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531B1 -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531B1
KR101290531B1 KR1020110121979A KR20110121979A KR101290531B1 KR 101290531 B1 KR101290531 B1 KR 101290531B1 KR 1020110121979 A KR1020110121979 A KR 1020110121979A KR 20110121979 A KR20110121979 A KR 20110121979A KR 101290531 B1 KR101290531 B1 KR 10129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balance
frequency
phase
measuring
timing sk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395A (ko
Inventor
정진섭
지승환
임용훈
장병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1012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5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25Timing aspects, e.g. clock distribution, skew,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렉트 업컨버전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인자인 기존의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 이외에 I/Q 타이밍 스큐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는 스펙트럼 분석기로부터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 f1, f2, 및 f3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단일 톤의 주파수 성분, fc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파워 값을 획득하는 파워값 획득 수단 및 상기 파워값 획득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에 대한 파워 값을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하는 I/Q 타이밍 스큐 측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I/Q 위상/게인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I/Q imbalance measurn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ub-conversion system}
본 발명은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보정을 위해 I/Q 타이밍 스큐를 포함하여 I/Q 불균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렉트(direct) 또는 호모다인(homodyne) 업컨버전(up-conversion) 방식은 간편성과 경제성으로 인해 다종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컨버전 기술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종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디지털 베이스밴드 I 신호 및 디지털 베이스밴드 Q 신호를 각각의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거쳐서 아날로그 I/Q 신호로 변환하고, LPF(Low Pass Filter)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I/Q 신호에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며, LPF를 통과한 I/Q 베이스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디바이스인 I/Q 변조기를 사용하여 RF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게 된다.
한편, I/Q 변조기는 동상(in-phase) 성분(I)과 직각위상(quadrature-phase) 성분(Q)을 갖는데, 이 둘은 정확하게 90°로 직교해야 한다. 그러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 따르면, 아날로그 디바이스인 I/Q 변조기의 특성으로 인해 동상 성분(I)과 직교위상 성분(Q) 간의 위상이 90°가 안 되는 위상 불균형과 동상 성분(I)과 직교위상 성분(Q) 간의 게인이 달라지는 게인 불균형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심각한 성능 열화를 보이는 단점을 갖는다.
도 2는 동상 성분(I)과 직교위상 성분(Q) 간의 위상/게인 불균형에 의한 영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상 성분(I)과 직교위상 성분(Q) 간에 위상/게인 불균형이 발생하면 미러 스펙트럼(mirror spectrum) 성분에 의해 수신단에서 해당 신호를 복조할 경우 심각한 성능 열화를 겪는다. 따라서, 이러한 I/Q 위상/게인 불균형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많은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도 I/Q 간의 DAC 타이밍이나 PCB 또는 케이블 길이 차이로 발생하는 I/Q 간의 지연 시간 차이에 의한 I/Q 타이밍 스큐(time skew)를 측정하고 보정하는 기술은 그다지 많이 연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WLAN, WiMAX 또는 LTE처럼 광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와 같은 I/Q 타이밍 스큐에 의해 시스템의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이렉트 업컨버전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인자인 기존의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 이외에 I/Q 타이밍 스큐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는 스펙트럼 분석기로부터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 f1, f2, 및 f3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단일 톤의 주파수 성분, fc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파워 값을 획득하는 파워값 획득 수단 및 상기 파워값 획득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에 대한 파워 값을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하는 I/Q 타이밍 스큐 측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I/Q 위상/게인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1, f2 및 f3의 3개 톤의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 및 상기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된 I 및 Q 신호를 다이렉트 업컨버전하는 다이렉트 업컨버터를 구비한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 및 상기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RF 시그널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I/Q 불균형을 갖는 상기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에 대한 파워값을 측정하는 스펙트럼 분석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는 I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3-톤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Q 타이밍 스큐 측정 수단은, 상기 6개 주파수 성분 중에서 fc+f1과 fc-f1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1 단일 톤의 위상을 측정하고, fc+f2와 fc-f2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2 단일 톤의 위상을 측정하며, fc+f3와 fc-f3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3 톤의 위상을 각각 측정한 후에 상기 3개의 단일 톤 각각에 대해 측정한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타이밍 스큐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Q 위상/게인 측정 수단은, 상기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이 상기 측정된 I/Q 타이밍 스큐에 의해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하여 얻어진 3개 톤 중에서 어느 1개 톤의 주파수 성분 및 이와 미러 관계에 있는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게인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적어도 3개의 연속적인 단일 톤 기저대역 신호(f1, f2, f3)를 생성한 후에 캐리어 주파수 fc로 변조하는 (a) 단계; 3개의 노멀 주파수fc+f1, fc+f2, fc+f3)와 3개의 미러 주파수(fc-f1, fc-f2, fc-f3)의 파워를 측정하는 (b) 단계; 상기 각 노멀 주파수와 이에 상응하는 미러 주파수의 파워 차이에 의해 각 단일 톤의 위상을 측정하는 (c) 단계; 각각의 상기 단일 톤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하는 (d) 단계 및 상기 (d) 단계에서 측정된 I/Q 타이밍 스큐에 의해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상기 3개의 단일 톤 신호 중 1개의 단일 톤 신호를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방법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이렉트 업컨버전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인자인 기존의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 이외에 I/Q 타이밍 스큐를 효율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동상 성분(I)와 직교위상 성분(Q) 간의 위상/게인 불균형에 의한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은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의 시스템 모식도.
