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83B1 - 자전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83B1
KR101291283B1 KR1020110043685A KR20110043685A KR101291283B1 KR 101291283 B1 KR101291283 B1 KR 101291283B1 KR 1020110043685 A KR1020110043685 A KR 1020110043685A KR 20110043685 A KR20110043685 A KR 20110043685A KR 101291283 B1 KR101291283 B1 KR 10129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heel
unit
hold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929A (ko
Inventor
조운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엔
Priority to KR102011004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자전거 거치대 본체와, 자전거 거치대 본체에 거치된 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잠금유닛과,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에 진입한 자전거의 바퀴를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가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감지유닛에서 자전거 바퀴를 감지시 잠금유닛의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전거 거치대{A BIKE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바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유닛을 구비하여 자전거의 거치시에만 잠금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에서는 건강을 위해서는 물론, 대중 교통 수단을 대체하는 교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자전거를 보관하는 데에는 장소의 제약이나 도난의 우려 등 많은 원인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지하철 혹은 관공서 근방의 자전거 보관소의 경우 단순히 철제 프레임을 용접하여 골격을 세우고, 그 상부에 천막 형태의 지붕이 갖추어진 정도의 구조로서, 단순히 철재로만 이루어진 구조물로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도시의 환경 미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자전거를 안전하게 보관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잠금장치를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자전거를 안전하게 거치하는 기술의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118호의 배경기술로 기재된 바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118호)의 배경기술로 기재된 내용을 살펴보면, 자전거가 바퀴진입구에 삽입되면, 바퀴접촉부와 바퀴유지부가 형성된 하나의 잠금 해제레버에 의하여 바퀴진입구에 진입된 자전거의 바퀴의 바퀴표면부와 스포크 사이를 포위하여 자전거의 바퀴를 구속할 수 있도록 하여, 바퀴가 앞, 뒤로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바퀴의 유지 고정하는 조정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있다.
즉, 잠금해제레버가 힌지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금해제레버가 잠금 및 해제되도록 하는 동시에, 또한 자전거의 바퀴의 바퀴표면부와 스포크 사이를 포위할 수 있도록 간격의 잠금해제레버에 의하여 바퀴진입구에서 자전거 바퀴의 잠금위치를 별도로 세팅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잠금해제레버의 바퀴접촉부가 바퀴진입구의 통로에 노출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이 장난으로 밀어서 잠금장치가 작동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 자전거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원상복구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자 실제로 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잠금장치가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자전거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거치대에 자전거 바퀴가 진입된 것을 정확하게 감지한 뒤에만 잠금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전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거치대는, 자전거 거치대 본체와; 상기 자전거 거치대 본체에 거치된 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잠금유닛과;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에 진입한 자전거의 바퀴를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가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자전거 바퀴를 감지시 상기 잠금유닛의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기 자전거 바퀴 거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자전거 바퀴에 눌리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센서와; 상기 압전센서에서의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패턴신호로 생성하는 패턴생성부와; 상기 패턴생성부가 자전거 바퀴의 표면 패턴인지 비교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비교판단부에서 비교할 기준이 되는 자전거 패턴의 다양한 종류가 저장되는 기준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자전거 바퀴의 측면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사된 뒤 자전거 바퀴를 통과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의 패턴을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로 물체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자전거 바퀴의 틀의 원호형상을 근거로 하여 자전거 바퀴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자전거 바퀴의 바퀴살의 패턴을 근거로 하여 자전거 바퀴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자전거 바퀴에 연결되는 자전거 포크의 패턴을 근거로 하여 자전거 바퀴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거치대 본체의 바닥에는 상기 자전거 바퀴의 원호형상에 대응되는 원호형 안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원호형 안착홈의 적어도 3 지점에 각각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원호형 안착홈으로 진입된 자전거 바퀴를 동시에 감지하여 자전거 바퀴를 인식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자전거 거치대에 따르면, 자전거 바퀴의 표면을 감지한 패턴정보, 자전거 바퀴의 외곽틀(튜브)의 원호형태를 감지한 감지정보, 바퀴의 외곽틀, 바퀴 살 또는 자전거 포크를 스캔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자전거 거치대의 바퀴 거치부로 진입하는 물체가 자전거 바퀴인지 아닌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퀴 여부를 감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잠금유닛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자전거의 거치시에만 동작되도록 하여 자전거 거치대의 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감지유닛을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자전거 거치대에서 자전거 바퀴의 외곽틀을 스캔한 정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자전거 거치대에서 자전거 바퀴의 살을 스캔한 정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자전거 거치대에서 자전거의 바퀴에 연결되는 자전거 포크를 스캔한 정보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의 감지유닛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0)는, 자전거 거치대 본체(110)와, 잠금유닛(120)과, 감지유닛(130)과, 제어부(140)와, 저장부(150)와, 입력부(160)와, 출력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대 본체(110)는 베이스(111)와, 상기 베이스(111)의 상부에 좌우 서로 대칭되어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112)를 가진다. 기둥부(112)는 상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들 사이에 자전거 바퀴 거치부(113)가 마련된다.
