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140B1 -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140B1
KR101287140B1 KR1020110113594A KR20110113594A KR101287140B1 KR 101287140 B1 KR101287140 B1 KR 101287140B1 KR 1020110113594 A KR1020110113594 A KR 1020110113594A KR 20110113594 A KR20110113594 A KR 20110113594A KR 101287140 B1 KR101287140 B1 KR 10128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weight
weight body
coupled
wind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636A (ko
Inventor
윤상억
Original Assignee
윤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억 filed Critical 윤상억
Priority to KR102011011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9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o prevent, counteract or reduce noise emis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좌우로 휘면서 변위되는 타워의 변위량을 감쇄시킬 수 있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풍력 발전기의 타워의 휨발생에 따라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가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며, 상기 타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중량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타워에 결합되는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VIBRATION DECREASE APPARTUS FOR WIND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에 의해 좌우로 변형되는 타워의 내부에 설치되어 타워의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감쇄하고, 타워의 휨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연료를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태양열발전 및 풍력발전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중 유체의 힘을 이용한 풍력발전은 공기의 유동을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aerodynamic)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rotor)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전력을 얻는 발전이다. 또한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 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비용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신에너지 발전기술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크게 수평축 풍력발전기, 수직축 풍력발전기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에는 수평축 풍력발전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수평축 풍력발전기는 통상 블레이드의 수가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진 로터를 사용하게 되며, 로터의 위치에 따라 업윈드(upwind) 방식과 다운윈드(downwind)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업윈드(upwind) 방식은 로터가 타워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다운윈드 방식에 비해 고른 바람을 맞게 되어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프리요(Free Yaw)가 되지 않아 별도로 요 컨트롤 시스템(Yaw control system)을 설치하여야 한다. 즉, 업윈드 방식은 다운윈드 방식에 비해 바람을 수직으로 맞을 수 있는 확률이 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운윈드 방식은 로터가 타워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프리요가 가능하여 업윈드 방식에 비해 수직으로 바람을 맞게 된다. 이러한, 다운윈드 방식은 로터가 바람을 매끄럽게 맞게 되므로, 업윈드 방식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풍력 발전기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904850호 및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1140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너셀을 지지하는 타워가 바람에 의해 좌우로 심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함은 물론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바람에 의해 좌우로 변위되는 타워의 내부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타워의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감쇄하고, 타워의 휨 변형율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의 휨발생에 따라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가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며, 상기 타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중량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타워에 결합되는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가 상기 타워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량체를 결합하는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되도록 상기 중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상기 타워의 휨 발생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량체 지지부를 압축한 후, 상기 중량체 지지부에 의해 상기 타워의 복원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타워의 진동을 감쇄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면체, 타원, 원형, 구형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워 또는 상기 중량체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와 접촉되는 중량체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량체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타워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중량체 및 상기 하우징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량체를 상기 타워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 지지부에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체와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중량체와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지지부재가 스프링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탄성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볼트부재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에 의하면, 바람에 의해 좌우로 변위되는 타워의 내부에 설치되어 타워의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감쇄하고, 타워의 휨 변형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가 적용된 풍력 발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가 타워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 지지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 발전기(10)는 지면과 같은 베이스에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타워(11), 이 타워(1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너셀(13) 및 너셀(13)에 결합는 블레이드(15)로 이루어진다.
너셀(13)은 블레이드(15)의 회전을 통해 전류를 발생하는 발전기가 내부에 마련된다.
타워(11)는 중공체 형태를 가지며, 상단부에 휨에 의한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감쇄장치(100)가 구비된다. 이때, 진동 감쇄장치(100)의 상부에 너셀(13)이 결합된다.
진동 감쇄장치(100)는 바람에 의해 좌우로 진동(휨)하는 타워(11)의 진동 에너지를 감쇄시켜 타워(11)의 진동을 감소시킴은 물론 타워(11)의 휨 발생을 줄임으로써, 풍력 발전기(1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진동 감쇄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체(110) 및 타워(11)의 진동에 따라 중량체(110)의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중량체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중량체(110)는 중량체 지지부(120)에 지지된 채 타워(11)의 휨발생에 따라 타워(11)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진동)되면서 타워(11)의 좌우 진동을 감쇄한다. 구체적으로, 중량체(110)는 질량이 높은 금속에 의해 다면체, 타원, 원형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량체 지지부(120)에 의해 타워(11)의 진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워(11)의 진동을 감쇄한다.
