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477B1 -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477B1
KR100819477B1 KR20070056382A KR20070056382A KR100819477B1 KR 100819477 B1 KR100819477 B1 KR 100819477B1 KR 20070056382 A KR20070056382 A KR 20070056382A KR 20070056382 A KR20070056382 A KR 20070056382A KR 100819477 B1 KR100819477 B1 KR 10081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integrated
credit card
reserv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5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670A (ko
Inventor
권영춘
Original Assignee
권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춘 filed Critical 권영춘
Priority to KR2007005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47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477B1/ko
Priority to PCT/KR2008/003194 priority patent/WO20081532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은, 신청 단말로부터 보너스적립카드 발급요청이 있음에 따라 적립카드 서비스부가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쇼핑몰접속프로그램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쇼핑몰접속프로그램정보가 내장된 통합적립카드를 발급처리하는 제1 과정과, 접속단말로의 통합적립카드 로딩이 있음에 따라 상기 통합적립카드에 내장된 쇼핑몰접속프로그램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회원의 쇼핑몰로 접속하는 제2 과정과, 쇼핑몰 서비스중 적립금이 발생됨에 따라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보너스적립금 관리부가 적립금을 누적관리하는 제3 과정과, 통합적립카드가 로드된 적립금 사용단말로부터 적립금 사용요청이 있음에 따라 메인서버가 적립카드서비스부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해 적립카드상태의 유효를 확인하고, 유효한 카드상태에서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로 적립금 사용을 요청하는 제4 과정과, 상기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는 적립금사용 요청이 유효하면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결제서버가 외부 결제서비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적립금 사용단말로 적립금 사용을 허용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056382
온라인, 통합쇼핑몰, 통합적립카드

Description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SERVICE METHOD OF ELECTRONIC POINT VALUE IN UNIFIED ONLINE SHOPPING M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회원DB(28a)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상품DB(28b)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의 광고DB(28c)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최초방문자 기록DB(28d)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7은 도 1의 분양관리부(32)에서의 분양관리 등급상태도,
도 8은 도 1의 수익 관리부(36)의 구체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적용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메인페이지 일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합적립카드 발급처리하는 제어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쇼핑몰에 접속 및 적립금 적립하는 제어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 적립금 결제하는 제어흐름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적립카드들 형태도.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광고와 영업이 통합되고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 발생되는 적립금에 대한 관리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제조/수출/유통업의 중소기업 등은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이 발생하므로 타사의 판매망이 있는 도매상,중개상, 판매법인 등에 납품을 하는 정도의 소극적인 판매를 대부분 하고 있으며, 비록 좋은 제품을 가지고 있다할지라도 홍보부족으로 인해 판매부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에 처해 있다.
그리고 현재 제조나 유통계열의 개인사업자는 상당수가 영세사업자로서 전국적 판매망 및 지역별 판매망 구축이 실질적으로는 불가능하며, 요즈음 각광받고 있는 온라인상의 소호쇼핑몰을 구축하여 제품을 온라인 판매를 하려고 해도 쇼핑몰 구축비용은 차치하고라도 제품의 사진제작, 상품등록관리, 결제관리 등등이 결코 쉽코 쉽지 않으며, 제품 품목이 적을 경우에 구색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소비자의 방문횟수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온라인쇼핑몰의 광고형태는 포털사이트 등에 광고비를 지불하고 웹페이지에 배너 등이 게재되게 함으로써 포털사이트 방문자에게 노출되게 하는 방 식이 대부분이다. 또한 광고중계하는 웹사이트의 웹페이지에 광고주가 광고비를 지불하고 광고배너를 등록하고, 광고중계 웹사이트에 회원가입한 홍보자가 기타 웹사이트를 통해 광고배너를 게재하고 그 댓가를 포인트 등의 수익으로 받는 방식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쇼핑몰 광고방식은 수입의 상당부분을 광고비로 지출하게 되므로 온라인 쇼핑을 통한 영업이익을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이 되며, 실제로 대부분의 온라인쇼핑몰업체는 그 광고비 지출로 인해서 그 영업 실이익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자 권영춘과 동일한 발명자에 의해서 발명되고 특허출원되어 대한민국 특허공개된 공개번호 10-2007-0042515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에서는 온라인 광고와 영업이 통합되고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운영함에 있어 거래 및 판매에서 발생되는 적립금의 활용과 통합쇼핑몰로의 접근이 용이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광고와 영업이 통합되고 B2B,B2C,C2C가 통합된 쇼핑몰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 발생되는 적립금의 활용과 통합쇼핑몰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적립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통합된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통합쇼핑몰 회원가입된 회원의 요청에 따라 신청 단말로부터 보너스적립카드 발급요청이 있음에 따라 적립카드 서비스부가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쇼핑몰접속프로그램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쇼핑몰접속프로그램정보가 