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150A -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150A
KR20220085150A KR1020200174986A KR20200174986A KR20220085150A KR 20220085150 A KR20220085150 A KR 20220085150A KR 1020200174986 A KR1020200174986 A KR 1020200174986A KR 20200174986 A KR20200174986 A KR 20200174986A KR 20220085150 A KR20220085150 A KR 2022008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
scanning
managem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준표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17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5150A/ko
Publication of KR2022008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현실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 있어서, 외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하는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 작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스캐닝 모듈; 및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스캐닝 3D 모델과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설계 모델을 비교하여 현재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로 알려주는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Intelligen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upporting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extended reality}
본 발명은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 다수의 작업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ICT 화는 도면으로서 2D CAD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건설현장의 경우 장애물이 많고 실외 공간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 대해서도 측량이 필요하지만, 사진 측량에 기반한 3D 스캐닝 방법의 경우 스케일 정보의 결핍으로 인해 전문지식을 가진 작업자를 통한 후작업이 요구된다. 그리고 별도로 고비용인 레이저 3D 스캐너의 도입이 요구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 건설현장에서 도입되거나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드론을 이용한 영상 촬영의 경우에도 단순 촬영에 그치고 있어, 건설현장의 작업자가 유용하게 이용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708호 (2015.08.18. 등록) - 3d 스캐너를 이용한 토공량 산정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스케일 보정된 사진 측량 및 3D 스캐닝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공지능으로 다양한 확장현실(VR/AR/MR을 포함하는 XR) 환경에서 건설분야 현장업무를 보조하고 지원할 수 있는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건설현장 공정률을 판단하고, 감리 정보를 매칭하여 건설분야 현장업무를 보조하고 지원할 수 있는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확장현실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 있어서, 외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하는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 작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스캐닝 모듈; 및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스캐닝 3D 모델과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설계 모델을 비교하여 현재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로 알려주는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은,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는 건설 데이터 검색부;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를 3차원 모델링하여 상기 스캐닝 3D 모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상기 스캐닝 3D 모델에 매칭되도록 3차원 모델링하여 상기 설계 모델로 변환하는 3D 모델링부; 및 하고, 상기 스캐닝 3D 모델과 상기 설계 모델을 차분하여 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 영상을 해석하여 현재 작업 공정을 확인하는 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클라우드 서버는 도면 정보, BIM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은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은, 상기 현장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배경 영상을 기준 공간으로 하고, 상기 차 영상을 확장현실 콘텐츠로 구현하여 오버레이시키는 확장현실 구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현실 구동 모듈은, 상기 작업자 단말의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에 대한 XR 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XR 좌표계 내에서 구현되는 확장현실을 관리하는 XR 코어부; 상기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전송한 상기 차 영상을 객체 모델로 불러와 상기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 내에 로딩하는 모델 로딩부; 및 상기 XR 좌표계와 상기 객체 모델에 대한 모델 좌표계를 매칭시키는 좌표계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확장현실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에 있어서,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작업자 단말이 획득한건설현장에 대한 현장 영상을 수신하고 3D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는 각종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 저장함-;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각각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스캐닝 3D 모델과 설계 모델로 변환하고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른 차 영상으로부터 현 단계에서의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이 제공된다.
지원 시스템 서버지원 시스템 서버지원 시스템 서버지원 시스템 서버지원 시스템 서버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스케일 보정된 사진 측량 및 3D 스캐닝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공지능으로 다양한 확장현실 환경에서 건설분야 현장업무를 보조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3D 스캐닝 데이터와 BIM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건설현장 공정률을 판단하고, 감리 정보를 매칭하여 건설분야 현장업무를 보조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
도 3은 확장현실 구동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델링 및 비교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확장현실 구동 모듈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모델링 및 비교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은 건설현장 작업자가 평소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스케일 보정된 사진 측량 및 3D 스캐닝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공지능으로 다양한 확장현실(XR) 환경에서 건설분야 현장업무를 보조하고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100)은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 작업자 단말(120), 외부 클라우드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는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예를 들어, 건설업체 등)에서 운영하는 서버 장치로서, 다양한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적합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한다.
