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75B1 -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75B1
KR101287175B1 KR1020120008647A KR20120008647A KR101287175B1 KR 101287175 B1 KR101287175 B1 KR 101287175B1 KR 1020120008647 A KR1020120008647 A KR 1020120008647A KR 20120008647 A KR20120008647 A KR 20120008647A KR 101287175 B1 KR101287175 B1 KR 10128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shopping mall
product
sales
integrated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춘
Original Assignee
권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춘 filed Critical 권영춘
Priority to KR102012000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06Q30/0258Regis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통합쇼핑몰에 판매회원이 된 사람이면 누구든지 판매 마진을 제공함과 아울러 본사에 관련된 제품마다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마련된 상점포인트(shop-point)를 부여하여서, 쇼핑몰을 분양받은 판매회원이 제품판매를 함에 따라 해당 상점포인트를 획득케 하고 누적 관리를 해주어 누적한 총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를 달성하게 되면 오프라인 상에 해당 규모의 상점을 무상 개설할 수 있도록 본사가 지원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SUPPORT SERVICE METHOD AND APPRARTUS FOR FREE OPENNING OFF-LINE STORE USING UNIFIED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판매와 오프라인상점 영업판매의 연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제조/수출/유통업의 중소기업 등은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하므로 타사의 판매망이 있는 도매상, 중개상, 판매법인 등에 납품을 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판매를 대부분 하고 있으며, 비록 좋은 제품을 가지고 있다할지라도 홍보부족으로 인해 판매부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그리고 현재 제조나 유통계열의 개인사업자는 상당수가 영세사업자로서 전국적 판매망 및 지역별 판매망 구축이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하며, 요즈음 각광받고 있는 온라인상의 소호쇼핑몰을 구축하여 제품을 온라인 판매를 하려고 해도 쇼핑몰 구축비용은 차치하고라도 제품의 사진제작, 상품등록관리, 결제관리 등등이 결코 쉽코 쉽지 않으며, 제품 품목이 적을 경우에 구색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소비자의 방문횟수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온라인쇼핑몰의 광고형태는 포털사이트 등에 광고비를 지불하고 웹페이지에 배너 등이 게재되게 함으로써 포털사이트 방문자에게 노출되게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또한 광고중계하는 웹사이트의 웹페이지에 광고주가 광고비를 지불하고 광고배너를 등록하고, 광고중계 웹사이트에 회원가입한 홍보자가 기타 웹사이트를 통해 광고배너를 게재하고 그 댓가를 포인트 등의 수익으로 받는 방식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쇼핑몰 광고방식은 수입의 상당부분을 광고비로 지출하게 되므로 온라인 쇼핑을 통한 영업이익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이 되며, 실제로 대부분의 온라인쇼핑몰업체는 그 광고비 지출로 인해서 그 영업 실이익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이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일 예로서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된 국내 특허등록 제790945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에서는 온라인 광고와 영업이 통합되고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된 국내 특허등록 제819477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은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운영함에 있어 거래 및 판매에서 발생되는 적립금의 활용과 통합쇼핑몰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적립서비스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된 국내 특허등록 제850691호 "온라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에서는 제1국과 언어가 다른 타국 가맹국들에서도 언어소통장애없이 제1국과 동일한 온라인상의 유형 또는 무형의 상품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된 국내 특허등록 제0911242호 "듀얼모니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회원 및 콜센터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온라인 광고와 영업이 통합되고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을 포함한 유무형의 서비스 운용이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시스템과 듀얼모니터를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회원관리와 함께 운송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콜센터를 연계하여 실시간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리장치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온라인 쇼핑몰이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오프라인상점에서 그 실제 제품을 눈으로 현장에서 확인해보기를 원하는 고객이 많다. 이러한 관계로 대기업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운용뿐만 아니라 전국에 수많은 오프라인 매장도 함께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소규모의 사업자는 오프라인상점을 갖고 있는 점주가 온라인 쇼핑몰을 운용한다고 해도 오프라인상점 수가 하나이거나 소규모이므로 온라인쇼핑몰에서의 판매와 오프라인상점 영업판매의 연계작용을 하여 활성화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통합쇼핑몰에서의 정회원인 판매회원의 제품판매량에 따라 오프라인상점 개설도 무상 지원하고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판매와 오프라인상점 영업판매가 연계되어 제품유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이나 인터넷을 통해 통합쇼핑몰에 연결된 오프라인상점에서 제품판매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무료 개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인지를 회원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임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상기 제품판매에 따라 발생되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상점포인트를 마련하고, 상기 상점포인트를 제품판매를 일으킨 해당 제품판매회원에 매칭시켜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적립하는 과정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누적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해당 제품판매회원의 총 누적 상점포인트에 따라 설정된 창업지원금을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을 위한 무상 창업지원비용으로 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에 제품등록시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한 제품별 상점포인트가 부여되며,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에 의한 제품판매시 해당 판매제품에 부여된 상점포인트를 회원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기 위한 상점포인트 저장부와, 오프라인상의 상점을 무료 개설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제어하되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 회원이 제품판매를 함에 따라 판매 제품에 대응된 상점포인트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회원별로 적립 및 누적 관리를 하고, 누적한 총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를 달성하게 되면 해당 회원이 오프라인 상에 해당 규모의 상점을 무료 개설받을 수 있도록 기준치 달성한 상점포인트에 해당하는 창업지원금을 지원케 관리하는 상점개설 서비스부와, 상기 상점개설 서비스부의 제어 하에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로부터 발생된 상점포인트를 이용하여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을 포함하는 오프라인상점 창업지원금을 추출하고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받어서 관리하는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에 제품등록시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된 제품별 상점포인트가 관리자모드에서 관리자단말로 입력됨에 따라,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무료 개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상점포인트저장부에 입력하는 과정과, 온라인 통합쇼핑몰이나 인터넷을 통해 통합쇼핑몰에 연결된 오프라인상점에서 제품판매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인지를 