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697B1 -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 Google Patents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697B1
KR101288697B1 KR1020100080637A KR20100080637A KR101288697B1 KR 101288697 B1 KR101288697 B1 KR 101288697B1 KR 1020100080637 A KR1020100080637 A KR 1020100080637A KR 20100080637 A KR20100080637 A KR 20100080637A KR 101288697 B1 KR101288697 B1 KR 10128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mp
air
self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801A (ko
Inventor
백복현
Original Assignee
백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복현 filed Critical 백복현
Priority to KR102010008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6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69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급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3)에 연결된 입수부(10); 상기 몸체(3) 내에 설치되어, 기 입수부(10)를 통해 상기 급수원의 물을 상기 몸체(3) 안으로 흡인하는 펌핑부(20); 상기 몸체(3)의 상기 입수부(10) 출구(11) 측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20)의 흡인력에 의해 외기를 흡인하는 흡기부(30); 일단이 상기 몸체(3)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20)에 의해 상기 몸체(3) 안으로 흡인되어 혼합된 물과 공기를 저수조로 배출하는 출수부(40); 및 상기 몸체(3)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펌핑부(20)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출수부(40)는 상기 몸체(3)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출수관(41) 상에 장착되어, 상기 출수관(41)을 통과하는 물과 공기 중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6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출수부 필터에 막힘이 발생하여도 펌핑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를 배기밸브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출수부 측 압력 상승으로 인한 펌프의 자흡성능 저하 또는 상실로 인한 펌프의 고장이나 성능저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Self-inhalating type pump for generating micro-bubble}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인 사용을 위하여 일정 높이까지 진공 상태로 만들어 물을 빨아 들이는 자흡식 펌프에 있어서, 출수부 출구에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자흡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기포 발생기는 물에 20나노미터이하의 공기방울을 발생시켜 효과적인 입욕을 돕는 기기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펌프를 사용하여 미세기포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101)는 펌핑부(120)의 기어쌍(121)에 의해 입수부(110)와 흡기부(130)로부터 흡인되는 물과 공기를 펌프 몸체(103) 내에서 압축하여 출수부(140)를 통해 토출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바, 펌핑부(120)의 기어쌍(121)이 기동하면 입수부(110)는 진공상태가 되고, 출수부(140)는 공기가 압축되어 대기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펌프(101)의 입수부(110) 측이 진공상태가 됨에 따라, 입수부(110)의 입수관(113)을 따라 급수원의 물이 빨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 펌핑부(120) 내에 물이 차게 되면, 비로소 정상적인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흡기부(130)를 통하여 펌프 몸체(103) 안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물과 함께 압축된 뒤 출수부(140)를 거쳐 필터(147)를 통과하면서, 마이크로단위의 미세기포로 배출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101)는 출수부(140) 필터(147)의 메시가 아주 작게 되어 있어, 예컨대 욕조와 같은 급수원에 있는 목욕물 등에 부유하는 이물질로 인해 필터(147)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필터(147)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출수부(140)의 배수압력이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펌프의 자흡수두를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펌프(101)의 동작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흡 능력을 상실한 상태로 일정 시간이 방치되면, 펌핑부(120) 내부의 마찰이나 발열로 인해 플라스틱 수지제인 기어쌍(121)에 마모나 융착이 발생하는 등 펌프(101)에 심각한 고장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출수부 필터가 이물질 누적으로 인해 막히더라도, 펌핑부로부터 출수관으로 유입되는 고압공기를 별도의 배기밸브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키면서도, 이 배기밸브의 수밀성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하여 필터 막힘에도 불구하고 자흡에 의한 펌핑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급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에 연결된 입수부; 상기 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를 통해 상기 급수원의 물을 상기 몸체 안으로 흡인하는 펌핑부; 상기 몸체의 상기 입수부 출구 측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의 흡인력에 의해 외기를 흡인하는 흡기부;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에 의해 상기 몸체 안으로 흡인되어 혼합된 물과 공기를 저수조로 배출하는 출수부; 및 상기 몸체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펌핑부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출수부는 상기 몸체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출수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출수관을 통과하는 물과 공기 중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기밸브는, 일단이 상기 출수관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 관체; 상기 관체의 상기 배기공 안쪽에서 상기 관체의 내주면 상에 상호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개폐시트; 및 상기 관체 내부의 상기 개폐시트 사이에 왕복 이동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관체의 