또한,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는 작업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현장 영상을 분석하고 3차원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건설 데이터 중에서 3차원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고, 현장 영상에 대응되도록 해석하고서 작업자 단말(120)에서 출력 가능하게 변환하여 전송한다.
작업자 단말(120)은 건설현장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로서,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전자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범용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작업자 단말(120)은 카메라와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작업자가 위치한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에서 응답으로 전송한 건설현장에 관한 확장현실 콘텐츠(XR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단독으로 혹은 현재 촬영되는 현장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작업 상황에 대해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외부 클라우드 서버(130)는 각종 건설 데이터가 보관 저장되어 있는 저장소로서,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다.
외부 클라우드 서버(130)에는 DWG 등의 캐드 파일, PDF 파일, 그림 파일, 워드프로세서 파일 등으로 이루어진 도면 정보와 건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클라우드 서버, IFC, Revit 플러그인을 통해 익스포트(export)된 데이터인 BIM 데이터와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클라우드 서버, 엑셀 등으로 이루어진 공정 정보와 시방서 등의 제3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클라우드 서버 중 하나 이상의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는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111), 3D 스캐닝 모듈(113),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 DB 관리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111)은 외부 클라우드 서버(130)에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하여 다양한 건설 데이터(제1 건설 데이터 내지 제3 건설 데이터 중 하나 이상)를 수집하고, 이를 현장 업무 지원을 위해 필요한 포맷으로 변환한 후 별도의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현장 업무 지원을 위해 필요한 포맷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확장현실(XR)에서 이용 가능한 콘텐츠일 수 있다.
다양한 건설 데이터에서 캐드 파일, BIM 데이터 등에서 추출한 설계 도면은 이미지화하고, 각종 설계 정보는 텍스트화한 후 서로 매칭시켜 하나의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화된 데이터의 경우, 확장현실에서의 적용을 위해 그 배경은 투명하게 설정됨으로써, 단말 화면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출력 영상에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3D 스캐닝 모듈(113)은 작업자 단말(120)에서 전송되는 현장 영상을 분석하고, 3D 포인트 클라우드화하여 3D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한다.
현장 영상은 작업자가 위치한 건설현장에 대해 여러 방향에서 다각도로 촬영한 복수의 2D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2D 이미지는 각 이미지가 생성된 위치에 관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3D 스캐닝 모듈(113)은 위치에 관한 부가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수의 2D 이미지를 스티칭 등의 방식으로 병합함으로써 건설현장에 관한 3D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3D 스캐닝 데이터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보관 관리될 수 있다.
3D 스캐닝 모듈(113)은 예를 들어 SFM(Structure from motion), 멀티뷰 스테레오(Multi-view Stereo), 표면 재구성(Surface Reconstruction) 등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SFM은 영상을 기반으로 6 DOF 카메라 모션을 추정하는 기술이고, 멀티뷰 스테레오는 카메라 모션을 기반으로 환경을 3D 포인트 클라우드로 복원하는 기술이며, 표면 재구성은 3D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조화된 표면(textured surface)을 복원하는 기술이다.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은 현장영상을 전송한 작업자 단말(120)로 작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확장현실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현장 업무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은 3D 모델링부(151), 건설 데이터 검색부(153), XR 콘텐츠 변환부(155), 감리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3D 모델링부(151)는 3D 스캐닝 모듈(113)에 의해 생성된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작업자가 위치한 건설현장에 대한 3D 모델을 구현한다. 건설 데이터 검색부(153)는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건설현장에 관한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XR 콘텐츠 변환부(155)는 검색된 변환 건설 데이터를 확장현실 콘텐츠화하여 현장 영상을 전송한 작업자 단말(120)로 혹은 원격에서 협업하고자 하는 협업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은 현장 영상으로부터 생성한 3D 스캐닝 데이터도 변환 건설 데이터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작업자 단말(120)에서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구역에 대응되는 변환 건설 데이터를 매칭하여 오버레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은 작업자 단말(120)을 소지한 작업자 또는/및 협업자 단말을 소지한 협업자의 성향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종류의 변환 건설 데이터 중 선별된 종류의 변환 건설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전송 대역폭을 줄임으로써 보다 빠르면서도 사용자 맞춤형 응답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감리부(157)는 3D 모델링부(151)에서 구현된 건설현장의 현재 상황(300)에 대한 스캐닝 3D 모델(310)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변환 건설 데이터에서 추출 혹은 변환된 설계 모델(320)을 비교하고, 현재 작업상황에 따른 감지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도 5 참조).
