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58B1 -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358B1
KR101290358B1 KR1020120054179A KR20120054179A KR101290358B1 KR 101290358 B1 KR101290358 B1 KR 101290358B1 KR 1020120054179 A KR1020120054179 A KR 1020120054179A KR 20120054179 A KR20120054179 A KR 20120054179A KR 101290358 B1 KR101290358 B1 KR 10129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natural grass
moving
thorn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주
Original Assignee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2005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6Device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 e.g. marking, maturing, pol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는,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제거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로서, 장치 프레임;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천연초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며, 이동부에 의해 이송하는 천연초로 가시 제거를 위한 액체를 분사하여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부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을 통해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분사부로부터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영역을 천연초가 통과할 때 천연초가 반전될 수 있어 천연초의 전면에 대한 가시 제거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Apparatus to remove thorn of cactus}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부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을 통해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천연초의 한 종류인 천년초는 태양빛을 통해 자라는 식물로 뿌리 부분에서 봉삼 냄새가 나는 이유로 태삼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천년초는 근래 들어 건강 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이는, 무해 무독함이 임상 실험 결과 입증되어 부작용이 없으며, 심 순환계,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등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천년초는 체내의 열을 식히고 독을 풀어 줌으로써 청혈 작용과 이뇨 작용이 탁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인체의 오장육부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인체에 면역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천년초에는 가시가 있어 천년초로부터 가시를 제거해야 건강 식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천년초를 물에 잠그고 철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천년초의 줄기를 작업자가 직접 문질러 줌으로써 천년초로부터 가시 제거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사람이 손수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인건비가 많이 발생될 수 있고, 아울러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가시 제거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천년초 가시 제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분사부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을 통해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분사부로부터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영역을 천연초가 통과할 때 천연초가 반전될 수 있어 천연초의 전면에 대한 가시 제거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는,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제거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로서,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천연초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천연초로 가시 제거를 위한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분사부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을 통해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분사부로부터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영역을 천연초가 통과할 때 천연초가 반전될 수 있어 천연초의 전면에 대한 가시 제거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천연초가 로딩되며, 상기 천연초를 이송시키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천연초를 이송시킨 후 상기 천연초를 언로딩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에서 상기 제2 이동부재로 상기 천연초의 이동 시 상기 천연초의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면으로 상기 천연초가 낙하되도록 상기 천연초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비해 외측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는 각각, 벨트 컨베이어 타입의 이동 부분; 및 상기 이동 부분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기 이동 부분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기 이동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천연초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연초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전달된 상기 천연초를 반전시킨 후 상기 제2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반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상온의 물이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천연초를 향해 상기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천연초를 향해 상기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부재는,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온의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 및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을 따라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과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온의 물을 상기 제1 이동부재 방향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이며, 상기 복수 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 중 일부의 경로 형성 부분에는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이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 노즐들이 장착되고, 다른 일부의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에는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이 측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 노즐들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부재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상온의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 및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을 따라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과 연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상온의 물을 상기 제2 이동부재 방향으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은 하방 또는 측하방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구는 기설정된 주기로 진동 가능하다.
