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932B1 -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반응기 - Google Patents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932B1
KR101285932B1 KR1020067022072A KR20067022072A KR101285932B1 KR 101285932 B1 KR101285932 B1 KR 101285932B1 KR 1020067022072 A KR1020067022072 A KR 1020067022072A KR 20067022072 A KR20067022072 A KR 20067022072A KR 101285932 B1 KR101285932 B1 KR 101285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ized bed
temperature
gas
heat exchanger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8917A (ko
Inventor
마르틴 손
에크하르드 스트로에페르
올가 슈베르트
토마스 그라쓸러
마르틴 피에네
마르틴 세싱
로타 세이데만
크리스티안 발스도르프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07001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1836Heating and cooling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1872Details of the fluidised bed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according to "fluidised-bed" techn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7/00Halogens; Halogen acids
    • C01B7/01Chlorine; Hydrogen chloride
    • C01B7/03Preparation from chlorides
    • C01B7/04Preparation of chlorine from hydrogen 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15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in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132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212Plates; Jackets; Cylin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온도가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을 가로질러 분포하고,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10 K 이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층 (5)에서 화학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로서,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 (12), (28)가 유동층 (5)에 배열되어 온도 분포를 조절하는 유동층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 반응기 {FLUIDIZED BED METHOD AND REACTOR FOR CARRYING OUT EXOTHERMIC CHEMICAL EQUILIBRIUM REACTIONS}
본 발명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의 예로는, Deacon이 1868년에 개발한, 산소를 이용하여 염화수소를 촉매적 산화시켜 염소를 발생시키는 공정이 있다.
염소로의 염화수소 전환은 염소 생성이 클로르알칼리 전기분해에 의한 수산화나트륨 생성과는 분리되게 하여준다. 이와 같은 분리는 염소에 대한 세계적 수요가 수산화나트륨에 대한 수요보다 훨씬 강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매력적이다. 또한, 염화수소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시 예를 들어 포스겐화 반응에서 공생성물(coproduct)로서 다량 수득된다. 이소시아네이트 제조시에 형성되는 염화수소는 에틸렌을 1,2-디클로로에탄으로 옥시클로르화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며, 상기 1,2-디클로로에탄은 추가로 비닐 클로라이드, 최종적으로 PVC로 가공된다. 이에 따라, Deacon 공정은 이소시아네이트 생성과 비닐 클로라이드 생성을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준다.
Deacon 공정에서, 평형의 위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목적하는 최종 산물의 관점에서 덜 우호적으로 된다. 따라서, 활성이 매우 높고 저온에서도 반응이 진행되게 하여주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Deacon 반응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촉매로는, 예를 들어 GB 1,046,313, DE-A 197 48 299, 또는 DE-A 197 34 41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지지체 재료상의 루테늄 화합물이 있다.
더욱 적합한 촉매로는, 예를 들어 US 4,828,815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산화크롬을 기재로 한 촉매가 있다.
지지화된 구리 화합물을 촉매로서 사용하여 Deacon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의 사용이 [J.T. Quant 등, The Shell Chlorine Process which appeared in The Chemical Engineer, July/August 1963, CE 224 ~ CE 232면]에 기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S. Furusaki, Catalytic Oxidation of Hydrogen Chloride in a Fluid Bed Reactor, Al-ChE Journal, Vol. 19, No. 5, 1973, 1009 ~ 1016면]에서도 Deacon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의 사용을 기재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촉매는 CuCl2, KCl 및 SnCl2의 혼합물이 있다.
유동층 공정은 일반적으로, 본질적으로 등온적인 온도 분포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고정층 공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열점, 즉 국부적인 과다가열 영역을 피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참조, 예를 들어 [Daizo Kunii 및 Octave Levenspiel, Fluidization Engineering, 2nd edition, 1991, 313면]). 이는 특히 염화수소를 염소로 불균질 촉매화된 기상 산화하는 것과 같은 발열 반응에 이용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반응을 등온성있게 수행하는 것이 항상 유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에, 예를 들어, Deacon 공정에서의 염소 수율은, 반응이 초기에는 비교적 고온에서 수행되다가 전환이 평형 전환에 도달하게 되는 즉시, 온도가 감소될 때에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시공간 수율, 즉,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공정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반응기 부피 및 동일한 반응 시간에서 더욱 높은 수율이 얻어지게 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공정이 수행되는 유동층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에서 유동 방향에 따른 온도 분포가 있고,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 사이의 온도차가 10 K 이상인 공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문맥에서, 유동 방향이란, 기체가 유동층 아래에 위치한 기체 분배기로부터 유동층 표면에까지 유동층 내에서 유동하는 방향이다. 예를 들어, 기체 분배기는 다공 플레이트 또는 기체 분배기 노즐이 그 위에 분포되어 있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유동층 반응기는 통상적으로 실린더형 또는 대략 회전 대칭형인 기하구조를 가지며, 그를 통하는 유동은 통상적으로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발생한다. 의미상, 상기에서 명시한 유동 방향은 또한 축 유동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유동층 내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하여 전체 유동층 높이 도처에서 서로 크게 상쇄되는 방사형 유동과는 별개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유동층 내의 온도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온도가 유동 방향을 따른 절대 온도 최대점 (즉, 전체 유동층에서의 최대 온도)에서부터 유동층 표면까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목적에서, 표면이란 기체가 유동층을 빠져나가는 유동층 영역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대응하는 상기와 같은 온도 분포의 이점은 개선된 시공간 수율이다. 더욱 낮은 출발 온도는 매우 높은 열역학적 평형 전환을 달성하는데에 필수적인 한편, 유동층 내에서의 더욱 높은 온도는 동역학적 이유에서 유익하다.