스캐닝 3D 모델(310)은 현재 건설현장에 대해 작업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스캐닝한 복수의 2D 이미지를 이용하여 스캐닝 및 모델링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이다.
설계 모델(320)은 변환 건설 데이터 중 BIM 데이터 혹은 도면 정보와 같이 건설현장에 대해 설계된 구조를 나타내도록 가상의 3차원 모델링이 가능한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이다.
설계 모델(320)의 경우, 작업 시기 별로 완료되었어야 할 부분들만이 선택적으로 보여지게 모델링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캐닝 3D 모델(310)과 설계 모델(320)은 3D 모델링부(151)에 의해 3D 모델링될 수 있다.
스캐닝 3D 모델(310)과 설계 모델(320)을 비교, 예컨대 차분함으로써 두 모델링 데이터 차이 값인 3D 모델링 차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감리부(157)는 3D 모델링 차 영상을 통해 현재 공사 단계를 파악하고, 사전 설정된 공사 단계(공정률)를 따를 때 아직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리부(157)는 3D 모델링 차 영상을 해석함으로써 현 시점에서 작업자가 진행해야 하는 작업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작업자 단말(120)로 진행 필요 작업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가 현 단계에서 적절한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DB 관리 모듈(117)은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에서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DB 관리 모듈(117)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111)에서 변환된 변환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는 건설 정보 데이터베이스, 3D 스캐닝 모듈(113)에서 생성된 3D 스캐닝 데이터를 저장하는 현장 모델 데이터베이스, 건설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 관리자 등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20)은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와 각종 데이터(정보, 콘텐츠 등을 포함)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작업자 단말(120)은 영상 획득 모듈(121),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음성 명령 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 모듈(121)은 작업자 단말(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재 작업자가 위치한 건설현장에 관한 현장 영상을 복수의 2D 이미지로 획득한다.
작업자가 확장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에 대해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복수의 2D 이미지가 현장 영상으로 만들어져,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확장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작업현장의 상하좌우를 동영상 촬영하듯이 스캐닝 동작을 취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선별되어 연사된 사진과 같이 복수의 2D 이미지를 갖는 현장 영상이 획득될 수도 있다.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은 작업자 단말(12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고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현장 화면에 해당 건설현장에 관한 각종 건설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확장현실(XR)을 구동시킨다.
작업자 단말(120)이 전송한 현장 영상에 대응되어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로부터 응답된 변환 건설 데이터가 확장현실 콘텐츠가 된다. 예컨대, 해당 건설현장에 대응되는 BIM 데이터가 검색되어 확장현실 콘텐츠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 획득 모듈(121)은 벡터촬영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벡터촬영정보 검출부는 촬영대상(예컨대, 건설현장의 각 객체(피사체))에 대한 벡터촬영정보(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벡터촬영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벡터촬영정보는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대상, 즉 피사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촬영시점의 시간정보, 카메라의 3차원 위치에 대한 촬영위치정보, 카메라의 렌즈축이 향하는 방위에 대한 방위정보, 카메라의 렌즈축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직기울기 정보, 촬영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에 대하여 기울어진 수평기울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추가적으로 카메라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인 거리정보, 렌즈화각 정보, 촬영프레임 크기와 비율 정보, 단말 정보(단말 시리얼 번호, 모델 번호, 전화번호 등), 촬영된 이미지의 메타파일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벡터촬영정보 검출부는 위치 검출부, 방위각 검출부, 수직기울기 검출부, 수평기울기 검출부, 거리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는 촬영하는 장소(건설현장)의 위치 정보, 즉 카메라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위치 검출부는 실외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GPS에 의한 위치 정보 외에도 실내의 경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한 위치 정보, 이동통신을 통한 위치 정보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방위각 검출부는 카메라의 렌즈축이 향하는 방위각을 나타내는 방위 정보를 획득한다. 방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위각은 카메라의 피사체를 향한 렌즈축이 진북(North)과 이루는 수평각, 즉 카메라에서 촬영대상을 향한 방향이 진북과 이루는 수평각을 의미하며, 진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방위각은 0 ~ 36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수직기울기 검출부는 수직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기울기는 카메라의 피사체를 향한 렌즈축이 중력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공에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수직기울기는 0˚이고,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공을 촬영하는 경우 수직기울기는 180˚이다.
