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330B1 -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 Google Patents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330B1
KR101291330B1 KR1020110074303A KR20110074303A KR101291330B1 KR 101291330 B1 KR101291330 B1 KR 101291330B1 KR 1020110074303 A KR1020110074303 A KR 1020110074303A KR 20110074303 A KR20110074303 A KR 20110074303A KR 101291330 B1 KR101291330 B1 KR 10129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bending piece
ben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873A (ko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1007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3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의 용기 내부를 진공 가능하게 하는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용 패킹을 장착하는 장착홈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패킹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lid and vacuum pot}
본 발명은 냄비의 용기 내부를 진공 가능하게 하는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용 패킹을 장착하는 장착홈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패킹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진공 가능한 냄비는 끓일 때에는 조리실 내부가 팽창하여 체크밸브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평상시와 같은 냄비로서 사용 가능하다.
다 끓인 후 식히면 조리실 내부가 수축하여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 공기의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뚜껑을 계속 아래로 당기는 일명 펌핑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 내부를 진공화시켜 뚜껑이 용기에 붙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 진공상태로 그대로 내용물을 보관하면 진공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 끓여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진공상태의 해제는 다시 끓이거나 체크밸브를 잡고 올리면 된다.
이러한 유형의 냄비로서 아래의 특허문헌들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패킹(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4)의 외측 둘레에 끼움되는 환형의 삽착홈(102)과 본체(12)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수용할 수 있는 환형의 수용홈(10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수용홈(104) 일측 끝단에는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환형의 연장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100) 상부에 형성된 삽착홈(102)은 뚜껑(14)의 외측 둘레에 끼움되어 있고, 수용홈(104)은 본체(12)의 안치부(13)에 안치되어져 있으며, 그 아래로 수직 연장된 연장부(106)는 본체(12) 내면에 밀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0은 체크밸브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패킹(100)은 뚜껑(14)에서 외측으로 빠질 우려가 매우 높은 안착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용홈(140)은 안치부(13)를 막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어, 본체(12)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내는 것을 방지하여 진공 상태의 유지가 그리 오래가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패킹(100)은 링 형상을 가지되, 일면에는 패킹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절개부(110)에 의해 제1,2밀착편(120)(122)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제1,2밀착편(120)9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면에는 절개부(110)의 수축 작용시 서로 닿은 표면적을 줄여 쉽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130)가 환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패킹은 도 3을 참조로 하면, 조리용기(20)의 용기본체(22)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24)의 하면 가장자리 즉, 뚜껑(24)에 형성된 플랜지부(25)의 하측과 그 하부 내측에 형성된 환돌기(26)의 외주연에 장착되어져 용기본체(22)의 상부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22)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하게 되면 용기본체(22) 내부의 고기압은 진공해제밸브(28)나 뚜껑(24)을 상승시켜 발생되는 틈새로 배출되며, 조리가 완료되어 용기본체(22)를 더 이상 가열하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22) 내부 온도가 점차 냉각되어 저기압으로 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뚜껑(24)은 절개부(110)의 수축에 의해 제1밀착편(120)과 제2밀착편(122)이 서로 부착하면서 용기본체(2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본체(22) 내부는 진공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패킹(100)도 전술한 특허문헌 1의 패킹(100)과 마찬가지로 뚜껑(24)에서 이탈될 우려가 큰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패킹은 뚜껑이 외측에서 막아주는 구조를 취하고 있지 않아, 패킹(100)이 열을 받으면 팽창하기 때문에 그 팽창에 따른 뚜껑으로부터의 이탈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8-0004792호 특허문헌 2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61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펌핑의 기능을 갖는 밀폐용 패킹이 뚜껑에서 임의적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은,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고리 형상으로서, 패킹본체와, 상기 패킹본체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후단측에 지지되는 패킹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방 절곡편, 상기 상방 절곡편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되는 외측 수평 절곡편, 상기 외측 수평 절곡편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하방 절곡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방 절곡편의 내면에는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은,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방 절곡편의 상단에서 하단 사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은,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는 아래로 돌출한 환테가 형성되고, 상기 환테의 둘레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는,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장착공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꼭지부와, 상기 장착공의 하면에 걸리는 중공걸림부와, 상기 개폐부와 상기 중공걸림부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띠와, 상기 장착공의 상면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띠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진공 가능한 냄비는,
조리실을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단 내외를 덮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고리 형상으로서, 패킹본체와, 상기 패킹본체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후단측에 지지되는 패킹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방 절곡편, 상기 상방 절곡편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되는 외측 수평 절곡편, 상기 외측 수평 절곡편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하방 절곡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방 절곡편의 내면에는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패킹의 장착홈이 역U자 형태로 되어 있어 패킹이 열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장착홈의 하방 절곡편의 내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 아래로 돌출한 환테의 둘레를 따라 요홈이 형성됨으로써, 패킹날개가 패킹본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패킹날개의 승강 기능을 확실히 유지시킨다.