유동층 표면에까지 온도가 감소함에 따른 추가적 이점은, 승온에서 휘발성인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촉매계가 더욱 우수한 장기간 안정성을 갖고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촉매로는, 예를 들어 지지된 루테늄 화합물이 있다. 유동층 표면에까지 온도가 감소함에 따른 결과로서, 휘발성 촉매 화합물이 유동층의 상부 구역에 있는 더 차가운 촉매 입자에 의해 다시 포획될 수 있고, 상기 입자와 함께 아래의 유동층 하부 구역으로 연속하여 운반될 수 있게 된다.
유동층 내의 온도 최대점과, 상기 온도 최대점 위의 위치에서 본 발명의 공정에 있는, 즉, 유동층 표면 근방에 있는 최저 온도 간의 차이는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특히 바람직한 공정의 변형예에서, 온도는 유동 방향을 따른 절대 온도 최대점에서부터 기체 분배기 및 유동층 표면 모두에까지 감소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공정 변형예에서, 절대 온도 최대점에서 기체 분배기까지의 거리는 절대 온도 최대점에서 유동층 표면에까지의 거리보다 더 짧다.
반응 기체가 기체 분배기를 통해 유동층으로 도입될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유동층에서 발생하는 최저 온도 미만이다. 발열 반응의 경우, 이는, 절대 온도 최대점에 도달될 때까지, 유동층내의 온도가 초기에 유동 방향으로 증가하게 하여준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 이는 열 교환기 용량이 감소되게 하여 주고, 이에 따라 자본 비용이 감소되게 하여주는데, 이는 첫째, 더욱 작은 양의 열이 공급 기체에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둘째, 상기 더욱 차가운 공급 기체가 발열 반응에서 방출된 열의 대부분을 유동층에서 직접 흡수할 수 있어서, 유동층에 장착된 열 교환기를 이용하여 유동층에서 제거될 열의 양이 더욱 작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유동층에서의 온도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열층 내의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로 열 전달됨으로써 조절된다. 오직 하나의 열 교환기가 사용될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유동층의 오직 일부에만 위치한다. 이에,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유동층의 하부에는 열 교환기가 없고, 따라서 반응 열이 그곳에서는 제거되지 않는다. 이로써, 온도가 발열 반응으로 인해 상승된 후에는 온도가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 때, 반응 열을 제거하는 열 교환기는 유동층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는 유동층의 상부에서 더욱 낮은 온도가 설정되도록 하여준다.
한 구현예에서, 유동층은 2개의 온도 지대로 나뉘어진다. 유동층에 복수개의 열 교환기가 위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유동층 중간에 열 교환기가 위치하도록 하면, 2개 초과의 온도 지대가 설정되게 된다.
유동층 반응기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기체 분배기 플레이트와, 기체 분배기 위에 있는 가장 가까운 열 교환기 사이의 거리는 25 cm 이상, 특히 50 cm 이상이다. 기체 분배기와 열 교환기 사이의 최적 거리는 기체 산출량, 공급 기체의 온도, 기포 형성 특성 및 사용되는 촉매 함수로서의 반응 속도에 의존한다. 기체 분배기 플레이트와 열 교환기 사이에서 온도가 적당하게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25 cm 이상의 거리가 통상 필수적이다. 그러나, 반대로, 과도하게 크게 온도가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절대 온도 최대점과 상기 온도 최대점 위의 위치에서의 최저 온도 사이의 차이가 과도하게 크게 되는 것도 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기체 분배기 플레이트와 열 교환기 사이의 거리는 10 m 이하, 바람직하게는 6 m 이하, 특히 3 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거리는 2 m 이하이다.