상기 출수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배기공으로 배출시키나, 상기 출수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은 상기 폐쇄시트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배기공으로 배출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체는 상기 개폐시트 사이의 내주면과 상기 마개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폐시트 사이의 내주면 직경이 상기 마개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체는 상기 개폐시트 사이의 내주면 상에 하나 이상의 배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출수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에 의한 압력을 자중에 의해 극복한 때, 상기 개방시트로 복귀하여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출수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에 의한 압력을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극복한 때, 상기 개방시트로 복귀하여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에 의하면, 출수부 필터에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펌핑부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를 배기밸브를 통해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출수부 측 압력 상승으로 인한 펌프의 자흡성능 저하 또는 상실 및 그에 따른 물부족으로 인해 야기되는 펌프의 고장이나 성능저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펌프의 마모 수명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자흡성능을 상실한 펌프를 재가동하기 위해 불가피한 필터 청소 횟수를 반감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펌핑부를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배기밸브를 확대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마개를 밸브 폐쇄위치에서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다른 실시 형태를 확대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배기홈을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6의 마개를 밸브 폐쇄위치에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배기밸브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확대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마개를 밸브 폐쇄위치에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는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입수부(10), 펌핑부(20), 흡기부(30), 출수부(40), 및 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입수부(10)는 급수원과 펌프(1)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호스나 파이프 형태로 된 입수관(13)으로 이루어지며, 급수원의 물속에 잠기는 입구(15) 측에 복수의 입수공(19)을 갖는 입수캡(17)이 끼워져 있고, 출구(11) 측은 펌프 몸체(3)로 삽입, 연결된다.
상기 펌핑부(20)는 펌프(1)의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펌프 몸체(3) 내에 설치되는 바, 입수부(10)를 통해 급수원의 물을 몸체(3) 안으로 흡인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의 것도 채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펌프가 채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펌핑부(20)는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구동 및 피동기어(21,22)와 하우징 역할을 하는 몸체(3) 그리고 입수구 역할을 하는 입수관(13) 출구(11) 및 출수구 역할을 하는 출수관(41) 입구(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기부(30)는 미세기포 발생기만의 독특한 구성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입수구 역할을 하는 입수관(13) 출구(11) 측에 장착되어 펌핑부(20) 기어(21,22)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외기를 흡인한다. 따라서, 몸체(3) 내에 흡인된 물과 공기는 흡인과 동시에 압축된다.
이때, 몸체(3)의 출수구 역할을 하는 출수관(41) 입구(43)에는 압력센서(23)가 장착되어 기어(21,2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와 물의 압력이 적정 수준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감시하며, 따라서 압력저하로 인해 미세기포가 발생되지 않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수부(40)는 펌핑부(20)에 의해 몸체(3) 안으로 흡인된 물과 공기를 욕조 등과 같은 저수조 또는 용기로 배출하도록 몸체(3)와 저수조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10)와 마찬가지로 호스나 파이프 형태로 된 출수관(41)으로 이루어지는 바, 입구(43) 측은 펌프 몸체(3)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저수조 등으로 개방되는 출구(45) 측에는 필터(47)가 장착되어 혼합된 고압의 물과 공기가 필터(47)를 거치면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에 부유하는 이물질 또는 흡기부(30)에서 흡인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출구(45) 외측에는 출구(45)에서 분사되는 기포의 지향성을 높이기 위해 확산꼭지(49)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50)는 펌핑부(20)의 펌핑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3)의 펌핑부(20) 상단에 장착되는 바, 회전축이 구동기어(21)와 동축 상으로 결합되어 구동기어(21) 및 피동기어(22)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펌핑부(20)의 흡인력을 발생시켜 펌프(1)의 펌핑작용을 일으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펌프(1)의 출수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와 저수조를 연결하는 출수관(41) 상에 배기밸브(60)가 장착되어, 이 출수관(41)을 통과하는 물과 공기 중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펌핑부(20)의 배압이 대기압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는 바, 이 배기밸브(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61), 개폐시트(63,64), 및 마개(6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관체(61)는 배기밸브(60)의 몸통을 이루는 중공 원통형의 몸체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단이 출수관(41) 일측 벽면에 연결되는 바, 타단은 출수관(41)과 나란하게 수직 배열되도록 ㄴ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배기공(67)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다.