수평기울기 검출부는 수평기울기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수평축이 지평선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수직기울기와 수평기울기의 검출은 3차원 중력센서 등 최신 센서를 활용하여 촬영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처리할 수 있다.
거리 검출부는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촬영거리 정보를 제공한다.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 거리측정 센서,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 레이저 거리 측정기 등 다양한 계측기를 이용할 수 있다.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은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카메라가 촬영 중인 촬영 화면에 대해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에서 수신한 변환 건설 데이터 중 일부 혹은 전체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한다.
변환 건설 데이터는 확장현실 콘텐츠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변환 건설 데이터에는 BIM 데이터(혹은 도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은 전술한 영상 획득 모듈(121)에서 검출되는 벡터촬영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파악하고, BIM 데이터(혹은 도면 정보)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자세를 매칭시킨 후 사용자의 시야에 보여지게 될 화면(즉, 설계된 현장 화면)을 시각화하여 현재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 화면을 배경 영상으로 하고, 배경 영상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현실 콘텐츠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크기에 맞도록 스케일 보정된 후 배경 영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스케일 보정을 위해 건설현장에는 미리 설정된 마커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은 XR 코어부(161), 모델 로딩부(163), 좌표계 매칭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XR 코어부(161)는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에 대한 XR 좌표계를 설정하고, XR 좌표계 내에서 구현되는 확장현실을 전체적으로 관리한다.
확장현실 구현의 배경이 되는 3차원 공간 내에서 임의의 좌표(혹은 미리 지정된 좌표)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에 의해 XR 좌표계가 설정될 수 있다.
XR 좌표계에는 배경 영상의 실제 크기가 반영될 수 있다. XR 코어부(161)는 XR 좌표계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위치 A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위치 추정에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SLAM 알고리즘에 의하면, 3차원 공간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고, 동시에 공간의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SLAM 알고리즘의 경우 다음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카메라의 위치 혹은 회전에 의해서도 불변하는 공통점에 해당하는 MSHC(Multi-Scale Harris corner) 특징점과 SIFT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이 되어, 이미지를 input으로 입력하면 자동으로 특징점의 위치 및 값이 output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기법을 통해 물체를 인식한다.
그리고 물체 인식이 이루어지면, 인식된 물체의 중심점까지의 정확한 거리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물체의 중심점은 가장 근접한 표면의 중심점일 수 있다.
모델 로딩부(163)는 사용자(작업자)가 희망하는 객체 모델(즉, 변환 건설 데이터)을 불러와 XR 코어부(161)에 의해 관리되는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XR 공간) 내에 로딩한다.
좌표계 매칭부(165)는 XR 코어부(161)에서 생성된 XR 좌표계와 객체 모델에 대한 모델 좌표계를 매칭시킨다.
XR 좌표계는 현재 확장현실을 구현하고자 하는 배경 영상의 3차원 공간(XR 공간)에 관한 좌표계로서, XR 코어부(161)에 의해 획득된다. 확장현실을 구현하는 기본 공간에 해당하므로, XR 좌표계가 기본 좌표계가 된다. XR 좌표계에서는 현재 XR 공간에 대응되는 카메라 위치 A를 추정할 수 있다.
모델 좌표계는 객체 모델이 가지는 좌표계이다. 객체 모델이 BIM 데이터인 경우 가상의 카메라와 대상 객체의 위치 상관관계에 따라 생성된 좌표계이다. 모델 좌표계의 경우 해당 객체 모델이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때, 해당 객체 모델이 그렇게 표시되도록 하는 카메라 위치 B를 추정할 수 있다.