상기 바퀴 거치부(113) 내로 자전거(10)의 바퀴(11)를 집어넣으면, 상기 감지유닛(130)에서 바퀴(11)의 진입을 확인하고, 그 확인정보를 근거로 하여 제어부(140)에서 상기 잠금유닛(120)을 작동시켜 바퀴(11)를 잠그게 된다.
상기 잠금유닛(120)은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잠금유닛(120)은 상기 거치대 본체(110)의 기둥부(112)에서 자전거 거치부(113) 쪽으로 출몰되게 구동되는 록킹부재(121)와, 록킹부재(121)를 전진 및 후진 구동시키는 작동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부재(121)가 도 4와 같이, 바퀴(11)를 가로질러 바퀴살(11b)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바퀴(11)가 자전거 거치부(113)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130)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자전거의 바퀴(11)를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11)가 진입하였는지, 아니면 다른 물체가 진입한 것인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유닛(130)은, 압전센서(131)와, 패턴생성부(132), 비교판단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압전센서(131)는 베이스부(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바퀴 거치부(113)의 바닥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바퀴 거치부(113)로 바퀴(11)를 굴려서 진입시키면, 그 바퀴(11)가 압전센서(131) 위를 누르게 되어 압전센서(131)에서는 물체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압전센서(131)는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바퀴(11)가 굴러가서 놓이는 특정 구간 즉, 일정 길이 및 넓이로 형성된다.
상기 패턴생성부(132)는 압전센서(131)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하여 감지부위를 기준으로 하는 패턴을 생성한다. 즉, 바퀴(11)가 굴러가면서 눌린 부분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바퀴(11)가 놓인 상태에서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턴생성부(132)에서 바퀴(11)에 의해 눌려져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패턴을 생성한다.
상기 비교판단부(133)는 패턴생성부(132)에서 생성된 패턴이 미리 설정된 또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비교패턴(기준데이터)과 비교하여, 바퀴(11)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비교판단부(133)에서 판단한 결과, 생성된 패턴이 비교패턴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전거 바퀴(11)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차범위는 생성패턴과 비교패턴 간의 면적을 비교하여 ±5%로 정할 수 있고, 또는 패턴 형상에 있어서, 일치하지 않는 면적이 10% 이내인 경우에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허용오차는 실험을 통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패턴은 미리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제공되며, 비교패턴은 자전거 제조회사별로, 또는 자전거 종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패턴은 자전거 제조회사 또는 판매회사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신제품의 출시의 경우에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자전거의 종류, 바퀴의 패턴 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유닛(130)에서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물체를 감지한 결과, 자전거 바퀴(11)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잠금유닛(120)을 동작시켜서 도 4와 같이 자전거 바퀴(11)가 강제로 빠지지 않도록 록킹시킨다.
상기 입력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비교패턴(기준데이터)을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입력함은 물론, 자전거를 거치시킨 주인(사용자) 별로 비밀번호, 동작신호, 해제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퀴 거치부(113)에 자전거 바퀴(11)를 집어넣고, 입력부(160)에 구비된 동작버튼이나 동작스위치 등을 동작시키면 그 신호에 의해 제어부(140)는 감지유닛(130)에서 바퀴(11)인 것을 확인한 판단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잠금유닛(120)을 제어하여 바퀴(11)를 로킹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만이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60)의 구성 및 제어동작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어느 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력부(16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방법 이외에도, 별도의 식별카드 또는 식별키 등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70)는 안내음성 또는 경고 음성 등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71)와, 안내문자, 경고문자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72)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경광등(표시등 포함)(173)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자전거 바퀴(11)의 외측 패턴을 감지하여 바퀴(11) 여부를 판단하여 잠금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어린아이들이 장난을 치거나 하여 다른 물체를 바퀴 거치부(113)에 집어넣더라도 잠금장치(120)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전거 바퀴(11)가 진입하였을 경우에만,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잠금장치(120)를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자전거 거치대(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는, 바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230)으로서, 스위치센서(231), 발광부(232), 수광부(233) 및 비교판단부(234)를 구비하는데 있어서 앞서 설명한 자전거 거치대(100)와 기술적 차이점이 있다.