유동층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공탑 기체 속도 (superficial gas velocity)가 1 내지 5 m/s인 터불런트(turbulent) 유동층으로서, 공탑 기체 속도가 0.5 내지 2 m/s인 고도 팽창(highly expanded) 유동층으로서, 또는 공탑 기체 속도가 0.01 내지 1 m/s인 기포 형성 유동층으로서 설계된다. 유동층 반응기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탑 기체 속도가 0.05 내지 0.50 m/s인 기포 형성 유동층으로서 설계되는데, 이는 특히 바람직한 열 전달 및 특히 바람직한 물질 전달이 상기 공탑 기체 속도에서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탑 기체 속도는 작업 조건 하에서의 기체 부피 유 량을 반응기의 자유 단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또한, 2개의 열 교환기 사용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열 교환기는 유동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의 열 교환기는 유동층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이한 양의 열이 열 교환기에서 흡수되거나 방출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온도 분포는 또한, 각 경우마다 2개의 온도 지대 사이에 하나 이상의 분할 플레이트를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목적에서, 온도 지대는 유동층에서 온도가 대략 일정한 구역이다. 적합한 분할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다공 플레이트 또는 스크린 플레이트이다. 유동층의 혼합이 분할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손상되어, 더욱 소량의 유동화된 과립 재료가 분할 플레이트의 위치에서 발생중인 기체 기포와 함께 비말 동반되고, 그와 동시에, 더욱 소량의 유동화된 과립 재료가 분할 플레이트를 통해 기체 기포의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분할 플레이트 아래의 유동층 구역 내로 유동한다. 이는 대류성 열 전달을 손상시키므로, 명확한 온도 경계부가 분할 플레이트 구역에서 확립된다. 유동층에서 더욱 개선된 온도 지대의 분리는 단열 작용이 있는 분할 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열 교환기는 본 발명의 유동층 반응기에 있는 하나 이상의 온도 지대에 위치하여 유동층을 둘 이상의 온도 지대로 분할한다.
유동층 반응기의 추가의 구현예에서, 2개의 온도 지대는 각각 분할 플레이트에 의해서 분할된다. 상기 분할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 플레이트로서 또는 다공 플레이트로서 형성된다.
분할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들은 원뿔대 모양의 개공부를 가진 다공 플레이트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아랫면, 즉, 유동이 발생하는 면에서 개공부 직경은 윗면에서의 개공부 직경보다 더 작다.
분할 플레이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cm이다.
다공 플레이트 아랫면의 개공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평균 기체 기포 직경보다 더 작다. 아랫면의 개공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8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cm이다. 윗면에서의 개공부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cm이다. 상부 홀(hole) 직경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평균 기체 기포 직경보다 더욱 크도록 선택된다.
개공부 각, 즉, 개공부 측면 벽과 개공부 중심축 사이의 각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기체 기포의 팽창 각보다 크도록, 유동화된 과립 재료가 기체 유동과 반대인 방향으로 개공부의 측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것이 가능해지기 위해서, 및 정지층이 개공부 측면에 형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개공부 각은 과립 재료 층의 안식 각보다 크다. 여기서, 안식 각이란 느슨해진 층(loose bed)에 있는 과립 재료가 막 빠져나가기 시작하는 각이다.
개공부 각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의 범위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2개의 온도 지대 사이에 있는 분할 플레이트는 단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경우, 분할 플레이트를 만드는 재료는 유동층의 온도에서 안 정하다. 이에, 예를 들어 유동층에서 온도가 200℃ 이상일 경우 세라믹 또는 유리가 적합하다.
단열 재료로 만들어지는 분할 플레이트와는 별개로, 추가의 구현예에서, 분할 플레이트는 또한 열 단열성 층을 가질 수 있다. 본 목적에서, 분할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유동층으로부터 방기성(gastight) 및 방액성(liquid-tight) 방식으로 흐름을 막는 중공체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중공 공간은, 예를 들어 진공화되어 있거나 또는 주변 압력에서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공간은 유리 섬유 또는 암면과 같은 단열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가 중공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분할 플레이트에 입구와 출구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식에서, 분할 플레이트는 추가의 열 교환기로서 이용될 수 있다.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반응의 경우, 유동화된 과립 재료가 촉매를 함유한다. 이 경우에서, 과립 재료의 개별 입자는 각각 촉매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촉매 재료가 그 표면에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촉매는 산화성 지지체상에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금속 성분의 예로는 루테늄 또는 구리 화합물이 있다. 산화성 지지체로서, 알루미늄 산화물, 특히 γ-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δ-알루미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또는 티탄 산화물 또는 상기 산화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화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이 3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 ㎛, 특히 50 내지 80 ㎛인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 입자 크기가 < 20 ㎛인 미세 분획물은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특히 20 중량% 미만이다.
유동층 반응기가 염소로의 염화수소 산화에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GB 1,046,313, DE-A 197 48 299, 또는 DE-A 197 34 412에 공지된 루테늄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DE-A 102 44 996에 기재되어 있는, 0.001 내지 30 중량%의 금, 0 내지 3%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 토금속, 0 내지 3 중량%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 0 내지 1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희토류 금속, 및 0 내지 10 중량%의, 루테늄,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은, 구리 및 레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금속을 지지체 상에 포함하는 금계 촉매 (상기 각 경우는 촉매 전체 중량을 기초로 한 것임)가 또한 적합하다.
