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737B1 - 배수 처리 기구 - Google Patents

배수 처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737B1
KR101290737B1 KR1020100048413A KR20100048413A KR101290737B1 KR 101290737 B1 KR101290737 B1 KR 101290737B1 KR 1020100048413 A KR1020100048413 A KR 1020100048413A KR 20100048413 A KR20100048413 A KR 20100048413A KR 101290737 B1 KR101290737 B1 KR 10129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tank
chlorine gas
gas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717A (ko
Inventor
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48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54584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메가
Publication of KR2010012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대규모의 장치로 구성하지 않고도 잔류염소를 저감 할 수 있는 배수 처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배수중의 오염성분을 유효 염소에 의해 처리하는 기구로 배수를 처리한 후에 잔류하는 유효 염소를 염소가스로서 휘발시키는 염소가스 분리조(8)를 갖으면서 상기 분리조내에서는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였다. 염소가스 분리조(8)에 있어서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함유된 잔류염소를 염소 가스로서 휘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열분해조나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고 잔류염소를 저감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 처리 기구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수 중의 잔류 염소를 저감할 수 있는 배수 처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염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음과 같은 제안이 있었다(특허문헌1).
즉,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염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환원 분해조 단독으로 구성되어 그 분해조에서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을 그대로 유황계 환원제와 혼합함으로써 차아염소산염의 전량을 유황계 환원제로 환원 분해하는 분해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아염소산염의 분해장치에 따르면 차아염소산염이 환원 분해되어서 염화물과 산소(O2)가 생성되면서 유황계 환원제는 산화되어서 그 산화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아염소산염의 분해장치에서는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염의 전량을 환원하는 데에 필요한 양의 유황계 환원제가 요구되어 고농도로 포함된 차아염소산염을 분해하려고 하면, 많은 유황계 환원제가 요구되며 유황계 환원제의 산화물이 많이 생성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다 적은 유황계 환원제로 고농도로 차아염소산염을 함유하는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염을 분해할 수 있는 차아염소산염의 분해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검토한 결과, 열분해조 및 냉각기를 더 구비하여 열분해조에서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을 가열하여 차아염소산염을 열분해 하고, 열분해 된 후의 열분해액을 냉각기에서 냉각한 후 환원조에서 유황계 환원제와 혼합하여서 미분해된 차아염소산염을 환원 분해하도록 구성한 차아염소산염의 분해장치는 비교적 적은 유황계 환원제의 사용량으로 고농도로 차아염소산염 수용액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염을 분해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제안에서는 열분해조나 냉각기가 요구되어 처리장치가 상당히 대규모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236367호
여기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대규모의 장치로 구성하지 않으면서도 잔류염소를 저감할 수 있는 배수 처리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1)본 발명의 배수 처리 기구는 배수중의 오염성분을 유효 염소에 의해 처리하는 기구로서, 배수를 처리한 후에 잔류하는 유효 염소를 염소가스로서 휘발시키는 염소가스 분리조를 갖으면서 상기 분리조내에서는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배수란 오염성분을 함유하는 물을 의미하며, 정화 후에 하천에 방류(폐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재이용하는 것(공장폐수 등)이나 순환시켜서 재이용하는 것(수영장 물 등) 등을 의미한다. 또한 오염토양의 삼출수(渗出水)등을 예시할 수도 있다. 유효 염소란 분해능력을 갖는 염소로서 (용존)염소가스의 형태의 것, 차아염소산의 형태의 것, 차아염소산 이온의 형태의 것이 있다. 잔류 염소란 배수처리후에 잔류하는 유효 염소를 말한다.
유효염소에 의해 오염성분이 처리된 배수는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나 TOC(전유기탄소)가 저감되지만, 유효염소가 잔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잔류염소는 산화 분해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는 하천 등에 방류하거나(자연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재이용할 수 없다.