회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임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된 상점포인트를 해당 제품판매회원에 매칭시켜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적립하는 과정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누적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해당 제품판매회원의 총 누적 상점포인트에 따른 창업지원금을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받아서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이 포함된 오프라인 상점 무료개점을 위한 창업지원비용으로 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쇼핑몰과 본인의 부담없이 개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을 함께 갖게 될 수 있고 제품판매회원이 오프라인 상점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는 희망이 있게 됨에 따라 전국적인 영업망 확보가 용이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면서도 영업망이 부족하여서 판로확보가 되지 않는 중소기업들까지도 살릴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쇼핑몰에서의 판매와 오프라인상점 영업판매의 연계작용을 하여 활성화되기에는 어려운 현실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회원DB(28a)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상품DB(28b)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의 광고DB(28c)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최초방문자 기록DB(28d)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1의 분양관리부(32)에서의 분양관리 등급상태도,
도 8은 도 1의 수익 관리부(36)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상점포인트로 오프라인상점 개설을 위한 팀영업자 등록 제어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품별 상점포인트를 부여하기 위한 입력 제어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수행하는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개설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절차를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
도 12 및 도 13은 제품별 상점포인트를 부여하는 관리자 화면 구성 일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점포인트를 정산관리하는 정산관리 화면 구성 일예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B2B,B2C,C2C의 통합 쇼핑몰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기본적으로 구현함은 물론이고, 온오프라인 회원들에 대한 통합관리와 함께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에 따른 상점포인트 누적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무료개점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판매와 오프라인상점 영업판매가 연계되어 관리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는 인터넷(4)을 통해서 B2C회원이나 C2C회원, 단순소비자 등이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6-1)(6-2)들과 접속되며, 또한 인터넷(4)을 통해서 일반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서버(8)나 해외의 가맹점인 국외 가맹점서버(10)와도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나 유통업체와의 제휴에 의한 B2B/B2C가맹점 서버(미도시됨)나 오프라인상점 가맹점서버(12)와도 접속될 수 있다. 포털사이트서버(8)나 오프라인상점 가맹점서버(12)에 연결된 단말은 내부 관리자 단말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인트라망이나 외부의 인터넷(4)을 통해서 연결되는 B2B회원의 단말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장치(2)에서, 메인서버(20)는 인터넷(4)에 연결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바일웹(5)에도 연결되며, 기업간거래(B2B), 기업과 소비자간거래(B2C), 기업과 기업간 및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B2C)에 대한 모든 거래 및 판매가 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쇼핑몰 창업자, 부업자, 개인점포운영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수입)자, 제조업자 등에게 적절히 이용될 수 있도록 각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메인서버(20)에서는 제조업자나 제품 중간유통업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자(수입)자 등과 같은 경우에 기업회원(가맹점,일반)으로 등록관리해준다. 가맹점 기업회원(B2B회원)으로는 영업조직이 있는 제조회사나 유통회사 및 단체가 여기에 해당되고, 일반 기업회원(B2B회원)으로는 단순 제품입점을 원하는 일반회사 및 단체가 여기에 해당된다. 메인서버(20)는 기업회원(가맹점,일반)이 보유한 제품에 대한 공급 및 상품매출 관리를 해주며, 메인홈페이지에 링크된 독립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제품홍보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서버(20)에서는 쇼핑몰 창업자나 부업자, 개인점포 운영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수입)자 등에 대해서는 회원가입자에 한해서 소매몰형태의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회원이 소매몰형태의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게 되면 그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의 제품소매판매 및 광고 등의 쇼핑몰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해주며,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 자신의 상품도 입점시켜 판매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에게는 하위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할 수 있도록 관리해준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들중에서 일정 요건을 갖춘 운영자에게는 도매몰 자격을 부여하고, 도매몰 요청한 자격자에게 도매쇼핑몰을 분양하며 분양된 도매쇼핑몰에서의 제품도매판매 및 광고 등의 쇼핑몰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도매쇼핑몰에서는 하위의 도매쇼핑몰을 분양할 수 없도록 구현되어진다.
도 1에서, 입출력부(22)는 메인서버(20)에 의해 제어되며, 시스템 메인관리자를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쇼핑몰 관리서버(24)는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와 소매몰 관리부(25b)와 도매몰 관리부(25c)를 가지며,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를 통한 제품공급사몰 관리와, 소매몰 관리부(25b)를 통한 소매몰 관리와, 도매몰 관리부(25c)를 통한 도매몰 관리를 수행한다.
쇼핑몰 관리서버(24)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도메인을 메인도메인과 서브도메인으로 구분하여 운용관리한다. 메인도메인의 주소는 예컨대, http://epv.co.kr형태가 되며, 메인도메인의 웹페이지는 시스템제공 메인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며 통합쇼핑몰의 메인홈페이지가 된다.
그리고 서브도메인은 메인도메인에 종속 링크되며 쇼핑몰 관리서버(24)에 의해서 다수의 서브도메인들로 생성 관리되어진다. 서브도메인의 주소는 메인도메인명 epv.co.kr 앞에 쇼핑몰 분양신청한 정회원의 식별코드(아이디)가 서브도메인명으로 붙는 예컨대, http://아이디.epv.co.kr형태나 또는 식별코드(아이디)가 서브도메인명 뒤에 붙는 http://epv.co.kr/아이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서브도메인의 홈페이지는 해당 운영자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가 된다.
상기의 서브도메인이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해당 기업회원의 독립홈페이지가 되며, 그 독립홈페이지에는 기업회원 관리자(운영자)에게 주어진 독립관리 페이지와 통합쇼핑몰에 공급된 상품들을 일괄관리할 수 있는 상품관리페이지가 하부의 페이지로 포함되게 구성된다.
상기의 서브 도메인이 소매몰 관리부(25b)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소매몰형태의 쇼핑몰 분양신청한 신청수만큼 다수로 생성되어지며, 쇼핑몰 분양받은 정회원인 클라이언트운영자에 의해서 운영되는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로서 관리되어진다.
상기의 서브 도메인이 도매몰 관리부(25c)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도매몰형태의 쇼핑몰 분양신청 도매자격회원의 신청수만큼 다수로 생성되어지며, 도매쇼핑몰 분양받은 도매자격회원에 의해서 운영되는 도매쇼핑몰의 홈페이지로서 관리되어진다. 도매쇼핑몰의 홈페이지는 일반회원이 접속할 수가 없으며,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은 정회원에게는 도매몰샘플 사이트를 공개해주며 자격을 갖춘 정회원에게는 도매쇼핑몰의 분양도 이루어진다.
도 1에서, DB(DataBase)서버(26)는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회원DB(28a), 상품DB(28b), 광고DB(28c), 최초방문자기록DB(28d), 정보등록DB(28e), 정산관리DB(28f), 다국어지원DB(28g), 적립카드DB(28h), 콜센터관리DB(28i), 물류센터관리DB(28j), 위치관리DB(28k) 등의 다양한 DB들을 관리한다.