상기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의 물 흡수에 대응하는 양의 루테늄 클로라이드 수화물 수용액으로 γ-알루미늄 산화물을 함침시킨 뒤, 이를 100 내지 200℃에서 건조시키고, 최종적으로 이를 공기 대기 중 400℃에서 소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촉매 중 루테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특히 1.5 내지 3 중량% 이다.
복수개의 열 교환기를 사용할 경우, 각각의 열 교환기는 그 자신의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열 교환기를 병렬로 연결할 경우, 개별 열 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양의 열이 개별 열 교환기에 의해 흡수 또는 방출되도록, 상이한 열 전달 면적을 갖는다. 열 교환기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개별 열 교환기에서 열 전달 매질의 압력이 상이하도록, 펌프 또는 절기판(throttle) 밸브를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 사이에 위치시킨 다. 특히, 열 전달 매질로서 액체를 끓이거나 또는 응축시킬 경우, 상이한 온도가 압력의 함수로서 열 교환기에서 확립된다.
유동층으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비등수 (boiling water)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비등수가 다량의 열을 일정 온도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비등수의 온도는 모든 물이 증발했을 경우에만 변한다. 비등 온도는 압력에 의존한다. 비등수의 압력이 높을수록 비등 온도도 높아진다. 유동층내 온도가 높은 경우, 그의 온도가 유동층의 온도보다 낮은 염 용융물 (salt melt)도 열 제거에 적합하다. 비등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을 도입하는 것 및 유동층으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것 모두에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열 전달 매질로는, 예를 들어 서멀 오일(thermal oil)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추가의 열 전달 매질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의 도식도 및 그 반응기에서의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의 제2 구현예 및 그 반응기에서의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도 3은 원뿔대 모양의 개공부가 있는 다공 플레이트로 형성된 분할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3의 분할 플레이트의 개공부를 통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층 반응기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의 도식도 및 그 반응기에서의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유동층 반응기 (1)은 윈드박스(windbox) (3), 기체 분배기 (4), 유동층 (5), 이탈 지대 (9) 및 하나 이상의 고체 침전기 (10)를 포함한다. 공급 기체는 윈드박스 (3)으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가스의 도입은 화살표 (2)로 표시된다. 윈드박스 (3)으로의 기체 도입은, 여기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또는 그 밖에 측면으로부터일 수 있다. 윈드박스 (3)에서, 기체는 기체 분배기 (4)를 통해 유동층 (5) 내로 유동한다. 기체 분배기 (4)의 기능은 기체가 유동층 (5) 내로 균일하게 유동하도록 하여, 기체와 고체의 우수한 혼합이 유동층 (5)에서 달성되도록 하여주는 것이다. 기체 분배기 (4)는 다공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기체 분배기 노즐이 그 위에 분포되어 있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공급 기체를 생성물로 전환시키는 것은 유동층 (5)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공급 기체는 염소 제조에 대하여는 염화수소 및 산소이다.
도 1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유동층 (5)는 제1 온도 지대 (6)와 제2 온도 지대 (8)로 나뉜다. 이 경우, 발열 반응이 유동층 반응기 (1)에서 수행될 때 제1 온도 지대 (6)의 온도가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열에 의존하도록 하기 위해, 열 교환기를 제1 온도 지대 (6)에 장착하지 않는다.
유동층의 과립 재료를 혼합함으로 인하여, 제1 온도 지대 (6)의 온도에서 제2 온도 지대 (8)로의 온도 이행이 유동층 (5)의 비교적 큰 구역에 걸쳐 발생한다.
보다 첨예한 온도 이행은, 제1 온도 지대 (6)와 제2 온도 지대 (8) 사이에 분할 플레이트 (7) (도 2 참조)를 배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분할 플레이트는, 기체 기포가 분할 플레이트 내의 개공부를 통해 제1 온도 지대 (6)에서부터 제2 온도 지대 (8) 내로 통과하도록 만들어진다.
제1 온도 지대 (6)에서의 온도와 상이한 제2 온도 지대 (8)에서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열 교환기 (12)를 제2 온도 지대 (8)에 설치한다. 기체 분배기 (4)와 열 교환기 (12)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50 cm 이상이다.
열 교환 매질은 열 전달 매질 입구 (13)을 통해 열 교환기 (12)로 공급된다. 열 전달 매질은 열 교환 매질 분배기 (16)을 통해 열 교환기 튜브 (17)로 유동한다. 열 교환기 튜브 (17)은 증기 마니폴드(manifold) (14)로 개방되어, 그 곳을 통해 열 전달 매질이 열 전달 매질 출구 (15)로 통과하고, 열 교환기 (12)로부터 빠져나간다. 열 교환기 (12)에 의해 흡수 또는 방출될 열의 양은 열 교환기 튜브 (17)의 수 및 열 전달 매질의 질량 유동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열이 열 교환기 (12)를 통해 유동층 (5)로부터 제거될 경우, 적합한 열 전달 매질은 예를 들어, 열을 흡수하면 증발하는 비등수, 서멀 오일, 또는 유동층 (5) 내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염 용융물이다. 이 경우, 열 전달 매질은 유동층 (5)에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다.
