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698B1 -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698B1
KR101291698B1 KR1020110075307A KR20110075307A KR101291698B1 KR 101291698 B1 KR101291698 B1 KR 101291698B1 KR 1020110075307 A KR1020110075307 A KR 1020110075307A KR 20110075307 A KR20110075307 A KR 20110075307A KR 101291698 B1 KR101291698 B1 KR 101291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articulator
end side
ji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582A (ko
Inventor
이수복
장지웅
장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KR102011007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6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61C11/02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with two adjustable pivoting points, e.g. Argon-type artic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는, 치모형을 지지하는 교합기의 일측 부위가 금속제로 형성되고, 교합기가 결합되는 3차원 측정장치의 회전부재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므로, 교합기를 용이하게 3차원 측정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을 교합기에 고정할 때,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교합기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의 중심 및 교합기의 중심과 상악 치모형을 중심을 맞추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에 교합기를 결합하면, 회전부재의 중심과 교합기의 중심이 일치한다. 그러므로, 3차원 측정장치의 스캐너는 항상 교합된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의 중심부측을 스캔하므로, 측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ARTICULATOR AND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과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을 용이하게 교합(咬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모형을 스캔하여 계측하는 3차원 측정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상되거나 상실된 치아의 치료 방법에는 보철 치료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철 치료를 위해서는, 환부의 본을 뜨고, 본에 석고를 부어서 치모형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을 수작업으로 다양하게 교합해 보면서 최적의 교합 상태를 찾아낸 후, 치료용 보철물을 복원한다.
음식을 씹는 면을 교합면이라 하고, 교합면을 연장한 가상선들의 연결체를 교합평면이라 한다. 교합평면은 편평한 평면이 아니라 스피만곡(Curve of Spee) 또는 윌슨만곡(Curve of Wilson)이라 불리는 곡면을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치모형을 교합하였을 때, 치모형의 정(正)교합 또는 부(不)교합의 여부를 판단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교합된 치모형을 스캔하여 컴퓨터 내의 3차원 공간에서 기준선 또는 기준면으로 좌표화하고, 상악 및 하악 치모형을 각각 스캔하여 컴퓨터 내의 3차원 공간에서 좌표화한 다음, 최적의 교합 상태를 가상의 3차원 디지털 모델로 생성하는 측정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1345호(2006.07.18)(명칭: 듀얼 볼을 갖는 치과기공용 교합기)에 개시된 종래의 교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합기(10)는 하부그립판(12) 및 상부그립판(18)에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을 각각 고정한 다음, 컬럼(14)에 대하여 아암(16)을 조정하고, 아암(16)에 대하여 제1 및 제2클램프 블록(30, 40)을 조정하며, 제1 및 제2클램프 블록(30, 40)에 대하여 상부그립판(18)을 조정하여 하측 마우스모형(T1)과 상측 마우스모형(T2)을 교합시킨다.
이때, 하부그립판(12) 및 상부그립판(18)의 후면측에 각각 설치된 그립퍼(2, 4)는 고정되고, 전면측에 각각 설치된 그립퍼(1, 3)는 직선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크기에 따라 그립퍼(1, 3)를 각각 이동시켜 그립퍼(1)와 그립퍼(2) 사이 및 그립퍼(3)와 그립퍼(4) 사이에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를 각각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합기는 교합기(10)를 3차원 측정장치(미도시)에 결합하기 위한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상기 3차원 측정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교합기(10)를 상기 3차원 측정장치에 설치하여 교합된 치모형을 측정할 때, 측정의 중심은 일정 부위로 정해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합기(10)는 그립퍼(2) 및 그립퍼(4)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크기에 따라 교합기(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길이가 상이하다. 이는, 측정의 중심이 하부그립판(12)의 중심이라고 가정하면,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크기에 따라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중심과 하부그립판(12)의 중심이 상이함을 의미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합기는 하부그립판(12) 및 상부그립판(18)에 지지되는 하측 마우스모형(T1) 및 상측 마우스모형(T2)의 중심을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측정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교합기(10)를 상기 3차원 측정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측정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모형을 스캔하여 계측하는 3차원 측정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모형의 크기에 따라 치모형의 중심과 교합기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합기의 중심과 측정하고자 하는 치모형의 측정의 중심을 일치할 수 있도록 하여, 측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의 후면측 일외면 및 타외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축; 일단부측이 상기 제 1 회전축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회전 및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판을 