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873B1 -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 Google Patents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873B1
KR101285873B1 KR1020120147609A KR20120147609A KR101285873B1 KR 101285873 B1 KR101285873 B1 KR 101285873B1 KR 1020120147609 A KR1020120147609 A KR 1020120147609A KR 20120147609 A KR20120147609 A KR 20120147609A KR 101285873 B1 KR101285873 B1 KR 10128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trap
housing
shield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12014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발(10)의 외관과 골격을 통발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에는 고기가 포획되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에는 상기 내부공간(14)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한 차폐구(24)가 설치된다. 상기 차폐구(24)에는 일방향 입구(32)가 형성되어 고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기만 하고 나오지는 못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24)에는 미끼수납부(34)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는 상기 차폐구(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14)에 있도록 상기 미끼수납부(34)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외관을 하우징(36)이 수행하는데, 상기 미끼수납부(34) 내부에 형성된 미끼공간(38)중에서 일정 부분은 상기 하우징(36)에 의해 사면이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발에 미끼수납부(34)가 별도로 만들어지면서도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전체 통발의 강도가 일정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Entrance member for pot and po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미끼를 넣고 해저에 투입하여 수산물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에 사용되는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에 관한 것이다.
통발은 모릿줄에 소정 간격으로 달려 있는 고다리에 걸어 해저에 투입시켜 두고,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하여 통발 속에 들어온 수산물을 포획하는 도구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통발을 예로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통발은 통발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미끼를 두고, 어류가 통발몸체의 내부로 미끼에 의해 유혹되어 일단 들어가면, 통발몸체의 외부로 나올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통발몸체에는 일방향입구가 형성된 차폐구가 설치된다. 즉, 상기 차폐구에 형성된 일방향입구를 통해 어류가 통발몸체의 내부로 들어가면 일방향입구를 통해 통발몸체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통발몸체에 있는 미끼를 한 마리의 고기가 통발몸체로 들어가면 거의 다 먹게 되어, 하나의 통발에 한 마리의 고기밖에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어획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발몸체에 있는 미끼를 한 마리의 고기가 다 먹게 되면, 포획된 어류가 과식으로 인해 죽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에 제시된 선행기술문헌에서는 통발몸체의 선단 내부에 별도의 미끼통을 두고 상기 미끼통이 있는 통발몸체의 선단에는 뚜껑을 두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통발몸체의 내부에 들어간 고기가 미끼와 격리되어 있어, 미끼가 계속하여 사용될 수 있어, 여러 마리의 고기가 통발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고기가 미끼를 먹지 못하므로 포획된 고기가 과식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미끼통을 통발몸체의 선단 내부에 두기 위해서 통발몸체에 뚜껑을 두고 상기 뚜껑이 고다리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즉, 통발몸체의 선단에 별도로 뚜껑이 만들어져 장착되면서 뚜껑이 통발몸체의 선단을 구성하도록 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고다리에 연결된 뚜껑이 인양 시에 큰 힘을 받게 되면서, 상기 통발몸체와 뚜껑이 분리되어 통발몸체가 소실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통발몸체의 구성이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만들어지면서 제대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도록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부품수가 많아지면서, 통발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전체적으로 통발의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미끼를 미끼통의 내부로 넣고 빼는 작업도 종래 기술에서는 부품수가 많으므로 상대적으로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00-0016485 공개특허공보 10-2011-0056604 등록실용신안공보 20-1989-000289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수를 최소화하고 통발 전체의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면서도 통발 내부에 들어가는 미끼를 고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된 위치에 두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발 내에 들어가는 미끼가 위치되는 공간을 통발의 내부공간과 구획하면서도 미끼가 들어가는 공간에의 작업자의 접근을 통발 외부에서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수납부가 통발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고기가 포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통발몸체와,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차폐구와, 상기 차폐구와 별개로 만들어져 상기 차폐구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곳으로 상기 차폐구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끼수납부는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구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 또는 차폐구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차폐구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차폐구를 관통하거나 상기 차폐구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일부가 홈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잡아 취급하도록 한다.