유동층 (5)는 이탈 지대 (9)에 연결된다. 기체와 고체의 분리가 이탈 지대 (9)에서 발생한다. 추가로 비말동반된 고체 입자를 생성 기체에서 제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고체 침전기 (10)를 바람직하게는 이탈 지대 (9)의 상부 구역에 위치시킨다. 하나 이상의 고체 침전기 (10)이 유동층 반응기 (1) 내에 위치하는 도 1에 나타낸 구현예에 추가하여, 또한, 고체 침전기 또는 침전기들 (10)을 유동층 반응기 (1)의 외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고체 침전기 또는 침전기들 (10)에 이어, 화살표 (11)가 생성물의 방출을 나타낸다.
적합한 고체 침전기 (10)은 예를 들어 사이클론 또는 캔들 필터(candle filter)이다.
또한, 도 1은 유동층 반응기 (1)에서의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여기서, 축 (18)은 유동층 반응기 (1)을 따른 높이를 나타내고, 축 (19)은 온도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의 파단선은 제1 온도 수준 (20), 제2 온도 수준 (21) 및 제3 온도 수준 (22)를 가리킨다. 제1 온도 수준 (20)의 온도는 제2 온도 수준 (21)의 온도보다 낮고, 제2 온도 수준 (21)의 온도는 다시 제3 온도 수준 (22)의 온도보다 낮다. 공급 기체가 공급 온도 (23)에서 유동층 반응기 (1)의 윈드박스 (3)으로 공급된다. 반응은 유동층 (5)에서 개시한다. 열이 상기 반응에서 방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3 온도 수준 (22)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온도 지대 (6)의 구역에서 준비 단계 (24) 동안 온도가 상승한다. 제3 온도 수준 (22)에 도달한 후, 유동층 (5)의 혼합으로 인해 제1 온도 지대 (6) 내에서 일정 온도 (25)가 확립된다.
도 1에 나타낸 바람직한 공정 변형예에서, 열 교환기 (12)를 통해 열이 제거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제2 온도 지대 (8)에서 냉각이 발생한다. 유동층 (5)의 철저한 혼합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27)가 제2 온도 지대 (8)에 보급된다. 상기 온도 (27)는 제2 온도 수준 (21)에 있다. 그러나, 온도가 제2 온도 지대 (8)의 구역에서 유동 방향으로 다소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이 통상 유익하다. 이는, 특히, 유동층 (5)의 표면에 가까운 상부에서 전환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 속도가 감소할 때의 경우이다. 제1 온도 지대 (6)에서의 온도 (25)에서 제2 온도 지대 (8)에서의 온도 (27)까지의 이행은 냉각 단계 (26)을 따라 발생한다.
도 2는 유동층 반응기의 제2 구현예 및 온도 프로파일의 개략적 서술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유동층 반응기 (1)는, 추가의 열 교환기 (28)가 제1 온도 지대 (6)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 에 나타낸 구현예와 상이하다. 제2 열 교환기 (28)의 구성 및 작업 양식은 열 교환기 (12)의 구성 및 작업 양식에 대응한다. 열 전달 매질을 열 전달 매질 입구 (29)를 통해 제2 열 교환기 (28)로 공급한다. 열 전달 매질은, 열 전달 매질 분배기 (30)을 통해 열 교환기 튜브 (31)로 유동한다. 열 교환기 튜브 (31)는 증기 마니폴드 (32)로 개방되고, 그곳을 통해 열 전달 매질이 열 전달 매질 출구 (33)로 통과하여, 제2 열 교환기 (28)로부터 방출된다.
제1 온도 지대 (6) 및 제2 온도 지대 (8)에서의 상이한 온도는, 열 교환기 (12), (28)의 상이한 열 전달 면적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제2 열 교환기 (28)은 제1 열 전달기 (12)보다 더욱 적은 열 교환기 튜브 (31)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2 열 교환기 (28)의 열 전달 면적이 제1 열 교환기 (12)의 열 전달 면적보다 훨씬 더 작게 만든다. 그 결과, 열 교환기 (12)보다 제2 열 교환기 (28)을 통해 제거되는 열이 더 적을 수 있다. 이는, 유동층 (5)의 제1 온도 지대 (6)에서 더욱 높은 온도 (25)를 발생시킨다.
제2 열 교환기 (28)의 사용은 준비 단계 (24) 구역 또는 냉각 단계 (26) 구역을 더욱 작게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온도 수준에서 다른 온도 수준으로의 이행이 더 급속해진다.