내장된 통합적립카드를 발급처리하는 제1 과정과, 접속단말로의 통합적립카드 로딩이 있음에 따라 상기 통합적립카드에 내장된 쇼핑몰접속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회원의 쇼핑몰로 접속하는 제2 과정과, 쇼핑몰 서비스중 적립금이 발생됨에 따라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보너스적립금 관리부가 적립금을 누적관리하는 제3 과정과, 통합적립카드가 로드된 적립금 사용단말로부터 적립금 사용요청이 있음에 따라 메인서버가 적립카드서비스부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해 적립카드상태의 유효를 확인하고, 유효한 카드상태에서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로 적립금 사용을 요청하는 제4과정과, 상기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는 적립금사용 요청이 유효하면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결제서버가 외부 결제서비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적립금 사용단말로 적립금 사용을 허용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의 블록 구 성도로서, B2B,B2C,C2C의 통합 쇼핑몰 서비스가 제공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는 인터넷(4)을 통해서 B2C회원이나 C2C회원, 단순소비자 등이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단말(6-1)(6-2)들과 접속되며, 또한 인터넷(4)을 통해서 일반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서버(8)나 해외의 가맹점인 국외 가맹점서버(10)와도 접속된다. 또한 제조업체나 유통업체와의 제휴에 의한 B2B/B2C가맹점 서버(12)와도 접속될 수 있다. 포털사이트서버(8)나 B2B/B2C가맹점 서버(12)에 연결된 단말은 내부 관리자 단말이 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 인트라망이나 외부의 인터넷(4)을 통해서 연결되는 B2B회원의 단말도 될 수 있다.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에서, 메인서버(20)는 기업간거래(B2B), 기업과 소비자간거래(B2C), 기업과 기업간 및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B2C)에 대한 모든 거래 및 판매가 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쇼핑몰 창업자, 부업자, 개인점포운영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수입)자, 제조업자 등에게 적절히 이용될 수 있도록 각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메인서버(20)에서는 제조업자나 제품 중간유통업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자(수입)자 등과 같은 경우에 기업회원(가맹점,일반)으로 등록관리해준다. 가맹점 기업회원(B2B회원)으로는 영업조직이 있는 제조회사나 유통회사 및 단체가 여기에 해당되고, 일반 기업회원(B2B회원)으로는 단순 제품입점을 원하는 일반회사 및 단체가 여기에 해당된다. 메인서버(20)는 기업회원(가맹점,일반)이 보유한 제품에 대한 공급 및 상품매출 관리를 해주며, 메인홈페이지에 링크된 독립 홈페이지를 제공하여 제품홍보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서버(20)에서는 쇼핑몰 창업자나 부업자, 개인점포 운영자,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수입)자 등에 대해서는 회원가입자에 한해서 소매몰형태의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회원이 소매몰형태의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게 되면 그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의 제품소매판매 및 광고 등의 쇼핑몰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해주며,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 자신의 상품도 입점시켜 판매를 할 수 있게 해준다.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에게는 하위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할 수 있도록 관리해준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들중에서 일정 요건을 갖춘 운영자에게는 도매몰 자격을 부여하고, 도매몰 요청한 자격자에게 도매쇼핑몰을 분양하며 분양된 도매쇼핑몰에서의 제품도매판매 및 광고 등의 쇼핑몰 관리가 이루어지게 해준다. 도매쇼핑몰에서는 하위의 도매쇼핑몰을 분양할 수 없도록 구현되어진다.
도 1에서, 입출력부(22)는 메인서버(20)에 의해 제어되며, 시스템 메인관리자를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역할을 담당한다.
쇼핑몰 관리서버(24)는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와 도매몰 관리부(25b)와 소매몰 관리부(25c)를 가지며,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를 통한 제품공급사몰 관리와, 소매몰 관리부(25b)를 통한 소매몰 관리와, 도매몰 관리부(25c)를 통한 도매몰 관리를 수행한다.
쇼핑몰 관리서버(24)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의 도메인을 메인도메인과 서브도 메인으로 구분하여 운용관리한다. 메인도메인의 주소는 예컨대, http://epv.co.kr형태가 되며, 메인도메인의 웹페이지는 시스템제공 메인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며 통합쇼핑몰의 메인홈페이지가 된다. 통합쇼핑몰의 메인홈페이지의 화면 구성 일예는 도 9와 같다.
그리고 서브도메인은 메인도메인에 종속 링크되며 쇼핑몰 관리서버(24)에 의해서 다수의 서브도메인들로 생성 관리되어진다. 서브도메인의 주소는 메인도메인명 epv.co.kr 앞에 쇼핑몰 분양신청한 정회원의 식별코드(아이디)가 서브도메인명으로 붙는 예컨대, http://아이디.epv.co.kr형태나 또는 식별코드(아이디)가 서브도메인명 뒤에 붙는 http://epv.co.kr/아이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서브도메인의 홈페이지는 해당 운영자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가 된다.
상기의 서브도메인이 제품공급사몰 관리부(25a)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해당 기업회원의 독립홈페이지가 되며, 그 독립홈페이지에는 기업회원 관리자(운영자)에게 주어진 독립관리 페이지와 통합쇼핑몰에 공급된 상품들을 일괄관리할 수 있는 상품관리페이지가 하부의 페이지로 포함되게 구성된다.
상기의 서브 도메인이 소매몰 관리부(25b)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소매몰형태의 쇼핑몰 분양신청한 신청수만큼 다수로 생성되어지며, 쇼핑몰 분양받은 정회원인 클라이언트운영자에 의해서 운영되는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로서 관리되어진다.
상기의 서브 도메인이 도매몰 관리부(25c)를 통해서 구현되면, 그 서브도메인은 도매몰형태의 쇼핑몰 분양신청 도매자격회원의 신청수만큼 다수로 생성되어지 며, 도매쇼핑몰 분양받은 도매자격회원에 의해서 운영되는 도매쇼핑몰의 홈페이지로서 관리되어진다. 도매쇼핑몰의 홈페이지는 일반회원이 접속할 수가 없으며,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은 정회원에게는 도매몰샘플 사이트를 공개해주며 자격을 갖춘 정회원에게는 도매쇼핑몰의 분양도 이루어진다.
도 1에서, DB(DataBase)서버(26)는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회원DB(28a), 상품DB(28b), 광고DB(28c), 최초방문자기록DB(28d), 정보등록DB(28e), 정산관리DB(28f) 등의 다양한 DB들을 관리한다.
