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350B1 -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350B1
KR101291350B1 KR1020100085504A KR20100085504A KR101291350B1 KR 101291350 B1 KR101291350 B1 KR 101291350B1 KR 1020100085504 A KR1020100085504 A KR 1020100085504A KR 20100085504 A KR20100085504 A KR 20100085504A KR 101291350 B1 KR101291350 B1 KR 10129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rotating body
drilling
drillshi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206A (ko
Inventor
김종문
김홍수
박병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3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35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는, 드릴쉽의 갑판에 설치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힌지 결합된 중공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와 결합하여 그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며, 타단부가 해저 바닥에 박힐 수 있도록 뾰쪽하게 형성된 고정용 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of drillship for shallow sea drilling}
본 발명은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접어들어 국제적으로 급격한 산업화 현상 및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한정된 지구 자원은 점차 바닥을 내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른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은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저에 있는 석유 채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대형 석유회사들은 지금까지 경제성을 상실했던 군소 한계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고, 이에 대한 개발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각종 시추장비를 갖춘 시추선은 조류 및 풍향, 풍속, 파고에 의하여 흔들림이나 위치변화가 적을수록 더욱 안정한 유정 개발을 이룰 수 있고, 시추작업이 완료된 어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조작성은 가능한 한 짧고 간단할수록 좋다.
이때, 조류, 풍향, 풍속, 파고에 의하여 선체가 흔들려 위치가 변화되는 현상은 자기위치 제어장치(Dynamic Positioning Control System)에 의하여 해소될 수 있는데, 이 자기위치 제어장치로는 선체를 일정하게 정박시키기 위한 계류 시스템(Moorin System)이나 해수 속을 360°회전하면서 추진 및 역추진, 또는, 좌우방향의 추진력을 발생하여 선체의 자기위치를 제어하는 전방위 추진기(Azimuth Thruster) 등이 있다.
드릴쉽(drillship)의 경우 전방위 추진기와 DPS(dynamic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를 제어하면서 드릴링(drilling)을 한다. 그래서, 드릴쉽(drillship)의 위치가 절대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해상에서 드릴링이 가능한 정도의 범위 내에서는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릴쉽(1)의 위치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해 시추작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천해 시추작업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드릴쉽(1)에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에, 심해 시추작업은 도 1과 같이 드릴 파이프(2)의 휘어짐은 무시할 수 있지만, 천해 시추작업은 도 2와 같이 드릴 파이프(2)의 휘어짐의 정도가 커져서 드릴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릴쉽의 고정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드릴쉽의 위치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는, 드릴쉽의 갑판에 설치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힌지 결합된 중공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와 결합하여 그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며, 타단부가 해저 바닥에 박힐 수 있도록 뾰쪽하게 형성된 고정용 핀 부재; 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갑판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요철 구조에 의해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는 복수개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상기 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회전핀;
일단부가 상기 회전핀에 고정된 연장핀 및
일단부가 상기 연장핀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뾰쪽하게 형성 굴착부가 구비된 굴착핀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핀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상기 회전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착부는 스크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는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핀이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는 필요에 따라 천해 바닥면에 드릴쉽을 직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천해 시추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든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드릴쉽 고정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 고정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릴쉽 고정 장치가 설치된 드릴쉽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드릴쉽 고정 장치가 설치된 드릴쉽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고정용 핀 부재의 외주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릴쉽 고정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드릴쉽 고정 장치가 설치된 드릴쉽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드릴쉽 고정 장치가 설치된 드릴쉽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Ⅵ-Ⅵ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6에 도시된 Ⅶ-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고정용 핀 부재의 외주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10, 이하 "드릴쉽 고정 장치"라 함)는 지지 부재(30)와, 프레임(40)과, 고정용 핀 부재(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30)는 갑판(15)에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30)는 상기 갑판(15)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0)에는 회전축(3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5)은 갑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15)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0)를 갑판(1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구조는 공지된 구조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부재(3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지지 부재(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상기 프레임(40)은 상기 회전축(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40)은 내주면이 빈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프레임(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프레임(40)에 형성된 중공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프레임(4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체(50)와 상기 프레임(40)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50)는 후술하는 고정용 핀 부재(60)를 수용하는 수용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52)에는 