상기 개폐시트(63,64) 즉, 개방시트(63) 및 폐쇄시트(64)는 관체(61)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마개(65)가 안착되도록 하여 배기밸브(60)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부분으로, 마개(65)가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관체(61)의 배기공(67) 바로 안쪽 개방단 내주면 상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마개(65) 이동 공간을 확보하도록 상호 간에 관체(61)의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개방시트(63)는 도시된 것처럼 관체(61)의 내경을 달리하여 걸림턱 형태로 간단히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단순히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개방시트(63)가 걸림턱 형태로 형성된 때 도 4에 도시된 밸브(60) 개방상태에서 출수부(4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마개(65)를 들어 올리지 못할 경우에 대비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시트(63) 에지 부분에 통기로(7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시트(64)는 도시된 것처럼 관체(61)의 출구 측에 별도의 배출팁(73)을 끼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개방시트(63)와 마찬가지로 직경차를 두어 걸림턱 형태로 형성하거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링형상 돌기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위와 같이 상호 이격된 개폐시트(63,64) 사이의 관체(61) 내주면은 도시된 것처럼 마개(65)보다 직경이 약간 작아 마개(65)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거나, 밸브(60)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65)와 직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홈(69)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마개(65)는 위와 같이 형성된 개폐시트(63,64)에 안착되면서 밸브(60)를 개폐하는 부분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관체(61) 내부에 삽입되어 개폐시트(63,64)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개(6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시트(63,64) 사이의 관체(61) 내주면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경우 그 사이의 틈새를 통해 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시트(63,64) 사이의 관체(61) 내주면과 밀착되는 경우에는 배기홈(69)을 통해 출수관(4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통과시켜 배기공(67)으로 배출시키나, 출수관(41)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폐쇄시트(64)에 안착됨으로써 배기공(67)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65)는 출수관(41)로부터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거나 유입되는 물의 압력이 떨어져 마개(65)의 자중을 이기지 못할 때 개방시트(63)로 복귀하여 안착됨으로써 밸브(60)를 개방하게 되는 바, 공기의 압력이 상존할 때는 개방시트(63)에서 떨어질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밸브(60) 개방상태는 여전히 유지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마개(65)를 개방시트(63)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마개(65)의 자중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개폐시트(63,64) 사이에 반드시 높이차가 존재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기밸브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배기밸브(60)는 폐쇄시트(64)에 안착된 마개(75)를 스프링(77)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시트(63)로 복귀시키도록 한 것으로, 마개(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개폐시트(63,64) 사이의 관체(61)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개(75)는 관체(61) 내주면에 형성된 배기홈(69)을 통해 출수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배기공(67)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배기홈(69)을 내주면에 가공하지 않고, 마개(75)의 외경을 내주면의 내경보다 작게 하여 관체(61) 내주면과 마개(75)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스프링(77)은 마개(75)와 배출팁(73) 사이에 개재되어 마개(75)를 개방시트(63) 쪽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바, 배출팁(73)은 내주면 상에 스프링(77)을 지지하는 걸림턱(79)이 돌출되어 있으며, 마개(75)에는 폐쇄시트(64)와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스프링(77)과 접촉하는 끝면 상에 고무패킹(81)이 부착된다.
