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393B1 -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393B1
KR101289393B1 KR1020100006610A KR20100006610A KR101289393B1 KR 101289393 B1 KR101289393 B1 KR 101289393B1 KR 1020100006610 A KR1020100006610 A KR 1020100006610A KR 20100006610 A KR20100006610 A KR 20100006610A KR 101289393 B1 KR101289393 B1 KR 10128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leaning
handrail
was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127A (ko
Inventor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숙 filed Critical 임미숙
Priority to KR1020100006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393B1/ko
Priority to CN2010102161866A priority patent/CN102134039A/zh
Publication of KR2011008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2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hand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수평 운동에 의해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 및 세척부와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Handrail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에스컬레이터는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건물이나 백화점 또는 여객터미널 등에 제공되어 사람들이 층간 이동을 하는데에, 효율적인 이동이 되도록 제공되었다.
또한, 종래 무빙워크(moving walk)는 항공여객 터미날 또는 지하철 환승시에 유동인구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이때, 종래의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는 사람들이 손을 잡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을 포함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는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이동하게 되므로, 청결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핸드레일을 자동으로 세정하여 핸드레일의 청결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개선된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원하는 시간 때에 세정제를 사용하여 세정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핸드레일에 묻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킬 수가 있고,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묻힐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 탱크 또는 코팅 탱크에 저장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부족할 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에 세척 롤러 또는 코팅 롤러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드레일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거나, 핸드레일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고, 정화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세척 탱크 또는 코팅 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수된 열과 함께 핸드레일을 건조시키고, 건조 롤러를 통해 핸드레일을 더 건조시키므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광고지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지의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수평 운동에 의해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 및 세척부와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세척부 및 가열부와 이격되되,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수평 운동에 의해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과; 세정제가 저장되고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제 1세척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세척 탱크와;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 및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의 내측과 세척 탱크의 외측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자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세척용 전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과;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의 외측 일단에 장착된 세척용 모터와; 세척용 모터에 끼워지고 세척용 스크류 돌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세척용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는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과;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을 고정하는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과;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에 끼워지도록 세척용 스크류 홀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세척용 스크류 돌기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는 세척용 이동 수단과; 세정제가 저장되고 세척용 이동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세척 탱크; 및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세정제가 저장되고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세척 탱크와;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세척 탱크를 가압하고,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 및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의 내측에 장착되어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세척 탱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세척용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세척부 및 가열부와 이격되되,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과; 코팅제가 저장되고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코팅 탱크와;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 및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의 내측과 코팅 탱크의 외측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자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코팅용 전자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세척부 및 가열부와 이격되되,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과;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의 외측 일단에 장착된 코팅용 모터와; 코팅용 모터에 끼워지고 코팅용 스크류 돌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코팅용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는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과;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을 고정하는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과;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에 끼워지도록 코팅용 스크류 홀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코팅용 스크류 돌기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는 코팅용 이동 수단과; 코팅제가 저장되고 코팅용 이동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코팅 탱크; 및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와 세척부 및 가열부와 이격되되,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코팅제가 저장되고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코팅 탱크와;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코팅 탱크를 가압하고,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 및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의 내측에 장착되어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코팅 탱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팅용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 탱크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에 의해 세정된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핸드레일에 묻은 세정제를 골고루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 탱크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핸드레일에 묻은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세정제와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코팅제와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세정제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는 세척부와 이격되고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코팅제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고, 회수된 세정제를 정화시켜 세척부에 다시 공급하는 세정제 회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의 측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고, 회수된 코팅제를 정화시켜 코팅부에 다시 공급하는 코팅제 회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세척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부에 저장된 세정제의 잔류량을 감지하는 세정제 수위 센서; 및 크리닝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세정제 수위 센서와 동기화되되, 세정제 수위 센서의 일부가 노출될 때에 세정제 수위 센서로부터 세정제 부족 신호를 공급받아, 세정제의 부족 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세정제 부족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코팅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코팅부에 저장된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는 코팅제 수위 센서; 및 크리닝 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코팅제 수위 센서와 동기화되되, 코팅제 수위 센서의 일부가 노출될 때에 코팅제 수위 센서로부터 코팅제 부족 신호를 공급받아, 코팅제의 부족 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코팅제 부족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가열부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가열부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다시 회수하는 열 회수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열부의 일측에 장착되되, 가열부를 통해 방출되는 열과 접촉되어 표면이 가열되고 핸드레일과 접촉되어 핸드레일의 회전으로 핸드레일을 더 건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되, 세척부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키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드레일을 회전시키기 위해 크리닝 몸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용 몸체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용 몸체의 내부에 장착된 동력 전달부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자가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에너지 축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되,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드레일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핸들레일의 이동 속도 값을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하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는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되,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과; 핸드 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고 핸드레일과 접촉되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와;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에 장착되어 회전수에 의해 핸드레일의 이동 속도 값을 감지하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 및 크리닝 몸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핸들레일의 이동 속도 값을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하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원하는 시간 때에 세정제를 사용하여 세정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핸드레일에 묻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킬 수가 있고,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묻힐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세정 탱크 또는 코팅 탱크에 저장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부족할 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넷째, 세정제 또는 코팅제에 세척 롤러 또는 코팅 롤러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다섯째, 핸드레일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거나, 핸드레일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고, 정화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세척 탱크 또는 코팅 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섯째,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일곱째, 회수된 열과 함께 핸드레일을 건조시키고, 건조 롤러를 통해 핸드레일을 더 건조시키므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여덟째, 광고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광고지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지의 내용을 홍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가 에스컬레이터에 장착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코팅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2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가 에스컬레이터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코팅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설명의 편의상 에스컬레이터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빙 워크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크리닝 몸체(102), 전원 공급부(104), 세척부(106), 가열부(108)등을 포함한다.