상기 미끼수납부에는 상기 차폐구에의 체결을 위한 걸이레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레그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있어 상기 차폐구에 걸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는 상기 차폐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차폐구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만들어진 미끼공간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구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통발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통발용 차폐구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는 차폐몸체와, 상기 차폐몸체에 일체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끼수납부는 격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어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힌지걸이부에 걸어지는 회전축이 일측단부에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레그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지는 체결리브가 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통발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통발용 차폐구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는 차폐몸체와, 상기 차폐몸체와 별개로 만들어져 상기 차폐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끼수납부는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몸체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 또는 차폐구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차폐몸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차폐몸체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일부가 홈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에는 상기 차폐몸체에의 체결을 위한 걸이레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레그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있어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진다.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발에서는 차폐구에 미끼수납부를 두어, 상기 미끼수납부가 통발몸체의 내측에 다른 부분과 구획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하나의 통발에 한 마리 이상의 고기가 포획되도록 할 수 있으면서도 미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통발은 미끼수납부가 차폐구에 구비되고, 단지 도어를 착탈함에 의해 미끼수납부를 통발몸체의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미끼를 넣는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통발은 미끼수납부를 구성하기 위해 통발몸체나 차폐구 등을 여러 조각으로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통발의 강도를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소정 이상의 강도유지로 인해 통발이 유실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통발은 일체로 된 미끼수납부가 차폐구에 장착되므로 부품수가 크게 늘어나지 않게 되어 통발의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발은 미끼수납부가 통발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통발이 사용될 때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통발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통발을 구성하는 차폐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에서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의 미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사용되는 차폐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통발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와 미끼수납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와 미끼수납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미끼수납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와 미끼수납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폐구에서 미끼수납부가 분리된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미끼수납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통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발(10)은 외관과 골격을 통발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통발몸체(12)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통발몸체(12)는 본 실시예에서는 긴 원통형상으로 된다. 이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장어와 같이 길이가 긴 고기를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통발몸체(12)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6)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통공(16)의 크기는 내부공간(14)에 들어간 고기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되어야 한다.
상기 통발몸체(12)는 선단에서 일정 구간에 걸쳐 횡단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선단에 연결목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18)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내부공간(14)이 막혀있다. 상기 연결목부(18)는 직접 고다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목부(18)에는 일반적으로 걸이기구(20)가 설치된다. 상기 걸이기구(20)는 모릿줄에 설치된 고다리에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걸고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기구(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을 둘러서는 웨이트와이어(22)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와이어(22)는 통발몸체(12)가 해저에서 떠 있는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웨이트와이어(22)는 일반적으로 통발몸체(12)의 제조시에 인서트 사출되어 통발몸체(12)의 내부에 있게 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4)은 통발(10)의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되어 있다. 상기 통발몸체(12)의 개방되어 있는 후단에는 차폐구(24)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4)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24)의 고정을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 외면에는 걸이힌지(26)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힌지(26)는 일단부가 상기 통발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차폐구(24)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24)를 고정한다. 물론,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통발몸체(12)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24)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폐구(24)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차폐몸체(28)의 전체 형상이 깔대기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좁아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차폐몸체(28)는 일단부가 링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링형상으로 된 부분은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차폐몸체(28)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가면서 격자리브(30)에 의해 원뿔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격자리브(30)는 사각형의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도면 부호 28'는 상기 걸이힌지(26)가 걸어지는 걸이홈이다.
상기 격자리브(30)의 선단에는 일방향입구(32)가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입구(32)는 고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만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아(3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자리브(30)에 의해 형성된 일단이 잘린 원뿔형상의 선단에서 다수개의 바아(3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바아(33)들에 의해 대략 원뿔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된다. 상기 바아(33)들은 상기 격자리브(30)에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기가 상기 바아(33)의 자유단부쪽, 즉 내부공간(14)으로는 쉽게 들어가는데, 상기 바아(33)의 자유단부 때문에 일방향입구(32)를 통해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오지는 못한다.