상기 천연초는 천년초이며, 상기 천년초의 전 영역에 형성된 가시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부로부터 강하게 분사되는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을 통해 천년초와 같은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부로부터 액체, 예를 들면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영역을 천연초가 통과할 때 천연초가 반전될 수 있어 천연초의 전면에 대한 가시 제거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으로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제2 이동부재로 천년초가 반전되며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1 이동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천년초를 향해 제1 분사부재로부터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천연초 중 천년초로부터 가시를 제거하는 천년초 가시 제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천연초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으로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제2 이동부재로 천년초가 반전되며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제1 이동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천년초를 향해 제1 분사부재로부터 상온의 물이 분사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100)는, 장치 프레임(110)과, 장치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가시 제거 대상인 천년초(101, 도 3 및 도 5 참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20)와, 천년초(101)에 가시 제거를 위한 액체, 즉 본 실시예의 상온의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장치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분사부(15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이동부(120)를 따라 천년초(101)에 이동할 때 분사부(150)로부터 강하게 상온의 물이 분사되어 천년초(101)의 가시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사람이 손수 가시를 제거하지 않고도 기계의 작동에 의해 천년초(101)로부터 가시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장치 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틀을 형성하 여, 후술할 구성들, 예를 들면 이동부(120) 및 분사부(150)가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이동부(120)는, 2층 구조로 마련되어 천년초(101)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이동부(120)의 2층 구조로 인해, 천년초(101)의 일면(101a, 도 3 참조)에 대한 가시 제거를 수행한 후에 타면(101b)에 대한 가시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부(120)는, 천년초(101)가 로딩(loading)되며 일방향을 따라 천년초(101)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130)와, 제1 이동부재(130)의 하부에서 장치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전달 받은 천년초(101)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천년초(101)를 언로딩(unloading)시키는 제2 이동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동부재(130) 및 제2 이동부재(140)는 순환 동작에 의해 천년초(10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벨트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부재(130) 및 제2 이동부재(140)는 개별적으로 구동 구조를 갖는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이동부재(13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로 마련되는 이동 부분(131)과, 이동 부분(131)을 순환 구동시키는 구동 부분(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부분(131)의 외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천년초(101)의 이송 시 천년초(101)에 가해지는 상온의 물의 압력에 의해 천년초(101)가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천년초(101)를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돌기로 인해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제2 이동부재(140)로 천년초(101)가 이송될 때 천년초(101)가 반전하며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제1 이동부재(130)에서 제2 이동부재(140)로 천년초(101)가 바로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천년초(101)를 로딩하고 있는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부분(131)의 일면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전환될 때까지 천년초(101)가 고정 돌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천년초(101)는 방향 전환할 때 (자체 무게로 인해) 제2 이동부재(140)의 이동 부분(141)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천년초(101)는 반전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재(140)에 의해 이송 시 천년초(101)의 타면(101b)에 있는 가시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이동부재(130)의 고정 돌기에 의해 천년초(101)를 반전시킨 후 제2 이동부재(140)로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반전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천년초(101)의 반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전 가이드부는, 천년초(101)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제1 이동부재(130) 제2 이동부재(14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전달받은 천년초(101)를 반전시킨 후 제2 이동부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전 가이드부는 미끄럼틀과 같이 제2 이동부재(140) 전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반전 가이드부로 전달된 천년초(101)는 반전 가이드부를 지나면서 반전된 후 제2 이동부재(14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반전 가이드부는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천년초(101)를 파지한 다음 반전시킨 후 제2 이동부재(140)로 전달하는 로봇아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반전 가이드부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천년초(101)를 효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이동부재(140) 역시,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제1 이동부재(13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2 이동부재(140) 역시 이동 부분(141) 및 구동 부분(145)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2 이동부재(140)의 이동 부분(141)은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부분(131)에 비해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부분(131)으로부터 낙하된 천년초(101)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제2 이동부재(140)의 이동 부분(141)의 상면으로 낙하할 수 있으며 제2 이동부재(140)에 로딩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부(120)에 의해, 천년초(101)는 이송되되 제1 이동부재(130)에서는 천년초(101)의 일면(101a)이 상방을 향하고 제2 이동부재(140)에서는 타면(101b)이 상방을 향함으로써 후술할 분사부(150)에 의해 천년초(101)의 전 영역에 대한 가시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분사부(150)는, 이동부(12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에 상온의 물을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천년초(101)에 있는 가시를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재(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치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제1 이동부재(13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를 향해 가시 제거를 위한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부재(160)와, 제2 이동부재(1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치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제2 이동부재(14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를 향해 가시 제거를 위한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분사부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재(130)의 상부에서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온의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온의 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액체 경로 형성부(161)와,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을 따라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과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제1 이동부재(13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로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6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분사부재(160)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은 총 3개 구비되며, 이 중 하나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a)은 제1 이동부재(130)의 상부에서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다른 2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b)은 제1 이동부재(130)의 상부에서 양측에 배치된다.
