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436B1 -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 Google Patents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436B1
KR101290436B1 KR1020110075269A KR20110075269A KR101290436B1 KR 101290436 B1 KR101290436 B1 KR 101290436B1 KR 1020110075269 A KR1020110075269 A KR 1020110075269A KR 20110075269 A KR20110075269 A KR 20110075269A KR 101290436 B1 KR101290436 B1 KR 10129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er
washing water
exit
rolling roll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3558A (ko
Inventor
최선용
황병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43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는, 상하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슬라브를 압연하는 하부 압연롤 및 상부 압연롤과, 상기 하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는 입측 하부스트리퍼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와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대응되게 상기 상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압연롤과 함께 승강되는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시에 세척수를 사선으로 분사하여,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플러싱 노즐부와, 상기 플러싱 노즐부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ROLLING MILL FOR REMOVING SCALE}
본 발명은 압연기 스케일 누적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서 스케일의 누적을 방지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서 생산된 반제품을 열연, 후판, 강재, 형강 및, 봉강 공장 등으로 이송시켜 가열로에서 재가열한 후, 각각의 열연 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압연기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압연롤 및 하부 압연롤의 사이로 압연재인 슬라브를 입측 방향에서 출측 방향으로 압연시키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부 압연롤와 하부 압연롤에는 스케일의 압착에 의한 손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상부스트리퍼 및 하부스트리퍼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압연기는, 슬라브를 압연하는 과정에서 슬라브에 표면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이 하부스트리퍼의 출측 상단에 쌓이게 되고, 이 스케일이 하부스트리퍼의 출측 상단에 누적되어 압연기의 작동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압연기에 적용된 스케일 제거장치는 고압수를 수직으로 분사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실용공개번호 제20-2009-0009993호(2009년 10월 01일)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스케일 제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측 상부스트리퍼와 상부 압연롤 및 입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할 때, 입측 상부스트리버에 형성된 플러싱(flushing) 노즐부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를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사선으로 분사함으로써,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슬라브의 출측 방향으로 제거하고, 이를 통해 스케일이 다량으로 누적을 방지하여 장치의 동작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슬라브를 압연하는 하부 압연롤 및 상부 압연롤과, 상기 하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는 입측 하부스트리퍼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와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대응되게 상기 상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압연롤과 함께 승강되는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할 때 세척수를 사선으로 분사하여,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플러싱 노즐부 및, 상기 플러싱 노즐부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압연롤의 상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에는 상기 상부 압연롤의 하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싱 노즐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상단 또는 측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투입부와, 상기 세척수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하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서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 방향으로 하양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분사 유로를 이루고, 상기 분사 유로의 내경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는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상부 압연롤이 상승을 시작할 때, 분사동작이 개시되도록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며,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이 완료될 때, 분사동작이 중단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싱 노즐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상부 압연롤이 상승할 때,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입측 방향 단부로부터 출측 방향 단부 까지 순차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부스트리퍼의 입측에 형성된 플러싱(flushing) 노즐부를 통해 세척수를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사선으로 분사함으로써,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슬라브의 출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케일이 다량으로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동작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플러싱 노즐부가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스케일 제거장치를 따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스케일이 다량으로 적치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세척 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에서 출측 하부스트리퍼에 스케일이 적치된 상태를 도시한 제1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에서 상부 압연롤과 입측 상부스트리처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가 함께 상승하기 시작할 때, 플러싱 노즐부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위치를 도시한 제2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에서 입측 상부스트리퍼와 출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부 압연롤이 함께 상승하여 작업대기 위치에 도달했을 때, 플러싱 노즐부에서 세척수가 분가되는 위치를 도시한 제3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게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가열로에서부터 압연기까지 이송되는 동안 강판의 표면 및 측면에는 다양한 이유로 스케일(S)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스케일(S)은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각 공정에서는 스케일(S) 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는, 압연 과정에서 슬라브(10)의 표면에 발생하는 스케일(S)이 하부스트리퍼(100, 100')의 출측 상단 부위에 적치되지 않도록 제거함으로써, 압연기의 동작불량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일 제거장치를 갖는 압연기는, 하부 압연롤(100) 및 상부 압연롤(100')과,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와, 입측 상부스트리퍼(300)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300')와, 플러싱 노즐부(400)와, 상기 플러싱(flushing) 노즐부(400)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에는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압연롤(100) 또는 상부 압연롤(100')에는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은, 상하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슬라브(10)의 상ㅇ하부에서 각각 압연한다.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은 슬라브(10)의 입측 방향으로 대응되게 회전한다.