체크밸브의 연결띠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냄비에서 김을 충분히 빼면서 끓이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체크밸브를 들어 걸림돌기가 장착공의 상면에 걸리게 하면, 넘침 방지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진공 가능한 뚜껑용 패킹을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을 사용한 냄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다른 종래의 진공 가능한 냄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진공 가능한 뚜껑을 결합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패킹을 절단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체크밸브의 걸림돌기가 장착공에 걸린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를 분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진공 가능한 뚜껑을 결합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패킹을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체크밸브의 걸림돌기가 장착공에 걸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가능한 냄비(100)는 조리실(200a)을 갖는 용기(200)와, 용기(200)의 조리실(200a)을 개폐하는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포함한다.
용기(200)는 내부에 조리실(200a)을 형성하도록 바닥(210)과, 바닥(210)의 가장자리에서 위로 돌출한 측벽(230)으로 형성되어 있다.
진공 가능한 뚜껑(300)은 뚜껑본체(310)와, 뚜껑본체(310)에 천공 형성된 장착공(311)에 장착되는 체크밸브(330)와, 뚜껑본체(3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착홈(350)과, 장착홈(350)에 장착되는 패킹(370)을 포함한다.
체크밸브(330)는 탄성 변형이 자유롭고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서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공(311)의 상면(313)을 개폐하는 개폐부(331)와, 개폐부(331)의 상면에 형성되는 꼭지부(333)와, 장착공(311)의 하면(315)에 걸리는 중공걸림부(335)와, 개폐부(331)와 중공걸림부(335)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띠(337)를 포함한다.
꼭지부(333)는 손으로 잡을 수 있으면서도 아래의 중공걸림부(335)로 올라는 압력을 받아 위로 들리게 하는 메인 역할뿐만 아니라 체크밸브(300)를 어느 정도는 아래로 무게를 가하여 진공상태를 오래 유지시키는 보조 역할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31)는 장착공(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꼭지부(333)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걸림부(335)는 디스크 형상으로 그 중심에 관통공(336)이 형성된 고리 형성이다.
연결띠(337)는 사이마다 배출공간(339)이 형성되도록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크밸브(330)는 조리실(200a) 내부의 압력은 중공걸림부(335)의 관통공(336)과 배출공간(33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반대로의 유로는 차단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띠(337)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면에는 걸림돌기(3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돌기(338)가 장착공(311)의 상면(313)에 걸리게 하면, 도 9와 같이 연결띠(337)의 상단과 걸림돌기(338) 사이에 배출공간(339)이 외부와 늘 통하게 되어 있어 넘침 방지가 필요한 요리를 하는 경우 유용하다.
또한, 중공걸림부(335)의 상면에는 도 4와 같이 상방돌기(335a)가 형성되어, 장착공(311)의 하면(315)에 들러붙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370)은 폐루프의 일체형 고리 형상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본체(371)와, 패킹본체(371)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후단측(371b)에 지지되는 패킹날개(373)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패킹은 단면을 보여주기 위해 절단한 단면도로서, 2개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또한, 패킹본체(371)의 하면 전단측(371a)과 후단측(371b) 사이에는 아래로 돌출한 환테(375)가 형성되어, 패킹날개(373)가 환테(375)에 선접촉하게 함으로써 패킹본체(371)의 하면과의 면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들러붙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또한, 환테(375)에는 그 둘레를 따라 요홈(376)이 형성되게 하여, 연속 선접촉을 불연속 선접촉으로 하여 패킹날개(373)가 환테(375)에 들러붙는 것을 더욱 방지시킬 수 있다.
장착홈(350)은 뚜껑본체(310)의 테두리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방 절곡편(351), 상방 절곡편(351)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되는 외측 수평 절곡편(353), 외측 수평 절곡편(353)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하방 절곡편(3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350)에 패킹(370)이 삽입 장착되기 때문에, 외측과 내측 및 상측이 패킹(370)을 구속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팽창으로 인한 외측으로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다.
특히 하방 절곡편(355)의 내면에는 패킹본체(371)의 하면 전단측(371a)이 걸리는 걸림턱(3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패킹(370)은 걸림턱(356)에 걸려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공 가능한 뚜껑(300)을 계속 열고 닫아도 패킹(370)의 어느 방향으로의 임의적 이탈을 확실히 방지한다.
걸림턱(356)은 하방 절곡편(355)의 상단(355a)과 하단(355b) 사이(중간쯤)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프레스로 눌러 성형하는 것이 공정상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장착홈(350)이 역U자 형상이기 때문에 용기(200)의 측벽(230) 상단(231)의 내외를 덮는 형태로 감싸기 때문에,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억제시켜 진공효율(특히 진공 유지 시간)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진공 가능한 냄비(100)를 끓이면,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팽창하면서 체크밸브(330)를 통해 빠져나가고, 냄비(100)를 끓이지 않으면 식으면서 용기(200)의 내부 압력은 수축하면서 뚜껑(300)과 체크밸브(330)가 당기게 된다.
뚜껑(300)이 당겨지는 정도는 패킹날개(373)가 위로 눌러지는 정도와 같게 된다.