분리조내의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염산(산)이나 유황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분리조내의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수를 유격막 전기분해 기구의 양극측 영역으로 통액한 후 염소가스 분리조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배수 처리기구에서는 염소가스 분리조에 있어서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함유되는 잔류염소를 염소가스로서 휘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열분해조나 냉각기를 사용하지 않고 잔류염소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 내의 액온을 향상시키면 염소가스의 휘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처리기구는, 유효염소는 산성분위기에서는 염소가스의 형태가 되어 휘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현상을 배수중의 잔류염소의 분리에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pH가 작을수록 유효염소는 차아염소산의 형태에서 염소가스의 형태로 변화되어 염소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염소가스 분리조의 pH는 2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서 염소가스를 휘발시킨 후의 그 분리조 내부의 배수는 잔류 염소 농도가 저감되고, 다음 공정으로 보내어 수산화나트륨(염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분리조내에서는 산성(예를들면, pH2이하)으로 제어한 수소 이온농도가 중성영역(pH6~8)이 되도록 pH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서 활성탄에 의한 흡착처리(COD등이 한층 더 저감된다)나 RO막에 의한 여과를 수행한 후, 후공정(하천방류나 재이용 등)으로 보낸다.
(2)상기 염소가스 분리조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액중에 용해시키는 기액((氣液)혼합조를 갖으면서 상기 조(槽)내의 액체는 알칼리성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알칼리성으로 설정된 기액혼합조(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저류하여 둘 수 있다)에서 염소가스를 효율적으로 용해시켜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기액혼합조내의 액체는 예를 들면 pH13이상으로 하면, 염소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해·회수하여서 재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액혼합조에서 빼낸 유효염소 함유수와 배수를 일정 유량으로 합류시켜 배수중의 오염성분을 유효 염소로 분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액혼합조내의 잔류염소농도가 3000ppm이 되도록 설정하고 배수의 COD가 500ppm정도가 되도록 설정하여, 이들을 합류시키면 COD는 거의 5ppm이하로 저감되면서 잔류염소농도는 1000ppm정도가 되었다.
(3)상기 기액혼합조에서 빼낸 유효 염소 함유수와 배수를 일정 유량으로 합류시켜서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무격막 전기 분해조를 갖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수를 직접 양극 산화하면서 활성도가 높은·OH라디컬에 의한 산화작용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격막 전기 분해조에는 배수의 pH가 5.5정도가 되도록 하여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면 유효 염소의 산화력이 가장 높은 상태로 배수를 분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배수에 브롬이온(브롬화나트륨이나 브롬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을 첨가하여서 전기 분해하면, 활성도가 가장 높은 pH5.5의 상태가 pH8.6정도까지 확장하게 된다. 이것은 차아염소산에서 변화한 차아브롬산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무격막 전기 분해조를 통과한 뒤에는(pH5.5~8.6정도까지 바람직하다), 염산등의 산을 첨가함으로써 pH를 산성(pH2이하가 바람직하다)으로 만들어서 염소 가스 분리조로 공급할 수 있다.
(4)상기 배수를 양극측 영역으로 통액시키는 유격막 전기분해기구를 갖으며 이어서 염소 가스 분리조로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격막 전기 분해 기구의 양극측에서는 수소이온이 발생하여서 pH가 산성쪽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염소가스가 휘발하기 쉬운 분위기가 된다. 따라서 염소가스 분리조에 공급했을 때에 염소가스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다.
(5)상기 염소 가스 분리조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이젝터 기구에 의해 기액(氣液)혼합조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염소가스와 액체의 혼합을 이젝터 기구로 수행시켜 가압작용을 미치게 함으로써 액중으로의 염소가스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염소가스 분리조에서 기액 혼합조로의 염소가스의 공급을 기체 이송수단(진공펌프등)을 도입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6)상기 기액 혼합조의 조내의 순환수로 이젝터 기구를 기능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혼합조 내부의 액체를 순환하여서 교반작용를 미치게 하면서 이 순환수를 이용하여서 이젝터 기구를 기능 시킬 수 있다. 또한 혼합조 내부의 액체는 순환 펌프 등으로 순환할 수 있다.