도 4는 I/Q 불균형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의 3-톤 기저대역 신호 발생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관찰된,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포도.
도 7은 컨트롤 PC에 설치된 I/Q 불균형 측정 소프트웨어의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의 시스템 모식도인바, τ는 I/Q 타이밍 스큐 인자, φ는 위상 불균형 인자, g는 게인 블균형 인자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는 필연적으로 I/Q 위상, 게인 및 시간 지연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I/Q 불균형을 보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불균형 인자를 측정하는 방법이 필요한바, 도 4는 I/Q 불균형 측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Q 불균형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은 크게 3개 톤(tone)의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110) 및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110)에서 발생된 I 및 Q 신호를 다이렉트 업컨버전하는 다이렉트 업컨버터(120)를 구비한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RF 시그널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한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iyzer)(200) 및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과 스펙트럼 분석기(2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PC(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펙트럼 분석기(200)와 컨트롤 PC(300) 및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과 컨트롤 PC(300)는 각각 이더넷 또는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의 3-톤 기저대역 신호 발생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톤 기저대역 신호 발생부(110)는, 주파수가 각각 f1, f2 및 f3이고 등 간격인 3개의 단일 톤(single-tone)으로 이루어진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킨다. 물론 코사인 또는 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 3-톤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3-톤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IFFT를 이용하여 3-톤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유는 주파수 영역에서 3-톤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할 경우 I/Q 타이밍 스큐 및 I/Q 위상/게인 불균형의 보정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신 시스템이 OFDM 방식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I/Q 불균형 보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N-포인트 IFFT를 사용하는 경우 통신 시스템의 샘플링 레이트와 IFFT 사이즈인 N을 고려하여 f1, f2 및 f3 주파수에 해당하는 IFFT 입력 위치에 N을 입력하고 나머지 위치에는 '0'을 입력한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IFFT를 실행하면 주파수가 f1, f2 및 f3인 3개의 단일 톤 기저대역 신호가 발생되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3-톤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발생된 3-톤 기저대역 신호는 이후 다이렉트 업컨버터(120)를 거쳐서 반송파가 fc인 RF 신호로 변조되는데, 이렇게 변조된 RF 신호는 I/Q 불균형을 갖게 된다. 이후 이러한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는 스펙트럼 분석기(200)로 입력된다.
도 6은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관찰된,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포도이다. I/Q 불균형이 없는 신호라면 스펙트럼 분석기(200)에서 측정된 주파수 스펙트럼 분포상 fc+f1, fc+f2 및 fc +f3의 주파수에서 3개의 톤 신호만 발생되어야 하나 I/Q 불균형의 영향으로 인해 반송파인 fc를 기준으로 대칭 주파수 fc-f1, fc-f2 및 fc-f3 에서도 미러 스펙트럼 성분이 발생한다.
한편, 컨트롤 PC(300)의 I/Q 불균형 측정 소프트웨어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기(200)로부터 스펙트럼 결과를 읽어와서 다이렉트 업컨버전 방식을 사용하는 해당 통신 시스템의 I/Q 위상 불균형, 게인 불균형 및 타이밍 스큐를 측정한다.