회원DB(28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일반회원 저장부(100)과, 소매몰의 정회원정보들을 저장하는 정회원 저장부(102), 도매몰 자격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도매몰 자격회원 저장부(104), 제품을 공급하는 기업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회원 저장부(106)로 구성한다.
예컨대 사용자(내국인,외국인 포함)가 컴퓨터단말(6-1)을 이용하여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료회원 가입신청을 하게되면 메인서버(20)는 DB서버(26)를 이용해서 무료회원가입 신청인을 일반회원으로서 회원DB(28a)의 일반회원 저장부(100)에 등록한다. 일반회원은 쇼핑을 하는 소비자그룹으로서 일반회원에게 주어지는 가격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반회원은 무료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이 무료쇼핑몰 분양신청을 하게되면 메인서버(20)는 DB서버(26)를 이용해서 무료쇼핑몰 분양신청인을 정회원으로서 회원DB(28a)의 소매몰 정회원저장부(102)에 등록한다. 정회원은 소매몰형태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는 운영자가 된다. 클라이언트쇼핑 몰 운영자는 자신이 분양받은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판매와 아울러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을 개별적으로 등록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또한 정회원인 운영자는 하위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해줄 수 있는 권한도 갖는다.
도 2의 소매몰 정회원 저장부(102)에 저장되는 소매몰 정회원정보는 판매점회원(110)과 대리점회원(112)와 레벨대리점회원(114)형태로 구분되어 저장이 된다. 판매점회원(110)은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받는 정회원이고, 대리점회원(112)은 쇼핑몰 분양을 하나이상 해준 정회원을 의미한다. 레벨대리점은 쇼핑몰 분양의 갯수나 판매실적이 미리 설정된 등급조건을 충족한 정회원을 의미한다. 레벨대리점도 분양갯수정도나 판매실적의 등급에 따라서 다수개의 레벨 대리점들 예컨대, 레벨1 대리점, 레벨2 대리점,..., 레벨N 대리점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소매몰 정회원 저장부(102)에는 분양신청시 추천인의 정보도 함께 등록되어있다.
도 2의 도매몰 자격회원 저장부(104)에 저장되는 도매몰 자격회원은 적어도 소매몰 정회원이 되어야 하고 그와 동시에 일반 사업자 등록증을 갖춘 과세 사업자가 되어야하는 등의 자격요건을 갖춰야 한다. 도매몰 자격회원은 무료 도매몰 자격회원과 유료 도매몰 자격회원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유료 도매몰 자격회원은 무료 도매몰 자격회원에 비해서 훨씬 낮은 도매가격으로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매몰 자격회원에게는 소매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과는 개념이 다른 별도의 도매쇼핑몰이 분양되어진다. 하지만 도매몰 자격회원은 소매몰 정회원과는 다르게 도매쇼핑몰을 분양해줄 수 있는 권한이 없다. 즉, 도매몰 자격회원은 도매쇼핑몰을 분양해줄 수는 없다는 것이다.
도 2의 기업회원 저장부(106)에 저장된 기업회원(B2B회원)은 제휴된 제품공급업체로서 제조업체나 유통업체, 소호유통업자, 소호무역업자(수입)자 등이 될 수 있으며, B2B/B2C가맹점 기업회원 가입신청을 통해서 본사승인된 기업회원들의 정보가 등록된다.
기업회원 저장부(106)에 저장된 기업회원은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로서, 일반 기업회원(130)과 가맹점 기업회원(132)으로 구분된다. 일반 기업회원(130)은 단순 제품입점을 원하는 일반회사 및 단체의 회원들이고, 가맹점 기업회원(132)은 예컨대 1000명 이상의 영업조직이 있는 제조회사나 유통회사 및 단체의 회원들이다. 가맹점 기업회원(132)에는 제조회사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판회사나 다단계회사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로 다시 돌아가서, DB서버(26)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DB(28b)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품DB(28b)에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품정보에는 상품이미지, 상품가격, 회사명, 제품설명 등의 데이터들이 포함된다.
상품DB(28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상품저장부(140), 제1,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144),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 및 도매몰 상품 저장부(148)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종류별로 다양한 상품정보들이 구분 저장된다.
도 3의 본사상품 저장부(140)에는 시스템제공 본사가 직접공급 또는 계약수탁받은 상품의 정보들이 본사상품으로서 저장된다. 본사상품의 정보는 시스템 메인 관리자에 의해서 입출력부(22)를 통해서 상품DB(28b)의 본사상품 저장부(140)에 저장되어진다.
도 3의 제1,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144)는 본사의 물류창고에 입점되는 상품들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에 저장되는 제1 창고입점상품의 정보는 시스템제공 본사의 물류창고(오프라인)에 제품 입점된 후 시스템 메인관리자에 의해서 이미지 작업되어 클라이언트쇼핑몰들 전체에 동시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4)에 저장되는 제2 창고입점 상품의 정보는 클라이언트 운영자가 직접 제품 이미지 작업한 후 클라이언트쇼핑몰들 전체에 동시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도 3의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에 저장되는 개별입점상품의 정보는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받은 운영자 본인이 직접 상품이미지 작업을 하여 자신의 클라이언트 쇼핑몰만에만 상품진열되어지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그리고 도매몰 상품 저장부(148)에 저장되는 도매몰 상품의 정보는 도매쇼핑몰에 상품진열되는 상품류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DB서버(26)에 의해서 관리되는 광고DB(28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등록광고 저장부(150)와 개별등록광고 저장부(152)로 구성된다. 도 4의 전체등록광고 저장부(150)는 통합쇼핑몰의 메인페이지뿐만 아니라 분양되어진 모든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클라이언트 페이지에 등록되는 광고정보들을 저장하고, 개별등록광고 저장부(152)는 분양받은 자신의 클라이언트 쇼핑몰에만 등록되는 광고(홍보)정보들을 저장한다. 전체등록광고저장부(150) 및 개별등록광고 저 장부(152)에 저장되는 광고정보에는 쇼핑몰 운영자의 회원정보, 회사정보, 상품정보 등이 포함되며 홍보배너관련 정보, 명함이나 전단 신청등의 광고관련 정보도 포함된다. 광고정보는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를 통한 메인관리자 또는 클라이언트 운영자의 광고등록시에 입력되어질 수 있다.