크리닝 몸체(102)는 핸드레일(101)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고 이후에 진술할 전원 공급부(104), 세척부(106), 가열부(108)등을 수납하여 핸드레일(101)의 회전운동에 의한 핸드레일(101)의 세척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제공된다.
이때, 크리닝 몸체(102)는 핸드레일(101)이 지상으로 빠져나오는 입구측에 설치된다.
전원 공급부(104)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적정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즉, 전원 공급부(104)는 지지대(103)에 장착된 작동센서(105)에 의해 사용자들의 접근을 감지하면, 크리닝 몸체(102)와 연결되어 동력전달용 몸체(109)의 내부에 장착된 동력 전달부(109a)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고, 동력 전달부(109a)는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함으로써 핸드레일(101)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부(109a)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풀리(미도시)와 풀리(미도시)를 연결하는 벨트(미도시) 또는 기어(미도시)와 기어(미도시)를 연결하는 체인(미도시)등을 포함하여 동력을 전달시킬 수가 있다.
이때, 에너지 축적부(124)는 동력 전달부(109a)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를 자가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전원 공급부(104)에 제공하도록 축전지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04)는 지지대(103)에 장착된 작동센서(105)에 의해 사용자들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후에 진술할 세척부(106)와 가열부(108)에 적정 전원을 공급하여 세척 공정과 가열공정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전원 공급부(104)는 지지대(103)에 장착된 작동센서(105)에 의해 사용자들의 접근을 감지하면, 원적외선램프(107)에 적정 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고, 원적외선램프(107)는 사용자들의 손에 원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손을 멸균 소독시킬 수가 있다.
세척부(106)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가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104)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수평 운동에 의해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가 핸드레일(101)에 접촉되면서,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a)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세정시키도록 제공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세척부(106)는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 세척 탱크(106b),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 세척용 전자석(106d)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506)의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506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101)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세정제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세척 탱크(106b)는 세정제가 저장되고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에 장착되되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바퀴(106b1)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의 내부에 형성된 바퀴 수납 홈(미도시)에 안착될 수가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는 세척 탱크(106b)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될 수가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는 세척용 평면 롤러(106c1)와 세척용 수직 롤러(106c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세척용 평면 롤러(106c1)는 핸드레일(101)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세척용 수직 롤러(106c2)는 핸드레일(101)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세척용 평면 롤러(106c1)와 세척용 수직 롤러(106c2)는 엠보싱 형상의 돌출수단(P1, P2)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엠보싱 형상의 돌출수단(P1, P2)은 핸드레일(101)에 접촉되는 마찰면적을 넓혀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세정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세척용 전자석(106d)은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106a)의 내측과 세척 탱크(106b)의 외측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104)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자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를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정 두께의 부드러운 천(미도시)이나 스폰지(미도시)등과 같은 세척 유도 수단을 포함하여 세척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세척부(106)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106e)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106e)는 세척 탱크(106b)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에 의해 세정된 핸드레일(101)을 가압하여 핸드레일(101)에 묻은 세정제를 골고루 확산시키게 된다.