도 7은 컨트롤 PC에 설치된 I/Q 불균형 측정 소프트웨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Q 불균형 측정 소프트웨어의 기능적인 구성은 크게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320),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330) 및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는 이더넷이나 GPIB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펙트럼 분석기(200)로부터 측정값을 가져오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입력된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 에서의 파워 값을 가져온다.
다음으로,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320)는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로부터 제공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에 대한 파워 값을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I/Q 타이밍 스큐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I/Q 불균형을 갖는 시스템이 주파수가 ω0인 단일 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이를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2253412-pat00001
위의 수학식 1을 통해 위상 불균형 φ와 타이밍 스큐 τ는 서로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게인 불균형 g와 위상 불균형 φ는 주파수 성분 ω0에 무관함을 알 수 있다. 즉, 위상 불균형 φ와 타이밍 스큐 τ는 시간 영역의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에 영향을 주어 시간 영역에서는 위상 불균형에 의한 위상 변화와 타이밍 스큐에 의한 위상 변화를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위상 불균형 φ가 주파수 성분 ω0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타이밍 스큐 τ는 ω0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이용하면 두 인자에 의한 효과를 구분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타이밍 스큐를 측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3-톤 기저대역 신호가 I/Q 불균형을 갖게 되면 도 6과 같이 6개의 스펙트럼 성분을 갖게 된다.
타이밍 스큐가 없고 위상 및 게인 불균형만 있다면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은 주파수 성분에 무관하므로 fc-f1, fc-f2 및 fc-f3에서의 미러 스펙트럼은 일정한 크기를 갖게 되지만 타이밍 스큐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각 주파수 성분의 미러 스펙트럼은 주파수에 따라 변화는 위상 성분으로 인해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각 단일 톤에 대한 노멀 주파수(normal frequency)와 미러 주파수(mirror frequency) 성분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즉 fc+f1과 fc-f1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1 톤의 위상을 측정하고, fc+f2와 fc-f2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2 톤의 위상을 측정하며, fc+f3와 fc-f3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f3 톤의 위상을 각각 측정한다.
각 톤의 위상은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바, x는 fx와 -fx 주파수 성분의 파워 차이로 단위는 dBc이다.
Figure 112011092253412-pat00002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스큐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위상이 바뀌게 되므로 3개 톤의 각각에 대해 측정한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타이밍 스큐를 계산할 수 있는데, 위상 차이 및 타이밍 스큐는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2253412-pat00003
한편,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일정 회수만큼 반복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I/Q 타이밍 스큐가 측정되면 이렇게 측정된 I/Q 타이밍 스큐를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330)를 통해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에 전달하는데, 이후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에서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가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게 된다. 이는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가진 I/Q 타이밍 스큐와 주파수에 무관한 위상 불균형이 함께 있는 경우 I/Q 타이밍 스큐의 영향으로 인해 위상 불균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 측정은 3-톤 신호 중 f1 과 -f1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이는 I/Q 타이밍 스큐의 보정으로 인해 모든 주파수 성분에서 위상 및 게인 불균형 특성이 동일해지고, 이로 인해 3-톤 신호를 모두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를 통해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한 후에는 스펙트럼 분석기(200)로부터 f1과 -f1 주파수의 파워 값을 읽어온다. 다음으로 이렇게 읽어온 파워 값을 이용하여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각각 측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에서는 I/Q 불균형 측정을 위해 주파수가 각각 f1, f2 및 f3인 3-톤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3-톤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f1, f2 및 f3은 등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단계 S10은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3-톤 기저대역 신호는 N-포인트 I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생성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업컨버전 시스템(100)의 샘플링 레이트와 IFFT 사이즈인 N을 고려하여 f1, f2 및 f3 주파수에 해당하는 IFFT 입력 위치에 N을 입력하고 나머지 입력에는 '0'을 입력한다. 다음으로,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IFFT를 실행하면 주파수가 f1, f2 및 f3인 3개의 단일 톤 기저대역 신호가 생성되며, 이를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3-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3-톤 신호는 코사인 또는 사인 함수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 생성할 수도 있으나 주파수 영역에서 3-톤 신호를 생성할 경우 I/Q 타이밍 스큐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고, 나아가 WiLAN, WiMAX 또는 LTE 등과 같이 OFDM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도 동일한 I/Q 타이밍 스큐 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이렇게 생성된 3-톤 기저대역 신호는 단계 S20에서 RF 신호로 주파수 변조(단계 S20)된 후에 스펙트럼 분석기(200)에 입력되는데, 이렇게 변조된 RF 신호는 I/Q 불균형을 갖는 신호이다. 