도 1의 DB들(28a)~(28f)중에서 최초방문자 기록DB(28d)는 인터넷 배너 홍보를 통해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이나 도매쇼핑몰에 최초 접속한 방문자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DB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접속한 방문자 컴퓨터단말의 IP어드레스(160)와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의 인식코드(아이디)(162)가 테이블형태로 매칭 저장된다.
도 1의 정보등록DB(28e)는 통합 쇼핑몰의 각종 정보를 등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클라이언트 각각의 쇼핑몰관리자 메인에 관련된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주문매출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상품등록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쇼핑몰 디자인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의 회원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서버 게시판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게시판 추가생성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접속통계 관리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메인도메인 포워딩서비스 정보, 클라이언트 홍보용 신청관련 정보, 클라이언트운영자 연장신청 정보, 클라이언트 직접분양 매출정산관리 정보 등이 저장된다.
도 1의 DB들(28a)~(28f)중 정산관리DB(28f)는 클라이언트운영자나 도매쇼핑몰 운영자의 각종 정산내역정보를 관리해주는 DB이다. 정산내역정보로는 소매몰형태의 전체 쇼핑몰들 판매에 대한 이익금정산정보, B2C개별 입점 상품판매에 대한 이익금 정산정보, 제1,제2 창고입점 상품판매에 대한 이익금 정산정보, B2B제조회사나 유통회사와 같은 기업회원 이익금 정산정보, 무료쇼핑몰 분양수익금이나 분양몰 판매홍보지원금 정산정보 등이 있다.
도 1에서,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제품들을 제품입점등록 요청방식에 맞춰서 제품입점처리하고 입점된 상품의 매출을 관리하고, 제품업데이트 및 재고관리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품 입점처리'의 의미는 상품메뉴의 카테고리에 맞게 분류하고 상품정보를 DB서버(26)를 통해 상품DB(28b)내 해당 저장부에 저장하고, 쇼핑몰 관리서버(24)에 의해 관리되는 해당되는 메인홈페이지 및 클라이언트쇼핑몰들의 홈페이지이거나 또는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의 홈페이지에만 상품설명 및 상품이미지를 포함한 상품정보가 제품구매가능하게 노출 진열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품입점등록 요청방식에는 제1,제2 창고입점 처리방식과 개별 입점처리방식이 있다.
제1,제2 창고입점 처리방식은 정회원 및 기업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을 입점등록 요청함에 따라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와 분양되어진 모든 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 동시에 상품진열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입점처리하는 주체에 대해서는 서로 상이하다. 제1 창고입점 처리방식에서는 통합쇼핑몰의 메인관리자가 입점등록 요청된 해당 제품을 이미지작업하여 상품입점 처리하고, 제1 창고입점 처리방식에서는 정회원 및 기업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에 대해서 관리자페이지를 통하여 직접 이미지작업하여 상품입점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 고, 개별입점 처리방식은 정회원의 운영자가 보유한 제품들을 개별 입점등록 요청함에 따라 정회원의 운영자가 해당 제품에 대해서 관리자페이지를 통하여 이미지작업하여 본인의 클라이언트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만 상품진열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제품입점 및 상품관리서버(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사상품저장부(140)에 저장될 본사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본사제품 입점처리부(170)와, 제1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2)에 저장될 제1 창고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제1 창고입점 처리부(172)와, 제2 창고입점상품 저장부(144)에 저장될 제2 창고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제2 창고입점처리부(174)와, 개별입점상품 저장부(146)에 저장될 개별입점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개별입점처리부(176)와, 도매몰 상품저장부(148)에 저장될 도매몰상품의 제품을 입점처리하는 도매입점처리부(178)와, 상품의 매출과 제품업데이트 및 재고관리 등을 수행하는 상품매출 관리부(179)를 포함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은 해당 운영자(정회원 또는 기업회원)가 가지고 있는 본인의 제품을 물류창고(가상)에 입점등록 요청을 하게되면, 메인관리자는 입점등록 요청된 해당 제품을 이미지 작업하여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와 분양되어진 모든 쇼핑몰들의 각 홈페이지에 동시에 상품진열이 되도록 한다. 제1 창고입점상품에 있어서 입점 물품별 입고가는 시스템제공 본사와 협의한 이후 설정되는 방식과 시스템제공 본사와 협의 설정없이 제조회사나 유통회사에서 입고가를 정하고 시스템제공 본사에서는 승인만 하도록 하여 설정하는 방식이 있다.