회원DB(28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일반회원 저장부(100)과, 소매몰의 정회원정보들을 저장하는 정회원 저장부(102), 도매몰 자격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도매몰 자격회원 저장부(104),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회원 저장부(106)를 포함하며, 또 오프라인상점 가맹점 등의 오프라인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오프라인회원 저장부(108),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배달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수행자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배달업무수행자회원 저장부(109)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내국인,외국인 포함)가 컴퓨터단말(6-1)을 이용하여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회원 가입신청을 하게 되면 메인서버(20)는 DB서버(26)를 이용해서 무료회원가입 신청인을 일반회원으로서 회원DB(28a)의 일반회원 저장부(100)에 등록한다. 일반회원은 쇼핑을 하는 소비자그룹으로서 일반회원에게 주어지는 가격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반회원은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이 무료쇼핑몰 분양신청을 하게되면 메인서버(20)는 DB서버(26)를 이용해서 무료쇼핑몰 분양신청인을 정회원으로서 회원DB(28a)의 소매몰 정회원저장부(102)에 등록한다. 정회원은 소매몰형태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는 운영자가 된다.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는 자신이 분양받은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판매와 아울러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을 개별적으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또한 정회원인 운영자는 하위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해줄 수 있는 권한도 갖는다.
도 2의 소매몰 정회원 저장부(102)에 저장되는 소매몰 정회원정보는 판매점회원(110)과 대리점회원(112)와 레벨대리점회원(114)형태로 구분되어 저장이 된다. 판매점회원(110)은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받는 정회원이고, 대리점회원(112)은 쇼핑몰 분양을 하나이상 해준 정회원을 의미한다. 레벨대리점은 쇼핑몰 분양의 갯수나 판매실적이 미리 설정된 등급조건을 충족한 정회원을 의미한다. 레벨대리점도 분양갯수정도나 판매실적의 등급에 따라서 다수개의 레벨 대리점들 예컨대, 레벨1 대리점, 레벨2 대리점,..., 레벨N 대리점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소매몰 정회원 저장부(102)에는 분양신청시 추천인의 정보도 함께 등록되어있다.
도 2의 도매몰 자격회원 저장부(104)에 저장되는 도매몰 자격회원은 적어도 소매몰 정회원이 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일반 사업자 등록증을 갖춘 과세 사업자가 되어야하는 등의 자격요건을 갖춰야 한다. 도매몰 자격회원은 무료 도매몰 자격회원과 유료 도매몰 자격회원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유료 도매몰 자격회원은 무료 도매몰 자격회원에 비해서 훨씬 낮은 도매가격으로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매몰 자격회원에게는 소매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과는 개념이 다른 별도의 도매쇼핑몰이 분양되어진다. 하지만 도매몰 자격회원은 소매몰 정회원과는 다르게 도매쇼핑몰을 분양해줄 수 있는 권한이 없다. 즉, 도매몰 자격회원은 도매쇼핑몰을 분양해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도 2의 기업회원 저장부(106)에 저장된 기업회원(B2B회원)은 제휴된 제품공급업체로서 제조업체나 유통업체,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자(수입)자 등이 될 수 있으며, B2B/B2C가맹점 기업회원 가입신청을 통해서 본사승인된 기업회원들의 정보가 등록된다.
기업회원 저장부(106)에 저장된 기업회원은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로서, 일반 기업회원(130)과 가맹점 기업회원(132)으로 구분된다. 일반 기업회원(130)은 단순 제품입점을 원하는 일반회사 및 단체의 회원들이고, 가맹점 기업회원(132)은 예컨대 1000명 이상의 영업조직이 있는 제조회사나 유통회사 및 단체의 회원들이다. 가맹점 기업회원(132)에는 제조회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판회사나 다단계회사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로 다시 돌아가서, DB서버(26)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DB(28b)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품DB(28b)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무형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들이 업종별로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품정보에는 상품이미지, 상품가격, 회사명, 제품설명 등의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상품DB(28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상품저장부(140), 제1,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144),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 및 도매몰 상품 저장부(148)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종류별로 다양한 상품정보들이 구분 저장된다.
도 3의 본사상품 저장부(140)에는 시스템제공 본사가 직접 공급 또는 계약수탁 받은 상품의 정보들이 본사상품으로서 저장된다. 본사상품의 정보는 시스템 메인관리자에 의해서 입출력부(22)를 통해서 상품DB(28b)의 본사상품 저장부(140)에 저장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DB(28b)에는 유무형의 상품을 기록 저장시 유형의 상품이 적치되어 있는 장소정보와 무형의 상품의 서비스공급위치정보를 저장하며, 유무형의 상품정보, 공급자정보, 국내실시간배달 및 배송정보, 국외배송정보, 배송위치(전자지도)를 함께 기록 저장한다.
도 3의 제1,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144)는 본사의 물류창고에 입점되는 상품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에 저장되는 제1 창고입점상품의 정보는 시스템제공 본사의 물류창고(오프라인)에 제품 입점된 후 시스템 메인관리자에 의해서 이미지 작업되어 클라이언트쇼핑몰들 전체에 동시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4)에 저장되는 제2 창고입점 상품의 정보는 클라이언트 운영자가 직접 제품 이미지 작업한 후 클라이언트쇼핑몰들 전체에 동시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도 3의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에 저장되는 개별입점상품의 정보는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받은 운영자 본인이 직접 상품이미지 작업을 하여 자신의 클라이언트 쇼핑몰에만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도매몰 상품 저장부(148)에 저장되는 도매몰 상품의 정보는 도매쇼핑몰에 상품진열되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DB서버(26)에 의해서 관리되는 광고DB(28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등록광고 저장부(150)와 개별등록광고 저장부(152)로 구성된다. 도 4의 전체등록광고 저장부(150)는 통합쇼핑몰의 메인페이지뿐만 아니라 분양되어진 모든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클라이언트 페이지에 등록되는 광고정보들을 저장하고, 개별등록광고 저장부(152)는 분양받은 자신의 클라이언트 쇼핑몰에만 등록되는 광고(홍보)정보들을 저장한다. 전체등록광고저장부(150) 및 개별등록광고 저장부(152)에 저장되는 광고정보에는 쇼핑몰 운영자의 회원정보, 회사정보, 상품정보 등이 포함되며 홍보배너관련 정보, 명함이나 전단 신청등의 광고관련 정보도 포함된다. 광고정보는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를 통한 메인관리자 또는 클라이언트 운영자의 광고등록시에 입력되어질 수 있다.
도 1의 DB들(28a)~(28f)중에서 최초방문자 기록DB(28d)는 인터넷 배너 홍보를 통해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이나 도매쇼핑몰에 최초 접속한 방문자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DB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접속한 방문자 컴퓨터단말의 IP어드레스(160)와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의 인식코드(아이디)(162)가 테이블형태로 매칭 저장된다.