따라서, 마개(75)는 출수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77)을 압축하여 폐쇄시트(64)에 안착됨으로써 밸브(60)를 폐쇄하게 되며, 반대로 스프링(77)의 탄성복원력이 물의 압력보다 커진 때 스프링(77)에 의해 가압되어 밸브(60)를 개방하게 된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흡식 펌프(1)는 최초 구동부(50)의 모터가 동작하면, 펌핑부(20)의 구동 및 피동 기어(21,22)가 회전하면서 입수부(10)를 통해 급수원의 물을, 그리고 흡기부(30)를 통해 공기를 각각 펌프 몸체(3) 안으로 빨아들인다. 몸체(3) 안으로 흡인된 물과 공기는 흡인과 동시에 혼합되면서 출수부(40)를 통해 저수조로 배출된다.
이때, 출수관(41)으로부터 출구(45)로 배출되지 않고 배기밸브(60)로 유입된 공기 일부는 마개(65,75)를 가압하여 들어올리거나 스프링(77)을 압축시키면서 개방시트(63)를 통과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65,75)와 관체(61)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 그 틈새를 통해,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마개(65,75)와 관체(61)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없는 경우 배기홈(69)을 통해 배기공(67)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출수관(41)으로부터 배기밸브(60)로 물이 유입되면, 마개(65,75)는 수압에 의해 폐쇄시트(64)에 안착되면서 밸브(60)를 폐쇄하여 물과 공기가 모두 배기공(67)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펌프(1)의 사용이 정지되면, 출수관(41)으로부터 공기와 물이 더 이상 배기밸브(60)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폐쇄시트(64)에 안착되어 밸브(60)를 폐쇄하고 있던 마개(65)는 자중에 의해, 마개(75)는 자중과 스프링(77) 반력에 의해 개방시트(63)에 안착되는 작동 전 상태로 복귀하면서 배기밸브(60)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마개(75)의 경우에는 스프링(77) 반력에 의해 가압되므로, 관체(61)를 수평하게 배열하여도 작동 정지 시 지장없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밸브(60)를 개방할 수 있으며, 마개(75)의 중량을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쉽게 이동할 정도로 가볍게 제작하여도 공기로 인해 배기밸브(60)가 폐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는 출수부(40)의 필터(47)가 배수 중의 이물질로 인해 막히더라도 펌핑부(20)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를 배기밸브(60)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출수관(41) 내의 기압을 최대 대기압 이하로는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출수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통과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펌프(1)의 자흡능력을 최상은 아니지만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3 : (펌프)몸체
10 : 입수부 11, 45 : 출구
13 : 입수관 15, 43 : 입구
17 : 입수캡 19 : 입수공
20 : 펌핑부 21 : 구동기어
22 : 피동기어 23 : 압력센서
30 : 흡기부 40 : 출수부
41 : 출수관 47 : 필터
50 : 구동부 60 : 배기밸브
61 : 관체 63 : 개방시트
64 : 폐쇄시트 65, 75 : 마개
67 : 배기공 69 : 배기홈
77 : 스프링

Claims (6)

  1. 삭제
  2. 일단이 급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이 펌프 몸체(3)에 연결되는 입수부(10);
    상기 펌프 몸체(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부(10)를 통해 상기 급수원의 물을 상기 펌프 몸체(3) 안으로 흡인하는 펌핑부(20);
    상기 입수부(10)의 출구(11) 측에서 상기 펌프 몸체(3)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20)의 흡인력에 의해 외기를 흡인하는 흡기부(30);
    일단이 상기 펌프 몸체(3)에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20)에 의해 상기 펌프 몸체(3) 안으로 흡인되어 혼합된 물과 공기를 저수조로 배출하는 출수부(40); 및
    상기 펌프 몸체(3)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펌핑부(20)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출수부(40)는 상기 펌프 몸체(3)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출수관(41) 상에 장착되어, 상기 출수관(41)을 통과하는 물과 공기 중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기밸브(60)는,
    일단이 상기 출수관(41) 일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기공(67)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 관체(61);
    상기 관체(61)의 상기 배기공(67) 안쪽에서 상기 관체(61)의 내주면 상에 상호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개방 및 폐쇄시트(63,64); 및