또한, 세척부(106)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106f)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106f)는 세척 탱크(106b)의 내부에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세정제와 접촉되어 세정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101)에 효율적으로 세정제를 묻힐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세척부(106)의 측면에 세정제 회수부(111)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즉, 세정제 회수부(111)는 세정제 회수대(111a)와 제 1 이물질 필터 수단(111b)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세정제 회수대(111a)는 세척 탱크(106b)의 측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1 이물질 필터 수단(111b)은 회수된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정화시켜 세척부(106)에 다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세척부(106)는 세정제 수위 센서(106g)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크리닝 몸체(102)의 일측에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즉, 세정제 수위 센서(106g)는 세척 탱크(106b)의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 탱크(106b)에 저장된 세정제의 잔류량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는 크리닝 몸체(102)의 일측에 장착되어 세정제 수위 센서(106g)와 동기화되되, 세정제 수위 센서(106g)의 일부가 노출될 때에 세정제 수위 센서(106g)로부터 세정제 부족 신호를 공급받아, 세정제의 부족 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부(117)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되되, 세척부(106)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이물질 제거부(117)는 고정 수단(117a)과 제거 수단(117b)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고정 수단(117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될 수가 있고, 제거 수단(117b)은 고정 수단(117a)에 장착되어 세척부(106)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거 수단(117b)은 브러쉬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는 두꺼운 천(미도시)등일 수가 있다.
한편, 코팅부(119)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와 세척부(106) 및 가열부(108)와 이격되되,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가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104)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수평 운동에 의해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가 핸드레일(101)에 접촉되면서,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코팅부(119)는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 코팅 탱크(119b),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 코팅용 전자석(119d)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와 세척부(106) 및 가열부(108)와 이격되되,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519)의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519a)은 세척부(506)와 이격되고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101)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코팅제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코팅 탱크(119b)는 코팅제가 저장되고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에 장착되되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바퀴(119b1)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의 내부에 형성된 바퀴 수납 홈(미도시)에 안착될 수가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는 코팅 탱크(119b)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될 수가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는 코팅용 평면 롤러(119c1)와 코팅용 수직 롤러(119c2)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코팅용 평면 롤러(119c1)는 핸드레일(101)의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코팅용 수직 롤러(119c2)는 핸드레일(101)의 양쪽 측면과 밀착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때, 코팅용 평면 롤러(119c1)와 코팅용 수직 롤러(119c2)는 엠보싱 형상의 돌출수단(P3, P4)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엠보싱 형상의 돌출수단(P3, P4)은 핸드레일(101)에 접촉되는 마찰면적을 넓혀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코팅용 전자석(119d)은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119a)의 내측과 코팅 탱크(119b)의 외측에 장착되어 전원 공급부(104)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자계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를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정 두께의 부드러운 천(미도시)이나 스폰지(미도시)등과 같은 코팅 유도 수단을 포함하여 코팅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코팅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119e)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119e)는 코팅 탱크(119b)에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압하여 핸드레일(101)에 묻은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키게 된다.
또한, 코팅부(119)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119f)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119f)는 코팅 탱크(119b)의 내부에 장착되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코팅제와 접촉되어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101)에 효율적으로 코팅제를 묻힐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코팅부(119)의 측면에 코팅제 회수부(121)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즉, 코팅제 회수부(121)는 코팅제 회수대(121a)와 제 2 이물질 필터 수단(121b)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코팅제 회수대(121a)는 코팅 탱크(119b)의 측면에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이물질 필터 수단(121b)은 회수된 코팅제를 정화시켜 코팅부(119)에 다시 공급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코팅부(119)는 코팅제 수위 센서(119g)를 더 포함할 수가 있고, 크리닝 몸체(102)의 일측에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가 더 장착될 수가 있다.
즉, 코팅제 수위 센서(119g)는 코팅 탱크(119b)의 내부에 장착되어 코팅 탱크(119b)에 저장된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는 크리닝 몸체(102)의 일측에 장착되어 코팅제 수위 센서(119g)와 동기화되되, 코팅제 수위 센서(119g)의 일부가 노출될 때에 코팅제 수위 센서(119g)로부터 코팅제 부족 신호를 공급받아, 코팅제의 부족 상태를 발광하여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가열부(108)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 및 세척부(106)와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106)에 의해 세정된 핸드레일(101)을 건조시키도록 제공된다.
또한, 가열부(108)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와 세척부(106) 및 코팅부(119)와 이격되되,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코팅부(119)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키도록 제공된다.