상기 스위치센서(231)는 바퀴 거치부(113)로 바퀴(11)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퀴 거치부(113)의 입구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스위치센서(231)는 비접촉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설치위치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32)는 스위치센서(231)에서 바퀴(11)를 포함하여 물체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되는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수광부(233)를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부(232)는 바퀴 거치부(113)의 내부벽면에서 수광부(233)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하 소정 높이(길리)로 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대략 자전거 바퀴(11)의 높이까지 광을 띠 형태로 출사하고, 수광부(233)에서는 발광부(232)에서 출사되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그들(232,233) 사이로 통과하는 물체를 스캔할 수 있게 된다.
즉, 바퀴(11)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하는 동안 발광부(232)에서 광을 출사하면, 바퀴(11)의 틀(11a)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그대로 통과하여 수광부(233)에서 수광하게 되고, 바퀴(11)에 의해 차단된 부분은 수광부(133)에서 수광하지 못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바퀴(11)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경우에는, 수광부(233)에서 광을 수광한 스캔영역(B)과, 광을 수광하지 못한 스캔영역(A)으로 구분하여 스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캔정보 즉, 수광정보를 근거로 하여 비교판단부(234)서는 정상적인 바퀴의 스캔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바퀴로 판단하는 근거로는, 상기 스캔영역(A)의 형상이나, 면적, 원호정보(곡률 정보)를 근거로 하여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11)의 외곽틀(11a)을 스캔하여 자전거 바퀴(11)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할 것으로 최종적으로 확인된 후에, 제어부(140)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유닛(120)의 동작을 허용하여 바퀴(11)를 로킹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수광부(233)에서는 바퀴(11)의 살(11b)을 스캔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바퀴(11)가 멈춘 상태에서의 바퀴 살(11b)을 스캔하여, 그 스캔 된 영역들(A,B)을 비교하고, 광을 수광하지 못한 스캔영역(A)이 면을 이루지 않고, 빗살무늬 형태와 같을 경우, 즉, 바퀴 살(11b)과 같은 패턴을 가질 경우, 비교판단부(234)에서는 바퀴(11)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도 9와 같이 바퀴의 살(11b)을 스캔한 정보와 비교할 비교정보는 자전거 종류별로 확보하여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장된 비교정보와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면적, 두께 등이 10% 이내의 차이에서는 무시) 이내에서 일치할 경우, 바퀴(11)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광부(233)에서는 바퀴(11)의 축과 자전거 프레임을 연결하는 포크(13;도 3참조)를 스캔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바퀴(11)가 멈춘 상태에서 바퀴(11)를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그 스캔 영역들(A,B)을 비교하고, 광을 수광하지 못한 스캔영역(A)을 비교하고, 광을 수광하지 못한 스캔영역(A)이 자전거의 포크(13)의 모양에 대응되는 형태와 같을 경우, 비교판단부(234)에서는 바퀴(11)가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도 10과 같이 바퀴에 연결되는 포크(13)를 스캔한 정보와 비교할 비교정보는 자전거 종류별로 확보하여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장된 비교정보와 스캔정보를 비교하여 오차범위(면적, 두께, 모양 등이 10% 이내의 차이에서는 무시) 이내에서 일치할 경우, 바퀴(11)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거치대(100')의 경우에는, 발광부(232) 및 수광부(233)를 포함하는 감지유닛(230)을 이용하여 바퀴 거치부(113)로 진입하는 물체를 스캔하고, 스캔 정보를 분석하여 바퀴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잠금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바퀴(11) 이외의 물체가 진입시에는 이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잠금유닛(120)이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전거 거치대(100')의 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거치대 본체(110)의 바닥면에 자전거 바퀴(11)의 원호형상에 대응되는 원호형으로 인입 형성된 원호형 안착홈(113)이 형성되고, 그 원호형 안착홈(113)의 적어도 3 지점에서 바퀴(11)의 외곽틀(튜브)이 진입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센서(134,135,136)가 설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감지센서들(134,135,136)은 접촉센서 또는 비접촉 센서 모두 가능하며, 원호형 안착홈(113)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감시센서(134,135,136)들은 원호형 안착홈(113)으로 자전거 바퀴(11)가 진입할 경우, 3지점 각각에서 동시에 물체를 감지함으로써 바퀴(11)가 진입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감지센서(134,135,136)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40)로 전달되고, 제어부(140)에서는 3곳의 감지센서(134,135,136) 각각에서 동시에 물체를 감지한 것으로 확인하고, 자전거 바퀴(11)가 진입된 것으로 최종 판단함으로써, 잠금유닛(120)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자전거 11..자전거 바퀴