도 1의 정보등록DB(28e)는 통합 쇼핑몰의 각종 정보를 등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클라이언트 각각의 쇼핑몰관리자 메인에 관련된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주문매출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상품등록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쇼핑몰 디자인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의 회원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서버 게시판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게시판 추가생성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접속통계 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메인도메인 포워딩서비스 정보, 클라이언트 홍보용 신청관련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연장신청 정보, 클라이언트 직접분양 매출정산관리 정보 등이 저장된다.
도 1의 DB들(28a)~(28f)중 정산관리DB(28f)는 클라이언트운영자나 도매쇼핑몰 운영자의 각종 정산내역정보를 관리해주는 DB이다. 정산내역정보로는 소매몰형태의 전체 쇼핑몰들 판매에 대한 이익금정산정보, B2C개별 입점 상품판매에 대한 이익금 정산정보, 제1,제2 창고입점 상품판매에 대한 이익금 정산정보, B2B제조회사나 유통회사와 같은 기업회원 이익금 정산정보, 무료쇼핑몰 분양수익금이나 분양몰 판매홍보지원금 정산정보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정산관리DB(28f)에서는 제품판매에 따른 상점포인트 정산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도 12에서와 같이 관리자 모드에서 정산관리 화면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점포인트 정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제품들을 제품입점등록 요청방식에 맞춰서 제품입점처리하고 입점된 상품의 매출을 관리하고, 제품업데이트 및 재고관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품 입점처리'의 의미는 상품메뉴의 카테고리에 맞게 분류하고 상품정보를 DB서버(26)를 통해 상품DB(28b)내 해당 저장부에 저장하고, 쇼핑몰 관리서버(24)에 의해 관리되는 해당되는 메인홈페이지 및 클라이언트쇼핑몰들의 홈페이지이거나 또는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에만 상품설명 및 상품이미지를 포함한 상품정보가 제품구매가능하게 노출 진열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품입점등록 요청방식에는 제1,제2 창고입점 처리방식과 개별 입점처리방식이 있다.
제1,제2 창고입점 처리방식은 정회원 및 기업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을 입점등록 요청함에 따라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와 분양되어진 모든 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 동시에 상품진열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입점처리하는 주체에 대해서는 서로 상이하다. 제1 창고입점 처리방식에서는 통합쇼핑몰의 메인관리자가 입점등록 요청된 해당 제품을 이미지작업하여 상품입점 처리하고, 제2 창고입점 처리방식에서는 정회원 및 기업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에 대해서 관리자페이지를 통하여 직접 이미지작업하여 상품입점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별입점 처리방식은 정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을 개별 입점등록 요청함에 따라 정회원의 운영자가 해당 제품에 대해서 관리자페이지를 통하여 이미지작업하여 본인의 클라이언트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만 상품진열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상품저장부(140)에 저장될 본사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본사제품 입점처리부(170)와, 제1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에 저장될 제1 창고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제1 창고입점 처리부(172)와, 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4)에 저장될 제2 창고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제2 창고입점처리부(174)와,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에 저장될 개별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개별입점처리부(176)와, 도매몰 상품저장부(148)에 저장될 도매몰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도매입점처리부(178)와, 상품의 매출과 제품업데이트 및 재고관리 등을 수행하는 상품매출 관리부(179)를 포함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은 해당 운영자(정회원 또는 기업회원)가 가지고 있는 본인의 제품을 물류창고(가상)에 입점등록 요청을 하게되면, 메인관리자는 입점등록 요청된 해당 제품을 이미지 작업하여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와 분양되어진 모든 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 동시에 상품진열이 되도록 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에 있어서 입점 물품별 입고가는 시스템제공 본사와 협의한 이후 설정되는 방식과 시스템제공 본사와 협의 설정없이 제조회사나 유통회사에서 입고가를 정하고 시스템제공 본사에서는 승인만 하도록 하여 설정하는 방식이 있다.
제2 창고입점상품 및 개별입점상품에 대해서는 해당 운영자가 입점등록을 할 수 있도록 쇼핑몰 관리서버(24)의 관리하에 있는 운영자의 관리자페이지가 마련되어 있다. 개별입점상품은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가 운용하는 사이트에서만 볼 수 있으며, 해당상품 상세설명 페이지에는 운영자의 주소/성명/연락처/AS/반품정보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도 1에서, 분양관리부(32)는 도매몰에서는 도매쇼핑몰 분양받은 회원관리만 하게되며, 소매몰에서는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 판매점관리, 대리점관리, 레벨대리점관리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분양관리부(32)에서의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은 기분양받은 정회원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기분양된 정회원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을 받게되면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0단계에서와 같이 판매점으로서 관리되어지고, 정회원의 쇼핑몰을 통해서 분양이 이루어졌을 때 그 분양했던 정회원은 추천인이 되며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2단계에서와 같이 대리점으로서 관리되어진다. 또한 분양을 해준 정회원이 쇼핑몰 분양의 갯수나 판매실적이 미리 설정된 등급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4단계에서와 같이 레벨 대리점으로 관리된다. 레벨대리점 관리도 쇼핑몰 분양갯수정도나 판매실적의 등급에 따라서 다수개의 레벨 대리점들 예컨대, 레벨1 대리점, 레벨2 대리점,..., 레벨N 대리점 등으로 구분되어 관리되어진다.
도 1로 다시 돌아가면,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는 통합쇼핑몰내 한개의 메인페이지와 복수의 확장생성이 가능한 서브페이지상에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의 요청이나 도매쇼핑몰의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쇼핑몰 홍보배너가 게시되게 관리한다. 또한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는 타 포털사이트의 홍보배너나 통합쇼핑몰의 홍보배너를 통해서 접속한 최초방문자와 광고를 낸 홍보배너 운영자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인식정보를 추적하여 광고에 따른 실적이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이나 도매쇼핑몰의 운영자에게로 반드시 돌아갈 수 있도록 관리한다. 즉, 해당 광고를 본 사용자의 회원신청이나 분양신청에 대한 실적은 그 광고를 했던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에게 돌아가게된다.
도 1의 수익관리부(36)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소매몰의 정회원, 도매몰의 자격회원, 기업회원 등에 관련한 각종 수익을 관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익관리부(36)는 소매몰 정회원 수익관리부(190), 레벨 대리점 실적 공유수익 관리부(192), 보너스 적립금 관리부(194), 실적 배당금 공유수익 관리부(194), 도매몰 수익관리부(198), 및 기업회원 수익관리부(200)를 포함한다.