XR 좌표계에서의 카메라 위치 A와 모델 좌표계에서의 카메라 위치 B를 정합시킬 경우, 좌표계 매칭이 이루어지며, 객체 모델이 XR 좌표계에 대응되는 크기로 스케일링되어 확장현실 공간 내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에서는 변환 건설 데이터가 확장현실 콘텐츠화되어 표시됨으로써, 작업자는 카메라를 통해 현재 촬영하고 있는 건설현장에 대한 각종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음성 명령 모듈(125)은 작업자 단말(120)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작업자 음성 명령을 해석하고, 이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건설현장에서는 작업자가 건설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손의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이 경우 작업자가 음성으로 용이하게 원하는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작업자 단말(120)에서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단계 S200). 여기서, 작업자 단말(120)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스마트폰일 수 있다.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작업자 단말(120)의 카메라에 대한 제어권한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영상 획득 모듈(121)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건설현장에 대한 영상(현장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단계 S205).
작업자 단말(120)에서 획득한 현장 영상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110)로 전송되고, 3D 스캐닝 모듈(113)에 의해 현장 영상이 분석된다(단계 S210). 여기서, 현장 영상에 기초하여 3D 스캐닝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현장 업무 지원 모듈(115)은 분석된 현장 영상에 대응되는 변환 건설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단계 S215). 변환 건설 데이터는 BIM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111)에 의해 외부 클라우드 서버(130)에서 수집되고 서버에서 활용 가능한 포맷(3D 모델링)으로 변환되어 있을 수 있다.
감리부(157)는 3D 스캐닝 모듈(113)에 의해 생성된 현 단계에서 건설현장(300)에 관한 3D 스캐닝 데이터에서 구현된 스캐닝 3D 모델(310)과, 검색된 변환 건설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설계 모델(320)을 비교한다(단계 S220).
스캐닝 3D 모델(310)과 설계 모델(320)은 모두 3D 모델링 데이터인 바, 차분함으로써 차 영상(330)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차 영상(330)을 분석하면, 설계 모델(320) 대비 스캐닝 3D 모델(310)에 아직 구현되지 않은 부분들이 부각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이러한 차 영상(330)을 통해 감리부(157)는 작업 공정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225). 예를 들면, 현 단계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후속 작업 종류, 현 단계까지 진행되었어야 하지만 진행되지 못한 작업 종류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확인된 작업 공정에 따라 작업자 단말(120)로 진행 필요 작업 정보를 전송하여 작업자가 현 단계에서 적절한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자 단말(120)을 통해 진행 필요 작업 정보를 확인하고, 후속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작업자 단말(120)로 전송되는 진행 필요 작업 정보에는 차 영상(330)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단말(120)에서는 차 영상(330)을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후속 작업을 안내해 줄 수 있게 된다.
작업자 단말(120)에 전송되는 차 영상(330)은 작업자 단말(120)의 확장현실 구동 모듈(123)에서는 확장현실 콘텐츠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된 확장현실 콘텐츠는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현장 영상(배경 영상)에 대해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좌표계 매칭부(165)에서는 배경 영상을 보여주는 카메라가 기준이 되는 XR 좌표계와, 차 영상(330)의 기준이 되는 모델 좌표계를 서로 매칭함으로써, 카메라 시선이 동일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전술한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110: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111: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
113: 3D 스캐닝 모듈 115: 현장 업무 지원 모듈
117: DB 관리 모듈 120: 작업자 단말
121: 영상 획득 모듈 123: 확장현실 구동 모듈
125: 음성 명령 모듈 130: 외부 클라우드 서버
151: 3D 모델링부 153: 건설 데이터 검색부
155: XR 콘텐츠 변환부 157: 감리부
161: XR 코어부 163: 모델 로딩부
165: 좌표계 매칭부

Claims (6)

  1. 확장현실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 있어서,
    외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하는 건설 데이터 변환 모듈;
    작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현장 영상을 분석하여 3D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스캐닝 모듈; 및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스캐닝 3D 모델과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에 대응되는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설계 모델을 비교하여 현재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로 알려주는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업무 지원 모듈은,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는 건설 데이터 검색부;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를 3차원 모델링하여 상기 스캐닝 3D 모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상기 스캐닝 3D 모델에 매칭되도록 3차원 모델링하여 상기 설계 모델로 변환하는 3D 모델링부; 및
    하고, 상기 스캐닝 3D 모델과 상기 설계 모델을 차분하여 차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차 영상을 해석하여 현재 작업 공정을 확인하는 감리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라우드 서버는 도면 정보, BIM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건설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은 건설현장에 대한 현장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은,
    상기 현장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및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배경 영상을 기준 공간으로 하고, 상기 차 영상을 확장현실 콘텐츠로 구현하여 오버레이시키는 확장현실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현실 구동 모듈은,
    상기 작업자 단말의 단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에 대한 XR 좌표계를 설정하고, 상기 XR 좌표계 내에서 구현되는 확장현실을 관리하는 XR 코어부;