단계 S20은 다이렉트 업컨버터(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기(200)로부터 측정된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의 파워 크기를 가져오는데, 이 단계 S30은 이더넷 또는 GPIB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과 스펙트럼 분석기(200)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PC(300)에 구비된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컨트롤 PC(300)에는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320),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330) 및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0 및 단계 S50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로부터 가져온 6개 주파수 성분에 대한 파워 차이에 각 단일 톤의 위상을 측정하고, 다시 이렇게 측정된 각 단일 톤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한다. 단계 S40 및 단계 S50은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I/Q 타이밍 스큐 측정은 위상 불균형이 주파수 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타이밍 스큐는 주파수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측정하도록 한다. 즉, 타이밍 스큐는 위의 수학식 1에 의해 주파수에 따라 위상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하여 f1, f2 및 f3 톤 각각의 위상을 측정(단계 S40)한 후에 이렇게 측정된 주파수별 위상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타이밍 스큐를 측정(단계 S50)한다.
각 톤의 위상은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310)로부터 가져온 파워 크기를 위의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계산할 수 있다. 각 톤에 대한 위상이 모두 계산되면 각 톤 간의 위상 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측정한다. 측정의 정확도를 위해 일정 회수만큼 반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I/Q 타이밍 스큐의 측정이 완료된 후에 단계 S60에서는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하는데, 이를 위해 측정된 I/Q 타이밍 스큐를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330)를 통해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에 전달하여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100)이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70에서는 이렇게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신호에 대해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70에서는 I/Q 타이밍 스큐 보정 후, 3-톤 신호 중 1개 톤, 예를 들어 f1과 -f1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한다. 이는 I/Q 타이밍 스큐의 보정으로 인해 모든 주파수 성분에서 위상 및 게인 불균형 특성이 동일해지고, 이로 인해 3-톤 신호를 모두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인바, 이렇게 1개 톤의 주파수만를 이용하기 때문에 3개 톤의 주파수를 모두 사용할 때보다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 110: 3-톤 기저대역 신호발생부,
120: 다이렉트 업컨버터, 200: 스펙트럼 분석기,
300: 컨트롤 PC, 310: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
320: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 330: I/Q 타이밍 스큐 보정 컨트롤러,
340: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

Claims (7)

  1. I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3-톤(f1,f2, f3)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킨후 이를 다이렉트 업컨버전하여 RF 신호 출력하되, I/Q 타이밍 스큐 계산치에 따라 I/Q 타이밍 스큐 보정하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I/Q 불균형을 갖는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에 대한 파워값을 측정하는 스펙트럼 분석기와;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로부터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 f1, f2, f3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단일 톤의 주파수 성분, fc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파워 값을 획득하는 스펙트럼 분석기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중 각 단일 톤에 대한 노멀 주파수와 미러 주파수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각 톤의 위상차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톤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계산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I/Q 타이밍 스큐 측정부와;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Q 위상/게인 불균형 측정부는,
    상기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이 상기 계산된 I/Q 타이밍 스큐에 의해 I/Q 타이밍 스큐를 보정하여 얻어진 3개 톤 중에서 어느 1개의 단일 톤 주파수 성분 및 이와 미러 관계에 있는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3. I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3-톤(f1,f2, f3) 기저대역 신호를 발생시킨후 이를 다이렉트 업컨버전하여 RF 신호 출력하되, I/Q 타이밍 스큐 계산치에 따라 I/Q 타이밍 스큐 보정하는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I/Q 불균형을 갖는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에 대한 파워값을 측정하는 스펙트럼 분석기와 각각 연결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I/Q 불균형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로부터 I/Q 불균형을 갖는 RF 신호의 6개 주파수 성분(fc-f1, fc-f2, fc-f3, fc+f1, fc+f2, fc+f3; f1, f2, f3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단일 톤의 주파수 성분, fc는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파워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6개 주파수 성분중 각 단일 톤에 대한 노멀 주파수와 미러 주파수의 파워 차이를 이용하여 각 톤의 위상차이를 측정하는 단계와;