열 회수부(125)는 가열부(108)의 내부와 하부에 장착되고 가열부(108)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가열부(108)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다시 회수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여기서, 열 회수부(125)는 열 회수용 모터(125a), 열 회수용 회전 축(125b), 열 회수용 회전 팬(125c)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열 회수용 회전 팬(125c)은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열 회수용 모터(125a)에 끼워져 회전하는 열 회수용 회전 축(125b)에 장착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는 가열부(108)의 일측에 장착되되, 가열부(108)를 통해 방출되는 열과 접촉되어 표면이 가열되고 핸드레일(101)과 접촉되어 핸드레일(101)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더 건조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위치하되,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되어 핸드레일(101)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핸들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장착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129a),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129b),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129c),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수단(129d)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129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위치하되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되고,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129b)는 핸드 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129a)에 장착되고 핸드레일(101)과 접촉되도록 장착된다.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129c)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129b)에 장착되어 회전수에 의해 핸드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감지하도록 장착되고,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수단(129d)은 크리닝 몸체(102)의 외측에 장착되어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129c)에 의해 감지된 핸들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크리닝 몸체(102)의 외측에 광고 표시부(131)가 장착되어 광고 표시부(131)의 광고 내용을 홍보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 표시부(131)는 광고판으로 제작되어 광고판의 내부에 원하는 광고지(A)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광고지(A)의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고 표시부(미도시)는 디지털 방식 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창으로 제작되어 광고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크리닝 몸체(102), 전원 공급부(104), 세척부(106), 가열부(108)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106)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세척부(106)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세척시키며, 세척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원하는 시간 때에 세정제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코팅부(11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코팅부(119)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코팅부(119)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코팅시키며,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106e)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106f)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119e)와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119f)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에 의해 세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압하여 핸드레일(101)에 묻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킬 수가 있고,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101)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묻힐 수가 있어 세정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 수위 센서(106g)와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 또는 코팅제 수위 센서(119g)와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 탱크(106b) 또는 코팅 탱크(119b)에 저장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부족할 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기울여진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506a) 또는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519a)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줄어들 시에,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한쪽 모서리부분으로 수렴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 또는 코팅제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 회수부(111) 또는 코팅제 회수부(121)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고, 정화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세척 탱크(106b) 또는 코팅 탱크(119b)에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이물질 제거부(11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세척부(106, 506)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열 회수부(125)와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가열부(108)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열 회수부(125)를 통해 다시 회수하고, 회수된 열과 함께 가열부(108)가 핸드레일(101)을 건조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를 통해 핸드레일(101)을 더 건조시키므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핸들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 수단(129d)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현재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적정 범위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아닐 경우에,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는 광고 표시부(131)등을 포함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 표시부(131)의 광고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게 된다.
<제 3,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크리닝 몸체(102), 지지대(103), 전원 공급부(104), 작동센서(105), 원적외선램프(107), 가열부(108), 동력전달용 몸체(109), 세정제 회수부(111),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이물질 제거부(117), 코팅제 회수부(121),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 에너지 축적부(124), 열 회수부(125),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 광고 표시부(도1의 131)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스크류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운동하는 세척부(606)등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세척부(606)는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606a), 세척용 모터(606b),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606c),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606d), 세척용 이동 수단(606e), 세척 탱크(606f),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606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706)의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706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101)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세정제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세척용 모터(606b)는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606a, 706a)의 외측 일단에 장착되고,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606c)은 세척용 모터(606b)에 끼워지고 세척용 스크류 돌기(606c1)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세척용 모터(606b)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606d)은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606a, 706a)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606c)을 고정하도록 장착되고, 세척용 이동 수단(606e)은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606c)에 끼워지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세척용 스크류 홀(미도시)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606c)의 회전방향에 따라 세척용 스크류 돌기(606c1)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세척 탱크(606f)는 세정제가 저장되고 세척용 이동 수단(606e)의 상부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는 세척 탱크(606f)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와 동일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의 세척부(606, 706)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의 세척부(106, 506)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606h)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606i)등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스크류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운동하는 코팅부(619)등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코팅부(619)는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619a), 코팅용 모터(619b),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619c),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619d), 코팅용 이동 수단(619e), 코팅 탱크(619f),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619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전원 공급부(104)와 세척부(606, 706) 및 가열부(108)와 이격되되,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719)의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719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면서, 핸드레일(101)의 방향으로 기울여져 