이때,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의 입측 방향을 통해 투입되는 슬라브(10)는 그 두께가 얇고 폭이 넓게 변형되면서 출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부 압연롤(100')의 상부와 하부 압연롤(100)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구성되어, 상부 압연롤(100')의 상부와 하부 압연롤(100)의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백업롤(3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압연롤(100')은 별도의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후술 될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와 함께 승강된다.
즉, 상부 압연롤(100')은 후술 될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와 함게 작업 위치로 하강하거나,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압연롤(100)의 입측과 출측에는 슬라브(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안내롤(2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브(10)는 입측에 배치된 안내롤(20)을 따라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의 사이로 투입된다.
상기 투입된 슬라브(10)는 상부 압연롤(100')의 상부와 하부 압연롤(100)에 의해 압연이 이루어지면서 출측에 배치된 안내롤(20)을 따라 이동한다.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200')는, 하부 압연롤(100)의 입측 방향과 출측방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즉,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200')가 하부 압연롤(100)의 입측 방향과 출측 방향을 감싸는 배치상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200')는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이 슬라브(10)를 압연하는 경우, 슬라브(10)의 표면에서 발생한 스케일이 상부 압연롤(100')과 백업롤(30) 사이에 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압연롤(100)의 상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210, 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10, 210')는, 상단이 수평을 이루고, 하단이 상기 하부 압연롤(100)의 상단 부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장부(210, 210')의 상향 경사진 면이 하부 압연롤(100)의 상단 양측 부위와 인접 위치될 수 있다.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는, 입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와 대응되게 상부 압연롤(100')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가 상부 압연롤(100')의 입측 방향과 출측 방향을 감싸는 배치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입측 상부스트리퍼(2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200') 및 상부 압연롤(100')과 함께 승강된다.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200)와 출측 하부스트리퍼(200') 및 상부 압연롤(100')은 미도시한 별도의 승강장치에 의해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300')에는 상부 압연롤(100')의 하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310, 3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10, 310')는, 하단이 수평을 이루고, 상단이 상기 상부 압연롤(100')의 하단 부위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장부(310, 310')의 하향 경사진 면이 상부 압연롤(100')의 하단 양측 부위와 인접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100)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100')는 상부 압연롤(100')과 하부 압연롤(100)이 슬라브(10)를 압연하는 경우, 슬라브(10)의 표면에서 발생한 스케일이 하부 압연롤(100')과 백업롤(30') 사이에 압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싱(flushing) 노즐부(40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내부에 세척수(W)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플러싱 노즐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싱 노즐부(400)는 전술한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 및, 상부 압연롤(100')이 함께 상승할 때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W)를 사선으로 분사함으로써,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S)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러싱 노즐부(40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상단 또는 측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투입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새척수 투입부와 연결되어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하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분사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수 투입부(410)는 수직 또는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수 투입부(410)의 상단이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상단으로 관통되거나,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측방으로 관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수 분사부(42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내부에서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분사부(420)는 투입 유로를 이루는 세척수 투입부(410)와 연결되는 분사 유로를 이룬다.
상기 분사 유로의 내경은 외부로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 유로를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W)의 분사 압력은 일정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싱 노즐부(400)를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것은, 스케일 제거장치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스케일이 적치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세척수 공급부(50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 및 상부 압연롤(100')이 상승을 시작할 때, 분사동작이 개시되도록 플러싱 노즐부(400)로 세척수(W)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50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이 완료될 때, 분사동작이 중단되도록 플러싱 노즐부(400)에 세척수(W) 공급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수 공급부(500)에는 플러싱 노즐부(400)의 세척수 투입부(410)에 세척수(W)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51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공급 배관(51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W)는 세척수 투입부(41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세척수(W)는 세척수 분사부(420)를 통해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분사된다.
이때, 세척수(W)는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사선을 이루면서 분사된다.
이로써,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이 슬라브(10)의 출측 방향으로 비산되어 제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와 출측 상부스트리퍼(300') 및 상부 압연롤(100')이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한다.
이때, 플러싱 노즐부(400)는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입측 방향 단부로부터 출측 방향 단부 까지 순차적으로 세척수(W)를 분사한다.