제2 창고입점상품 및 개별입점상품에 대해서는 해당 운영자가 입점등록을 할 수 있도록 쇼핑몰 관리서버(24)의 관리하에 있는 운영자의 관리자페이지가 마련되어 있다. 개별입점상품은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가 운용하는 사이트에서만 볼 수 있으며, 해당상품 상세설명 페이지에는 운영자의 주소/성명/연락처/AS/반품정보 등의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도 1에서, 분양관리부(32)는 도매몰에서는 도매쇼핑몰 분양받은 회원관리만 하게되며, 소매몰에서는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 판매점관리, 대리점관리, 레벨대리점관리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분양관리부(32)에서의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은 기분양받은 정회원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기분양된 정회원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분양을 받게되면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0단계에서와 같이 판매점으로서 관리되어지고, 정회원의 쇼핑몰을 통해서 분양이 이루어졌을 때 그 분양했던 정회원은 추천인이 되며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2단계에서와 같이 대리점으로서 관리되어진다. 또한 분양을 해준 정회원이 쇼핑몰 분양의 갯수나 판매실적이 미리 설정된 등급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분양관리부(32)에 의해서 도 7의 184단계에서와 같이 레벨 대리점으로 관리된다. 레벨대리점 관리도 쇼핑몰 분양갯수정도나 판매실적의 등급에 따라서 다수개의 레벨 대리점들 예컨대, 레벨1 대리점, 레벨2 대리점,..., 레벨N 대리점 등으로 구분되어 관리되어진다.
도 1로 다시 돌아가면,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는 통합쇼핑몰내 한개의 메인페이지와 복수의 확장생성이 가능한 서브페이지상에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의 요청이나 도매쇼핑몰의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쇼핑몰 홍보배너가 게시되게 관리한다. 또한 배너광고 추천인관리부(34)는 타 포털사이트의 홍보배너나 통합쇼핑몰의 홍보배너를 통해서 접속한 최초방문자와 광고를 낸 홍보배너 운영자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인식정보를 추적하여 광고에 따른 실적이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이나 도매쇼핑몰의 운영자에게로 반드시 돌아갈 수 있도록 관리한다. 즉, 해당 광고를 본 사용자의 회원신청이나 분양신청에 대한 실적은 그 광고를 했던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에게 돌아가게된다.
도 1의 수익관리부(36)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소매몰의 정회원, 도매몰의 자격회원, 기업회원 등에 관련한 각종 수익을 관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익관리부(36)는 소매몰 정회원 수익관리부(190), 레벨 대리점 실적 공유수익 관리부(192), 보너스 적립금 관리부(194), 실적 배당금 공유수익 관리부(194), 도매몰 수익관리부(198), 및 기업회원 수익관리부(200)를 포함한다.
도 8의 수익관리부(36)의 소매몰 정회원 수익관리부(190)는 소매몰 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에 따른 수익들을 관리한다.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 쇼핑몰을 통한 수익들로는 본인몰(클라이언트쇼핑몰) 판매수익, 하위몰 판매수익, 분양수익, 관리수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본인몰 판매수익은 본인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 판매한 매출의 일정 비율이나 마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본인몰 판매수 익은 월단위로 돌려받도록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에서 현금성 보너스적립금으로 관리되어진다. 하위몰 판매수익은 직접 분양한 하나의 하위몰의 매출의 일정 비율이나 마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분양수익은 홍보배너를 통한 광고나 오프라인 광고를 통해서 하위몰을 1건 분양할 때마다 발생하는 수익이다. 관리수익은 직접 분양한 하위몰들 각각이 매년 갱신시에 지불하는 서버유지관리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수익이다.
도 8의 수익관리부(36)의 레벨대리점 실적 배당수익 관리부(192)는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정회원이 레벨대리점이 되고 월단위로 레벨유지를 하였을 경우 배당을 통해서 돌려받는 수익이다. 레벨대리점의 배당수익은 레벨1,...,레벨N까지 레벨급에 따라 달라지며, 월단위의 레벨유지는 분양실적 레벨유지방법과 판매실적 레벨유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도 8의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는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가 본인몰에서 본사제품구매한 제품값의 일정비율을 현금성 보너스적립금으로 관리해준다. 또한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는 방문판매 및 다단계회사가 기업회원으로 등록하고 그 기업회원의 사업자들이 통합쇼핑몰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분양받았을 때 그 기업회원에서의 보너스적립금을 관리하여 준다. 이때 보너스적립금은 기업회원의 요청에 맞게 적응적으로 책정되어질 수 있다. 보너스적립금 관리에 대해서는 통합쇼핑몰 메인홈페이지나 클라이언트쇼핑몰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가능하다.
도 8의 실적배당금 공유수익 관리부(196)는 통합쇼핑몰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하기와 같은 수익을 합산하여 공유수익으로 정하고, 통합쇼핑몰 본사와 기업회 원, 레벨대리점 등에게 공유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관리부이다.
공유수익이 되는 항목으로는 클라이언트쇼핑몰로의 입점판매 수수료, B2B/B2C가맹점 기업회원 입점판매 수수료, 광고수익, 무역수입-수출 중개서비스수익, 도매쇼핑몰 분양수익 등이 있다.
도 8에서 도매몰 수익관리부(198)는 도매몰의 수익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소매몰과는 다른 별개의 수익구조로 관리된다. 도매몰 수익구조 및 운영방식은 물류 공급하는 회사에 맞게 설정되어진다.
도 8에서, 기업회원 수익관리부(200)는 기업회원의 수익을 관리하는 관리부로서, 상기의 공유수익의 일부와, 기업회원 회사조직 셋팅후 산하 클라이언트쇼핑몰의 분양건당 받는 수익의 일부와, 산하 클라언트쇼핑몰들의 총 매출의 일부를 수익으로 관리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회원자격 관리부(38)는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통합쇼핑몰의 회원자격을 관리한다. 특히 회원자격 관리부(38)는 소매몰에서 정회원의 레벨대리점 등급상태를 매월단위로 관리하되, 해당 정회원의 분양실적과 판매실적을 근거로 하여 레벨등급상태를 관리한다.