    상기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전송한 상기 차 영상을 객체 모델로 불러와 상기 배경 영상 내의 3차원 공간 내에 로딩하는 모델 로딩부; 및
    상기 XR 좌표계와 상기 객체 모델에 대한 모델 좌표계를 매칭시키는 좌표계 매칭부를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6. 확장현실에 기반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업무를 지원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수행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에 있어서,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에서 작업자 단말이 획득한건설현장에 대한 현장 영상을 수신하고 3D 스캐닝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는 각종 건설 데이터를 수집하고 미리 설정된 포맷을 가지는 변환 건설 데이터로 변환 저장함-;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에 대응되는 변환 건설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3D 스캐닝 데이터와 상기 변환 건설 데이터를 각각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스캐닝 3D 모델과 설계 모델로 변환하고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른 차 영상으로부터 현 단계에서의 작업 공정을 확인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에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방법.
KR1020200174986A 2020-12-15 2020-12-15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085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86A KR20220085150A (ko) 2020-12-15 2020-12-15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86A KR20220085150A (ko) 2020-12-15 2020-12-15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50A true KR20220085150A (ko) 2022-06-22

Family

ID=8221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86A KR20220085150A (ko) 2020-12-15 2020-12-15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51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1356A (zh) * 2023-03-06 2023-05-05 中国市政工程西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用于设计企业的设计图缺陷智慧检查平台及检查方法
CN116432989A (zh) * 2023-06-13 2023-07-14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建造的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08B1 (ko) 2015-03-02 2015-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스캐너를 이용한 토공량 산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08B1 (ko) 2015-03-02 2015-08-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스캐너를 이용한 토공량 산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1356A (zh) * 2023-03-06 2023-05-05 中国市政工程西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用于设计企业的设计图缺陷智慧检查平台及检查方法
CN116071356B (zh) * 2023-03-06 2023-06-16 中国市政工程西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用于设计企业的设计图缺陷智慧检查平台及检查方法
CN116432989A (zh) * 2023-06-13 2023-07-14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建造的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CN116432989B (zh) * 2023-06-13 2023-09-22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建造的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ollmann et al. Augmented reality for construction site monitoring and documentation
EP32466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ferencing a displaying device relative to a surveying instrument
JP5766795B2 (ja) 拡張現実環境の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ベースのコンテンツマッピング
KR101260576B1 (ko) Ar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그 방법
JP5093053B2 (ja) 電子カメラ
KR20220085142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96089A1 (en) Enabling use of three-dimensonal locations of features with two-dimensional images
JP7073850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入力方法
JP6180647B2 (ja) クラウドポイントを利用した屋内地図構築装置および方法
KR101181967B1 (ko) 고유식별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실시간 거리뷰시스템
US20180204387A1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system, and image generation method
Barrile et al. Geomatics and augmented reality experiments for the cultural heritage
KR20220085150A (ko) 확장현실 기반 지능형 건설현장 관리 지원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90114696A (ko) 표고차를 고려한 지하관로의 관리를 위한 증강 현실 표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23546825A (ja) 統合画像フレームを用いた深度ベースの3次元モデルレンダリング
JP6928217B1 (ja) 測定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02131B1 (ko) 시뮬레이션 파노라마 실내영상 제작 시스템
US20230326098A1 (en) Generating a digital twin representation of an environment or object
KR20210050997A (ko) 포즈 추정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836337B (zh) Bim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damczyk et al.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for crime scene documentation
KR10245855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 분야 시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iu et al. System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on-site BIM viewe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SLAM and BLE indoor positioning
KR20150020421A (ko) 휴대용 측량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의 측량 시스템
KR100782152B1 (ko) 3차원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항공사진 db로부터건물의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