기준으로 3차원으로 운동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악 치모형의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하부지그; 상기 상부지지판에 착탈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악 치모형과 교합하는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악 치모형의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측을 스캔하는 스캐너; 상기 회전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교합(咬合)하는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과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이 지지되는 교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는, 치모형을 지지하는 교합기의 일측 부위가 금속제로 형성되고, 교합기가 결합되는 3차원 측정장치의 회전부재에 마그네트가 설치되므로, 교합기를 용이하게 3차원 측정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을 교합기에 고정할 때,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교합기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의 중심 및 교합기의 중심과 상악 치모형을 중심을 맞추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에 교합기를 결합하면, 회전부재의 중심과 교합기의 중심이 일치한다. 그러므로, 3차원 측정장치의 스캐너는 항상 교합된 하악 치모형과 상악 치모형의 중심부측을 스캔하므로, 측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를 이용하여 치모형을 교합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호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특정 구조 및 특정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길이, 면적, 두께 및 형태는, 편의상,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100)는 하부지지판(110)을 포함하고, 하부지지판(110)의 후면측 우측 외면 및 좌측 외면에는 지지바(120)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지지바(120)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하단부가 하부지지판(1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는 하부지지판(110)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지지바(120)의 상단부측에는 제 1 회전축(130)의 양단부측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바(120)의 내측에 위치된 제 1 회전축(130)의 외주면 부위에는 연장바(135)의 일단부측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회전축(130)과 연장바(135)는 함께 회전한다.
연장바(135)의 타단부측에는 제 2 회전축(140)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된다. 제 2 회전축(140)은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연장바(130)의 타단부측은 쌍을 이루는 제 2 회전축(140)의 일단부측에 삽입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회전축(140)의 타단부측에는 상부지지판(150)이 회전 운동 및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지지판(150)의 상면에는 돌출바(151)가 형성되고, 돌출바(151)의 상단부에는 볼(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볼(153)은 쌍을 이루는 제 2 회전축(140)의 타단부측 사이에 삽입된다. 이로인해, 제 2 회전축(140)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볼(153)이 회전 운동 및 시소 형태로 운동하므로, 상부지지판(150)이 제 2 회전축(140)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 및 시소 형태로 운동한다.
제 1 회전축(120)의 회전 운동, 제 2 회전축(140)의 회전 운동, 상부지지판(150)의 회전 및 시소 형태의 운동에 의하여, 상부지지판(150)은 3차원으로 운동하는데, 이는 후술한다.
지지바(120)의 상단부측, 제 2 회전축(140)의 일단부측 및 제 2 회전축(140)의 타단부측에 제 1, 제 2 및 제 3 잠금레버(161, 163, 165)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잠금레버(161)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지지바(120)에 대한 제 1 회전축(130)의 회전이 허용되거나 방지되고, 제 2 잠금레버(163)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연장바(135)에 대한 제 2 회전축(140)의 회전이 허용되거나 방지되며, 제 3 잠금레버(165)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제 2 회전축(140)에 대한 상부지지판(150)의 회전 및 시소 형태의 운동이 허용되거나 방지된다.
하부지지판(110)에는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51)(도 4a 참조)을 지지하는 하부지그(17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지그(170)는 하악 치모형(5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하악 치모형(51)의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하악 치모형(51)을 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지그(170)는 받침판(171)을 포함한다. 받침판(171)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스크류(172)가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고, 받침판(171)의 일측면에는 스크류(17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173)가 설치된다.
받침판(171)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관통로(174a, 174b)가 각각 형성된다. 관통로(174a)에는 스크류(172)의 일측 부위가 삽입 위치되고 관통로(174b)에는 스크류(172)의 타측 부위가 삽입 위치된다. 이때, 관통로(174a)에 위치된 스크류(172)의 일측 부위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螺絲線)의 방향과 관통로(174b)에 위치된 스크류(172)의 타측 부위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선의 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172)의 일측 부위 외주면 및 타측 부위 외주면에는 지지레일(175a, 175b)의 일단부측이 각각 설치되며, 지지레일(175a, 175b)은 관통로(174a, 174b)를 형성하는 받침판(171)의 면에 지지된다. 그리하여, 회전레버(173)를 정역회전시켜, 스크류(172)가 정역회전하면, 지지레일(175a, 175b)은 상호 가까워지고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면서, 하악 치모형(51)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 고정한다.