제1 온도 지대 (6) 및 제2 온도 지대 (8)는 분할 플레이트 (7)에 의해 분리된다. 분할 플레이트 (7)는, 기체 기포가 분할 플레이트 (7)에 있는 개공부를 통과하여 제2 온도 지대 (8)로 가도록 만들어진다. 분할 플레이트 (7)는, 유동층의 과립 재료 중의 오직 작은 비율만이 상승 기체 중에서 비말 동반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유동층의 제1 온도 지대 (6) 및 제2 온도 지대 (8)의 과립 재료가 완전히 혼합되지 못하게 한다. 이에, 분할 플레이트 (7)는 제1 온도 지대 (6)와 제2 온도 지대 (8) 사이의 분리를 더욱 첨예하게 만든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분할 플레이트 (7)는 단열 작용을 갖는다. 본 목적에서, 이는 단열 재료로 만들어진 것이거나 또는 열 단열 층을 가진 것이다.
제1 온도 지대 (6)과 제2 온도 지대 (8) 사이의 분할 플레이트 (7)을 생략할 경우, 제1 온도 지대 (6)과 제2 온도 지대 (8) 간의 이행이 보다 덜 첨예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온도 지대 (6)의 온도 (25)에서부터 제2 온도 지대 (8)의 온도 (27)까지의 이행이 더욱 느려져서, 제1 온도 지대 (6)과 제2 온도 지대 (8) 사이의 유동화된 과립 재료가 혼합되게 된다.
또한, 도 1과 2에 나타낸 2개의 온도 지대 (6), (8)을 갖는 구현예에 부가하여, 유동층 (5)을 2개 초과의 온도 지대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열 교환기를 가진 온도 지대를 열 교환기가 없는 온도 지대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온도 지대에 열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할 플레이트는 개별 온도 지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온도 지대의 온도간 이행을 더욱 느리게 하고자 할 경우, 분할 플레이트 (7)를 온도 지대 사이에 위치시키지 않는다.
도 3은, 원뿔대 모양의 개공부 (34)를 가진 분할 플레이트 (7)의 구현예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개공부 (34)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개공부 (34)는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수직인 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개공부 (34)는 서로에 대해 파생될 수 있다.
원뿔대 모양의 개공부 (34)를 통한 단면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개공부 (34)는 분할 플레이트 (7)의 아랫면 (38)상에 제1 개공 직경 (35)를 가지며, 상기 개공 직경 (35)은 분할 플레이트 (7)의 윗면 (39)상에 있는 개공부 (34)의 제2 개공 직경 (36)보다 더 작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뿔대 모양을 가진 개공부 (34)의 경우, 개공 직경은 분할 플레이트 (7)의 아랫면 (38)에서부터 윗면 (39)에까지 균일하게 증가한다. 개공부 (34)의 측벽 (40)은 개공부 축 (37)에 대한 각 (41)만큼 기울어져 있는다. 각 (41)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특히 20 내지 40°의 범위이다.
제1 개공 직경 (35)은, 그것이 유동층 (5)에서의 기체 기포의 평균 기체 기포 직경보다 더 작도록 선택된다. 제1 개공부 직경 (35)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8 cm, 특히 1 내지 5 cm의 범위이다. 한편, 제 2 개공부 직경 (36)은, 그것이 유동층 (5)에서의 기체 기포의 평균 기체 기포 직경보다 더 크도록 선택된다. 제2 개공부 직경 (36)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cm, 특히 5 내지 15 cm의 범위이다. 도 4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분할 플레이트 (7)는 중공체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 공간은 각각 분할 플레이트 (7)의 윗면 (39), 아랫면 (38), 및 개공부 (34)의 측벽 (40)에 의해 경계 지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중공 공간 (43)은, 예를 들어 진공화되어 있거나 또는 주변 압력 하에서 공기로 충전되어 있을 수 있다. 중공 공간 (43)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가적 열 단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로는 유리 면 또는 미네랄 면이 있다.
중공 공간 (43)의 높이는, 참조 번호 (42)로 표시되어 있다. 높이 (42)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cm, 특히 3 내지 10 cm의 범위이다. 분할 플레이트 (7)의 벽(44)을 위한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공급 기체와 생성 기체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하도록 선택된다. 벽 (44)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mm, 특히 5 내지 20 mm의 범위이다.
단열 층을 가진 변형예와는 별개로,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분할 플레이트 (7)는 전체적으로 단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세라믹이다.
가스와 과립 고체가 통과하게 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플레이트가 분할 플레이트 (7)로서 적합하다. 이에, 도 3과 4에 나타낸 다공 플레이트에 추가하 여, 더욱 특히 유용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스크린 플레이트이다.
