) 사이의 간격은 제1배출포트(12)와 제2배출포트(14) 사이의 간격과 비교하여 넓게 형성되므로 몸체부(30)의 일측 단부가 본체(10)의 일측 단부까지 삽입되면 제1격벽(32)과 제2격벽(34) 사이에 제1배출포트(12)와 제2배출포트(14)가 배치된다.
따라서 유입포트(18)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제1배출포트(12) 및 제2배출포트(14)를 통해 마찰요소에 공급된다.
작동부(50)가 N레인지 위치로 이동된 후에 작동포트(16)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가압부(36)를 작동부(50) 측으로 가압하므로 탄성부재(70)가 압축되면서 몸체부(30)가 작동부(50) 측으로 슬라이딩된다.
몸체부(30)가 슬라이딩되면 제1배출포트(12)가 제1격벽(32)과 제2격벽(34) 사이의 공간에서 이격되므로 제1배출포트(12)가 폐쇄되어 제1배출포트(12)를 통해 공급되던 작동유체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부(50)가 N레인지 위치로 이동되어 변속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배출포트(12)를 통해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변속작동 중에 발생되는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D레인지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변속작동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N레이지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100)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는 제1클러치(82)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92)와, 제2클러치(84)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94)와, 제1솔레노이드밸브(92)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94)와 연결되고 제1솔레노이드밸브(92)와 제2솔레노이드밸브(94)에 선택적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매뉴얼밸브(100)를 포함한다.
차량이 D레인지 상태인 경우에는 작동부(50)가 D레인지 위치에 배치되므로 몸체부(30)의 일측 단부는 본체(10)의 일측 단부까지 삽입된 상태이며, 이때, 탄성부재(7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배출포트(12)와 제2배출포트(14)는 제1격벽(32)과 제2격벽(3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유입포트(18)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작동유체가 제1배출포트(12) 및 제2배출포트(14)를 따라 제1솔레노이드밸브(92)와 제2솔레노이드밸브(94)에 공급된다.
D레인지 상태에서는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밸브(92)가 작동되어 제1클러치(82)에 작동유체를 공급하게 되고, N레인지 상태에서는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밸브(94)가 작동되어 제2클러치(84)에 작동유체가 공급된다.
D레인지 상태에서 N레인지로 변속작동이 개시되면 변속레버에 연결된 조작전달부에 의해 작동부(50)가 N레인지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탄성부재(70)가 팽창되면서 몸체부(30)를 본체(10)의 일측 단부로 가압하므로 몸체부(30)는 이동되지 않게 되므로 변속작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1배출포트(12)를 통해 제1솔레노이드밸브(92)에 작동유체가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뉴얼밸브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전진 주행을 행하는 D레인지 상태이면 작동부(50)가 D레인지 위치에 배치되므로 탄성부재(70)가 압축되고 몸체부(30)가 본체(10)의 일측 단부로 가압된다.
따라서 제1격벽(32)과 제2격벽(34) 사이에 제1배출포트(12)와 제2배출포트(14)가 배치되므로 유입포트(18)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공급된 작동유체가 제1배출포트(12) 및 제2배출포트(14)를 따라 제1솔레노이드밸브(92)와 제2솔레노이드밸브(94)에 공급된다.
이때, 제어부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밸브(92)가 구동되어 제1클러치(82)에 작동유체가 공급된다.
이후에, N레인지로 변속작동이 조작되면 변속레버에 연결된 조작전달부에 의해 작동부(50)가 N레인지 위치로 슬라이딩되고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밸브(92)가 구동되면서 제1클러치(82)에 공급되었던 작동유체의 공급이 단계적으로 차단된다.
이때, 탄성부재(70)에 의해 본체(10)의 일측으로 가압되는 몸체부(30)는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1배출포트(12)를 통해 작동유체가 제1솔레노이드밸브(92)에 공급되는 상태가 지속되므로 변속작동 중에 발생되는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변속작동이 완료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2솔레노이드밸브(94)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작동포트(16)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므로 몸체부(30)를 작동부(50)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70)가 압축되면서 몸체부(30)가 슬라이딩되고, 제1배출포트(12)가 제1격벽(32) 및 제2격벽(34)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배출포트(12)를 통해 이루어지던 작동유체의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제2솔레노이드밸브(94)의 작동에 의해 제2클러치(84)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서 N레인지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이로써,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변속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매뉴얼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용 매뉴얼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클러치 제어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클러치 제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제1배출포트
14 : 제2배출포트 16 : 작동포트
18 : 유입포트 30 : 몸체부
32 : 제1격벽 34 : 제2격벽
36 : 가압부 50 : 작동부
52 : 작동홀부 70 : 탄성부재
82 : 제1클러치 84 : 제2클러치
92 : 제1솔레노이드밸브 94 : 제2솔레노이드밸브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의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선택적으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매뉴얼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매뉴얼밸브는,
    제1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1배출포트와 제2클러치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제2배출포트와 작동포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배출포트 또는 상기 제2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몸체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변속신호를 발생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에, 상기 탄성부재가 팽창되면서 상기 몸체부를 상기 본체의 일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몸체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작동포트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획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며 제1격벽과 제2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제어장치.

KR1020100072572A 2010-07-27 2010-07-27 클러치 제어장치 KR101293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72A KR101293295B1 (ko) 2010-07-27 2010-07-27 클러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572A KR101293295B1 (ko) 2010-07-27 2010-07-27 클러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03A KR20120010903A (ko) 2012-02-06
KR101293295B1 true KR101293295B1 (ko) 2013-08-09

Family

ID=458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572A KR101293295B1 (ko) 2010-07-27 2010-07-27 클러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005B1 (ko) * 2013-10-10 2019-06-21 현대코어모션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변속장치
CN105697766A (zh) * 2016-01-06 2016-06-22 邢世也 自动变速器换挡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7149A (ja) * 1986-04-07 1987-10-17 Toyota Motor Corp 副変速機付四輪駆動用自動変速機のマニユアルバルブ
KR20020030885A (ko) * 2000-10-18 2002-04-26 이계안 자동 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7149A (ja) * 1986-04-07 1987-10-17 Toyota Motor Corp 副変速機付四輪駆動用自動変速機のマニユアルバルブ
KR20020030885A (ko) * 2000-10-18 2002-04-26 이계안 자동 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03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230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EP1895204A2 (en) Hydraulically assisted gearshift
JP2008533399A (ja) 自動車のパワートレイン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844692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KR101293295B1 (ko) 클러치 제어장치
JP4670051B2 (ja) 特に自動車のためのハイドロリックシステム
US88583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transmission clutch fill during engine start-stop operation
WO2013183162A1 (ja) 油圧制御装置
CN1978954B (zh) 车辆连续变速器的液压控制系统
JP5936262B2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における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7502948A (ja) 電気空圧式切換装置
US11143293B2 (en) Power train device for vehicles
WO2017040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transmission shifting
KR101305158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CN201293055Y (zh) 一种新型的自动变速箱离合器执行器
KR10120520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KR101106228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857275B2 (ja) 制御装置を備える無段変速機
KR102666462B1 (ko) 자동화 수동 변속기 및 자동화 수동 변속기의 제어방법
JP4695004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付きトルクコンバータのクラッチ油圧制御装置
KR20170077716A (ko) 변속지연 방지용 유압회로
KR20230168775A (ko) 자동 변속기용 레귤레이터 밸브 장치
JP3567573B2 (ja) クラッチ断続装置
JP2014062611A (ja) 油圧制御装置
JP2005282665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におけるクラッチの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