따라서, 패킹날개(373)와 체크밸브(330)로는 외부의 공기 유입이 없게 만들어 냄비의 조리실(200a)을 진공 상태로 형성시킨다.
진공 상태의 해제는 끓이거나 체크밸브(330)를 위로 잠시 당겨 올려주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진공 가능한 냄비 200 : 용기
200a : 조리실 210 : 바닥
230 : 측벽 231 : 상단
300 : 진공 가능한 뚜껑 310 : 뚜껑본체
311 : 장착공 313 : 상면
315 : 하면 330 : 체크밸브
331 : 개폐부 333 : 꼭지부
335 : 중공걸림부 335a : 상방돌기
336 : 관통공 337 : 연결띠
338 : 걸림돌기 339 : 배출공간
350 : 장착홈 351 : 상방 절곡편
353 : 외측 수평 절곡편 355 : 하방 절곡편
355a : 상단 355b : 하단
356 : 걸림턱 370 : 패킹
371 : 패킹본체 371a : 전단측
371b : 후단측 373 : 패킹날개
375 :환테 376 : 요홈

Claims (5)

  1.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고리 형상으로서, 패킹본체와, 상기 패킹본체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후단측에 지지되는 패킹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방 절곡편, 상기 상방 절곡편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되는 외측 수평 절곡편, 상기 외측 수평 절곡편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하방 절곡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방 절곡편의 내면에는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는 아래로 돌출한 환테가 형성되고,
    상기 환테의 둘레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방 절곡편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눌러 형성시킨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장착공의 상면을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꼭지부와,
    상기 장착공의 하면에 걸리는 중공걸림부와,
    상기 개폐부와 상기 중공걸림부를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띠와,
    상기 장착공의 상면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띠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외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5. 조리실을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조리실을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에 형성된 장착공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상단 내외를 덮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고리 형상으로서, 패킹본체와, 상기 패킹본체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후단측에 지지되는 패킹날개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뚜껑본체의 테두리에서 위로 절곡되는 상방 절곡편, 상기 상방 절곡편에서 외측 수평으로 절곡되는 외측 수평 절곡편, 상기 외측 수평 절곡편에서 아래로 절곡되는 하방 절곡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방 절곡편의 내면에는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패킹본체의 하면 전단측과 후단측 사이에는 아래로 돌출한 환테가 형성되고,
    상기 환테의 둘레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진공 가능한 냄비.
KR1020110074303A 2011-07-26 2011-07-26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KR10129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03A KR101291330B1 (ko) 2011-07-26 2011-07-26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303A KR101291330B1 (ko) 2011-07-26 2011-07-26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73A KR20130012873A (ko) 2013-02-05
KR101291330B1 true KR101291330B1 (ko) 2013-07-30

Family

ID=4789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303A KR101291330B1 (ko) 2011-07-26 2011-07-26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3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86B1 (ko) 2013-10-11 2014-09-0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의 뚜껑용 패킹
KR101452914B1 (ko) * 2013-09-13 2014-10-2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52913B1 (ko) * 2013-09-25 2014-10-2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597152B1 (ko) 2014-08-27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953326B1 (ko) 2018-10-22 2019-02-28 서우석 진공용 밀폐 패킹을 이용한 진공용 밀폐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1B1 (ko) * 2014-07-02 2015-01-28 서월식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JP7309898B2 (ja) * 2019-03-22 2023-07-18 イリノイ トゥール 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材料試料のエポキシ埋込のための真空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110U (ko) * 1980-02-29 1981-09-29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110U (ko) * 1980-02-29 1981-09-29
KR200450617Y1 (ko) * 2008-06-26 2010-10-15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진공 조리용기 뚜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4B1 (ko) * 2013-09-13 2014-10-2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52913B1 (ko) * 2013-09-25 2014-10-2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36886B1 (ko) 2013-10-11 2014-09-02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의 뚜껑용 패킹
KR101597152B1 (ko) 2014-08-27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953326B1 (ko) 2018-10-22 2019-02-28 서우석 진공용 밀폐 패킹을 이용한 진공용 밀폐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73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330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및 이를 이용한 냄비
KR20130012872A (ko) 진공 가능한 냄비뚜껑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냄비용 뚜껑
JP6262773B2 (ja) 掛止部を有する真空密閉用容器蓋及びこれを採用した真空密閉容器
US6364152B1 (en) Food storage container
BR102017007132A2 (pt) Pressure cooker with improved safety
KR20100078576A (ko)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
KR20090047821A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101616073B1 (ko)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KR101358244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58243B1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101357125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36886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의 뚜껑용 패킹
KR101415804B1 (ko) 진공냄비뚜껑용 체크밸브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KR101426852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325784B1 (ko) 진공가능한 밀폐냄비의 패킹결합구조
KR101568168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0451215Y1 (ko)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200152284Y1 (ko) 밀폐식 냄비의 자동에어 배출 밸브구조
KR101357126B1 (ko) 진공 가능한 냄비
KR101670265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200437807Y1 (ko) 밀폐형 용기 뚜껑
KR200476728Y1 (ko) 진공 냄비
KR101597152B1 (ko)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