상기 차폐몸체(28)의 일측에는 미끼수납부(34)가 구비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는 상기 차폐몸체(28)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는 차폐몸체(28)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28)의 외면은 차폐구(24)가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통발몸체(12)의 내면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34)는 격벽(36)에 의해 주변과 구획된다. 상기 격벽(36)에 의해 미끼수납부(34)의 내부에는 미끼공간(38)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공간(38)에는 미끼가 위치된다. 상기 격벽(36)에는 다수개의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형성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통공은 미끼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34)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구(24)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즉, 상기 격벽(36)에 의해 사면이 둘러싸여 만들어진 미끼공간(38)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는 미끼를 미끼공간(38)에 넣고, 아직 도어(40)를 닫지 못했을 때, 미끼가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는 상기 차폐몸체(28)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구(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방향입구(32)와 연결되는 부분인 통발몸체(12)의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격벽(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40)의 장착을 위한 힌지걸이부(39)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걸이부(39)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40)의 회전축(43)이 회전가능하게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0)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40)에는 다수개의 개방슬릿(41)이 형성되어 미끼공간(38)에서 외부로 미끼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어느 정도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40)의 형상은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만들어지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종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도어(40)의 형상은 상기 미끼수납부(34)의 입구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4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42)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42)에는 상기 힌지걸이부(39)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43)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43)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40)에서 상기 힌지(42)의 반대쪽에는 체결편(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44)은 상기 차폐구(24)의 차폐몸체(28) 일측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체결을 위한 체결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46)에 상기 차폐몸체(28)의 일측이 안착되어 걸어짐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발몸체(12)와 관련된 구성들은 위의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개방되어 있는 후단에는 차폐구(124)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4)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124)의 고정을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 외면에는 걸이힌지(26)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힌지(26)는 일단부가 상기 통발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차폐구(124)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124)를 고정한다. 물론,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1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통발몸체(12)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폐구(124)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차폐몸체(128)의 전체 형상이 깔대기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좁아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차폐몸체(128)는 일단부가 링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링형상으로 된 부분은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차폐몸체(128)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가면서 격자리브(130)에 의해 원뿔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격자리브(130)는 사각형의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차폐몸체(128) 일단부의 링형상부에는 상기 걸이힌지(26)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상기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격자리브(130)에 의해 형성된 차폐몸체(128)의 선단에는 일방향입구(132)가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입구(132)는 고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만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아(13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자리브(130)에 의해 형성된 일단이 잘린 원뿔형상의 선단에서 다수개의 바아(13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바아(133)들에 의해 대략 원뿔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된다. 상기 바아(133)들은 상기 격자리브(130)에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기가 상기 바아(133)의 자유단부쪽, 즉 내부공간(14)으로는 쉽게 들어가는데, 상기 바아(133)의 자유단부 때문에 일방향입구(132)를 통해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오지는 못한다.
상기 차폐몸체(128)의 일측에는 미끼수납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미끼수납부(134)는 상기 차폐몸체(128)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미끼수납부(134)는 차폐몸체(128)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128)의 외면은 차폐구(124)가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통발몸체(12)의 내면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134)는 격벽(136)에 의해 주변과 구획된다. 상기 격벽(136)에 의해 미끼수납부(134)의 내부에는 미끼공간(138)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공간(138)에는 미끼가 위치된다. 상기 격벽(136)에는 다수개의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형성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통공은 미끼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134)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구(124)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즉, 상기 격벽(136)에 의해 사면이 둘러싸여 만들어진 미끼공간(138)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는 미끼를 미끼공간(138)에 넣고, 아직 도어(140)를 닫지 못했을 때, 미끼가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끼수납부(134)의 입구는 상기 차폐몸체(128)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구(1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방향입구(13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통발몸체(12)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부분에 미끼수납부(134)의 입구가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134)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격벽(1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140)의 장착을 위한 걸이슬롯(13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13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140)의 걸이레그(142)의 걸이턱(143)이 걸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134)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40)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40)에는 다수개의 개방통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통공(141)의 크기는 상기 미끼공간(138)에서 외부로 미끼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된다.
상기 도어(140)는 본 실시예에서 종단면이 사다리꼴이고 횡단면이 삼각형상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140)가 평평한 면에 놓여지면 소정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40)가 상기 차폐구(124)에 장착되면 차폐구(124)의 내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다.
