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141B1 -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141B1
KR101288141B1 KR1020060124419A KR20060124419A KR101288141B1 KR 101288141 B1 KR101288141 B1 KR 101288141B1 KR 1020060124419 A KR1020060124419 A KR 1020060124419A KR 20060124419 A KR20060124419 A KR 20060124419A KR 101288141 B1 KR101288141 B1 KR 101288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ase
base
piston
dustproof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794A (ko
Inventor
김정진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141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2Auxiliary arrangements; Interconnections between auxiliary tables and movable machine elements
    • B23Q1/76Steadies;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방진구(110)를 지지하는 브라켓(120)에 고정되고, 타면이 베드(160)상의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상부 베이스(165); 상부 베이스(165)에 착탈 가능하고, 일면이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하부 베이스(169);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베이스(169)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착탈수단; 상부베이스(16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대(150)와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대 착탈수단;이 제공된다.
공작기계, 방진구, 이송, 베이스, 피스톤, 이송대, 베드, 안내면

Description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Feeding apparatus for machining steady rest}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중 피스톤부(70)만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방진구와 이송대가 밀착되었을 때 부품간 간섭으로 인해 C-거리만큼 접근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도 4중 상부 베이스(165)의 내부 평면도,
도 6은 도 5중 A-A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도 5중 B-B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갖춘 방진구와 이송대가 밀착되었을 때 부품간의 간섭이 없어 도 3에 비해 더 근접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도어, 10 : 방진구,
13 : 공작물, 15 : 그립부,
20 : 브라켓, 50 : 이송대,
55 : 걸림부, 59 : 이송축대,
60 : 베드, 63 : 클램핑부,
65 : 상부 베이스, 67 : 안내면,
69 : 하부 베이스, 70 : 피스톤부,
72 : 피스톤, 72a : 신장상태,
74 : 실린더부, 105 : 도어,
110 : 방진구, 113 : 공작물,
115 : 그립부, 120 : 브라켓,
150 : 이송대, 155 : 걸림부,
160 : 베드, 165 : 상부 베이스,
167 : 안내면, 169 : 하부 베이스,
170 : 제 1 피스톤부, 172 : 제 1 피스톤,
172a : 제 1 피스톤의 신장위치, 174 : 실린더부,
176 : 제 1 유로, 178 : 제 2 유로,
180 : 로드, 182 : 돌기,
184 : 제 1 스위치, 186 : 제 2 스위치,
190 : 제 2 피스톤, 194 : 실린더부,
195 : 록킹부.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방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기계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수치제어 공작기계, 머시닝 센터 등의 공작기계에서는 공작물의 형태에 따라 중간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방진구를 적용하곤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봉 형상의 공작물(13)은 방진구(10)의 그립부(1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진구(10)는 주축(미도시)과 이송대(50) 사이중 적절한 위치에서 베드(60) 상에 고정된다.
방진구(10)는 브라켓(20)과 연결되어 있고, 브라켓(20)은 상부 베이스(6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베드(60)의 안내면(67)을 상하로 하여 상부 베이스(65)와 하부 베이스(69)가 체결되어 있다. 이는 방진구(10), 상부베이스(65) 및 하부베이스(69)가 베드(60)의 안내면(67) 상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3은 종래의 방진구와 이송대가 밀착되었을 때 부품간 간섭으로 인해 C-거리만큼 접근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65)의 우측에는 피스톤부(70)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부(70)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의 실린더부(74)와 피스톤(72)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중 피스톤부(70)만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72)의 끝단은 이송대(50)의 걸림부(55)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진구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도 3과 같이, 피스톤부(70)가 우측에 위치하여 이송대(50)에 밀착될 경우 피스톤부(70)와 이송대(50) 사이의 간섭에 의해 C-거리만큼의 간격이 발생한다. 즉, 이송대(50)는 방진구(10)와의 간섭에 의해 C-거리만큼은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방진구가 원인이 되어 공작기계에서 가공될 수 있는 공작물 크기의 제한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진구(10)는 상부 베이스(65)와 하부 베이스(69)가 클램프(63)에 의해 체결되거나 분해되는 구조였다. 따라서, 대형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방진구(10)를 제거하고자 할 때, 클림핑(63)을 해제하고 방진구(10) 전체를 제거해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실린더부를 상부 베이스의 중심으로 내장시켜 이송대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인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방진구가 공작기계의 베드에 대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효용성을 높이고, 베이스 부재의 공용화를 이룰 수 있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방진구(110)를 지지하는 브라켓(120)에 고정되고, 타면이 베드(160) 상의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상부 베이스(165);
상부 베이스(165)에 착탈 가능하고, 일면이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하부 베이스(169);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베이스(169)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착탈수단;
상부베이스(16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대(150)와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대 착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착탈수단은,
하부 베이스(169)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실린더부(194); 및
실린더부(194) 내에서 상부 베이스(165)를 향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제 2 피스톤(190);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송대 착탈수단은,
상부 베이스(165)의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부(174); 및
실린더부(174) 내에서 이송대(150)를 향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제 1 피스톤(170);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피스톤(17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로드(180);
로드(180)의 수축 위치에서 접촉되는 제 1 스위치(184); 및
로드(180)의 신장 위치에서 접촉되는 제 2 스위치(186);를 더 포함하여, 제 1, 2 스위치(184, 186)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 1 피스톤(170)의 위치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봉 형상의 공작물(113)은 방진구(110)의 그립부(11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진구(110)는 주축(미도시)과 이송대(150) 사이중 적절한 위치에서 베드(160) 상에 고정된다.