(7)상기 염소가스 분리조에 콤푸레샤 등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에어를 버블링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그 분리조의 액상(液相)으로부터의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상기 염소가스 분리조의 저류액을 인출하여서 그 분리조 내로 샤워하면서 순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분리조 내의 액체가 액체방울(미스트)이 되고 그 액체방울에 용존하는 염소가스가 휘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며,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의 액상으로부터의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블링과 샤워의 상승효과에 의해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9)상기 배수에 전해 작용을 미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수가 이취나 악취 등을 발생시키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전기분해작용에 기인하여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나쁜 냄새 성분을 분해하여서 경감 내지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에 전해수를 첨가하거나 혹은 배수 자체를 전기분해하면, 차아염소산이나·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오염성분이 세분화되고 나쁜 냄새 성분이 분해되어 이취의 발생을 억제 내지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열분해조나 냉각기를 사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대규모의 장치로 구성하지 않으면서 잔류 염소를 저감할 수 있는 배수 처리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배수처리기구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시스템·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배수처리기구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시스템·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1]
(1)도1에서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배수처리기구는 배수중의 오염성분을 주로 유효염소에 의해 처리하는 기구로서, 공장 배수 원수(1)에 차아염소산소다(2)를 첨가하여서(도면중 P는 펌프를 나타낸다) 오수 원수 조정조(3)로 일정유량으로 보내도록 한다. 이 오수 원수 조정조(3)에서는 블로워(Bro)로 폭기하여서 그 조정조 내부를 충분하게 교반함으로써 차아염소산이 액중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오염성분과 모두 남김없이 만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수 원수 조정조(3)에서 모래여과장치(4)로 보내어 ss성분을 제거하고, 이어서 반응조(R)로 보내어 차아염소산에 의한 오염성분의 일정한 분해시간을 확보한다. 그 후 차아염소산소다를 다시 첨가하여서 무격막 전기 분해조(6)에서 직접 산화 분해를 수행하고(후술), 이어서 반응조R로 보내어 오염성분의 일정한 분해시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염소가스 분리조(8)로 보내서 상기 무격막 전기분해조(6)와 반응조(R)에서 처리한 후에 잔류되는 유효염소(3000ppm정도였다)를 염소가스(Cl2)로서 휘발시키면서 상기 분리조내에서는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는 저류액을 블로워(Bro)로 폭기함으로써 염소가스의 이탈을 촉진하였다. 또한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내의 액온을 향상시키면 염소가스의 휘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란 오염성분(대부분은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물을 의미하며, 정화후에 하천에 방류(폐기)되는 것뿐만 아니라, 재이용되는 것(공장폐수 등)이나 순환시켜서 재이용되는 것(수영장물 등)을 의미한다. 또한 사업장 구내의 중유 탱크나 연결 파이프에서 누설된 유분을 포함한 오염토양, 화학공장 철거지의 유해한 유기성분을 포함한 오염토양, 주유소 부지의 유분에 의한 오염토양의 토양 삼출수(혹은 그 지하수) 등을 예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중유로 오염된 토양과 같이 물에 대하여 난용해성인 오염성분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친매성의 유기용매(예를 들면, DMSO, DMAc, IPA)로 친수화하여서 추출하여 수중으로 이행시키면 토양 배수로서 정화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유효염소란 분해능력을 갖는 염소로서 (용존)염소가스(Cl2) 형태의 것, 차아염소산(HOCl)의 형태의 것, 차아염소산 이온(ClO-)의 형태의 것이 있다. 잔류염소란, 배수 처리후에 잔류되어 있는 유효염소를 의미한다.
그리고 유효염소에 의해 오염성분을 분해처리한 배수는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나 TOC(전유기탄소)가 저감되지만, 유효염소가 잔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잔류염소는 산화분해작용을 갖기 때문에 그대로는 하천 등에 방류하거나(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재이용(예를 들면, 공장에서 초순수로 만들어 재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염소가스 분리조(8) 내부의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바람직하게는 pH2이하)하기 위해, 염산(9)(산)을 첨가하도록 한다. 또한 염소가스 분리조(8) 내부의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제2실시형태와 같이 배수를 유격막 전기분해기구(10)(도2)의 양극측 영역(11)에 통액한 후 염소가스 분리조(8)에 공급할 수도 있다.