도 8의 수익관리부(36)의 소매몰 정회원 수익관리부(190)는 소매몰 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에 따른 수익들을 관리한다.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 쇼핑몰을 통한 수익들로는 본인몰(클라이언트쇼핑몰) 판매수익, 하위몰 판매수익, 분양수익, 관리수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본인몰 판매수익은 본인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 판매한 매출의 일정 비율이나 마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본인몰 판매수익은 월단위로 돌려받도록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에서 현금성 보너스적립금으로 관리되어진다. 하위몰 판매수익은 직접 분양한 하나의 하위몰의 매출의 일정 비율이나 마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분양수익은 홍보배너를 통한 광고나 오프라인 광고를 통해서 하위몰을 1건 분양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이다. 관리수익은 직접 분양한 하위몰들 각각이 매년 갱신시에 지불하는 서버유지관리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도 8의 수익관리부(36)의 레벨대리점 실적 배당수익 관리부(192)는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정회원이 레벨대리점이 되고 월단위로 레벨유지를 하였을 경우 배당을 통해서 돌려받는 수익이다. 레벨대리점의 배당수익은 레벨1,...,레벨N까지 레벨급에 따라 달라지며, 월단위의 레벨유지는 분양실적 레벨유지방법과 판매실적 레벨유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도 8의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는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가 본인몰에서 본사제품구매한 제품값의 일정비율을 현금성 보너스적립금으로 관리해준다. 또한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는 제조/유통 기업단체 등이 기업회원으로 등록하고 그 기업회원의 사업자들이 통합쇼핑몰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았을 때 그 기업회원에서의 보너스적립금을 관리하여 준다. 이때 보너스적립금은 기업회원의 요청에 맞게 적응적으로 책정되어질 수 있다. 보너스적립금 관리에 대해서는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나 클라이언트쇼핑몰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가능하다.
도 8의 실적배당금 공유수익 관리부(196)는 통합쇼핑몰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하기와 같은 수익을 합산하여 공유수익으로 정하고, 통합쇼핑몰 본사와 기업회원, 레벨대리점 등에게 공유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관리부이다.
공유수익이 되는 항목으로는 클라이언트쇼핑몰로의 입점판매 수수료, B2B/B2C가맹점 기업회원 입점판매 수수료, 광고수익, 무역수입-수출 중개서비스수익, 도매쇼핑몰 분양수익 등이 있다.
도 8에서 도매몰 수익관리부(198)는 도매몰의 수익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소매몰과는 다른 별개의 수익구조로 관리된다. 도매몰 수익구조 및 운영방식은 물류 공급하는 회사에 맞게 설정되어진다.
도 8에서, 기업회원 수익관리부(200)는 기업회원의 수익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상기의 공유수익의 일부와, 기업회원 회사조직 셋팅후 산하 클라이언트쇼핑몰의 분양건당 받는 수익의 일부와, 산하 클라언트쇼핑몰들의 총 매출의 일부를 수익으로 관리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회원자격 관리부(38)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통합쇼핑몰의 회원자격을 관리한다. 특히 회원자격 관리부(38)는 소매몰에서 정회원의 레벨대리점 등급상태를 매월단위로 관리하되, 해당 정회원의 분양실적과 판매실적을 근거로 하여 레벨등급상태를 관리한다.
그리고, 적립카드 서비스부(39)는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통합쇼핑몰에서의 통합적립카드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관리 및 서비스를 수행하며, 통합적립카드에 관련된 데이터는 DB서버(26)의 제어하에 적립카드DB(28h)에 저장된다.
적립카드 서비스부(39)에서 서비스해주는 통합적립카드는 통합쇼핑몰 본사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통합쇼핑몰 본사와 계약 맺는 오프라인 가맹점이나 제휴 통합적립카드 발급서비스사에서도 발급할 수 있다. 또 상기 통합적립카드에 대한 발급신청은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통해서나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급되는 통합적립카드는 상기한 통합쇼핑몰과 같은 온라인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고, 통합쇼핑몰의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적립카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모두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적립금은 현금성 적립카드로서 사용되어 카드 소지자가 적립금액을 인출 및 계좌이체 등을 할 수도 있게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적립카드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마일리지카드 등과 통합되게 하여서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온라인통합쇼핑몰 회원에게 발급된 통합적립카드 소지자는 온라인 통합쇼핑몰과 제휴된 오프라인상점(가맹점, 프랜차이즈)의 자연 회원이 되며 제휴된 오프라인상점(가맹점, 프랜차이즈)에서 상품을 사거나 음식을 먹거나 할 때에 일정금액은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내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적립카드DB(28h)에 포인트로 적립되어진다. 통합쇼핑몰회원이나 오프라인상점 가맹점회원의 통합적립카드의 발급이나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한 적립방법에 대해서는 특허등록 제81947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결제서버(40)는 각종 신용카드사서버, 은행사서버, 이통신사서버, 전자화폐서버 등의 외부의 결제서비스부(42)와 연결되며,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분양된 모든 도매쇼핑몰이나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의 모든 결제를 집중시켜서 처리한다. 각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시의 결제는 시스템제공 본사의 계좌로 가능하게 구현하여 각 쇼핑몰의 결제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발생과 비효율적이고 중복투자 발생을 사전 방지한다.
결제서버(40)를 통한 결제방법으로는 신용카드(전자결제), 무통장입금, 보너스적립금카드 이용결제, 마일리지, 전자화폐, 휴대폰 결제 및 기타 전자적으로 결제가능한 각종 방법이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품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및 배송 관리하는 통합 콜센터서버(44) 및 지역별 콜센터서버(13)들을 구비한다. 통합 콜센터서버(4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운용되며, 차량항법시스템(GPS)과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이 함께 채용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서버(20)는 다수의 지역별 콜센터서버(13)와도 인터넷(4)를 통해서 연결된다. 통합 콜센터서버(44) 및 지역별 콜센터서버(13)는 서로 연동되며 콜발신자나 배달을 위한 업무수행자 등의 회원정보와 GPS위치정보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뿐 아니라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내 DB서버(26)의 제어 하에 위치관리DB(28k)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고, 배송차량 및 이동단말(46)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통합 콜센터서버(44)나 지역별 콜센터서버(13)와 무선교신되는 배송차량(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량도 포함됨)들에는 차량항법시스템이 탑재된 이동단말(46)이 각각 배치되며, 배달상품에 RFID태크(tag)가 부착될 경우에는 RFID리더(reader)가 배송차량들에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온라인 통합서비스시스템은 글로벌 형태로 서비스될 수 있으며 제1국(예컨대, 한국)에 온라인 서비스장치 예컨대, 도 1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가 슈퍼관리국이 된다. 슈퍼관리국의 메인서버(20)는 인터넷(4)를 통해서 제2국(예컨대, 미국)이나 제3국(예컨대, 중국) 및 제4국(예컨대, 일본) 등등으로 있는 가맹국들의 각 메인서버들과 연결된다.