베드(160)는 주축(미도시)과 이송대(150) 사이를 길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하부에 안내면(16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부 베이스(165, 169)는 이러한 안내면(167) 상에서 체결되어 미끄럼 이송을 한다. 이는 방진구(110), 상부베이스(165) 및 하부베이스(169)가 베드(160)의 안내면(167) 상에서 이송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방진구(110)는 브라켓(120)과 연결되어 있고, 브라켓(120)은 상부 베이스(165)와 연결되어 있다.
제 1 피스톤부(170)는 상부 베이스(165)의 중심 영역에 내장되고, 피스톤 끝부분이 이송대(150)를 향해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송대(150)에는 제 1 피스톤부(170)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피스톤부(170)와 걸림부(155)의 걸림 구조로 인해 방진구(110)의 좌우 이송 위치가 결정된다.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는 안내면(167)을 매개로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는 도 4중 상부 베이스(165)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의 상부 베이스(165) 내부 중심에는 이송대(5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는 제 1 피스톤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부(174)가 조립되며, 실린더부(174) 내부에 왕복 이송이 가능한 제 1 피스톤(172)이 조립된다. 부재번호 "172a"는 제 1 피스톤(172)이 상부 베이스(165) 밖으로 돌출 신장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176, 178)는 실린더부(174)의 양단까지 연장 설치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로드(180)는 제 1 피스톤부(170)와 함께 일체로 가공되고, 제 1 피스톤부(170)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로드(180)의 끝단에는 돌기(182)가 형성되어 있고, 로드(180)의 위치에 따라 이러한 돌기(182)와 접촉 가능한 제 1, 2 스위치(184, 186)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2 스위치(184, 186)의 출력신호는 중앙의 제어부(미도시, CPU, PLC 등)로 전송된다.
제 2 피스톤(190)은 제 1 피스톤부(170)에 대해 수직 방향이며, 한쌍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 2 피스톤(190)은 신장 및 수축됨에 따라 상부 베이스(165)를 하부 베이스(169)에 탈착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도 5중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피스톤부(170)의 수평 방향 신장 또는 수축은 이송대(150)의 걸림부(155)에 체결되거나 체결해제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베이스(165) 자체를 보링 가공하여 실린더부(194)를 형성하고, 그 내부로 제 2 피스톤(190)이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피스톤(190)의 단부에는 록킹부(19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록킹부(195)로 인해 제 2 피스톤(190)이 수축되어 하강(도 6 기준)될 때,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는 분리될 수 있고, 제 2 피스톤(190)이 신장되어 상승(도 6 기준)될 때,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는 일체로 체결된다.
록킹부(195)는 한쌍의 제 2 피스톤(190) 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클램핑 구조, 끼움 구조 등 제 2 피스톤(190)의 상승동작으로 체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채택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중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2 실린더(190) 사이에 제 1 피스톤(172)이 직각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의 동작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5의 제 1 유로(176)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제 1 피스톤부(170)가 신장되어 상부 베이스(165) 외부로 돌출된다. 그러면 제 1 피스톤부(170)는 신 장위치(172a)까지 돌출되어 이송대(150)의 걸림부(155)에 삽입됨으로서 체결된다. 즉, 이송대(150)에 대한 방진구(1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로드(180)의 돌기(182)가 제 2 스위치(186)를 건들게 되어 제 2 스위치(186)에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신호는 중앙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됨으로서 제 1 피스톤부(170)의 신장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만약, 제 1 피스톤부(170)의 걸림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스위치(184)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제 2 유로(178)에 유압을 공급하면 된다. 그러면, 제 1 피스톤부(170)가 상부 베이스(165) 내부로 들어오면서 이송대(150)와의 체결이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제 2 피스톤(190)으로 인한 베드(160)로부터의 탈부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6, 7과 같은 상태에서 제 2 피스톤(190)에 유압을 공급하여 제 2 피스톤(190)이 신장되도록 한다. 그러면, 각 제 2 피스톤(190)이 상부 베이스(165)를 통과하면서 록킹부(195)에 의해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가 일체로 체결된다. 따라서, 안내면(167)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공작물(113)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피스톤(190)에 유압을 반대로 공급하면 제 2 피스톤(190)이 압축된다. 그러면, 각 제 2 피스톤(190)이 하강하면서 록킹부(195)에 의해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의 체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방진구(10)를 손쉽게 공작기계로부터 꺼낼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베이스(169)를 표준 규격화한다면, 동일한 하부 베이스(169)에 대해 다양한 상부 베이스(165)와 방진구를 체결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갖춘 방진구와 이송대가 밀착되었을 때 부품간의 간섭이 없어 도 3에 비해 더 근접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150)는 방진구(110) 측으로 더 가깝게 이송될 수 있다(즉, 도 3의 종래기술에 비해 C-거리만큼 밀착 이동이 가능함). 따라서, 좀 더 짧은 공작물에 대해서도 가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부를 상부 베이스의 중심으로 내장시켜 이송대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공작물의 가공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방진구가 공작기계의 베드에 대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서 효용성을 높이고, 베이스 부재의 공용화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4)

