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151B1 -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6151B1 KR101286151B1 KR1020110116068A KR20110116068A KR101286151B1 KR 101286151 B1 KR101286151 B1 KR 101286151B1 KR 1020110116068 A KR1020110116068 A KR 1020110116068A KR 20110116068 A KR20110116068 A KR 20110116068A KR 101286151 B1 KR101286151 B1 KR 1012861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name
- unit
- input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지형도 상의 건물 명칭과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고,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와, 건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수치지형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와, 건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수치지형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지형도 상의 건물 명칭과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고,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각 부문에서 지리정보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이란 공간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리자료를 이용하고 관리하는 컴퓨터 기반의 시스템을 의미한다.
1960년대 초반 GIS가 처음 개발되었을 때만 하더라도 GIS는 단지 지도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기반의 프로그램에 지나지 않았는데, 오늘날 GIS는 그 자체로 중요한 학문 연구분야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신 정보기술과 결합하면서 사회 각 부분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GIS의 기본적인 특성은 공간적인, 즉, 지리적 공간상에서 객체들의 위치와 관련된 속성정보를 다룰 수 있다는 것으로, 지도는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객체의 위치 및 속성을 나타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수치지도는 고전적인 종이 지도와 달리,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하여 얻어진 각종 지형 자료들을 해석하고 수치 편집하여 색인화한 것이다.
이러한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우선 종이지도가 디지타이징이나 스캐닝을 거쳐 수치지도의 형태가 된 후, 각종 입력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고, 좌표 변환을 통한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을 거친 다음,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하게 된다. 이어서 위상 구조의 정립을 거친 수치지도에 각각의 도형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입력시킨다.
일반적으로 속성자료의 입력은 원시자료인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 등의 판독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판독을 통한 속성 자료 입력은 그 정확도를 100% 보장하기가 곤란하므로 현장조사를 통해 속성자료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이 병행되고 있다.
그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특허 제10-0782151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GIS 서버(20)의 수치지도 DB(22)로부터 수치지도의 특정 폴리곤 속성자료를 통신인터페이스(12), 입력부(18), 표시부(14), 속성 자료 처리부(16) 및 메모리(19)가 구비된 측지측량 장비(10)에서 수신받는 단계, 상기 측지측량 장비(10)의 속성자료 처리부(16)에서 상기 수신된 수치지도의 특정 폴리곤 속성자료와 상기 측지측량 장비(10)가 위치한 장소의 현장 정보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측지측량 장비(10)의 입력부(18)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속성자료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측지측량 장비(10)에서 상기 일치여부 확인값 및 속성자료가 수정된 경우 수정된 수치지도의 특정 폴리곤 속성자료를 상기 GIS 서버(20)의 수치지도 DB(22)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GIS 서버(20)의 정확도 산출부(24)에서 상기 수치지도 DB(22)로 전송된 일치 여부 확인값을 바탕으로 상기 수치지도의 속성자료 정확도를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0782151호에 기재된 기술은 각 지역을 측지측량하면서 속성정보를 입력하게 되므로, 정확도는 높일 수 있으나, 측지측량을 수행하면서 속성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GPS를 구비하여 수치지형도에 실제 위치를 동기화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각각의 건물의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여 자동으로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입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치지형도 입력 장치의 내부에 속성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판독한 건물의 명칭에 따른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보다 빠르게 건물의 명칭 및 속성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할당된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 제어부에서 할당된 건물 중 속성을 입력하지 않은 건물이 감지될 시에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작업자가 빠트린 건물이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완전하게 건물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와, 건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수치지형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는 도면 출력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건물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건물 사진 출력부와, 상기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건물의 명칭이 있는 부분만을 출력하는 건물 명칭 출력부와, 건물 명칭을 판독하여 출력하는 명칭 자동 입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건물의 명칭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는 문자 판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의 명칭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이미지 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할 때, 해당 건물의 위치 정보를 같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할당된 범위를 벗어날 때, 범위 내의 건물 중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을 경우,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를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물의 속성을 분류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건물의 명칭을 저장할 때, 상기 속성 데이터베이스의 속성 정보를 같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수치지형도와 GPS 수신기의 정보를 토대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동기화 하는 동기화 단계와, 수치지형도 상의 건물을 선택하는 건물 선택 단계와, 카메라를 사용하여 선택한 건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단계와, 촬영한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는 명칭 판독 단계와, 판독된 명칭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명칭 