코팅제에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719g)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코팅용 모터(619b)는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619a, 719a)의 외측 일단에 장착되고,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619c)은 코팅용 모터(619b)에 끼워지고 코팅용 스크류 돌기(619c1)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코팅용 모터(619b)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619d)은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619a, 719a)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619c)을 고정하도록 장착되고, 코팅용 이동 수단(619e)은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619c)에 끼워지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코팅용 스크류 홀(미도시)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619c)의 회전방향에 따라 코팅용 스크류 돌기(619c1)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코팅 탱크(619f)는 코팅제가 저장되고 코팅용 이동 수단(619e)의 상부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는 코팅 탱크(619f)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와 동일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의 코팅부(619, 719)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의 코팅부(119, 519)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619h)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619i)등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크리닝 몸체(102), 전원 공급부(104), 세척부(606), 가열부(108)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606)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세척부(606)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세척시키며, 세척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원하는 시간 때에 세정제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코팅부(61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코팅부(619)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코팅부(619)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코팅시키며,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606h)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606i)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619h)와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619i)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에 의해 세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압하여 핸드레일(101)에 묻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킬 수가 있고,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101)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묻힐 수가 있어 세정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 수위 센서(606j)와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 또는 코팅제 수위 센서(619j)와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 탱크(606f) 또는 코팅 탱크(619f)에 저장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부족할 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기울여진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706a) 또는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719a)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줄어들 시에,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한쪽 모서리부분으로 수렴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 또는 코팅제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를 지속적으로 접촉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 회수부(111) 또는 코팅제 회수부(121)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606g)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619g)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고, 정화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세척 탱크(606f) 또는 코팅 탱크(619f)에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이물질 제거부(11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세척부(606, 706)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열 회수부(125)와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가열부(108)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열 회수부(125)를 통해 다시 회수하고, 회수된 열과 함께 가열부(108)가 핸드레일(101)을 건조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를 통해 핸드레일(101)을 더 건조시키므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핸들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 수단(129d)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현재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적정 범위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아닐 경우에,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600)는 제 1, 2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와 동일하게 광고 표시부(131)등을 포함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 표시부(131)의 광고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게 된다.
<제 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크리닝 몸체(102), 지지대(103), 전원 공급부(104), 작동센서(105), 원적외선램프(107), 가열부(108), 동력전달용 몸체(109), 세정제 회수부(111),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이물질 제거부(117), 코팅제 회수부(121),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 에너지 축적부(124), 열 회수부(125),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 광고판(도 1의 129)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타이머 동작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운동하는 세척부(806)등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세척부(806)는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 세척 탱크(806b),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806h), 세척용 탄성 부재(806i)등을 포함한다.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은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세척 탱크(806b)는 세정제가 저장되고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에 장착되되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바퀴(806b1)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의 내부에 형성된 바퀴 수납 홈(미도시)에 안착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는 세척 탱크(806b)에 장착되되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의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106c, 606g)와 동일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의 세척부(806)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의 세척부(106, 506, 606, 706)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806e)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806f)등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806h)은 세척용 타이머 지지 부재(806h1)와 세척용 타이머 회전 부재(806h2)등을 포함한다.
세척용 타이머 지지 부재(806h1)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과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세척용 타이머 회전 부재(806h2)는 전원 공급부(104)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세척 탱크(806b)를 가압하고,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를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도록 장착된다.
세척용 탄성 부재(806i)는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의 내측에 장착되어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806h)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세척 탱크(806b)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타이머 동작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운동하는 코팅부(819)등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코팅부(819)는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 코팅 탱크(819b),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806h), 세척용 탄성 부재(806i)등을 포함한다.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은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806a)과 이격되고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며, 핸드레일(101)의 하부에 장착될 수가 있다.
코팅 탱크(819b)는 코팅제가 저장되고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에 장착되되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바퀴(819b1)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의 내부에 형성된 바퀴 수납 홈(미도시)에 안착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는 코팅 탱크(819b)에 장착되되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119c, 619g)와 동일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의 코팅부(819)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의 세척부(106, 506, 606, 706)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819e)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819f)등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819h)은 코팅용 타이머 지지 부재(819h1)와 코팅용 타이머 회전 부재(819h2)등을 포함한다.
코팅용 타이머 지지 부재(819h1)는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과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코팅용 타이머 회전 부재(819h2)는 전원 공급부(104)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코팅 탱크(819b)를 가압하고, 가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를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도록 장착된다.