염소가스를 휘발시킨 후의 염소가스 분리조(8)내의 처리 완료 배수(COD는 그 전에 유효염소에 의해 저감된다)는 그 휘발된 만큼 잔류 염소 농도가 저감되고(염소가스 분리조(8)로의 공급전의 3000ppm이 20ppm이하가 되었다), 상기 분리조내에서는 산성(pH2이하)으로 제어한 수소 이온 농도가 중성영역(pH6~8)이 되도록 수산화나트륨(염기)을 첨가하여 pH조정하여서 활성탄에 의한 흡착여과기구(12)(잔류염소농도나 COD가 한층 더 저감된다)로 보내고, 이어서 최종적으로 처리완료된 배수의 처리수조(13)으로 보내며, 필요에 따라서 RO막에 의한 여과(미도시)를 수행한 후, 하천 방류하거나 재이용을 위해 공급한다.
(2)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액중에 용해시키는 기액혼합조(14)(수산화나트륨5중량% 수용액을 저류)를 갖으면서, 상기 조(槽)내의 액체는 알칼리성으로 설정(pH13이상)하도록 한다. 이 기액혼합조(14)에는 수산화나트륨의 저류조(15)를 설치하여, 기액혼합조(14) 내부에서 송출된 분량에 상당하는 양을 보충하도록 한다. 그리고 팬(Fan)으로 하류측에서 흡인함으로써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기체의 상태로 기액 혼합조(14)로 유인하여서 액중에 용해시키도록 한다.
상기 기액혼합조(14)에서는 저류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을 혼합조내에서 순환시켜서 분무함으로써 염소가스와의 조우율을 높여서 액중에 용해시키기 쉽도록 한다. 상기 기액혼합조(14)내의 액체는 pH13이상으로 하면 염소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용해·회수하여서 재이용에 이용할 수 있다. 염소가스 분리조(8)와 기액혼합조(14) 사이에서는 배수 자체의 왕래는 없다.
그리고 상기 기액혼합조(14)에서 빼낸 유효 염소 함유수(염소가스가 용해함으로써 잔류염소농도가 15000ppm으로 향상하였다)에 차아염소산(16)과 배수의 원수(공장 배수 원수1)를 일정 유량 합류시켜서, 배수중의 오염성분을 유효염소로 분해하면서 상기 오수 원수 조정조(3)로 보내도록 한다.
(3)상기 기액혼합조(14)에서 빼낸 유효 염소 함유수와 배수(공장 배수 원수1)를 일정 유량으로 합류시킨 후에 전기분해를 하는 무격막 전기 분해조(6)를 갖으며, 배수에 차아염소산과 함께 브롬이온(브롬화물로서 브롬화나트륨이나 브롬화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도 첨가하면, 활성도가 가장 높은 pH5.5의 상태가 pH8.0정도까지 확장되게 된다. 즉, 배수의 pH가 8.0까지 변화하여도 pH5.5와 같은 정도의 산화력을 갖게 되며(통상 pH8.0에서는 유효염소가 거의 차아염소산이온《OCl-》의 형태가 되어 산화력이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배수처리시의 pH조정의 허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며(이것은 차아염소산에서 변화된 차아브롬산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소위 줄타기적인 처리 조건이 아니라 여유있는 폭넓은 배수처리가 가능하며, 처리시 예기치 못한 pH변동(배수에는 여러 가지의 pH의 것이 존재하며 또한 예상 밖의 pH가 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한 안정성이 증대되게 된다.