받침판(171)의 후면측 부위에는 복수의 결합공(176)이 형성되고, 결합공(176)에는 하악 치모형(51)의 후면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돌기(17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복수의 결합공(176)은 열(列)을 이루면서 스크류(17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룬다.
하악 치모형(51)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 그리고, 받침판(17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형태로 운동하도록 지지레일(175a, 175b)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하악 치모형(51)을 지지레일(175a, 175b)에 지지하여 고정하였을 때, 하악 치모형(51)의 측면 방향 중심은 받침판(171)의 측면방향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악 치모형(5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77)가 열을 이루면서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17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복수의 결합공(176)중 어느 하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지지돌기(177)를 삽입 결합하면, 하악 치모형(51)의 전후 방향 중심과 받침판(171)의 전후 방향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171)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51)의 중심을 항상 일치시켜서 하악 치모형(51)을 받침판(171)에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즉, 하부지그(170)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51)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하악 치모형(51)을 하부지그(170)에 지지 고정할 수 있다.
받침판(171)의 하면에는 마그네트(178)가 설치되고, 하부지지판(110)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로인해, 하부지그(170)가 하부지지판(110)에 착탈된다.
그리고, 받침판(171)의 하면에는 삽입공(179)이 형성되고, 하부지지판(110)의 상면에는 삽입공(179)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돌기(112)가 형성된다. 삽입공(179)과 삽입돌기(112)는 하부지지판(110)에 결합되는 하부지그(170)의 위치를 표시해 줌과 동시에 하부지지판(110)에 하부지그(17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도와준다. 삽입공(179)이 하부지지판(110)에 형성되고, 삽입돌기(112)가 받침판(17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지지판(150)에는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55)(도 4a 참조)을 지지하는 상부지그(180)가 착탈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지그(180)의 구성은 하부지그(170)의 구성과 유사하다.
즉, 하부지그(170)의 받침판(171), 스크류(172), 회전레버(173), 관통로(174a, 174b), 지지레일(175a, 175b), 복수의 결합공(176), 지지돌기(177) 및 마그네트(178)와 동일하게 상부지그(181)도 받침판(181), 스크류(182), 회전레버(183), 관통로(184a, 184b), 지지레일(185a, 185b), 복수의 결합공(186), 지지돌기(187) 및 마그네트(1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지지판(150)도 금속제로 형성된다.
다만, 상부지그(180)가 상부지지판(150) 상에서 슬라이딩 되어야 하므로, 상부지그(180)의 받침판(181)에는 하부지그(170)의 받침판(171)에 형성된 삽입공(179)이 형성되지 않고, 상부지지판(150)에는 하부지지판(110)에 형성된 삽입돌기(112)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100)를 이용하여 상악 치모형(51) 및 하악 치모형(55)을 교합하는 방법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를 이용하여 치모형을 교합하는 것을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하부지그(170) 및 상부지그(180)의 지지레일(175a, 185b)에 하악 치모형(51) 및 상악 치모형(55)을 지지 고정한다. 이때, 적절한 위치의 결합공(176, 186)에 지지돌기(177, 187)를 각각 결합하면, 하부지그(170) 및 상부지그(180)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51) 및 상악 치모형(55)의 중심이 각각 일치한다.