    각 톤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I/Q 타이밍 스큐를 계산하고 이를 상기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I/Q 타이밍 스큐가 보정된 상기 3개의 단일 톤 신호 중 1개의 단일 톤 주파수 성분 및 이와 미러 관계에 있는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여 I/Q 위상 및 게인 불균형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121979A 2011-11-22 2011-11-22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29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979A KR101290531B1 (ko) 2011-11-22 2011-11-22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979A KR101290531B1 (ko) 2011-11-22 2011-11-22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95A KR20130056395A (ko) 2013-05-30
KR101290531B1 true KR101290531B1 (ko) 2013-07-30

Family

ID=4866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979A KR101290531B1 (ko) 2011-11-22 2011-11-22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497B1 (ko) 2017-02-27 2018-12-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면활성제와 물을 이용한 아스팔텐의 침전 방법
KR102104952B1 (ko) 2018-11-29 2020-04-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면활성제와 물을 이용한 아스팔텐의 침전 방법
CN116546613B (zh) * 2023-06-26 2023-11-21 高拓讯达(北京)微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i/q时间不平衡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67A1 (en) 2002-03-26 2003-10-0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Circuit arrangement for shifting the phase of an input signal and circuit arrangement for suppressing the mirror frequency
US20060153318A1 (en) 2004-11-22 2006-07-13 Sugar Gary L Memoryless spectrum correction algorithm for non-ideal I/Q demodulators
KR20090085182A (ko) * 2008-02-04 2009-08-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i/q불균형 성분을추정하기 위한 부채널 할당 방법 및 채널 추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67A1 (en) 2002-03-26 2003-10-02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Circuit arrangement for shifting the phase of an input signal and circuit arrangement for suppressing the mirror frequency
US20060153318A1 (en) 2004-11-22 2006-07-13 Sugar Gary L Memoryless spectrum correction algorithm for non-ideal I/Q demodulators
KR20090085182A (ko) * 2008-02-04 2009-08-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에서 i/q불균형 성분을추정하기 위한 부채널 할당 방법 및 채널 추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95A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500B2 (en) Electronic arrangement and vector network analyzer characterized by reduced phase noise
US8224269B2 (en) Vector modulator calibration system
EP2279423B1 (en) Open loop load pull arrangement with determination of injections signals
US7231311B2 (en) Method for characterizing high-frequency mixers
JP2013187817A (ja) 測定装置、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451000B1 (en) Vector network analyzer and measuring method for frequency-converting measurements
KR101290531B1 (ko) 다이렉트 업컨버전 시스템에서 i/q 불균형 측정 장치 및 방법
US9459295B2 (en) Measurement system utilizing a frequency-dithered local oscillator
US9225577B2 (en) Exciter and quadrature error correction method
Mirra et al. A multi-step phase calibration procedure for closely spaced multi-tone signals
US739786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IQ modulation for calibration or measurement
CN101518014A (zh) 发射机的模拟i/q调制器的i/q不均衡和dc偏移校准
JP2022524455A (ja) 側波帯抑圧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arson et al. Using distortion shaping technique to equalize ADC THD performance between ATEs
JP2012095120A (ja) 測定装置、測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rranz-Gimon et 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Hanning Window for the measurement of interharmonic distortion caused by close tones in IEC standard framework.
TWI417561B (zh) 用以測試信號路徑之測試系統與方法
JP3561184B2 (ja) Iqスプリッタ装置
US201701874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al stitching discontinuous spectra using reference channel, pilot tones and comb signal
Sarson et al. A distortion shaping technique to equalize intermodulation distortion performance of interpolating arbitrary waveform generators in automated test equipment
US8060045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the non-linear distortions of high-frequency signal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Li et al. Joint-digital-predistortion for wireless transmitter’s I/Q imbalance and PA nonlinearities using an asymmetrical complexity-reduced Volterra series model
WO2019193641A1 (ja) 無線通信装置
Fu et al. Test bed for power amplifier behavioral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JPWO2007099837A1 (ja) 信号測定装置、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