무격막 전기 분해조(6)를 통과한 후에는(pH는 5.5.~8.0정도가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염산(9)을 첨가함으로써 pH를 산성(pH2이하가 바람직하다)으로 만들어서 기밀 상태로(염소가스를 처리계 밖으로 누설시키는 일이 없이)염소 가스 분리조(8)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어서 이 실시형태의 배수 처리 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1)이 배수 처리기구에서는 염소가스 분리조(8)에 있어서 배수가 산성(바람직하게는 pH2이하)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함유되는 잔류염소를 염소가스로서 휘발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열분해조나 냉각기와 같은 대규모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잔류염소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처리기구는, 중성영역에서는 배수중에서 분리가 불가능(곤란)한 유효 염소는 산성 분위기에서는 염소 가스의 형태가 되어 휘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현상을 배수중의 잔류염소의 분리에 이용하고, 처리후의 배수를 pH조정하여서 산성분위기로 유효염소를 염소 가스의 형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액상(液相)에서 기상(氣相)으로 분리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pH가 작을수록 유효염소는 차아염소산의 형태로부터 염소가스의 형태로 변화하여서 염소가스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염소 가스 분리조(8)의 pH는 2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상기 염소 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액중에 용해시키는 기액 혼합조(14)를 갖으면서, 상기 조(槽)내의 액체는 알칼리성(바람직하게는 pH13이상)으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어서 염소 가스를 효율적으로 용해시켜서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수의 pH를 각 처리조의 의의를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처리후에 잔류하는 유효 염소를(환원제로 무위로 낭비하는 일 없이) 순환하여서 재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상기 기액혼합조(14)에서 빼낸 유효염소 함유수와 배수를 일정 유량으로 합류시켜서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무격막 전기분해조(6)를 갖도록 하며, (유효염소에 의한 산화 처리뿐만 아니라) 배수를 직접 양극 산화하면서 활성도가 높은 ·OH라디칼에 의한 산화작용을 미치게 할 수 있어 오염성분의 COD나 TOC의 저하 능력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격막 전기 분해조(6)에는 배수의 pH가 5.5정도(브롬이온을 첨가한 경우는 pH5.5~8.0)가 되도록 하여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하면 유효염소의 산화력이 가장 높은 상태로 배수를 분해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2]
도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모래여과장치(4)와 반응조R로 처리후의 배수에 관하여 그 양극측 영역(11)을 통액시키는 유격막 전기 분해기구(10)를 갖으며, 이어서 염소가스 분리조(8)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유격막 전기 분해기구(10)의 양극측에서는 수소 이온이 발생되어 pH가 산성쪽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다음의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염소가스가 휘발하기 쉬운 분위기가 되며 염소가스 분리조(8)내에서 염소가스를 많이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배수에 염산을 첨가하여서 양극측 영역(11)에 통액시키도록 하면, 배수에 첨가한 염산의 염소 이온이 유격막 전기 분해기구(10)의 양극측 영역(11)에서 전자를 방출하여 염소가스로 변화하기 때문에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의 염소가스의 발생량이 증가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3]
이 실시형태에서는(도1,도2참조)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이젝터 기구에 의해 기액혼합조(11)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젝터 기구는 기액혼합조(14)의 혼합조내의 순환수로 기능시키도록 구성하였는데(미도시), 혼합조내의 액체를 순환펌프P로 순환하여서 교반작용을 미치게 하면서 이 순환수를 이용하여서 이젝터기구를 기능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염소가스와 액체의 혼합을 이젝터기구로 수행시키며 혼합조(14)내에 가압작용을 미치게 함으로써 액체중으로의 염소가스의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기액혼합조(14)로의 염소가스의 공급을 기체이송수단(팬이나 진공펌프 등)을 도입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는 블로워(Bro)에 의해 하방에서 에어를 폭기(버블링)하도록 하며, 그 분리조(8)의 액상으로부터의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의 저류액을 끌어내어서 그 분리조 안으로 샤워하면서 순환하도록 하고, 조내부의 액체가 액체 방울(미스트)이 되어 그 액체방울에 용존하는 염소가스가 휘발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의 액상에서의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형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버블링과 샤워의 상승 효과에 의해 염소가스의 휘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는 무격막 전기분해조(6)나 유격막 전기분해기구(10)로 전해작용을 미치게 한 것으로 배수가 이취나 악취를 발생시키는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전기분해작용에 기인하여 생성되는 차아염소산·OH라디칼의 산화력에 의해 나쁜 냄새 성분을 분해하여서 경감 내지 소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수에 전해수를 첨가하거나 혹은 배수 자체를 전기분해하면, 차아염소산이나 ·OH라디컬의 산화력에 의해 오염성분이 세분화되어 나쁜 냄새가 분해되게 되고 이취(이상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대규모의 장치로 구성하지 않으면서 잔류 염소를 저감할 수 있어서 여러 가지의 배수 처리 기구의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
6; 무격막 전기 분해조
8; 염소가스 분리조
10; 유격막 전기 분해기구
11; 양극(陽極)측 영역
14 기액(氣液)혼합조

Claims (6)

  1. 배수중의 오염 성분을 유효 염소에 의해 처리하는 기구로서 배수를 처리한 후에 잔류하는 유효 염소를 염소가스로서 휘발시키는 염소가스 분리조(8)를 갖으면서 상기 분리조 내에서는 배수가 산성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하고,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액 중에 용해시키는 기액혼합조(14)를 갖으면서, 상기 기액혼합조(14) 내의 액체는 알칼리성으로 설정하도록 하며,
    상기 기액혼합조(14)에서 빼낸 유효 염소 함유수와 배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합류시켜서 전기분해를 하는 무격막 전기 분해조(6)를 갖는 배수 처리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가스 분리조(8)에서 휘발시킨 염소가스를 이젝터 기구에 의해 기액혼합조(14)로 공급하도록 한 배수 처리 기구.