저장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명칭 판독 단계에서는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건물의 명칭이 나타난 부분을 선택하여, 제어부의 내부에 구비된 문자 판독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명칭 판독 단계에서 명칭의 정확한 판독이 어려울 경우, 입력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명칭 저장 단계에서는 건물의 이미지와 해당 건물의 위치 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칭 저장 단계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속성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된 명칭에 대한 건물의 속성을 검색하여, 속성과 명칭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명칭 저장 단계 이후에 경고 단계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경보 단계는 작업자가 할당된 범위를 벗어날 때, 범위 내의 건물 중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을 경우,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를 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GPS를 구비하여 수치지형도에 실제 위치를 동기화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한 각각의 건물의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여 자동으로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입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치지형도 입력 장치의 내부에 속성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판독한 건물의 명칭에 따른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고 보다 빠르게 건물의 명칭 및 속성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할당된 구역에서 벗어날 경우, 제어부에서 할당된 건물 중 속성을 입력하지 않은 건물이 감지될 시에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작업자가 빠트린 건물이 있음을 알려줌으로써, 완전하게 건물의 속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치지형도 속성 입력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치지형도 속성 입력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실제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최종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방법의 수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치지형도 속성 입력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실제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최종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방법의 수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실제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의 최종 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방법의 수행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GPS 수신기(150)와 건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40)와 수치지형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120)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60)와 상기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출력되는 화면(200)은 도면 출력부(210), 건물 사진 출력부(220), 건물 명칭 출력부(230), 명칭 자동 입력부(240) 및 범례부(2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도면 출력부(210)에는 수치지형도가 출력되는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수치지형도에서 상기 GPS 수신기(150)를 통하여 측정된 현재의 위치에 해당되는 수치지형도 상의 부분을 출력하고, 수치지형도 상에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물 사진 출력부(220)에는, 상기 도면 출력부(210)에 보여지는 건물 중 작업자가 하나의 건물을 선택한 후, 상기 카메라(140)를 사용하여 해당 건물을 촬영하게 되면, 해당 건물의 이미지가 상기 도면 출력부(210)의 측부에 형성된 건물 사진 출력부(220)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건물 사진 출력부(220)를 통하여 보여지는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해당 건물의 명칭이 나타난 부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건물 명칭 출력부(230)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건물의 명칭이 나타나는 부분을 정확하게 선택하였는 지를 알 수 있게 되어, 선택이 잘못된 경우, 다시 정확한 부분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건물 명칭 출력부(230)에 출력되는 이미지(즉, 작업자가 선택한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어부(110)에 구비된 문자 판독부(115)에서 이미지 처리 과정을 통하여 글자부분을 판독함으로써,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게 된다.
이렇게 판독된 건물의 명칭은 상기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 출력되게 되는데, 작업자는 상기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 출력된 건물의 명칭을 보고 실제의 명칭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판독되었으면,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 출력되는 명칭이 실제의 명칭과 다르게 판독된 경우에는 본 발명인 수치지형도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별도의 입력부(170)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거나, 상기 화면(200)의 최하단에 형성된 범례부(250)에 출력되는 예시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도 한다.
이때, 예시문은 상기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 출력되는 명칭과 유사한 명칭을 범례 저장부(127)에서 검색하여 출력하게 되고, 이 중에서 동일한 명칭이 있으면 선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70)를 통하여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범례부(2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명칭의 예시문을 출력할 수도 있고, 예시문을 출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도면 출력부(210)에 출력되는 이미지에서, 작업자의 현재 좌표나 작업자가 선택한 건물 등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선택한 건물의 명칭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할 때,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속성 데이터베이스(130)를 검색하여 건물의 명칭에 해당하는 속성을 찾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협이나 은행과 같은 경우에는 금융기관 속성으로 저장하고, 주민센터나 동사무소 같은 경우는 관공서 속성으로 저장하게 되고, 병원 및 약국의 경우에는 의료기관 속성으로 자동 선택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는 별도의 이미지 저장부(125)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이미지 저장부(125)에는 상기 카메라(140)를 통하여 촬영한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저장부(125)에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할 때,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하여 측정한 현재 건물의 위치를 같이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수치지형도를 검수할 경우, 검수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수치지형도에 거물의 명칭 및 속성 입력 작업을 시작할 때, 수치지형도 상의 범위를 할당받게 되는데, 할당받은 범위는 상기 제어부(110)에 저장된다.