  1.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방진구(110)를 지지하는 브라켓(120)에 고정되고, 타면이 베드(160)상의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상부 베이스(165);
    상기 상부 베이스(165)에 착탈 가능하고, 일면이 상기 안내면(167)에 밀착되어 이송 가능한 하부 베이스(169);
    상기 상부 베이스(165)와 하부 베이스(169)중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베이스(165)와 상기 하부베이스(169)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베이스 착탈수단;
    상기 상부베이스(16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대(150)와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대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대 착탈수단은,
    상기 상부 베이스(165)의 내부에 장착된 실린더부(174);
    상기 실린더부(174) 내에서 상기 이송대(150)를 향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제 1 피스톤(170);
    상기 제 1 피스톤(170)의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로드(180);
    상기 로드(180)의 수축 위치에서 접촉되는 제 1 스위치(184); 및
    상기 로드(180)의 신장 위치에서 접촉되는 제 2 스위치(18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1, 2 스위치(184, 186)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피스톤(170)의 위치 상태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착탈수단은,
    상기 하부 베이스(169)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실린더부(194); 및
    상기 실린더부(194) 내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165)를 향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제 2 피스톤(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60124419A 2006-12-08 2006-12-08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KR101288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19A KR101288141B1 (ko) 2006-12-08 2006-12-08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419A KR101288141B1 (ko) 2006-12-08 2006-12-08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94A KR20080052794A (ko) 2008-06-12
KR101288141B1 true KR101288141B1 (ko) 2013-07-18

Family

ID=3980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419A KR101288141B1 (ko) 2006-12-08 2006-12-08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366B1 (ko) * 2008-11-03 2015-01-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수치제어 복합가공기용 방진기구
KR200460540Y1 (ko) * 2009-07-17 2012-05-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반 방진구용 스토퍼 구조체
KR20210100317A (ko) 2020-02-06 2021-08-17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선반의 방진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802Y1 (ko) * 1985-05-29 1987-03-05 대우중공업주식회사 Nc 선반의 습동면 기브 조절 고정장치
JP2000263358A (ja) 1999-03-12 2000-09-26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クランプ装置
KR200290156Y1 (ko) 1996-12-28 2002-12-11 위아 주식회사 선반용방진구의이동구조
KR20040054402A (ko) * 2002-12-18 2004-06-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기브 지지 구조의 방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802Y1 (ko) * 1985-05-29 1987-03-05 대우중공업주식회사 Nc 선반의 습동면 기브 조절 고정장치
KR200290156Y1 (ko) 1996-12-28 2002-12-11 위아 주식회사 선반용방진구의이동구조
JP2000263358A (ja) 1999-03-12 2000-09-26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クランプ装置
KR20040054402A (ko) * 2002-12-18 2004-06-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기브 지지 구조의 방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794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82243U (zh) 一种下压式真空吸盘夹具
JPH09285925A (ja) クランプ装置
KR101288141B1 (ko) 공작기계용 방진구의 이송장치
US6283465B1 (en) Clamping device
EP3646985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US20160325360A1 (en) Apparatus for retaining a workpiece,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606938B1 (ko) 버티컬 터닝 센터의 자동 공작물 장착 장치
JP5622456B2 (ja) ワーク搬送装置におけるハンド着脱機構
CN113646130A (zh) 托架、夹紧件和负压夹紧装置
JP2018069382A (ja) リンク式クランプ装置
CN211438174U (zh) 一种加工气缸盖的半自动化夹具
CN114833612A (zh) 一种固定夹具
CN210255288U (zh) 用于缸盖半精铣加工的夹具
KR100829861B1 (ko) 탁상형 엔씨 선반
CN204413690U (zh) 一种加工孔用夹具
KR20060073720A (ko) 자체 이송 및 위치결정이 가능한 서보 구동 방진구
KR20100061888A (ko) 수직형 공작기계의 가공 거리 증대 장치
KR20190112913A (ko) 방진구를 갖는 공작 기계
CN215546728U (zh) 机加工刀具安装工装
CN203459951U (zh) 一种触点攻丝夹具
CN216802608U (zh) 一种适用于压铸工件的定位夹具
JP2009233760A (ja) 治具パレットのワーククランプ装置
KR100759911B1 (ko) 공작물 클램핑 장치
KR102532214B1 (ko) 공작기계의 커버장치
JP7015421B1 (ja) 外付けロボット用架台および外付けロボ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