코팅용 탄성 부재(819i)는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819a)의 내측에 장착되어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819h)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코팅 탱크(819b)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크리닝 몸체(102), 전원 공급부(104), 세척부(806), 가열부(108)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세척부(806)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세척부(806)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세척시키며, 세척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원하는 시간 때에 세정제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정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코팅부(81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원하는 시간 때에 전원 공급부(104)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코팅부(819)를 수평운동시켜 핸드레일(101)에 접촉시키고, 핸드레일(101)의 회전에 의해 코팅부(819)가 핸드레일(101)을 무동력으로 코팅시키며,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열부(108)를 통해 건조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806e)와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806f)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819e)와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819f)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에 의해 세정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에 의해 코팅된 핸드레일(101)을 가압하여 핸드레일(101)에 묻은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킬 수가 있고,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이 적어질 시에 핸드레일(101)에 효율적으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묻힐 수가 있어 세정 작업 또는 코팅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정제 수위 센서(106g)와 세정제 부족 표시부(113) 또는 코팅제 수위 센서(119g)와 코팅제 부족 표시부(123)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정 탱크(806b) 또는 코팅 탱크(819b)에 저장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감지하여 세정제 또는 코팅제가 부족할 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정제 회수부(111) 또는 코팅제 회수부(121)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806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세정시킬 시에 발생하는 자유 낙하하는 세정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819c)의 회전으로 핸드레일(101)을 코팅시킬 시에 자유 낙하하는 코팅제를 회수하여 정화시키고, 정화된 세정제 또는 코팅제를 세척 탱크(806b) 또는 코팅 탱크(819b)에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정제 또는 코팅제의 잔류량을 연장시킬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이물질 제거부(11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세척부(806)의 세척단계 전에 핸드레일(101)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가 있으므로, 세정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열 회수부(125)와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가열부(108)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열 회수부(125)를 통해 다시 회수하고, 회수된 열과 함께 가열부(108)가 핸드레일(101)을 건조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건조 롤러(127)를 통해 핸드레일(101)을 더 건조시키므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129)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핸들레일(101)의 이동 속도 값을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 수단(129d)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현재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적정 범위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값이 아닐 경우에, 크리닝 몸체(102)의 내부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유지보수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800)는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100, 600)와 동일하게 광고 표시부(131)등을 포함할 수가 있으므로, 광고 표시부(131)의 광고 내용을 홍보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600, 800 :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101 : 핸드레일
102 : 크리닝 몸체 103 : 지지대
104 : 전원 공급부 105 : 작동센서
106, 506, 606, 706, 806 : 세척부
106a, 506a :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
106b, 606f, 806b : 세척 탱크
106b1, 119b1, 806b1, 819b1 : 바퀴 106c, 606g, 806c : 세척 롤러
106c1 : 세척용 평면 롤러 106c2 : 세척용 수직 롤러
106d : 세척용 전자석
106e, 606h, 806e : 보조용 세척 롤러
106f, 606i, 806f :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
106g, 606j : 세정제 수위 센서 107 : 원적외선램프
108 : 가열부 109 : 동력전달용 몸체
109a : 동력 전달부 111 : 세정제 회수부
111a : 세정제 회수대 111b : 제 1 이물질 필터 수단
113 : 세정제 부족 표시부 117 : 이물질 제거부
117a : 고정 수단 117b : 제거 수단
119, 519, 619, 719, 819 : 코팅부
119a, 519a :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 119b, 619f, 819b : 코팅 탱크
119c, 619g, 819c : 코팅 롤러 119c1 : 코팅용 평면 롤러
119c2 : 코팅용 수직 롤러 119d : 코팅용 전자석
119e, 619h, 819e : 보조용 코팅 롤러
119f, 619i, 819f :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
119g, 619j : 코팅제 수위 센서 121 : 코팅제 회수부
121a : 코팅제 회수대 121b : 제 2 이물질 필터 수단
123 : 코팅제 부족 표시부 124 : 에너지 축적부
125 : 열 회수부 125a : 열 회수용 모터
125b : 열 회수용 회전 축 125c : 열 회수용 회전 팬
127 : 건조 롤러
129 :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부
129a :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지지 수단
129b : 핸드레일 이동 속도 측정용 롤러
129c : 핸드레일 이동 속도 감지 센서
129d : 핸드레일 이동 속도 표시 수단 131 : 광고 표시부
606a, 706a :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 606b : 세척용 모터
606c :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606c1 : 세척용 스크류 돌기
606d :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 606e : 세척용 이동 수단
619a, 719a :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 619b : 코팅용 모터
619c :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619c1 : 코팅용 스크류 돌기
619d :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 619e : 코팅용 이동 수단
806a :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