그래서, 작업자가 할당받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GPS 수신기(150)의 정보를 통하여 범위를 벗어난 것을 판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범위 내에 있는 건물들 중에서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을 검색하여,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을 경우,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18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을 빠트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는 통신모듈(19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통신모듈(190)은 주변에 설치된 무선 통신 시설을 통하여 별도로 구비된 서버(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어, 작업자가 작업한 수치지형도의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인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명칭 및 속성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수치지형도와 GPS 수신기(150)의 정보를 토대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동기화 하는 동기화 단계(S100)와 수치지형도 상의 건물을 선택하는 건물 선택 단계(S200)와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140)를 사용하여 선택한 건물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 단계(S300)와 촬영한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는 명칭 판독 단계(S400)와 판독된 명칭을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하는 명칭 저장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동기화 단계(S100)에서는 GPS 수신기(150)의 정보를 토대로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수치지형도 상의 위치와 동기화시켜 화면(200) 중 도면 출력부(210) 상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물 선택단계(S200)와 촬영 단계(S300)를 통하여 도면 출력부(210) 상에 출력되는 건물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촬영하게 되면, 화면(200) 상의 건물 사진 출력부(220)에는 카메라(140)를 사용하여 촬영한 건물의 이미지가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명칭 판독 단계(S400)에서는 상기 건물 사진 출력부(220)에서 보여지는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건물의 명칭이 나타난 부분을 선택하게 되면, 건물 사진 출력부(220)의 하부에 형성된 건물 명칭 출력부(230)에 작업자가 선택한 부분이 출력되게 되는데,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제어부(110)의 내부에는 문자 판독부(11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건물 명칭 출력부(230)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에서 문자를 판독함으로써, 건물의 명칭을 자동으로 판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명칭 판독 단계(S400)에서 판독한 건물의 명칭은 상기 건물 명칭 출력부(230)의 하부에 형성된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 출력되어, 작업자가 실제의 건물 명칭과 판독된 건물의 명칭이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여, 명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ok버튼을 클릭함으로써, 판독된 명칭은 데이터 저장부(120)에 수치지형도 데이터에 별도의 레이어로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명칭 판독 단계(S400)에서 명칭의 정확한 판독이 어려울 경우, 즉, 상기 명칭 자동 입력부(240)에서 출력되는 건물의 명칭이 실제 건물의 명칭과 다를 경우는, 작업자가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입력부(170)를 통하여 건물의 명칭을 직접 입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의 내부에는 다양한 건물의 명칭을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범례 저장부(127)가 구비되어 있어, 문자 판독부(115)에서 판독한 명칭이 실제 건물의 명칭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200)의 하단에 형성된 범례부(250)에는 상기 범례 저장부(127)를 검색하여 판독한 명칭과 유사한 명칭을 출력하여, 작업자가 동일한 명칭이 있으면 이를 선택함으로써, 건물의 정확한 명칭을 입력하도록 한다.
물론, 건물의 실제 명칭과 동일한 명칭이 없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입력부(170)를 통하여 직접 건물의 명칭을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명칭 저장 단계(S500)에서는 상기 카메라(140)를 통하여 촬영된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 단계(S510)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S510)에서는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에 구비된 이미지 저장부(125)에 건물의 이미지와 GPS 수신기(150)를 통하여 측정한 현재의 위치를 함께 저장하게 된다.
그래서, 추후에 수치지형도를 감수할 때에 해당 건물의 이미지를 빠르게 찾을 수 있어 감수를 용이하게 하는 자료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명칭 저장 단계(S500)에서는 건물 명칭에 따른 건물의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여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수치지형도에 별도의 레이어로 저장하게 되는데, 건물 속성 입력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된 속성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건물의 명칭과 이에 따른 건물의 속성을 분류하여 저장되어 있어, 상기 명칭 판독 단계(S400)에서 판독된 명칭에 대한 건물의 속성을 검색하여, 속성과 명칭 수치지형도에 별도의 레이어로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작업자가 할당된 수치지형도의 건물에 각각의 명칭과 속성을 입력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작업을 하다가 건물을 빠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전술한 단계 다음에는 경고 단계(S6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경고 단계(S600)에서는, 작업자가 할당받은 수치지형도 상의 범위는 상기 제어부(110)에 저장되는데, 작업자가 작업을 끝냈다고 생각하고, 할당받은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GPS 수신기(150)의 정보를 통하여 범위를 벗어난 것을 판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범위 내에 있는 건물들 중에서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 검색하여,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을 경우,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180)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을 빠트리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지형도 상의 건물 명칭과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도를 높이고, 입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수치지형도의 속성 입력 장치 110 : 제어부