이를 위하여, 중량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타워(11)의 휨 발생방향(A)과 반대 방향(B)으로 이동되면서 중량체 지지부(120)를 압축하여 타워(11)의 변위량을 감쇄시키고, 변위되었던 타워(11)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할 때 중량체 지지부(120)에 의해 타워(11)의 복원 방향(A')과 대응되는 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타워(11)의 진동을 감쇄하게 된다.
즉, 중량체(110)는 자중 및 중량체 지지부(120)에 의해 타워(11)가 변위되는 방향(A,A')과 반대 반향(B,B')으로 이동되면서 타워(11)의 변위량을 감쇄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중량체(110)는 금속에 의해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이 용접, 리벳, 볼트 등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중량체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중량체 지지부(120)는 중량체(110)가 타워(11)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중량체(110)를 지지하며, 타워(11)에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중량체(110)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타워(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중량체 지지부(120)는 중량체(110)가 타워(11)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도록 중량체(110)와 결합되며, 타워(11)의 변위에 따라 이동되는 중량체(110)를 압축 및 이완되면서 탄성 지지하여 원위치로 복원한다.
이를 위하여, 중량체 지지부(120)는 중량체(11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타워(11)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21), 이 하우징(121)의 내부 결합되어 중량체(110)와 결합되며, 중량체(110)가 타워(11)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중량체(1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또한, 중량체 지지부(120)는 탄성 지지부재(123)와 하우징(121)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125)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121)은 타워(1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 및 하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타워(11) 및 너셀(13)에 볼트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121)은 중공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탄성 지지부재(123) 및 중량체(110)가 위치하게 된다.
탄성 지지부재(123)는 하우징(121)의 내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중량체(11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탄성 지지부재(123)는 판 스프링을 통해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중량체(110)가 용접을 통해 결합되고, 타측이 결합부재(125)를 통해 하우징(121)에 결합된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123)는 중량체(110)의 외면으로 4개가 설치되며, 중량체(110)의 이동에 따라 압축 및 이완된다.
또한, 탄성 지지부재(123)는 압축 및 이완이 가능한 판 스프링 또는 탄력성이 있는 고무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 지지부재(123)가 용접을 통해 중량체(110)와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중량체(110)가 볼트나 리벳팅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 지지부재(123)가 4개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랄 5개 이상, 또는 3개 이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123)는 결합부재(125)를 통해 하우징(1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합부재(125)는 하우징(121)에 형성되는 관통홀부(125a) 및 이 관통홀부(125a)를 통해 탄성 지지부재(123)에 결합되는 볼트부재(125b)를 포함한다.
관통홀부(125a)는 하우징(121)의 외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볼트부재(125b)는 탄성 지지부재(123)의 내측에서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탄성 지지부재(123) 및 하우징(121)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 지지부재(123)가 결합부재(125)에 의해 하우징(121)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용접이나 리벳팅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100)는 중량체(11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타워(11) 또는 하우징(121)에 중량체 처짐방지부(130)가 더 구비된다.