    상기 관체(61) 내부의 상기 개방 및 폐쇄시트(63,64) 사이에 왕복 이동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관체(61)의 상기 출수관(4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공기는 상기 배기공(67)으로 배출시키나, 상기 출수관(4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은 상기 폐쇄시트(64)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배기공(67)으로 배출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는 마개(65,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61)는 상기 개방 및 폐쇄시트(63,64) 사이의 내주면과 상기 마개(65)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방 및 폐쇄시트(63,64) 사이의 내주면 직경이 상기 마개(65)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61)는 상기 개방 및 폐쇄시트(63,64) 사이의 내주면 상에 하나 이상의 배기홈(6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65)는 상기 출수관(4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에 의한 압력을 자중에 의해 극복한 때, 상기 개방시트(63)로 복귀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6.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75)는 상기 출수관(4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물에 의한 압력을 상기 관체(61) 출구의 배출팁(73)에 삽입된 스프링(7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극복한 때, 상기 개방시트(63)로 복귀하여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KR1020100080637A 2010-08-20 2010-08-20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KR10128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37A KR101288697B1 (ko) 2010-08-20 2010-08-20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637A KR101288697B1 (ko) 2010-08-20 2010-08-20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801A KR20120017801A (ko) 2012-02-29
KR101288697B1 true KR101288697B1 (ko) 2013-07-22

Family

ID=4583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637A KR101288697B1 (ko) 2010-08-20 2010-08-20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748B1 (ko) * 2012-04-05 2013-07-19 지효근 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용 펌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18A (ja) * 2000-07-14 2002-01-31 Tlv Co Ltd 汚水用ポンプ装置
KR100913529B1 (ko) * 2007-12-31 2009-08-24 안재섭 미세기포 발생 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18A (ja) * 2000-07-14 2002-01-31 Tlv Co Ltd 汚水用ポンプ装置
KR100913529B1 (ko) * 2007-12-31 2009-08-24 안재섭 미세기포 발생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801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19606B2 (en)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JP2020115997A (ja) 口腔洗浄装置
US20070227956A1 (en) Self-cleaning screen with check valve for use in shallow water pumping
US6082979A (en) Air pump for vacuum toilet systems
JP2006241698A (ja) 水洗大便器
JP463720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288697B1 (ko) 미세기포 발생용 자흡식 펌프
CN213625887U (zh) 一种发泡装置及马桶
JP4232384B2 (ja) 衛生洗浄装置
CN105952612A (zh) 一种泵用自吸装置及方法
KR101860324B1 (ko) 미세기포 발생 장치
JP5210135B2 (ja) ガス抜き機構付き往復動ポンプ
CN212656958U (zh) 具有双向逆止功能的密封组件及隔膜泵
CN112178232A (zh) 一种真空排污阀
JP3194873U (ja) ポータブル口腔洗浄器ポンプの構造
CN207500532U (zh) 高压切换阀
AU2003203910B2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KR101587346B1 (ko) 토출과 석션의 동시 구동을 위한 하이브리드 펌프
CN112754372B (zh) 一种密封结构和自移动清洁机器人
CN215424455U (zh) 一种清洁设备
CN218844541U (zh) 用于水池的气泵及水池
CN211230744U (zh) 一种清洗机的新型阀芯结构
CN215348729U (zh) 一种自移动清洁机器人
US20110047691A1 (en) Multifunctional SPA Device
US11559162B1 (en) Beverage ex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