결제서버(40)는 각종 신용카드사서버, 은행사서버, 이통신사서버, 전자화폐서버 등의 외부의 결제서비스부(42)와 연결되며,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분양된 모든 도매쇼핑몰이나 소매몰형태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의 모든 결제를 집중시켜서 처리한다. 각 클라이언트 쇼핑몰에서 상품판매시의 결제는 시스템제공 본사의 계좌로 가능하게 구현하여 각 쇼핑몰의 결제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발생과 비효율 적이고 중복투자 발생을 사전 방지한다.
결제서버(40)를 통한 결제방법으로는 신용카드(전자결제), 무통장입금, 보너스적립금카드 이용결제, 마일리지, 전자화폐, 휴대폰 결제 및 기타 전자적으로 결제가능한 각종 방법이 등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예로 적용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메인페이지 일예도로서, 메인도메인명이 일예로 "epv.co.kr"으로 구현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일 예와 같은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에서 발생되는 적립금의 활용과 통합쇼핑몰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는 적립 서비스를 구현하되 현금성 적립금으로써 적립해주며, 또 적립금 활용이 용이하도록 통합적립카드를 발급해준다.
기존 온라인 서비스장치에서도 온라인적립금을 제공해주지만 온라인으로 해당 또는 제휴 몰에서 제품을 구매시에만 적립된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고 현금으로는 지급되지 않는다. 또 많은 사용자들이 온라인쇼핑몰에서의 제품구입으로 적립금을 적립해두지만 예전에 접속한 웹사이트를 다시 접속하는 것은 기억에 의존해야 하므로 적립해둔 적립금을 다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웹사이트상의 적립금(마일리지)은 휴먼상태로 사장되는 경우가 많아서 많은 소비자 입장에서의 이득의 실효성이 크지 않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급되는 통합적립카드는 상기한 통합쇼핑몰과 같은 온라인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고, 통합쇼핑몰의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합적립카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모두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적립금은 현금성 적립카드로서 사용되어 카드 소지자가 적립금액을 인출 및 계좌이체 등을 할 수도 있게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적립카드는 전자화폐, 신용카드, 마일리지카드 등과 통합되게 하여서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통합적립카드는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나 클라이언트쇼핑몰 가입소비자회원, 제품을 공급해 주는 기업회원에게 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도매몰에서는 크게 사용되지 않는다.
통합쇼핑몰에서의 통합적립카드에 관련된 정보에 대한 관리 및 서비스는 도 1에 도시된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내의 적립카드서비스부(39)에서 메인서버(20)의 제어 하에 수행되어지며, 통합적립카드에 관련된 데이터는 DB서버(26)의 제어하에 적립카드DB(28g)에 저장된다.
통합적립카드는 통합쇼핑몰 본사에서 발급할 수 있으며 통합쇼핑몰 본사와 계약 맺는 오프라인 가맹점이나 제휴 통합적립카드 발급서비스사에서도 발급할 수 있다. 통합적립카드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통해서나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해서 신청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합적립카드 발급처리하는 제어흐름도이다.
통합적립카드 발급신청은 클라이언트 쇼핑몰의 소비자회원인 일반회원, 클라이언트쇼핑몰을 운영하는 소매몰 정회원에 해당 판매점회원, 대리점회원, 레벨대리점회원이 할 수 있으며, 기업회원들 즉 일반회원과 가맹점회원이 발급신청할 수 있 다. 클라이언트쇼핑몰을 운영하는 소매몰 정회원이나 기업회원은 온라인매장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통합적립카드에 대한 발급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일반회원에 대해서도 발급신청을 해줄 수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에는 통합적립카드 선발급후 회원가입과 회원인증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반회원이나 클라이언트쇼핑몰을 운영하는 소매몰 정회원, 또는 기업회원이 오프라인 가맹점서버에 연결된 단말이나 도 1의 사용자단말(6-1)(6-2) 등의 발급신청단말(300)을 통해서 적립카드 발급 신청을 하게 되면(도 10의 302단계), 발급신청단말(300)은 회원정보를 포함한 적립카드 발급신청메시지를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서버(20)로 전송한다(도 10의 304단계). 메인서버(20)에서는 적립카드 발급신청메시지가 수신되면 회원정보가 유효한지를 DB서버(26)의 회원DB(28a)를 통해서 확인하고, 만일 유효하면 적립카드서비스부(39)로 적립카드 발급신청메시지를 전달한다(도 10의 304단계).
적립카드 발급신청메시지를 수신한 적립카드서비스부(39)는 통합적립카드번호와 관리번호를 생성하고 회원정보에 포함된 회원의 이용자식별코드(아이디)와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정보를 함께 생성하여 카드정보생성데이터로서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DB서버(26)의 적립카드DB(28g)에 저장되게 전송한다(도 10의 308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은 쇼핑몰 분양신청한 정회원의 식별코드(아이디)가 메인도메인명에 덧붙혀진 서브도메인 예컨대, "http://아이디.epv.co.kr"으로 접속되게 해주는 자동접속실행 프로그램이다.
도 10의 308단계가 수행됨에 따라 DB서버(26)는 적립카드DB(28g)에 카드정보 생성데이터 즉, 이용자식별코드(아이디),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정보, 통합적립카드번호, 관리번호를 해당 회원정보와 매치시켜서 저장시켜 놓는다(도 10의 310단계).
카드정보생성데이터를 전송후 적립카드서비스부(39)에서는 카드발급처리 및 배송을 수행한다(도 10의 312단계). 적립카드서비스부(39)는 카드발급처리를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통합적립카드에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이 내장되도록 하여서 발급한다.