슈퍼관리국 역할을 하는 제1국의 메인서버(20)는 최상위 국가레벨코드 예컨대, "1"를 갖게 되고, 예컨대 "http://www.epvz.com"(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일 경우)와 같은 도메인네임을 갖게 된다. 슈퍼관리국의 메인서버(20)는 유무형의 다국적 상품정보를 각 국가별언어로 등록 및 관리하며, 제1국과 언어가 다른 타국 가맹국들이나 기타 국가 사용자에게도 언어소통장애 없이 제1국과 동일한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다국어지원을 위해서 DB서버(26)에 의해 제어되는 다국어지원DB(28g)를 구비한다. 다국어지원DB(28g)는 다양한 언어를 입력 및 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다국어지원DB(28g)에는 표준입력 항목부와 자유입력 항목부를 포함되며 하나로 통일된 국가별 등록폼 입력포맷들이 저장되며, 번역인 회원들에 의해서 번역된 자유입력 항목부의 번역내용도 저장된다.
다국어 지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국내 특허등록 제850691호 "온라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온라인 통합서비스시스템을 이용하여 온오프라인 통합 회원관리를 해줌과 아울러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를 연계하여 실시간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관리해 주도록 구현한다.
이를 위해 도 1인 메인서버(20)에는 온오프라인 통합 회원관리를 위한 온오프 통합회원관리프로그램과 실시간 배달을 위한 통합 콜센터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또 상기 온오프 통합회원관리프로그램과 통합 콜센터관리프로그램이 메인서버(20)에 직접 또는 인터넷(4)을 통해 연결된 각 서버(44)(10)(13)(12)에 다운로드나 직접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프로그램들이 구비된다.
온오프 통합회원관리프로그램 및 통합 콜센터 관리 프로그램은 온오프 통합관리프로그램으로 번들(bundle) 구성되어진다. 상기 온오프 통합관리프로그램에는 꽃배달, 음식배달, 상품배달 등 각종 배달 실시간 배달시스템 통합콜센터 프로그램과, POS시스템(point of sales system) 프로그램과 온라인 통합쇼핑몰과 연동 및 통합솔루션 프로그램과, GPS 및 전자지도 연동 프로그램과, 통합적립카드솔루션 프로그램과, 통합전산시스템 프로그램, 국가별 회원관리, 가맹점관리, 계좌이체, 인터넷전화, 일반전화, 휴대전화, 인터넷, IPTV 등과 연동 및 융합되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합 쇼핑몰에 정회원(즉 판매회원)이 된 사람이면 누구든지 판매 마진을 얻을 수 있고, 통합쇼핑몰을 통해서 제품을 구입한 회원이나 고객은 본사에서 적립해주는 마일리지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판매마진과 마일리지 적립 이외에 본사에 관련된 제품마다 상점포인트(shop-point)를 부여하고, 쇼핑몰을 분양받은 정회원이 제품판매를 함에 따라 상점포인트를 획득케 하고 누적 관리를 해주고 누적한 총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를 달성하게 되면 오프라인 상에 해당 규모의 상점을 개설할 수 있도록 본사에서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즉 본사는 오프라인 상의 상점개설에 따른 임대보증금과 실내외 인테리어 비용, 상점내의 샘플 제품을 전시하는 일체 비용을 지원해서 오프라인 상의 창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DB서버(26)에 의해서 관리되는 정산관리DB(28f)에는 상점포인트 저장부(29)를 구비하며,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상점포인트에 따라 오프라인상의 상점이 개설될 수 있도록 지원 서비스하는 상점개설 서비스부(35)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원데이터베이스(28a)의 오프라인 회원저장부(108)에는 오프라인상점 가맹점 등의 오프라인 회원정보가 저장이 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상의 상점 가맹점이 본사에서 무상 지원해서 개설한 오프라인 상점인지의 여부도 함께 알 수 있도록 저장된다.
그리고 본사에서 무상 지원하는 오프라인상점을 얻기 위해 2~5명 이내의 팀을 구성하여 영업을 하는 경우에는 회원DB(28a)에 구비된 팀영업자회원 저장부(110)에 팀영업자 회원정보로서 저장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포인트로 오프라인 상점개설을 위한 팀영업 신청접수가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면 관리자는 관리자모드에서 이를 신청한 그룹명이나 그룹의 정회원명단을 입력 처리를 하게 되고(도 9의 250단계),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정회원이 아닌 등과 같은 결격의 사유가 없으면 팀영업을 위한 그룹을 승인함과 동시에 팀영업자 회원정보를 회원DB(28a)의 팀영업자회원 저장부(110)에 저장한다(도 9의 252단계).
또 승인된 그룹명에 따른 웹계정도 별도로 부여해준다(도 9의 254단계).
팀영업자 회원은 팀원 전체의 상점포인트를 합산하여 누적받을 수 있으므로 유리한 점이 있다. 팀 운영일 경우에는 빠른 시일 내에 오프라인상에 한개 상점의 무상 개설을 지원 받을 수 있고 상점 개설이 이루어지면 영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팀영업자는 상호 실적을 공유하고 본사가 개설해준 오프라인 상점을 공동 운영하여야 하는 불리한 점도 다소 있다.
제품별 상점 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창업지원 비용은 본사의 수익금에서 지원한다. 본사에 제품에 대한 판매가를 정할 경우 마일리지, 소매마진이 있으며, 제조출고가(또는 입고가)와 도매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나 제조출고가(또는 입고가)와 총판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 본사 수익금이 될 수 있다. 본사에서는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창업지원 비용을 본사 수익 상당금을 이용해서 마련한다. 본사 수익금에서 회사유지를 위한 경비를 제하고 나머지 부분이 본사 수익상당금이 되며, 이를 이용해서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창업지원 비용으로 마련하는 것이다.
도 8의 수익관리부(36)에서는 본사수익과 함께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창업지원 비용을 관리하기 위한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202)를 구비한다.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202)는 상점개설 서비스부(35)의 제어 하에 제품판매에 따라 발생하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을 이용하여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창업지원비용을 관리한다.