참조 번호 목록
(1) 유동층 반응기
(2) 공급물의 도입
(3) 윈드박스
(4) 기체 분배기
(5) 유동층
(6) 제1 온도 지대
(7) 분할 플레이트
(8) 제2 온도 지대
(9) 이탈 지대
(10) 고체 침전기
(11) 생성물 배출
(12) 열 교환기
(13) 열 전달 매질 입구
(14) 증기 마니폴드
(15) 열 전달 매질 출구
(16) 열 전달 매질 분배기
(17) 열 교환기 튜브
(18) 높이
(19) 온도
(20) 제1 온도 수준
(21) 제2 온도 수준
(22) 제3 온도 수준
(23) 공급 온도
(24) 준비 단계
(25) 제1 온도 지대 (6)에서의 온도
(26) 냉각 단계
(27) 제2 온도 지대 (8)에서의 온도
(28) 제2 열 교환기
(29) 열 전달 매질 입구
(30) 열 전달 매질 분배기
(31) 열 교환기 튜브
(32) 증기 마니폴드
(33) 열 전달 매질 출구
(34) 개공부
(35) 제1 개공부 직경
(36) 제2 개공부 직경
(37) 개공부 축
(38) 아랫면
(39) 윗면
(40) 개공부 (34)의 측벽
(41) 개공부 각
(42) 중공 공간 (43)의 높이
(43) 중공 공간
(44) 벽

Claims (11)

  1.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유동층 반응기가 유동층 아래에 위치되어 기체를 유동층에 도입하는 기체 분배기와 유동층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포함하고,
    유동층 반응기의 유동층에서 유동 방향을 따라 온도 분포가 있고,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10 K 이상이며, 유동층 내의 온도가 유동 방향을 따라 절대 온도 최대점에서부터 유동층 표면까지 감소하고, 절대 온도 최대점과 기체 분배기 사이의 거리가 절대 온도 최대점과 유동층 표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인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유동층 내의 온도가 유동 방향을 따라 유동층의 절대 온도 최대점에서부터 유동층 표면과 기체 분배기까지 감소하는 것인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유동층 반응기로 공급된 반응 기체의 온도가 유동층에서 발생하는 최저 온도보다 낮은 것인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온도 분포가 유동층 내의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로의 열 전달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화학 반응이 염화수소와 산소로부터 염소를 제조하는 것인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유동층이 산화 지지체 상에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공정.
  7. 제6항에 있어서, 촉매가 루테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공정.
  8. 반응 기체가 기체 분배기 (4)를 통해 공급되는 유동층 (5)에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반응기로서,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 (12, 28)를 유동층 (5)에 위치시켜 유동층 (5) 내에서의 온도 분포를 조절하고, 기체 분배기 (4)와 그에 가장 가까운 열 교환기 (12) 사이의 거리가 50 cm 이상인 유동층 반응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67022072A 2004-03-25 2005-03-21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반응기 KR101285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4677A DE102004014677A1 (de) 2004-03-25 2004-03-25 Wirbelschichtverfahren und Reaktor zur Durchführung exothermer chemischer Gleichgewichtsreaktionen
DE102004014677.2 2004-03-25
PCT/EP2005/002973 WO2005092488A1 (de) 2004-03-25 2005-03-21 Wirbelschichtverfahren und reaktor zur durchführung exothermer chemischer gleichgewichtsreaktio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917A KR20070018917A (ko) 2007-02-14
KR101285932B1 true KR101285932B1 (ko) 2013-07-12

Family

ID=3496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072A KR101285932B1 (ko) 2004-03-25 2005-03-21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반응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02035A1 (ko)
EP (1) EP1735084A1 (ko)
JP (1) JP4664968B2 (ko)
KR (1) KR101285932B1 (ko)
CN (2) CN1956775A (ko)
DE (1) DE102004014677A1 (ko)
SG (1) SG175661A1 (ko)
WO (1) WO2005092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9122B2 (ja) * 2006-02-27 2009-1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1528663B (zh) * 2006-09-19 2012-07-25 巴斯夫欧洲公司 在流化床反应器中用于制备芳香族胺的方法
KR20090057301A (ko) * 2006-09-19 2009-06-04 바스프 에스이 유동층 반응기에서 염소를 제조하는 방법
US20090163756A1 (en) * 2007-12-19 2009-06-25 Uop Ll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actor cooler
KR100937373B1 (ko) * 2008-02-14 2010-01-20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유동층 반응기의 온도 제어 방법
PT2414283E (pt) * 2009-03-30 2014-01-29 Basf S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cloro
BRPI1011909A2 (pt) * 2009-06-24 2016-04-19 Basf Se processo para preparar cloro
BR112012002613A2 (pt) * 2009-08-05 2016-03-29 Basf S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cloro.