100,100'..자전거 거치대 110,,자전거 거치대 본체
120..잠금유닛 130,230..감지유닛
140..제어부 150..저장부
160..입력부 170..출력부

Claims (9)

  1. 자전거 거치대 본체와;
    상기 자전거 거치대 본체에 거치된 자전거를 선택적으로 잠그는 잠금유닛과;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에 진입한 자전거의 바퀴를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가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에서 자전거 바퀴를 감지시 상기 잠금유닛의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자전거 바퀴의 측면으로 광을 출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출사된 뒤 자전거 바퀴를 통과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된 광의 패턴을 인식하여 자전거 바퀴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판단부에서는 상기 자전거 바퀴의 틀의 원호형상, 상기 자전거 바퀴의 바퀴살의 패턴, 상기 자전거 바퀴에 연결되는 자전거 포크의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로 하여 자전거 바퀴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자전거 거치대의 거치위치로 물체의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여부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거치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43685A 2011-05-09 2011-05-09 자전거 거치대 KR10129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85A KR101291283B1 (ko) 2011-05-09 2011-05-09 자전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85A KR101291283B1 (ko) 2011-05-09 2011-05-09 자전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29A KR20120125929A (ko) 2012-11-19
KR101291283B1 true KR101291283B1 (ko) 2013-07-30

Family

ID=4751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85A KR101291283B1 (ko) 2011-05-09 2011-05-09 자전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8886B1 (fr) * 2020-04-06 2022-05-20 Jcdecaux Sa Système de détection de stationnement d’un bicy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958A (ja) * 2005-03-31 2006-10-19 Tokai Giken Kk 二輪車判別装置及び方法
KR20090019267A (ko) * 2007-08-20 2009-02-25 서창원 도어형 전자 자전거 보관장치
KR100943822B1 (ko) * 2009-08-20 2010-02-22 박원용 허위거치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KR100959072B1 (ko) 2009-06-17 2010-05-20 한림지에스티 주식회사 이중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958A (ja) * 2005-03-31 2006-10-19 Tokai Giken Kk 二輪車判別装置及び方法
KR20090019267A (ko) * 2007-08-20 2009-02-25 서창원 도어형 전자 자전거 보관장치
KR100959072B1 (ko) 2009-06-17 2010-05-20 한림지에스티 주식회사 이중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전거 거치대
KR100943822B1 (ko) * 2009-08-20 2010-02-22 박원용 허위거치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29A (ko) 201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54145B (zh) 认证车辆部件的系统和方法
US8854197B2 (en) Method of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 surroundings
EP2175432A1 (en) Tool container and alarm system
JP5197936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101438204B1 (ko) 이륜차 및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KR20120116563A (ko) 스마트키 시스템, 그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960357A (zh) 用于机动车的装配模块
JP2010150031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247185A (ja) 自動二輪車の風防制御装置
JP201027468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7510740A (ja) 組立体モジュール
KR101291283B1 (ko) 자전거 거치대
JP2009025982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5232989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20090132377A (ko) Rf id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자전거
KR100943822B1 (ko) 허위거치 방지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거치대
US20150363987A1 (en) Operation input confirm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handle device
KR200449558Y1 (ko) 바퀴진입 감지센서가 형성된 자전거 거치대
JP2018003505A (ja) 機械式駐車設備の出入口扉復帰方法
JP2008015743A (ja) 通行管理装置
JP2002285587A (ja) 土木建設機械のロックシステム
JP6742541B2 (ja) 車載装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2002321B1 (ko) 전동차의 이탈방지장치
JP5451337B2 (ja) 二輪車の駐輪システム及び施錠装置
KR20090105016A (ko)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