중앙에 배치된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a)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65a)에서는 하방으로 상온의 물이 분사되고, 양측에 배치된 액체 경로 형성 부분(161b)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65b)에서는 측하방으로 상온의 물이 분사된다. 이 때 분사 노즐(165)로부터 상온의 물은 강하게 분사되고, 따라서 제1 이동부재(130)의 전면에서 분산적으로 배치되는 천년초(101)의 일면(101a)에 있는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노즐(165)의 분사구는 기설정된 주기로 진동할 수 있어 상온의 물의 분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년초(101)로부터 가시 제거가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분사부재(170)는 제1 분사부재(16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분사부재(170) 역시, 총 3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171) 및 각각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171)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175)을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2 이동부재(14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의 타면(101b)에 있는 가시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년초 가시 제거 장치(100)에 따른 가시 제거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시 제거 대상물인 천년초(101)를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부분(131)에 로딩시키고 구동 부분(135)의 구동에 의해 이동 부분(131)을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1 분사부재(160)를 구동시켜 제1 분사부재(160)로부터 제1 이동부재(13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를 향해 상온의 물을 강하게 분사시킨다. 그러면, 천년초(101)의 일면(101a)에 있는 가시가 상온의 물의 압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130)에 의해 이송되는 천년초(101)는 제1 이동부재(130)의 순환 동작에 따라 제2 이동부재(140)의 상면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이동부재(130)의 이동 부분(131)에 고정 돌기와 같은 구성이 마련됨으로써 제1 이동부재(130)로부터 제2 이동부재(140)로 천년초(101)가 낙하될 때 천년초(101)의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2 이동부재(140)의 구동에 의해 천년초(101)의 타면(101b)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이송될 때 제2 분사부재(170)로부터 상온의 물이 천년초(101)로 분사되어 천년초(101)의 타면(101b)에 있는 가시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 가시가 제거된 천년초(101)를 제2 이동부재(140)로부터 회수함으로써 천년초(101)의 가시 제거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처럼 수작업으로 천년초(101)의 가시를 제거할 필요 없이, 이동부(120)에 의해 천년초(101)가 이송될 때 분사부(150)로부터 상온의 물을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천년초(101)의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동부(120) 및 분사부(150)의 다층 구조로 인해 천년초(101)의 반전이 가능하여 천년초(101)의 전 영역에 있는 가시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천년초 가시 제거 장치 101 : 천년초
110 : 장치 프레임 120 : 이동부
130 : 제1 이동부재 131 : 이동 부분
135 : 구동 부분 140 : 제2 이동부재
150 : 분사부 160 : 제1 분사부재
161 : 액체 경로 형성 부분 165 : 분사 노즐
170 : 제2 분사부재

Claims (12)

  1.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제거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에 있어서,
    장치 프레임;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천연초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송하는 상기 천연초로 가시 제거를 위한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천연초로부터 가시를 분리시키는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천연초가 로딩되며, 상기 천연초를 이송시키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전달 받은 상기 천연초를 이송시킨 후 상기 천연초를 언로딩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천연초를 향해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1 분사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천연초를 향해 상온의 물을 분사하는 제2 분사분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부재 및 상기 제2 분사부재는 각각,
    상기 액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장착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액체 경로 형성 부분; 및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을 따라 상기 액체 경로 형성 부분과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분사 노즐의 분사구는 기설정된 주기로 진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는 각각 벨트 컨베이어 타입의 이동 부분 및 상기 이동 부분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천연초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에서 상기 제2 이동부재로 상기 천연초의 이동 시 상기 천연초의 반전이 이루어지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상면으로 상기 천연초가 낙하되도록 상기 천연초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이동부재는 상기 제1 이동부재에 비해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초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로부터 전달된 상기 천연초를 반전시킨 후 상기 제2 이동부재로 전달하는 반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초는 천년초이며, 상기 천년초의 전 영역에 형성된 가시를 제거하는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KR1020120054179A 2012-05-22 2012-05-22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KR10129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79A KR101290358B1 (ko) 2012-05-22 2012-05-22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179A KR101290358B1 (ko) 2012-05-22 2012-05-22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358B1 true KR101290358B1 (ko) 2013-08-08

Family

ID=4921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179A KR101290358B1 (ko) 2012-05-22 2012-05-22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9498A (zh) * 2020-10-30 2021-03-05 张小凤 一种具有自动脱刺功能的畜牧食物预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86U (ja) * 1992-12-07 1994-06-28 孟 田中 魚の鱗剥離装置
KR200223158Y1 (ko) 2000-12-13 2001-05-15 해륙기계공업주식회사 요동 분사식 농산물세척장치
JP2010115733A (ja) 2008-11-12 2010-05-27 Sanpoo:Kk 自動両面研掃装置、及び自動両面研掃方法
KR101034978B1 (ko) 2011-01-12 2011-05-19 이성주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486U (ja) * 1992-12-07 1994-06-28 孟 田中 魚の鱗剥離装置
KR200223158Y1 (ko) 2000-12-13 2001-05-15 해륙기계공업주식회사 요동 분사식 농산물세척장치
JP2010115733A (ja) 2008-11-12 2010-05-27 Sanpoo:Kk 自動両面研掃装置、及び自動両面研掃方法
KR101034978B1 (ko) 2011-01-12 2011-05-19 이성주 농수축산물 및 자동차 부품 박스 컨테이너 자동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39498A (zh) * 2020-10-30 2021-03-05 张小凤 一种具有自动脱刺功能的畜牧食物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634B1 (ko) 대파 탈피장치
KR100957207B1 (ko) 야채 세척장치
KR100641846B1 (ko) 병버섯 재배용 배지병 세척 장치
KR101226999B1 (ko) 인삼세척방법
US3900040A (en) Machine for cleaning containers
DE602005022190D1 (de) Geschirrspülmaschine der fördererart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CN203124370U (zh) 自动洗筐机
CN204207022U (zh) 一种降解蔬菜水果农药残留的装置
CN103406320A (zh) 洗瓶机
JP2015051001A (ja) 韮洗浄装置
KR101290358B1 (ko) 천연초 가시 제거 장치
US3129713A (en) Bottle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rinsing means
NO131320B (ko)
JPWO2018123998A1 (ja) カップ洗浄装置
KR101370406B1 (ko) 박스 세척기
KR101174070B1 (ko) 인삼세척기
US1130015A (en) Bottle-washing machine.
CN203448354U (zh) 洗瓶机
KR200466219Y1 (ko) 부추 세척기
JP6023930B2 (ja) 肉質改良システム
CN203952300U (zh) 一种用于朵菊杀青机中的杀青装置
WO2020234392A1 (en) A washing machine and a process for treating containers therewith
US1391141A (en) Can-washing machine
KR101225551B1 (ko) 대파 껍질 탈피장치
CN203952302U (zh) 一种用于胎菊杀青机中的杀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