  6. 상기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혼합조(14)의 조내의 순환수로 이젝터 기구를 기능시키도록 한 배수 처리 기구.
KR1020100048413A 2009-05-26 2010-05-25 배수 처리 기구 KR101290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5998 2009-05-26
JPJP-P-2009-125998 2009-05-26
JP2010114833A JP5545841B2 (ja) 2009-05-26 2010-05-19 排水の処理機構
JPJP-P-2010-114833 201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717A KR20100127717A (ko) 2010-12-06
KR101290737B1 true KR101290737B1 (ko) 2013-07-29

Family

ID=4350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413A KR101290737B1 (ko) 2009-05-26 2010-05-25 배수 처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7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565A (ja) * 1993-12-28 1995-07-25 Takenaka Komuten Co Ltd 排水処理施設用残留塩素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51656A (ja) * 1998-08-07 2000-02-22 Ataka Construction & Engineering Co Ltd 揮発性有機塩素化合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321771A (ja) * 2000-05-15 2001-11-20 Asahi Pretec Corp 副生ガス処理機能を有する電解水生成装置
JP2005125276A (ja) * 2003-10-27 2005-05-19 Asahi Pretec Corp 殺菌性電解水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5565A (ja) * 1993-12-28 1995-07-25 Takenaka Komuten Co Ltd 排水処理施設用残留塩素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51656A (ja) * 1998-08-07 2000-02-22 Ataka Construction & Engineering Co Ltd 揮発性有機塩素化合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321771A (ja) * 2000-05-15 2001-11-20 Asahi Pretec Corp 副生ガス処理機能を有する電解水生成装置
JP2005125276A (ja) * 2003-10-27 2005-05-19 Asahi Pretec Corp 殺菌性電解水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717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039B1 (ko) 전기-페록손 반응 기반 수처리 장치
JP5545841B2 (ja) 排水の処理機構
JP2004202357A (ja) 有機化合物汚染の浄化方法
KR101070829B1 (ko) 물 처리 시스템
JP2011011167A (ja) 排水処理方法
US6599431B2 (en) Purifying apparatus for contaminated water and ground water and method thereof
KR101206399B1 (ko) 배수의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JP2009255069A (ja) 水処理システム
JP2004243162A (ja) 難分解性有機物含有液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1290737B1 (ko) 배수 처리 기구
KR20190002500A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64933B1 (ko) 물 처리 방법 및 기구
KR101064932B1 (ko) 물 처리 방법 및 기구
JP5153565B2 (ja) 排水処理方法
TWI439425B (zh) Gas dissolution mechanism
KR20110127603A (ko) 배수의 처리기구
JP2012239927A (ja) 排水処理方法
JP2005103391A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231177A (ja) 内分泌撹乱化学物質分解方法及び装置
KR101284129B1 (ko) 피처리수 정화의 원격관리 방법
KR20120005717A (ko) 배수 처리 방법
JP4172415B2 (ja) 汚染水の多段処理装置
JP2011067773A (ja) 液体の撹拌混合機構
JP2008188488A (ja) 廃水処理システム
JP2013031817A (ja) 排水の残留塩素の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