상기 도어(140)의 일측 단부에는 걸이레그(142)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그(142)의 선단에는 각각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143)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43)은 상기 걸이슬롯(139)의 내부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도어(140)에서 상기 걸이레그(142)의 반대쪽에는 체결편(1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144)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체결편(144)은 상기 차폐구(124)의 차폐몸체(128)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2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1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리브(146)에 상기 체결공(124')의 가장자리가 걸어짐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도 통발몸체(12)와 관련된 설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실시예서, 통발(10)은 외관과 골격을 통발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통발몸체(12)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통발몸체(12)는 본 실시예에서는 긴 원통형상으로 된다. 이는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장어와 같이 길이가 긴 고기를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통발몸체(12)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6)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통공(16)의 크기는 내부공간(14)에 들어간 고기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되어야 한다.
상기 통발몸체(12)는 선단에서 일정 구간에 걸쳐 횡단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선단에 연결목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18)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내부공간(14)이 막혀있다. 상기 연결목부(18)는 직접 고다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목부(18)에는 일반적으로 걸이기구(20)가 설치된다. 상기 걸이기구(20)는 모릿줄에 설치된 고다리에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걸고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을 둘러서는 웨이트와이어(22)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와이어(22)는 통발몸체(12)가 해저에서 떠 있는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웨이트와이어(22)는 일반적으로 통발몸체(12)의 제조시에 인서트 사출되어 통발몸체(12)의 내부에 있게 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에서 상기 내부공간(14)은 통발(10)의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되어 있다. 상기 통발몸체(12)의 개방되어 있는 후단에는 차폐구(224)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4)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224)의 고정을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 외면에는 걸이힌지(226)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힌지(226)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일단부가 상기 통발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차폐구(224)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224)를 고정한다. 물론, 상기 걸이힌지(226)가 상기 차폐구(2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통발몸체(12)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상기 걸이힌지(226)가 상기 차폐구(224)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폐구(224)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차폐몸체(228)의 전체 형상이 깔대기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좁아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차폐몸체(228)는 일단부가 링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링형상으로 된 부분은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차폐몸체(228)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가면서 격자리브(230)에 의해 원뿔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격자리브(230)는 사각형의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도면 부호 228'는 상기 걸이힌지(226)가 걸어지는 걸이홈이다.
상기 격자리브(230)의 선단에는,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입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입구(232)는 고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만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아(23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자리브(230)에 의해 형성된 일단이 잘린 원뿔형상의 선단에서 다수개의 바아(23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바아(233)들에 의해 대략 원뿔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된다. 상기 바아(233)들은 상기 격자리브(230)에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기가 상기 바아(233)의 자유단부쪽, 즉 내부공간(14)으로는 쉽게 들어가는데, 상기 바아(233)의 자유단부 때문에 일방향입구(232)를 통해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오지는 못한다.
상기 차폐몸체(228)에서 상기 격자리브(230)로 만들어지는 부분에는 장착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34')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몸체(228)의 내외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미끼수납부(234)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끼수납부(234)의 장착을 위해 상기 개구부 형태의 장착부(234')를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장착부(234')를 미끼수납부(234)가 장착될 수 있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은 상기 격자리브(230)를 차폐몸체(228)의 내부에서 볼 때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34')는 일부는 관통부이고 일부는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234)는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234)는 차폐몸체(228)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228)의 외면은 차폐구(224)가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통발몸체(12)의 내면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234)는 하우징(236)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36)의 내부에는 미끼공간(238)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공간(238)에는 미끼가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236)에는 다수개의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형성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통공은 미끼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234)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구(224)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즉, 상기 하우징(236)에 의해 사면이 둘러싸여 만들어진 미끼공간(238)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는 미끼를 미끼공간(238)에 넣고, 아직 도어(240)를 닫지 못했을 때, 미끼가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끼수납부(234)의 입구는 상기 차폐몸체(228)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구(2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방향입구(232)와 연결되는 부분인 통발몸체(12)의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234)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40)는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240)에는 다수개의 개방슬릿(241)이 형성되어 미끼공간(238)에서 외부로 미끼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어느 정도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240)의 형상은 상기 미끼수납부(234)의 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만들어지면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종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도어(240)의 형상은 상기 미끼수납부(234)의 입구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24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242)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242)는 하우징(236)에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도어(240)는 상기 힌지(242)를 통해서만 상기 하우징(236)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힌지(242)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이 부분을 상기 하우징(23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도어(240)와 하우징(236)이 별개로 되면서 부품수가 더 늘어나게 된다.