806h :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
806h1 : 세척용 타이머 지지 부재
806h2 : 세척용 타이머 회전 부재 806i : 세척용 탄성 부재
819a :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
819h :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
819h1 : 코팅용 타이머 지지 부재
819h2 : 코팅용 타이머 회전 부재 819i : 세척용 탄성 부재
P1, P2, P3, P4 : 돌출수단 A : 광고지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과;
    상기 세정제가 저장되고 상기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상기 제 1세척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세척 탱크와;
    상기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 및
    상기 제 1 세척용 지지 수단의 내측과 상기 세척 탱크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세척용 전자석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4.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과;
    상기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의 외측 일단에 장착된 세척용 모터와;
    상기 세척용 모터에 끼워지고 세척용 스크류 돌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상기 세척용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는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과;
    상기 제 2 세척용 지지 수단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을 고정하는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과;
    상기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에 끼워지도록 세척용 스크류 홀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상기 세척용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세척용 스크류 돌기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는 세척용 이동 수단과;
    상기 세정제가 저장되고 상기 세척용 이동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세척 탱크; 및
    상기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5.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상기 세정제가 저장되고 상기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상기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세척 탱크와;
    상기 세척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세정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과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세척 탱크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를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 및
    상기 제 3 세척용 지지 수단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용 타이머 회전 수단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세척 탱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세척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6.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과;
    상기 코팅제가 저장되고 상기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상기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코팅 탱크와;
    상기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 및
    상기 제 1 코팅용 지지 수단의 내측과 상기 코팅 탱크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코팅용 전자석을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7.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과;
    상기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의 외측 일단에 장착된 코팅용 모터와;
    상기 코팅용 모터에 끼워지고 코팅용 스크류 돌기를 포함하여 제작되되, 상기 코팅용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회전하는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과;
    상기 제 2 코팅용 지지 수단의 외측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을 고정하는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 고정 수단과;
    상기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에 끼워지도록 코팅용 스크류 홀을 포함하여 제작되되, 상기 코팅용 스크류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코팅용 스크류 돌기에 걸리면서 수평운동하는 코팅용 이동 수단과;
    상기 코팅제가 저장되고 상기 코팅용 이동 수단의 상부에 장착되는 코팅 탱크; 및
    상기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8.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코팅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코팅시키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부는,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세척부 및 상기 가열부와 이격되되,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된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상기 코팅제가 저장되고 상기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에 장착되되, 상기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작된 코팅 탱크와;
    상기 코팅 탱크에 장착되되, 상기 코팅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과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전원 공급 신호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원하는 시간에 회전하여 일정한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코팅 탱크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를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시키는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 및
    상기 제 3 코팅용 지지 수단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코팅용 타이머 회전 수단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코팅 탱크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코팅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9. 제 3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상기 핸드레일에 묻은 상기 세정제를 골고루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세척 롤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이격되도록 장착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에 의해 코팅된 상기 핸드레일을 가압하여 상기 핸드레일에 묻은 상기 코팅제를 골고루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용 코팅 롤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11. 제 3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상기 세정제와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세정제 묻힘 유도 롤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12. 제 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탱크의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팅 롤러와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되고 상기 코팅제와 접촉된 적어도 하나의 코팅제 묻힘 유도 롤러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핸드레일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크리닝 몸체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이격되되,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수평 운동하고, 상기 수평 운동에 의해 상기 세정제에 잠긴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가 상기 핸드레일에 접촉되면서, 상기 핸드레일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세척 롤러의 회전으로 상기 핸드레일을 세정시키는 세척부; 및