복수개의 홈부(5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홈부(54)는 상기 수용부(52)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홈부(54)는 후술하는 회전핀(70)에 형성된 돌출부(72)와 상호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홈부(54)는 후술하는 회전핀(70)에 마련된 돌출부(72)와 결합하여 그 회전핀(70)과 상기 회전체(5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홈부(54)는 상기 돌출부(72)의 하단부가 걸리도록하여 그 회전핀(70)이 상기 회전체(50)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40)에는 상기 프레임(40)의 양단에 상기 회전체(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예컨대 2가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40)의 일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56)와 상기 프레임(40)의 타단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부(57)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56) 및 상기 지지부(57)는 상기 프레임(4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플랜지(56,57) 및 상기 지지부(57)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40)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40)으로부터 상기 회전체(50)가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40)의 양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56)와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조에서 상기 플랜지(56)는 상기 프레임(40)에 예컨대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50)는 예컨대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50)가 모터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그 회전체(50)와 일체로 결합된 후술하는 고정용 핀 부재(60)는 상기 회전체(50)에 종속적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50)와 결합하여 그 회전체(5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의 타단부는 해저 바닥에 박힐 수 있도록 뾰쪽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의 외주면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회전핀(70)과, 연장핀(80)과, 굴착핀(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핀(70)은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상기 회전핀(70)의 외주면의 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회전핀(70)은 상기 회전체(50)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핀(70)은 상기 회전체(50)에 마련된 수용부(5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50)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핀(70)은 상기 회전체(50)에 마련된 홈부(54)에 대응하는 돌출부(72)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72)는 상기 수용부(52)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핀(7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72)와 상기 홈부(54)가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체(50)와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체(50)와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요철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체(50)와 상기 회전핀(70)이 요철구조에 의해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72)의 하단부는 상기 홈부(54)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핀(70)이 상기 회전체(5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핀(80)은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상기 연장핀(80)의 외주면의 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연장핀(80)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핀(70)에 상기 회전핀(7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장핀(80)은 복수의 부재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복수의 연장핀(80) 중 하나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핀(7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장핀(80)과 상기 회전핀(70)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핀(70)과 연장핀(8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예컨대 암나사와 수나사의 결합 등과 같이 공지된 결합구조에 의해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연장핀(80)은 작업하는 지역의 수심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연장할 수 있도록 복수의 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조되었다.
상기 굴착핀(90)은 막대 모양의 부재이다. 상기 굴착핀(90)의 외주면의 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굴착핀(90)의 일단부는 상기 연장핀(80)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굴착핀(90)의 타단부는 뾰쪽하게 형성 굴착부(9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굴착부(92)는 자유단부로 갈수록 외경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굴착부(92)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모양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굴착부(92)에 형성된 스크류 모양의 요철은 해저 바닥면을 뚫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릴쉽 고정 장치(2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상기 지지 부재(30)가 상기 갑판(15)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40)과 상기 지지 부재(30)는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부터 서술을 시작하기로 한다. 상기 회전체(50)와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분해되어 있다고 전제한다.
드릴쉽(10)이 천해에서 시추작업을 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드릴쉽 고정 장치(20)가 불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와 상기 회전체(50)는 갑판(15)에 마련된 공간에 분리하여 적재된 상태로 드릴쉽(10)이 이동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프레임(40)에 결합된 상태로 드릴쉽(10)이 이동할 수 있다.
드릴쉽(10)이 해저 시추작업을 할 장소에 도달한 경우에, 그 드릴쉽(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를 상기 회전체(50)에 결합하여야 한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프레임(40)에 상기 회전체(50)를 결합하여야 한다. 즉, 상기 회전체(50)를 상기 프레임(40)에 마련된 중공부에 끼움으로써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프레임(4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회전체(50)가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회전체(50)는 벨트, 기어 등과 같은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원과 동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복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완성된다. 즉,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핀(70)과, 복수의 연장핀(80)과, 굴착핀(90)이 결합되어 완성된다. 