그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판(150)의 하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교합기(100)를 전개한 상태에서, 하부지그(170)를 하부지지판(110)에 결합하고, 상부지그(180)를 상부지지판(150)에 결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지그(170) 및 상부지그(180)에는 마그네트(178, 188)(도 3 및 도 2 참조)가 각각 설치되고, 하부지지판(110) 및 상부지지판(150)은 각각 금속제이므로, 하부지그(170) 및 상부지그(180)를 하부지지판(110) 및 상부지지판(150)에 각각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축(미도시) 및 연장바(135)를 회전시켜, 하악 치모형(51)의 두께와 상악 치모형(55)의 두께에 따른 하부지지판(110)과 상부지지판(15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 다음, 연장바(13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140)을 회전시키고, 제 2 회전축(140)에 대하여 회전 및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부지지판(150)을 조작하여 하악 치모형(51)에 상악 치모형(55)을 교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100)는 제 1 회전축(130)의 회전 운동, 제 2 회전축(140)의 회전 운동, 상부지지판(150)의 회전 및 시소 형태의 운동으로 인하여, 하부지지판(110)을 기준으로 상부지지판(150)이 3차원으로 운동하므로,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을 용이하게 교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합기(100)는 하부지그(170)의 전면측 및 상부지그(180)의 전면측에 결합공(176, 186)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돌기(177, 187)가 하악 치모형(51) 및 상악 치모형(55)의 전면을 각각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지그(170)에 상악 치모형(55)이 지지되고, 상부지그(180)에 하악 치모형(51)이 지지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10)를 포함한다.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는 회전부재(2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회전부재(220)측을 스캔하는 스캐너(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20)에는 교합기(1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악 치모형(51)(도 4a 참조)과 상악 치모형(55)(도 4a 참조)이 지지된 교합기(100)를 회전부재(220)에 결합한 다음,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면서, 교합된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을 상기 스캐너로 스캔한다. 이때, 상기 스캐너는 교합된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의 중심을 기준으로 스캔한다. 그러면, 상기 스캐너에서 스캔된 영상이 모니터(미도시)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상기 스캐너에서 전송된 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의 최적의 교합상태를 계측하여 환자의 치료에 적용한다.
교합기(100)를 회전부재(220)에 용이하게 착탈하기 위하여, 교합기(100)가 결합되는 회전부재(220)의 부위에는 마그네트(222)가 설치되고, 회전부재(220)에 결합되는 교합기(100)의 하부지지판(110)은 금속제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재(220)에 결합되는 교합기(100)의 결합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회전부재(220)와 교합기(1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회전부재(220)에는 복수의 삽입돌기(224)가 형성되고 교합기(100)의 하부지지판(110)에는 삽입돌기(224)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공(115)이 형성된다. 삽입돌기(224)와 삽입공(115)이 상호 삽입되게, 교합기(100)를 회전부재(220)에 결합하면, 회전부재(220)의 중심과 교합기(1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삽입돌기(224)와 삽입공(1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돌기(224)가 교합기(100)에 형성되고, 삽입공(115)이 회전부재(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장치(200)는 교합기(100)의 일측 부위가 금속제로 형성되고, 교합기(100)가 결합되는 본체(210)의 회전부재(220)에 마그네트(222)가 설치되므로, 교합기(100)를 용이하게 3차원 측정장치(2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을 교합기(100)에 고정할 때,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교합기(100)의 중심과 하악 치모형(51)의 중심 및 교합기(100)의 중심과 상악 치모형(55)을 중심을 맞추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220)에 교합기(100)를 결합하면, 회전부재(220)의 중심과 교합기(100)의 중심이 일치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캐너는 항상 교합된 하악 치모형(51)과 상악 치모형(55)의 중심부측을 스캔하므로, 측정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은 자세한 윤곽 라인을 생략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부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기술사항을 이해하기 위한 참조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100: 교합기
110: 하부지지판
150: 상부지지판
170: 상부지그
180: 하부지그
200: 3차원 측정장치

Claims (19)

  1.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의 후면측 일외면 및 타외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축;
    일단부측이 상기 제 1 회전축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회전 및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판을 기준으로 3차원으로 운동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교합하는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과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하부지그;
    상기 상부지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악 치모형과 상기 상악 치모형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연장바의 일단부측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면에는 돌출바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상단부에는 볼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에는 연장바의 일단부측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측에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호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고,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측 사이에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측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지지판의 상면에는 돌출바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바의 상단부에는 볼이 형성되며,
    상기 볼은 쌍을 이루는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 사이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측에는 상기 지지바에 대한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제 1 잠금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축의 일단부측에는 상기 연장바에 대한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제 2 잠금레버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에는 상기 제 2 회전축에 대한 상기 상부지지판의 운동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는 제 3 잠금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는 각각 받침판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받침판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향하여 스크류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며,