상기한 도 10에서는 통합적립카드가 회원가입후 발급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오프라인 가맹점과 같은 곳에서는 회원가입없이 통합적립카드가 선발급될 수 있으며 통합적립카드가 선발급되었을 경우에는 회원가입과 아울러 카드인증을 통해서 통합적립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통합적립카드는 도 13에서와 같이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도록 된 CD기능내장 카드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4에서와 같이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이 내장된 IC칩이 장착된 스마트카드형태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는 미니CD카드형태로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3이나 도 15에서의 통합적립카드와 같은 경우에는 CD원판부상에 스크래치에 강한 코팅층을 형성하여서 사용자에게 보급되어진다.
또한 통합적립카드는 필요에 따라서는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의 내장이 없는 일반 카드형태로도 보급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온라인상의 발급신청단말(300)을 통해서 통합적립카드 발급신청이 있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 내장 카드발급처리가 완료되면(도 10의 312단계), 직립카드서비스부(39)에서는 카드발급처리완료 및 배송안내메시지를 발급신청단말(300)로 전송하여 주고(도 10의 314단계),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된 통합적립카드를 해당 회원의 주소지로 배송되도록 처리를 수행한다.
만약 카드발급 신청이 오프라인매장을 통해서 있게 된 경우에는 적립카드서비스부(39)에서는 카드발급처리 완료메시지만을 오프라인매장의 발급신청단말(300)로 전송하여서(도 10의 314단계), 오프라인매장에서 직접 통합적립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회원이 통합적립카드를 발급받게 되면, 회원은 통합적립카드를 적립금이 있는 한도내에서 현금성적립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에 통합적립카드를 로딩(loading)하게되면 자신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 자동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원가입전 통합적립카드를 발급받은 자는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서 사용자단말에 로딩을 하게되면 통합적립카드를 발급해준 가맹점의 클라이언트쇼핑몰에 자동접속할 수 있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쇼핑몰에 접속 및 적립금 적립하는 제어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원 또는 비회원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6-1)(6-2)과 같은 접속단말(400)에 탑재된 디스크드라이브에 통합적립카드를 로딩하거나 접속단말(400)에 연결된 카드리더에 의해서 읽혀지게되면(도 11의 402단계), 접속단 말(400)은 통합적립카드로부터 읽혀지는 데이터로부터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이 통합적립카드에 내장되었는지를 판단한다(도 11의 404단계).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이 내장되었으면 접속단말(400)은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에 접속을 요청하게 된다(도 11의 406단계). 그에 따라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서버(20)는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도메인주소로의 접속응답을 함으로써, 접속단말(400)에서는 접속된 해당 클라이언트 쇼핑몰 홈페이지를 팝업(pop-up)시켜주게 된다(도 11의 410단계).
도 11의 410단계를 수행한 후 접속단말(400)은 현재 로딩된 통합적립카드가 아직 회원가입 및 카드인증을 받지 않은 회원의 카드로 판단되면(도 11의 411단계),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서버(20)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해서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에서 규정한 소정의 회원가입 및 카드인증절차를 수행한다.
그후 회원이 제품을 구입하는 등등의 사유로 인해서 직립금이 발생하게 되면(도 11의 413,414단계), 해당 회원으로부터 발생된 적립금은 메인서버(20)에 의해서 수익관리부(36)의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에 적립이 요청되어지고, 그에 따라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에서는 적립금을 누적관리하게 된다.
적립금은 통합쇼핑몰의 온오프 가맹점에서 제품구매할 때마다 제품별 설정된 1∼30%정도로 현금성 적립금이 발생되며, 통합몰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운영자 회원(판매점/대리점/레벨대리점), 기업회원가맹점에서 운영하는 클라이언트쇼핑몰에서 제품판매될 때마다도 적립금(마이마진 적립금)이 발생된다. 또한 마이마진 적립금 이외에도 통합쇼핑몰에 입점한 기업에서 일정 홍보기간동안 특정제품을 이벤트상품으로 선정하여서 그 기간동안에 특별 적립금을 주는 이벤트 적립금이 있을 수도 있으며, 통합쇼핑몰에 입점한 기업회원이 해당 기업제품 판매에 따른 각 클라이언트쇼핑몰의 운영자에게 주는 추가 보너스 적립금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에서 언급하였던 여러가지 종류의 보너스 적립금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적립금은 보너스 적립금 관리부(194)에 의해서 관리되어지며,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한 회원의 요청시 현금성 적립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 적립금 결제하는 제어흐름도이다.
회원은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이하 "적립금 사용단말"이라 칭함)(500)(예컨대, 은행CD/ATM단말, POS(Point Of Sale)단말, 체크카드기 등)을 통해서 적립금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제품구매, 현금인출, 계좌이체 등등과 같이 회원에게 적립금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원이 통합적립카드를 로드(load)하여 적립금 사용단말(500)로 적립금 사용요청을 하게되면(도 12의 502단계), 적립금 사용단말(500)은 카드적립금 사용요청 메시지를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2)의 메인서버(20)로 전송하게된다(도 12의 504단계). 그에 따라 메인서버(20)는 적립카드서비스부(39)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한 정보 대비로 적립카드상태를 확인하여 카드유효하다는 응답이 적립카드서비스부(39)로부터 있게되면(도 12의 506,508단계), 수익관리부(36)의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로 회원이 요구한 적립금 사용을 요청한다(도 12의 510단계).
보너스적립금 관리부(194)는 적립금 사용 요청이 유효하면(도 12의 511단계 ), 메인서버(20)의 제어하에 적립금 사용승인메시지를 결제서버(40)로 전달하며(도 12의 512단계), 아울러 적립잔액을 정리한다(도 12의 514단계).