    상기 크리닝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세척부와 이격되되,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적정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세척부에 의해 세정된 상기 핸드레일을 건조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열부의 동작에 동기화되어 상기 가열부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다시 회수하는 열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00006610A 2010-01-25 2010-01-25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KR10128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10A KR101289393B1 (ko) 2010-01-25 2010-01-25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CN2010102161866A CN102134039A (zh) 2010-01-25 2010-07-02 扶手清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10A KR101289393B1 (ko) 2010-01-25 2010-01-25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27A KR20110087127A (ko) 2011-08-02
KR101289393B1 true KR101289393B1 (ko) 2013-07-29

Family

ID=4429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10A KR101289393B1 (ko) 2010-01-25 2010-01-25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9393B1 (ko)
CN (1) CN1021340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9126A (zh) * 2011-12-15 2013-06-19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扶手带清洁器
CN105151996B (zh) * 2015-10-27 2017-03-22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一种可对电梯扶手进行自动清洁的电梯装置
KR101750195B1 (ko) * 2016-02-17 2017-06-22 김승래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소독장치
CN107337072A (zh) * 2017-08-18 2017-11-10 重庆迈高电梯有限公司 一种带有清洁装置的自动扶梯
CN108033345A (zh) * 2018-01-24 2018-05-15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梯扶手用高效清洗装置
CN108209736B (zh) * 2018-01-29 2020-12-25 陈爱珍 一种流水式扶手带清洗设备的使用方法
CN108296192B (zh) * 2018-01-31 2019-08-23 池云飞 一种可折叠式清洗装置的使用方法
CN108190716B (zh) * 2018-01-31 2023-08-25 张文 一种可折叠式清洗装置
CN108840214B (zh) * 2018-07-31 2020-11-10 上海理工大学 用于电动扶梯扶手带的自动清洁装置
WO2020086013A1 (en) * 2018-10-24 2020-04-30 Tekno Arastirma Gelistirme Elekt. Mad. Ith. Ihr. San. Ve Tic. Ltd. Sti. Cleaning device of escalator
KR200491410Y1 (ko) * 2019-10-21 2020-04-02 양훈 에스컬레이터 손잡이 살균장치
TWI740519B (zh) * 2020-05-28 2021-09-21 林兆豐 手扶梯清潔滅菌機
CN111747279B (zh) * 2020-06-28 2022-06-28 杭州职业技术学院 一种触碰自洁型扶手及自动扶梯
WO2022016405A1 (zh) * 2020-07-22 2022-01-27 张宝强 一种电梯扶手自动消毒装置
PT117077A (pt) * 2021-02-19 2022-08-19 Escola Superior De Enfermagem De Coimbra Sistema de limpeza e desinfeção de corrimões de escadas e tapetes rolantes
CN118047293A (zh) * 2022-11-10 2024-05-17 奥的斯电梯公司 自动传输装置和用于其扶手皮带的自动清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369A (ja) * 1995-01-06 1996-07-23 Toshiba Fa Syst Eng Kk マンコンベア
JPH10109877A (ja) * 1996-10-08 1998-04-28 Otis Elevator Co 人移送装置のハンドレール除菌装置
KR100704773B1 (ko) * 2005-04-12 2007-04-11 양원동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사이드워크용 핸드레일 세척장치
KR100927117B1 (ko) * 2008-09-05 2009-11-18 유태일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 무동력 크리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1469B1 (ko) * 1970-03-02 1974-08-22
CN2200626Y (zh) * 1994-06-08 1995-06-14 蔡阳 滚梯扶手清洗消毒装置
JPH10258982A (ja) * 1997-03-17 1998-09-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マン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表面保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8369A (ja) * 1995-01-06 1996-07-23 Toshiba Fa Syst Eng Kk マンコンベア
JPH10109877A (ja) * 1996-10-08 1998-04-28 Otis Elevator Co 人移送装置のハンドレール除菌装置
KR100704773B1 (ko) * 2005-04-12 2007-04-11 양원동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사이드워크용 핸드레일 세척장치
KR100927117B1 (ko) * 2008-09-05 2009-11-18 유태일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의 핸드레일 무동력 크리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27A (ko) 2011-08-02
CN102134039A (zh)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393B1 (ko) 핸드레일 크리닝 장치
CN106166050A (zh) 一种擦地机器人
CN201743655U (zh) 地埋式鞋底清洁装置
CN106334683B (zh) 一种裁剪工具快速清洗装置
JPWO2016001944A1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洗浄装置
CN113854908B (zh) 洗地机的自清洁方法、洗地机、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5084192A (zh) 手扶梯消毒清洁装置
US9027369B2 (en) Towel washing and drying appliance
CN211971206U (zh) 一种牛津布生产用清洁装置
CN207079387U (zh) 一种服装晾晒架
CN107749737A (zh) 一种光伏板清洁装置
CN111035329A (zh) 自动清洁装置
TWM543255U (zh) 紫外光殺菌洗衣球裝置
CN210139267U (zh) 一种摩托车挡风板生产用复合型设备
CN210333481U (zh) 一种辊筒清洗装置
CN217031969U (zh) 底座及具有其的清洁系统
CN210586007U (zh) 一种合金材料板的清洗装置
CN210207967U (zh) 一种牛奶瓶清洗装置
CN108272428A (zh) 一种坐便马桶坐垫和侧壁的清洁装置
CN219109365U (zh) 一种方便使用的鞋底清洗装置
JPH11332795A (ja) 清掃装置
CN221046455U (zh) 一种防锈处理装置
CN210354620U (zh) 一种自动刷鞋机
CN203678767U (zh) 一种鞋底自动清洗装置
CN204656994U (zh) 一种辊式墙壁张贴物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