이렇게 되면 본사 입장에서는 제품 유통에 의한 수익 발생이 거의 없게 되지만 전국에 영업망 확보와 아울러 회원수에 따른 광고수입과 박리다매에 의한 수입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상점포인트 누적을 통해 오프라인 상점을 무상으로 얻게 되는 점주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자본을 전혀 들이지 않고 오프라인 상점(로드 샵)을 개설할 수 있으므로 상생(相生)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또 오프라인 상점은 오프라인상점 가맹점서버(12)의 제어 하에 온라인상의 통합쇼핑몰과 연동하여 함께 관리되므로 상품매출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사에서는 본사가 주관하여 취급하는 제품들에 대해서 제품별 판매마진과 마일리지를 정함과 아울러 제품에 따른 상점포인트도 정한다.
본사에서 정해진 제품별 상점포인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모드에서 관리자가 관리단말로 입력하게 되면(도 10의 300단계),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상점개설 서비스부(35)가 등재 제품과 상점포인트를 매칭시켜서 정산관리DB(28f)의 상점포인트 저장부(29)에 등록한다(도 10의 302단계).
예를 들면, 건강식품A의 판매가격이 10,000원이면, 소매 마진은 2,500원, 마일리지 500원, 상점포인트 2,500점을 부여할 수 있다. 패션잡화1의 판매가격이 20,000원이면, 소매마진이 5,000원, 마일리지 1,000원, 상점포인트 5,000점을 부여할 수 있다. 친환경정수기B의 판매가격이 100,000원이면, 소매마진이 30,000원, 마일리지 3,000원, 상점포인트 20,000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서의 관리자가 제품별 상점포인트를 부여하도록 하는 관리자 화면 구성도로서, 도 12에서는 제품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구성을 보여주고 있고 도 13에서는 최종 제품에 대하여 상점포인트 등을 입력하는 입력창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이나 통합쇼핑몰에 인터넷(4)을 통해 연결된 오프라인 상점을 통해서 제품판매가 이루어지면 해당 제품의 상점포인트가 정회원 즉 판매회원에게 누적되도록 관리를 해주고 누적한 총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를 달성하게 되면 오프라인 상에 그 해당 규모의 상점을 개설할 수 있도록 본사가 지원한다.
본사가 지원하는 일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1억점 달성시>
① 20평이내 점포임대료 서울 3000만원 이내 지방 2000만원 이내
② 실내외 인테리어 비용 1500만원이내
③ 샘플 디스플레이 비용 2000만원이내(단, 샘플디스플레이 제품값은 판매후 결재)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2억점 달성시>
① 50평이내 점포임대료 서울 6000만원 이내 지방 4000만원 이내
② 실내외 인테리어 비용 3000만원이내
③ 샘플 디스플레이 비용 4000만원이내(단, 샘플디스플레이 제품값은 판매후 결재)
상기와 같은 일 예로 본사에서 단계별 총 누적 상점포인트에 따른 지원 규모들을 정해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로서, 서비스 시스템의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있는 상점개설 서비스부(35)가 수행하는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개설을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절차를 보여주고 있다.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분양받은 정회원 즉 판매회원이 클라이언트쇼핑몰이나 오프라인상점 가맹점에서 제품판매를 하는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도 11의 350단계), 상점개설 서비스부(35)에서는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개인 정회원인지 아니면 팀영업자 회원인지를 판단한다(도 11의 352단계 및 356단계).
팀영업자 회원인지의 여부는 회원DB(28a)의 팀영업자 회원저장부(110)를 액세스하여서 확인할 수 있으며, 만일 개인 정회원에 의해서 제품판매가 이루어지면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해당 제품 판매에 따라 발생된 개인 상점포인트를 해당 회원에 매칭시켜서 정산관리DB(28f)의 상점포인트 저장부(29)에 적립을 한다(도 11의 354단계).
개인 정회원이 아니고 팀영업자 회원이면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해당 제품 판매에 따라 발생된 팀영업 상점포인트를 해당 팀영업자회원에 매칭시켜서 상점포인트 저장부(29)에 적립한다(도 11의 358단계).
그 후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제품판매 이벤트 발생에 따른 데이터를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202)로 전달하여서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202)가 이벤트된 제품판매 수익분에서 현재 발생된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창업지원금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프라인 창업지원금을 관리케 한다(도 11의 360단계).
그리고,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주기적으로 상점포인트에 관련해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있는지를 상점포인트 저장부(29)를 통해서 검사한다(도 11의 362단계).
검사 결과,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없으면(도 11의 364단계에서 판단), 도 11의 350단계로부터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다.
만일 상기 도달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있으면,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한 사실을 도 13과 같이 정산관리하는 관리자 화면창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팝업창 표시 등으로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아울러 상기 기준치에 도달한 해당 정회원이나 팀영업자 회원에게는 클라이언트 쇼핑몰 홈페이지에 개시하거나 필요에 따라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 등의 각종 방법으로 도달 사실을 안내한다(도 11의 366단계).
그리고 상점개설 서비스부(35)는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한 해당 회원에게 지원할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을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202)에서 읽어내어서 창업지원 금액으로 배정처리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쇼핑몰을 운영하며 서울에 거주하는 개인 정회원의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1억점 달성시, 상점개설 서비스부(35)가 배정처리한 창업지원 금액은 20평이내 점포임대료 3000만원과 실내외 인테리어 비용 1500만원 이내와 샘플 디스플레이 비용 2000만원 이내의 오프라인 상점개설 금액이 되며, 본사에서는 이를 지원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라이언트 쇼핑몰을 운용하는 개인 정회원(판매회원)이 오프라인 상점개설 지원금을 받게 되는 경우, 해당 정회원은 서울내 자신이 원하는 지역 위치와 임대 계약할 상점을 찾게 하고 그 상점을 찾게 되면, 본사 담당자가 책정된 금액범위내에서 임대보증금 계약을 하며 실내외 인테리어를 해주고 샘플 디스플레이까지 책임지고 해주는 것이다.
이렇게 개설된 오프라인 상점은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본인의 온라인쇼핑몰인 클라이언트쇼핑몰과 연동되며 제품판매에 따른 매출도 연동되어 관리된다.