상기 회전핀(70)은 상기 돌출부(72)와 상기 홈부(54)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체(5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복수의 연장핀(80)은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상기 연장핀(80)의 일단부는 상기 회전핀(7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연장핀(80)의 타단부는 상기 굴착핀(9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고정용 핀 부재(60)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해저 면을 상기 굴착핀(90)이 굴착하여 상기 고정용 핀 부재가 해저 바닥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4개의 드릴쉽 고정 장치(20)에 의해 해수면 상에 떠 있는 드릴쉽(10)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복수의 고정용 핀 부재(60)에 의해 해저면에 대해 드릴쉽(10)의 위치를 고정하고 시추용 파이프를 해저 바닥면으로 내려보낸 후 시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릴쉽 고정 장치(20)는 천해의 바닥에 드릴쉽(10)을 직접적으로 고정하여 시추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천해 시추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든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천해에서 시추 작업이 끝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를 조립 순서와 역순으로 분해한 후에 갑판(15)에 적재한 후에 이동하면 된다. 한편, 드릴쉽(10)의 이동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를 상기 회전축(35)에 대해 회전하여 해저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용 핀 부재(60)를 일시적으로 해저 바닥면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드릴쉽(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용 핀 부재(60)는 상기 회전체(5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회전체(50)가 상기 지지 부재(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드릴쉽 고정 장치(20)는 신속하고 편리하게 드릴쉽(10)의 위치를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핀(70)이 상기 회전체(50)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상기 홈부(54)의 하단부에 상기 돌출부(7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구현하도록 서술하였으나, 상기 회전핀(70)이 상기 회전체(50)의 상단에 마련된 이탈 방지부재에 걸리는 제2 이탈 방지용 플랜지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이탈 방지 작용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드릴쉽 15 : 갑판
20 : 드릴쉽 고정 장치 30 : 지지 부재
35 : 회전축 40 : 프레임
50 : 회전체 52 : 수용부
54 : 홈부 56 : 플랜지
57 : 지지부 60 : 고정용 핀 부재
70 : 회전핀 72 : 돌출부
80 : 연장핀 90 : 굴착핀
92 : 굴착부

Claims (12)

  1. 드릴쉽의 갑판에 설치된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힌지 결합된 중공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체와 결합하여 그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하며, 타단부가 해저 바닥에 박힐 수 있도록 뾰쪽하게 형성된 고정용 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갑판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 쉽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용 핀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와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요철 구조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개의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상기 홈부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 부재는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회전핀;
    일단부가 상기 회전핀에 고정된 연장핀 및
    일단부가 상기 연장핀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뾰쪽하게 형성 굴착부가 구비된 굴착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핀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상기 회전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는 스크류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는 상기 홈부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결합된 회전핀이 상기 회전체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양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 외측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프레임의 타단 내측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KR1020100085504A 2010-09-01 2010-09-01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KR10129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04A KR101291350B1 (ko) 2010-09-01 2010-09-01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04A KR101291350B1 (ko) 2010-09-01 2010-09-01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06A KR20120022206A (ko) 2012-03-12
KR101291350B1 true KR101291350B1 (ko) 2013-07-30

Family

ID=4613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504A KR101291350B1 (ko) 2010-09-01 2010-09-01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245B1 (ko) * 2022-11-29 2023-08-29 금전기업 주식회사 배수갑문 보수용 바지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822A (en) * 1980-03-13 1981-10-08 Kawasaki Heavy Ind Ltd Equalizing device for rack and pinion type elevator
JPS59179483A (ja) * 1983-03-30 1984-10-12 Toshio Matsuda 移動スパツド台による台船移動装置
JPH0656075A (ja) * 1992-08-11 1994-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工事用作業船
KR100943457B1 (ko) 2008-10-1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822A (en) * 1980-03-13 1981-10-08 Kawasaki Heavy Ind Ltd Equalizing device for rack and pinion type elevator
JPS59179483A (ja) * 1983-03-30 1984-10-12 Toshio Matsuda 移動スパツド台による台船移動装置
JPH0656075A (ja) * 1992-08-11 1994-03-01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工事用作業船
KR100943457B1 (ko) 2008-10-10 2010-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06A (ko) 2012-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42319A1 (ja) 水中採鉱機用カッターヘッド、水中採鉱機及び水中採鉱システム
US7584810B1 (en) Top drive power swivel assembly
JP2015212508A (ja) 海洋掘削設備及び海洋掘削のための方法
KR101291350B1 (ko) 천해 드릴링을 위한 드릴쉽 고정 장치
KR101264839B1 (ko) 수중 이동장치
KR101487513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CN116291199B (zh) 一种用于水陆两栖勘察设备的钻探结构
KR20150073234A (ko) 유니트화된 데릭 구조를 갖는 드릴십 및 그 유니트화된 데릭 구조를 이용한 시추 방법
KR20150134612A (ko) 작업모드 전환가능 시추리그 및 이를 가지는 시추 구조물
KR100762426B1 (ko) 굴삭기에 장착하는 암반천공기의 수평회전장치
CN213450243U (zh) 一种便于更换钻杆的石油钻采机
KR101690958B1 (ko) 시추 설비
CN106764062B (zh) 一种海底管路铺设辅助装置
CN113006700A (zh) 用于海底岩石线缆穿越铺设的钻头及钻扩孔系统
CN106481884B (zh) 一种多功能海洋管线铺设船
KR20160004179U (ko) 선박용 호스 보호장치
JP2016021846A5 (ko)
KR101481419B1 (ko) 해양구조물의 위치조절형 드릴시스템
CN217146331U (zh) 一种轻便式水下开孔机
KR102438691B1 (ko) 풍력 발전기 설치 선박
KR101491672B1 (ko) 문풀유동 소파장치
KR20160024177A (ko) 회전형 핑거보드 및 이를 가지는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JP2018131871A (ja) 海底掘削サポートシステム
JPH0316950Y2 (ko)
KR20200002412A (ko) 복합 스퍼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