즉, 상기 플러싱 노즐부(400)의 세척수 분사부(420)는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방향을 향해 사선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세척수 분사부(420)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가 상승할 때 분사 영역이 넓어진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420)를 통해 사선으로 분사되는 세척수(W)는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상승에 의해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에 형성된 플러싱(flushing) 노즐부를 통해 세척수(W)를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사선으로 분사하여, 출측 하부스트리퍼(200')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S)을 슬라브(10)의 출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스케일(S)이 다량으로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동작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플러싱 노즐부(400)가 입측 상부스트리퍼(30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스케일 제거장치를 따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케일(S)이 다량으로 적치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어 세척 성능이 우수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슬라브 20, 20': 안내롤
30, 30': 백업롤 100: 하부 압연롤
100': 상부 압연롤 200: 입측 하부스트리퍼
200': 출측 하부스트리퍼 210, 210': 제1연장부
300: 입측 상부스트리퍼 300': 출측 상부스트리퍼
310, 310': 제2연장부 400: 플러싱 노즐부
410: 세척수 투입부 420: 세척수 분사부
500: 세척수 공급부 510: 공급 배관
S: 스케일 W: 세척수

Claims (7)

  1. 상하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슬라브를 압연하는 하부 압연롤 및 상부 압연롤과, 상기 하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는 입측 하부스트리퍼 및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와 출측 하부스트리퍼와 대응되게 상기 상부 압연롤의 입측과 출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압연롤과 함께 승강하는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출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서 하단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할 때 세척수를 사선으로 분사하여,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 적치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플러싱 노즐부 및, 상기 플러싱 노즐부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측 하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에는, 상기 하부 압연롤의 상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에는, 상기 상부 압연롤의 하단 부위와 인접하도록 더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노즐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상단 또는 측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투입부와, 상기 세척수 투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하단으로 개방된 세척수 분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의 내부에서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상단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는, 분사 유로를 이루고,
    상기 분사 유로의 내경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는,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와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상부 압연롤이 상승을 시작할 때, 분사동작이 개시되도록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며,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가 작업대기 위치로 상승이 완료될 때, 분사동작이 중단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노즐부는,
    상기 입측 상부스트리퍼 및 상기 출측 상부스트리퍼가 상승할 때, 상기 출측 하부스트리퍼의 입측 방향 단부로부터 출측 방향을 순차적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KR1020110075269A 2011-07-28 2011-07-28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KR10129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269A KR101290436B1 (ko) 2011-07-28 2011-07-28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269A KR101290436B1 (ko) 2011-07-28 2011-07-28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558A KR20130013558A (ko) 2013-02-06
KR101290436B1 true KR101290436B1 (ko) 2013-07-26

Family

ID=4789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269A KR101290436B1 (ko) 2011-07-28 2011-07-28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4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360B1 (ko) * 2006-10-17 2008-02-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스트립 표면의 분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90004742U (ko) * 2007-11-14 2009-05-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의 스트리퍼
KR20100138616A (ko) *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홀이 구비된 워크롤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360B1 (ko) * 2006-10-17 2008-02-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스트립 표면의 분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90004742U (ko) * 2007-11-14 2009-05-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기의 스트리퍼
KR20100138616A (ko) * 2009-06-25 2010-12-31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홀이 구비된 워크롤 와이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558A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055B2 (ja) スラブ、薄スラブ、型鋼のクリーニング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170666B (zh) 一种拉矫破鳞机
CN107309272A (zh) 一种超薄镀锡原板大延伸率湿平整工艺装备及方法
JP4874437B2 (ja) 厚鋼板の製造装置
CN201283532Y (zh) 钢坯表面氧化铁皮去除装置
CN202028620U (zh) 一种具有内外侧吹扫功能的轧机
KR101290436B1 (ko) 스케일 제거가 가능한 압연기
JP5764936B2 (ja) 厚鋼板のデスケーリング設備およびデスケーリング方法
CN108261136A (zh) 无人建筑物外壁清扫装置
CN106423982A (zh) 滚筒式零件自动清洗机
CN204276532U (zh) 一种可自动调节导板间距的导卫装置
CN106378328B (zh) 一种用于压延机下辊的清洗装置
CN202509137U (zh) 消除带钢酸槽停车斑的装置
KR101344332B1 (ko) 롤 와이퍼의 크리닝 장치
US8858866B2 (en) Cooling tank for rails
CN206824400U (zh) 一种不锈钢复合板铸轧一体化生产线除鳞装置
KR20100020648A (ko) 열연 강판용 디스케일링 헤더 승하강 장치
CN103736682B (zh) 通过式高压水喷射清洁机
KR101236071B1 (ko) 압연기 스케일 누적 방지 장치
CN213469097U (zh) 一种冷轧机复合除油装置
JP2010214410A (ja) 鋼材のデスケーリング方法
CN103143576A (zh) 铜板带轧机的除鳞系统
KR20090068521A (ko) 스케일 제거장치
EP1423216B1 (de) Brammenreinigung vor dem rollenherdofen einer mini-mill
CN203904668U (zh) 一种喷液除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