중량체 처짐방지부(130)는 중량체(110)가 접촉되도록 용접이나 볼트를 통해 하우징(121)의 내부에 고정되며,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중량체(110)가 미그럼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재(123-1)는 판 스프링에 의해 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재(123-1)는 양단부가 하우징(121)의 내면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중량체(110)와 결합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재(123-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하우징(1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중량체(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더하여, 도 8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재(123-3)가 탄력성이 있는 우레탄 또는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일단이 하우징(121)에 접촉되고, 타단이 중량체(110)에 접촉되어 중량체(110)를 탄성 지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풍력 발전기 11 : 타워
13 : 너셀 15 : 블레이드
100 : 진동 감쇄장치 110 : 중량체
120 : 중량체 지지부 121 : 하우징
123 : 탄성 지지부재 125 : 결합부재
130 : 중량체 지지부

Claims (13)

  1. 풍력 발전기의 타워의 휨발생에 따라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체; 및 상기 중량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타워의 직경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중량체를 지지하며, 상기 타워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중량체를 원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타워에 결합되는 중량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 지지부는 상기 중량체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타워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중량체 및 상기 하우징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량체의 무게중심을 상기 타워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 및 상기 탄성 지지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자중에 의해 상기 타워의 휨 발생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중량체 지지부를 압축한 후, 상기 중량체 지지부에 의해 상기 타워의 복원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타워의 진동을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다면체, 타원, 원형, 구형 또는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또는 상기 중량체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와 접촉되는 중량체 처짐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량체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중량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호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중량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를 통해 상기 탄성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볼트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KR1020110113594A 2011-11-02 2011-11-02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KR10128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94A KR101287140B1 (ko) 2011-11-02 2011-11-02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594A KR101287140B1 (ko) 2011-11-02 2011-11-02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36A KR20130048636A (ko) 2013-05-10
KR101287140B1 true KR101287140B1 (ko) 2013-07-17

Family

ID=486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594A KR101287140B1 (ko) 2011-11-02 2011-11-02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8299A1 (de) * 2015-01-26 2016-07-27 Senvion GmbH Lastaufnahmemittel für einen turm oder eine turmsektion einer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windenergieanl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80Y1 (ko) * 2014-11-26 2019-07-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풍력타워 진동감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타워
WO2020239248A1 (de) * 2019-05-29 2020-12-03 Esm Energie- Und Schwingungstechnik Mitsch Gmbh Impulsdämpfer für hohe schlanke bauwerke und anlag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837B1 (en) 1998-05-29 2004-01-06 Neg Micon A/S Wind turbine with oscillation damping means
JP2006189047A (ja) 2004-12-30 2006-07-20 General Electric Co <Ge> 風力タービン用の振動荷重低減システム
EP1008747B1 (de) * 1998-12-08 2008-06-04 Franz Mitsch Schwingungstilger für Windkraftanlagen
WO2010018590A1 (en) 2008-11-24 2010-02-18 Yogesh Sonar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837B1 (en) 1998-05-29 2004-01-06 Neg Micon A/S Wind turbine with oscillation damping means
EP1008747B1 (de) * 1998-12-08 2008-06-04 Franz Mitsch Schwingungstilger für Windkraftanlagen
JP2006189047A (ja) 2004-12-30 2006-07-20 General Electric Co <Ge> 風力タービン用の振動荷重低減システム
WO2010018590A1 (en) 2008-11-24 2010-02-18 Yogesh Sonar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8299A1 (de) * 2015-01-26 2016-07-27 Senvion GmbH Lastaufnahmemittel für einen turm oder eine turmsektion einer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windenergieanlage
US9896310B2 (en) 2015-01-26 2018-02-20 Senvion Gmbh Load-handling means for a tower or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and method for erecting a wind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36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2292B2 (ja) 発電機および発電方法
US20200049130A1 (en) Electrical Power Generator
CN109312713B (zh) 发电机
KR101287140B1 (ko) 풍력 발전기용 진동 감쇄장치
CN209620291U (zh) 磁悬浮式多向碰撞调谐质量阻尼器
CN110397698A (zh) 海上风电装置任意方向吸振系统
CN202524321U (zh) 纵振横摆式低频大振幅压电悬臂梁发电装置
KR100988077B1 (ko) 도로용 압전식 에너지 하비스터
CN107707095A (zh) 一种基于磁球振动的新型电磁俘能器
CN203584727U (zh) 冰箱压缩机用防震胶垫
CN203214750U (zh) 锥形减振器
CN210686837U (zh) 一种跷式支撑座的柴油发电机
CN210087900U (zh) 一种风力发电机用减震底座
CN218625236U (zh) 一种风力发电机的减震固定板
CN203632172U (zh) 一种内置弹簧的万向减震球
CN111555660B (zh) 一种蒲公英状压电振动能量收集装置
CN202349092U (zh) 减震垫
CN106369103B (zh) 用于电气设备减震体系的承载装置
CN202260807U (zh) 一种用于永磁风力发电机的减振装置
CN104775989B (zh) 一种半浮动减振式垂直轴风力发电机组
JP5631146B2 (ja) 風力発電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を備えた塔状構造物
CN207782635U (zh) 一种基于磁球振动的新型电磁俘能器
CN211791073U (zh) 一种风力发电机减震机构
CN217328278U (zh) 一种用于风力发电机震动吸收机构
CN201334987Y (zh) 一种风力发电机减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