    각각의 상기 받침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레버가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받침판의 중심에서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의 상기 스크류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가 삽입 위치되는 관통로가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스크류의 일측 부위 외주면 및 타측 부위 외주면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나사선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스크류의 일측 부위 외주면 및 타측 부위 외주면에는 각각의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각각 상호 가까워지고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하악 치모형 및 상기 상악 치모형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쌍을 이루는 지지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받침판의 후면측 부위에는 복수의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복수의 상기 결합공은 열을 이루면서 각각의 상기 스크류와 직각을 이루며,
    각각의 복수의 상기 결합공에는 상기 하악 치모형 및 상기 상악 치모형의 후면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6.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의 후면측 일외면 및 타외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측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축;
    일단부측이 상기 제 1 회전축측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회전 및 시소 형태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판을 기준으로 3차원으로 운동하는 상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호 교합하는 하악 치모형(下顎 齒模型)과 상악 치모형(上顎 齒模型)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하부지그;
    상기 상부지지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악 치모형과 상기 상악 치모형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면 또는 후면이 지지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상부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판 및 상기 상부지지판은 각각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그 및 상기 상부지그에는 상기 하부지지판 및 상기 상부지지판에 각각 착탈되는 마그네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판과 상기 하부지그 중, 어느 하나에는 복수의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는 상기 상부지지판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75307A 2011-07-28 2011-07-28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KR10129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07A KR101291698B1 (ko) 2011-07-28 2011-07-28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07A KR101291698B1 (ko) 2011-07-28 2011-07-28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275A Division KR20130014630A (ko) 2013-01-04 2013-01-04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582A KR20130013582A (ko) 2013-02-06
KR101291698B1 true KR101291698B1 (ko) 2013-08-27

Family

ID=4789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307A KR101291698B1 (ko) 2011-07-28 2011-07-28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69A1 (ko) * 2020-04-28 2021-11-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452B1 (ko) * 2019-06-14 2021-02-05 이우형 치아모형의 스캔 장치
KR102275783B1 (ko) * 2021-01-25 2021-07-08 장일환 교합기용 인공치아 배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38Y1 (ko) *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50122303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삼차원 스캐닝 시스템용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컴퓨터 모델링용 삼차원 스캐닝 시스템
KR20100117196A (ko) * 2009-04-24 2010-11-03 오창옥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38Y1 (ko) * 2003-02-08 2003-05-22 엄재수 치과기공용 교합기
KR20050122303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삼차원 스캐닝 시스템용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컴퓨터 모델링용 삼차원 스캐닝 시스템
KR20100117196A (ko) * 2009-04-24 2010-11-03 오창옥 상악조절유닛 및 이를 적용하는 악 관절 교정 수술을 위한 치과용 교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269A1 (ko) * 2020-04-28 2021-11-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대상체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582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4630A (ko)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WO2004028396A1 (ja) 咬合器、フェイスボウ、咬合確認システム、及び顎関節再現システム
KR101291698B1 (ko) 교합기 및 이를 사용한 3차원 측정장치
EP3636213B1 (en) Reference denture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US20140220504A1 (en) Articulator
JP7161046B2 (ja) デジタル三次元歯列模型システム
KR101913248B1 (ko) 치아모형 스캔용 교합기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작시스템
AU2014280144A1 (en) Scanable tray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US20100009318A1 (en) Device for attaching dental model to articulator
WO2009032318A1 (en) Tooth positioners,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method of positioning teeth using the same
KR101291713B1 (ko) 치아 보철용 3차원 측정장치
US10127347B2 (en)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ndylar articulation axis for creating a virtual articulator
KR101174646B1 (ko) 3차원 안면 진단 장치
CN1758884B (zh) 牙齿面弓
KR102213452B1 (ko) 치아모형의 스캔 장치
CN210180568U (zh) 一种牙齿矫治器的正畸力测量装置
KR101645880B1 (ko) 하악의 악관관계 삼차원 디지탈 기록장치
KR101816497B1 (ko)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US9597163B2 (en) Tooth positio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 of positioning teeth using the same
JP6755479B2 (ja) レーザー照射装置
KR102660107B1 (ko) 수직고경 측정 및 유지 장치
JP2000042004A (ja) 歯科咬合器
TWM562104U (zh) 具數位顏面影像顯影之口腔齒顎咬合定位裝置
KR101432420B1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KR102244666B1 (ko) 교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