115 : 문자 판독부 120 : 데이터 저장부
125 : 이미지 저장부 127 : 범례 저장부
130 : 속성 데이터 베이스 140 : 카메라
150 : GPS 수신기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입력부 180 : 스피커
190 : 통신모듈 200 : 화면
210 : 도면 출력부 220 : 건물 사진 출력부
230 : 건물 명칭 출력부 240 : 명칭 자동 입력부
250 : 범례부
S100 : 동기화 단계 S200 : 건물 선택 단계
S300 : 촬영 단계 S400 : 명칭 저장 단계
S500 : 명칭 판독 단계 S510 : 이미지 저장 단계
S600 : 경고 단계
115 : 문자 판독부 120 : 데이터 저장부
125 : 이미지 저장부 127 : 범례 저장부
130 : 속성 데이터 베이스 140 : 카메라
150 : GPS 수신기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입력부 180 : 스피커
190 : 통신모듈 200 : 화면
210 : 도면 출력부 220 : 건물 사진 출력부
230 : 건물 명칭 출력부 240 : 명칭 자동 입력부
250 : 범례부
S100 : 동기화 단계 S200 : 건물 선택 단계
S300 : 촬영 단계 S400 : 명칭 저장 단계
S500 : 명칭 판독 단계 S510 : 이미지 저장 단계
S600 : 경고 단계
Claims (14)
- GPS 수신기와,
건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수치지형도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GPS 수신기, 카메라, 데이터 저장부, 디스플레이부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이미지 저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건물의 이미지를 저장할 때, 해당 건물의 위치 정보를 같이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할당된 범위를 벗어날 때, 범위 내의 건물 중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속성이 입력되지 않은 건물이 있을 경우,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하여 경보를 울리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화면은, 수치지형도를 출력하는 도면 출력부와,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한 건물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건물 사진 출력부와, 상기 건물의 이미지 중에서 건물의 명칭이 있는 부분만을 출력하는 건물 명칭 출력부와, 건물 명칭을 판독하여 출력하는 명칭 자동 입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는 건물의 명칭이 포함된 이미지에서 건물의 명칭을 판독하는 문자 판독부가 구비되며,
건물의 명칭을 직접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건물의 속성을 분류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선택한 건물의 명칭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할 때, 상기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건물의 명칭에 해당하는 속성을 찾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6068A KR101286151B1 (ko) | 2011-11-08 | 2011-11-08 |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6068A KR101286151B1 (ko) | 2011-11-08 | 2011-11-08 |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0816A KR20130050816A (ko) | 2013-05-16 |
KR101286151B1 true KR101286151B1 (ko) | 2013-07-15 |
Family
ID=486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6068A KR101286151B1 (ko) | 2011-11-08 | 2011-11-08 |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615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9404A (ko) * | 2007-10-18 | 2009-04-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021967B1 (ko) * | 2010-08-05 | 2011-03-16 | 동국지리정보(주) | 전자도화를 이용한 수치지도 생성 방법 |
-
2011
- 2011-11-08 KR KR1020110116068A patent/KR1012861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9404A (ko) * | 2007-10-18 | 2009-04-2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021967B1 (ko) * | 2010-08-05 | 2011-03-16 | 동국지리정보(주) | 전자도화를 이용한 수치지도 생성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0816A (ko) | 2013-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8401B1 (ko) |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 |
KR101938402B1 (ko) |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수치도화 이미지 합성처리시스템 | |
US9619942B2 (en) | Coordinate geometry augmented reality process | |
JP3622094B2 (ja) | 地図更新支援装置および地図情報の編集方法 | |
KR101226085B1 (ko) | 기존 지형정보 및 새로운 지형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 |
KR101494826B1 (ko) | Gps좌표 기반 영상의 부분오류 수정용 이미지영상 처리시스템 | |
KR101803598B1 (ko) | 클라우드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지도 구축 장치 및 방법 | |
KR101938400B1 (ko) | 입체영상지도에서의 보안지역 연출 기능을 갖는 수치도화 처리시스템 | |
JP2005283221A (ja) | 測量データ処理システム、電子地図を格納する記憶媒体及び電子地図表示装置 | |
US11048345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JP6110780B2 (ja) | 付加情報表示システム | |
JP5883723B2 (ja) | 3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 |
JP5602779B2 (ja) | 現場見取図作成システムおよびレーザ計測装置 | |
JP2015118535A (ja) | 施工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工情報管理方法 | |
JP2007188117A (ja) | 崩壊地抽出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22155553A (ja) | 業務管理支援装置、業務管理支援システム、業務管理支援方法および業務管理支援プログラム | |
KR101942065B1 (ko) | 불분명 영상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통한 수정방식의 영상처리 및 관리시스템 | |
JPH1166350A (ja) | 検索型景観ラベリング装置およびシステム | |
JP2005310044A (ja) |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 |
JP2019168756A (ja) | 建設現場端末、建設現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101249825B1 (ko) | 해양지리정보의 가시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286151B1 (ko) | 수치지형도의 건물 속성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
JP2007122247A (ja) | 自動ランドマーク情報作成方法及びシステム | |
KR20220085150A (ko) |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
JP6815290B2 (ja) | 物体識別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