결제서버(40)는 적립금 사용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외부의 결제서비스부(42)의 연동을 통해서 적립금 결제승인을 적립금 사용단말(500)로 내려주게되며, 적립금 사용단말(500)에서의 회원은 로드(load)된 통합적립카드를 이용하여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12의 518단계). 외부의 결제서비스부(42)는 신용카드회사, 은행, 마일리지회사, 전자화폐시스템운영사, PG(지불결제대행)업체, 신용카드조회(VAN)회사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결제서버(40)와 제휴 및 연동을 통해서 적립금 결제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급제품의 확보, 제품등록, 상품의 도매 및 소매판매, 제품정보, 광고 등에 대한 거래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통합쇼핑몰에서의 적립금 활용이 유용하도록 해준다.

Claims (5)

  1.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통합쇼핑몰 회원가입된 회원의 신청으로 발급신청단말이 회원정보를 포함한 적립카드 발급신청메시지를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의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적립카드 발급신청 메시지를 수신한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적립카드 서비스부가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해당 회원의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회원식별코드와 카드번호 및 관리번호,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정보가 내장된 통합적립카드를 발급처리하는 제2 과정과,
    통합적립카드가 접속단말로 로딩됨에 따라 상기 접속단말은 상기 통합적립카드에 내장된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정보를 읽고, 상기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내 해당 회원의 클라이언트쇼핑몰로 접속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쇼핑몰 홈페이지를 팝업시켜주는 제3 과정과,
    상기 접속된 쇼핑몰 서비스중 해당 회원의 적립금이 발생되면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는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적립금을 누적관리하는 제4 과정과,
    통합적립카드가 로드된 적립금 사용단말로부터 적립금 사용요청이 있음에 따라 메인서버는 통합적립카드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 및 서비스하는 적립카드서비스부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한 정보 대비로 적립카드상태의 유효여부를 확인하여 유효한 카드상태이면 상기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로 적립금 사용을 요청하는 제5 과정과,
    상기 보너스적립금 관리부는 상기 적립금사용 요청이 있으면 메인서버의 제어하에 결제서버가 외부 결제서비스부와 연동하여 상기 적립금 사용단말로 적립금의 사용을 승인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서 상기 접속단말로 로딩된 통합적립카드가 회원가입과 카드인증이 없이 발급된 통합적립카드임이 접속단말에 의해 판단됨에 따라 상기 접속단말은 상기 메인서버와의 데이터송수신을 통해서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 규정한 소정의 회원가입 및 카드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통합적립카드는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도록 된 CD기능내장 카드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통합적립카드는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이 내장된 IC칩이 장착된 스마트카드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통합적립카드는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쇼핑몰 접속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는 미니CD카드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KR20070056382A 2007-06-09 2007-06-09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KR10081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6382A KR100819477B1 (ko) 2007-06-09 2007-06-09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PCT/KR2008/003194 WO2008153290A1 (en) 2007-06-09 2008-06-09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point value service in online integrated shopping mal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6382A KR100819477B1 (ko) 2007-06-09 2007-06-09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670A KR20070067670A (ko) 2007-06-28
KR100819477B1 true KR100819477B1 (ko) 2008-04-07

Family

ID=3836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56382A KR100819477B1 (ko) 2007-06-09 2007-06-09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9477B1 (ko)
WO (1) WO20081532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12A (ko) 2021-05-14 2022-11-22 최대섭 온라인 쇼핑몰 공유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35A (ko) * 2000-05-15 2001-11-26 이우일 온라인 누적 적립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099B1 (en) * 1999-03-05 2001-03-06 Ac Properties B.V.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tilizing a distributed communication network
KR20020030836A (ko) * 2000-10-17 2002-04-26 강철배 복수개의 쇼핑몰을 구비하는 통합쇼핑몰시스템 및 방법
US7788129B2 (en) * 2002-06-25 2010-08-31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eeming vouch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535A (ko) * 2000-05-15 2001-11-26 이우일 온라인 누적 적립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12A (ko) 2021-05-14 2022-11-22 최대섭 온라인 쇼핑몰 공유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53290A1 (en) 2008-12-18
KR20070067670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945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US20040049421A1 (en) Point sales server and point sales method
US20150046243A1 (en) Product pricing assistant
US11587154B2 (en) Product-based trees for online store
US20210374813A1 (en) Incorporating reviews of a product or service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20210350453A1 (en)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20220027939A1 (en) Single line tree creation by a distributor for a product based multi level marketing system
US20220398618A1 (en) A method for setting up user created storefronts within a product tree bas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20210374787A1 (en) Incorporating a product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11282101B2 (en) System for commissions for multilevel marketing
US20220253882A1 (en) Hyperlinks incorporating products in international-scale multi-level marketing system
US20220261835A1 (en) Franchise-based hyperlinks for products in a multi-level marketing system
KR100865933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서비스 제휴 방법
KR101103966B1 (ko) 지불 게이트웨이와 연동한 상품광고 중개 시스템
KR20000030706A (ko) 인터넷과 제휴카드를 이용하여 중고자동차를 매매하는경우 할인 및 환급혜택을 주도록 하는 중고자동차 매매방법
KR100850691B1 (ko) 온라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다국어지원 서비스방법
KR20130012229A (ko) 광고주와 사용자간의 거래에 대해 추가 적립률의 적립금을 제공하는 적립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19477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장치에서의 적립 서비스방법
KR101287175B1 (ko) 온라인 통합쇼핑몰을 이용한 오프라인상점 무료개점 지원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01002549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1215B1 (ko) 이익배당권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이익 배당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9248B1 (ko) 온라인 쇼핑몰 서버에서의 보너스 상품 추가 제공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0911242B1 (ko) 듀얼모니터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회원 및 콜센터 통합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8484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52466B1 (ko) 리워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