JP2014522797A (ja) * 2011-07-05 2014-09-08 バイエル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等温反応器における酸化セリウム触媒を使用する塩素の製造方法
JP2014125418A (ja) * 2012-12-27 2014-07-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ー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965389B (zh) * 2014-05-13 2016-09-21 清华大学 碳纳米管-高分子复合材料的气相聚合生产方法及装置
US10385468B2 (en) 2016-06-06 2019-08-20 Ih Ip Holdings Limited Plasma frequency trigger
CN112439367A (zh) * 2019-09-05 2021-03-05 中石油吉林化工工程有限公司 空气分布板
CN112439368B (zh) * 2019-09-05 2023-11-10 中石油吉林化工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制丙烯腈的反应器
CN110694558B (zh) * 2019-10-29 2021-01-22 浙江新安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区式浆态列管反应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9969A1 (en) * 1978-10-05 1980-04-16 Transfrig Limited Drive system for the fan of a refrigeration system
EP0331465A1 (en) * 1988-03-01 1989-09-0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duction process of chlor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2946A (en) * 1966-06-27 1969-12-09 Air Prod & Chem Reactor for contacting vaporous reactants with fluidized solids
US3679373A (en) * 1968-12-16 1972-07-25 Ppg Industries Inc Reactor for use with fluidized beds
NL168717C (nl) * 1970-04-21 Ube Industries Inrichting voor het overdragen van warmte tussen een eerste en een tweede gas met toepassing van een in kringloop gevoerde, fijnverdeelde vaste stof als warmte-overdrachtsmiddel.
GB1382991A (en) * 1971-01-12 1975-02-05 Ucb Sa Process for carrying out chemical reactions in a fluidised bed
GB1573319A (en) * 1976-05-14 1980-08-20 Penny Turbines Ltd Noel Engine in which fuel is reacted in a plurality of stages
JPS58142192A (ja) * 1982-02-18 1983-08-23 Toshiba Corp 流動層熱交換器
EP0099690B1 (en) * 1982-07-20 1986-09-17 Mobil Oil Corporation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alcohols and oxygenates into hydrocarbons
CN1003504B (zh) * 1984-12-03 1989-03-08 三井东圧化学有限公司 氯气制备方法
CH677676A5 (ko) * 1989-04-07 1991-06-14 Sulzer Ag
US5573657A (en) * 1991-07-24 1996-11-12 Mobil Oil Corporation Hydrogenation process
CN1182717A (zh) * 1996-10-31 1998-05-27 住友化学工业株式会社 氯气的生产方法
JP3570322B2 (ja) * 2000-01-13 2004-09-2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塩素の製造方法
JP4081597B2 (ja) * 2001-12-04 2008-04-30 住友化学株式会社 触媒酸化方法
US20060233691A1 (en) * 2005-03-28 2006-10-19 Vanderspurt Thomas H Durable catalyst for processing carbonaceous fuel, and the method of making
JP4172223B2 (ja) * 2002-08-21 2008-10-29 住友化学株式会社 塩素の製造方法
CN1188342C (zh) * 2002-11-08 2005-02-09 巨化集团公司 氯化氢催化氧化生产氯气的工艺方法及装置
AU2005326677B2 (en) * 2004-12-22 2009-03-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duction of liquid hydorocarbons from meth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9969A1 (en) * 1978-10-05 1980-04-16 Transfrig Limited Drive system for the fan of a refrigeration system
EP0331465A1 (en) * 1988-03-01 1989-09-06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duction process of chlor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5084A1 (de) 2006-12-27
JP2007530403A (ja) 2007-11-01
CN1956775A (zh) 2007-05-02
SG175661A1 (en) 2011-11-28
KR20070018917A (ko) 2007-02-14
US20070202035A1 (en) 2007-08-30
DE102004014677A1 (de) 2005-10-13
WO2005092488A1 (de) 2005-10-06
JP4664968B2 (ja) 2011-04-06
CN103288052A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932B1 (ko) 발열성 화학 평형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유동층 공정 및반응기
RU2013118C1 (ru) Каталит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химической реакции
EP0869842B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chemical reaction
US9738835B2 (en) Process for performing a fischer tropsch reaction
KR101299903B1 (ko) 염소 제조용 반응기 및 염소의 제조 방법
JPS6176469A (ja) エチ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US5099085A (en) Chlorination reactions and oxychlorination reactions in the presence of honeycomb monolithic catalyst supports
WO2014135510A1 (en) Radiating wall catalytic reactor and process for carrying out a chemical reaction in this reactor
KR20060015596A (ko) 가스 냉각기를 지닌 유동화 베드 반응기
JP2002543042A (ja) フィルター及び分配ベッドを備えた接触反応器における酢酸ビニルの製造
DE102004006610A1 (de) Reak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hlor aus HCI
CZ332396A3 (en) Catalyst for ethylene oxychlorination, process of its preparation and use
JPH11514581A (ja) 化学および物理プロセスのための循環流動床装置
US7678343B2 (en) Metallic monolith catalyst support for selective gas phase reactions in tubular fixed bed reactors
JPH045487B2 (ko)
US20100296998A1 (en) Reactor for producing chlor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chlorine
CA2263091A1 (en) Fluidized bed reactor and process
JP2001340746A (ja) スラリー床反応器
RU2359008C2 (ru) Способ конверсии исходного жидк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арофазный продукт
KR101206662B1 (ko) HCl로부터 염소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기 및 방법
JPH10156171A (ja) 流動層装置
WO2006018059A2 (en) Process and catalyst for the oxidation of so2 to so3
EP2313188A1 (en) Improved catalyst tubes for endothermic reac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raking of hydrogen sulfide to produce hydrogen and sulf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