상기와 같이 온라인쇼핑몰과 본인 부담없이 개설 가능한 오프라인 상점을 함께 갖게 되고 그러한 희망이 있게되면 전국적인 영업망 확보가 용이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면서도 영업망이 부족하여서 판로확보가 되지 않는 중소기업들까지도 살릴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 접속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점을 통합하여 운용하며 회원이 무상으로 오프라인 상점을 개설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에서나 인터넷을 통해 통합쇼핑몰에 연결된 오프라인상점에서 제품판매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무료 개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인지를 회원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임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상기 제품판매에 따라 발생되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상점포인트를 마련하되, 상기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은 마일리지나 소매마진을 제외하며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도매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나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총판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 되고, 상기 상점포인트를 제품판매를 일으킨 해당 제품판매회원에 매칭시켜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적립하는 과정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누적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해당 제품판매회원의 총 누적 상점포인트에 따라 설정된 창업지원금을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을 위한 무상 창업지원비용으로 배정하되, 상기 무상 창업지원비용은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에 의해서 관리되며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을 포함하도록 하여서 상기 창업지원금을 무상 창업지원비용으로 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온오프라인 통합쇼핑몰에 제품등록시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마련된 제품별 상점포인트를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상점포인트저장부에 입력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본사에서 무상지원하는 오프라인 상점을 얻기 위해 다수 판매회원이 팀영업자 신청을 하면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팀영업을 위한 그룹을 승인하고 팀영업자 회원정보를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이 팀영업자 회원임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마련된 상점포인트를 해당 제품판매 팀영업자회원에 매칭시켜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적립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5.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에 제품등록시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한 제품별 상점포인트를 부여하되 상기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은 마일리지나 소매마진을 제외하며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도매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나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총판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 되고,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에 의한 제품판매시 해당 판매제품에 부여된 상점포인트를 회원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기 위한 상점포인트 저장부와,
    오프라인상의 상점을 무료 개설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제어하되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 회원이 제품판매를 함에 따라 판매 제품에 대응된 상점포인트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회원별로 적립 및 누적 관리를 하고, 누적한 총 상점포인트가 미리 정한 단계별 기준치를 달성하게 되면 해당 회원이 오프라인 상에 해당 규모의 상점을 무료 개설받을 수 있도록 기준치 달성한 상점포인트에 해당하는 창업지원금을 지원케 관리하는 상점개설 서비스부와,
    상기 상점개설 서비스부의 제어 하에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로부터 발생된 상점포인트를 이용하여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을 포함하는 오프라인상점 창업지원금을 추출하고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받어서 관리하는 상점포인트 창업지원금 관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본사에서 무상지원하는 오프라인 상점을 얻기 위해 다수 판매회원의 팀영업자 신청에 따른 팀영업자 회원정보를 상기 상점개설 서비스부의 제어 하에 저장하는 팀영업자회원 저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장치.
  7.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온라인 통합쇼핑몰에 제품등록시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된 제품별 상점포인트가 관리자모드에서 관리자단말로 입력됨에 따라, 상점포인트 적립 및 상점포인트에 따른 오프라인 상의 상점 무료 개설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상점포인트저장부에 입력하는 과정과,
    온라인 통합쇼핑몰이나 인터넷을 통해 통합쇼핑몰에 연결된 오프라인상점에서 제품판매에 의한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상점개설 서비스부가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인지를 회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하는 과정과,
    통합쇼핑몰의 제품판매회원임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배정된 상점포인트를 해당 제품판매회원에 매칭시켜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적립하되, 상기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은 마일리지나 소매마진을 제외하며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도매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나 제조출고가(제조입고가)와 총판출고가 사이에 생기는 차액이 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상점포인트 저장부에 누적된 총 누적 상점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단계별 기준치에 도달함에 따라 상점개설 서비스부는 해당 제품판매회원의 총 누적 상점포인트에 따른 창업지원금을 통합쇼핑몰 본사 수익금에서 받아서 점포임대료, 실내외 인테리어비용 및 샘플디스플레이 비용이 포함된 오프라인 상점 무료개점을 위한 창업지원비용으로 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KR1020120008647A 2012-01-28 2012-01-28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10128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47A KR101287175B1 (ko) 2012-01-28 2012-01-28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47A KR101287175B1 (ko) 2012-01-28 2012-01-28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75B1 true KR101287175B1 (ko) 2013-08-13

Family

ID=4921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47A KR101287175B1 (ko) 2012-01-28 2012-01-28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0107A (zh) * 2017-01-26 2017-07-04 武汉奇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商务绑定方法及系统
KR101909835B1 (ko) * 2017-11-28 2018-10-18 이석진 온라인 영업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32A (ko) * 2001-10-18 2003-04-26 김갑태 인터넷을 통한 창업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42515A (ko) * 2007-03-30 2007-04-2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070044588A (ko) * 2005-10-25 2007-04-30 주식회사 비전엠엔티 온라인 창업지원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10023371A (ko) * 2009-08-31 2011-03-08 주식회사 혼 매출실적을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32A (ko) * 2001-10-18 2003-04-26 김갑태 인터넷을 통한 창업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44588A (ko) * 2005-10-25 2007-04-30 주식회사 비전엠엔티 온라인 창업지원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70042515A (ko) * 2007-03-30 2007-04-2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110023371A (ko) * 2009-08-31 2011-03-08 주식회사 혼 매출실적을 이용한 인센티브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0107A (zh) * 2017-01-26 2017-07-04 武汉奇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商务绑定方法及系统
CN106920107B (zh) * 2017-01-26 2020-08-14 武汉奇米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商务绑定方法及系统
KR101909835B1 (ko) * 2017-11-28 2018-10-18 이석진 온라인 영업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945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100825204B1 (ko) 상품별 또는 상품군별 다중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한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CN112561566B (zh) 一种跨境进口门店分销商城平台系统
KR100865933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 방법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US20210233131A1 (en) Benefit-providing discount mall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2298051A (ja) ポイント交換サービス・システム
KR20130106165A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들의 통합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50691B1 (ko) 온라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
KR101287175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101103966B1 (ko) 지불 게이트웨이와 연동한 상품광고 중개 시스템
KR20000030706A (ko) 인터넷과 제휴카드를 이용하여 중고자동차를 매매하는경우 할인 및 환급혜택을 주도록 하는 중고자동차 매매방법
KR101287970B1 (ko) 지역 기반 통합 마케팅과 회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876808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방법
KR100911242B1 (ko) 듀얼모니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회원 및 콜센터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9006A (ko) 농수산물 전자상거래에서의 맞춤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819477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KR20110055941A (ko) 포인트 거래 시스템, 거래소 서버를 이용한 포인트 거래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70052638A (ko) 상품 선전 시스템, 상품 판매 촉진 시스템
KR101956609B1 (ko)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다국어 입력 및 멀티디스플레이 플렛폼 서비스방법
JP2006244324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102364824B1 (ko) 온-오프라인 회원간 공유플랫폼을 이용한 동반성장 시스템 및 그를 위한 포인트 지급방법
KR20010000912A (ko) 온라인을 이용한 의류판매 시스템 및 의류판매 방법
KR101526942B1 (ko) 콘텐츠 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2002215993A (ja) サービス券販売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券販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