상기 도어(240)에서 상기 힌지(242)의 반대쪽에는 체결편(2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244)은 상기 차폐구(224)의 차폐몸체(228) 일측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체결을 위한 체결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홈(246)에 상기 차폐몸체(228)의 일측이 안착되어 걸어짐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244)에는 상기 하우징(236)의 대응되는 부분에도 걸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홈(246)과 별개의 홈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미끼수납부(234)를 상기 차폐구(224)에서 분리한 상태로 미끼를 넣었을 때 미끼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체결편(244)은 상기 도어(240)가 상기 하우징(236)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과 상기 차폐구(224)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차폐구(224)에 체결되는 것은 별도의 구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36) 외면의 길이방향 중간쯤에는 걸이레그(24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레그(248)는 상기 체결편(244)과 함께 상기 미끼수납부(234)를 상기 차폐몸체(228)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걸이레그(248)의 선단에는 걸이턱(25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그(248)의 걸이턱(250)이 걸어지는 부분이 상기 차폐몸체(228)에 형성되나, 편의상 도시를 생략했다.
참고로, 미끼수납부(234)를 상기 차폐몸체(228)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은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체결편(244)과 걸이레그(248)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편(244)만을 사용하고 미끼수납부(234)의 하우징(236) 외면을 둘러 상기 차폐몸체(228)의 채널에 걸어지는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미끼수납부(234)를 상기 차폐몸체(228)에 장착하는 구조는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244)이 차폐몸체(228)에 체결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을 위한 다른 구성이 차폐몸체(228)에 체결되고, 상기 체결편(244)은 도어(240)를 하우징(236)에 체결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도 15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차폐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폐구만을 설명한다. 따라서, 통발몸체(12)와 관련된 구성들은 위의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상기 통발몸체(12)의 개방되어 있는 후단에는 차폐구(324)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4)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한다. 상기 차폐구(324)의 고정을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 외면에는 걸이힌지(26)가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힌지(26)는 일단부가 상기 통발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상기 차폐구(324)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324)를 고정한다. 물론,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3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통발몸체(12)에 걸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차폐구(324)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차폐몸체(328)의 전체 형상이 깔대기와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면적이 좁아지게 만들어져 있다. 상기 차폐몸체(328)는 일단부가 링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링형상으로 된 부분은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상기 차폐몸체(328)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가면서 격자리브(330)에 의해 원뿔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격자리브(330)는 사각형의 통공을 다수개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차폐몸체(328) 일단부의 링형상부에는 상기 걸이힌지(26)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상기 걸이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격자리브(330)에 의해 형성된 차폐몸체(328)의 선단에는 일방향입구(332)가 형성된다. 상기 일방향입구(332)는 고기가 상기 내부공간(14)으로만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바아(33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격자리브(330)에 의해 형성된 일단이 잘린 원뿔형상의 선단에서 다수개의 바아(33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바아(333)들에 의해 대략 원뿔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된다. 상기 바아(333)들은 상기 격자리브(330)에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기가 상기 바아(333)의 자유단부쪽, 즉 내부공간(14)으로는 쉽게 들어가는데, 상기 바아(333)의 자유단부 때문에 일방향입구(332)를 통해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오지는 못한다.
상기 차폐몸체(328)에서 상기 격자리브(330)로 만들어지는 부분에는 장착부(33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34')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몸체(328)의 내외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미끼수납부(334)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부(334')는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끼수납부(334)가 장착될 수 있는 홈으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끼수납부(334)가 상기 장착부(334')에 장착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34)는 차폐몸체(328)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폐몸체(328)의 외면은 차폐구(324)가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통발몸체(12)의 내면과 마주보는 부분이다.
상기 미끼수납부(334)는 하우징(336)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36)의 내부에는 미끼공간(338)이 형성된다. 상기 미끼공간(338)에는 미끼가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336)에는 다수개의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형성하여 외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통공은 미끼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334)는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폐구(324)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즉, 상기 하우징(336)에 의해 사면이 둘러싸여 만들어진 미끼공간(338)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이는 미끼를 미끼공간(338)에 넣고, 아직 도어(340)를 닫지 못했을 때, 미끼가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끼수납부(334)의 입구는 상기 차폐몸체(328)의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구(3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방향입구(33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통발몸체(12)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부분에 미끼수납부(334)의 입구가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334)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340)는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340)에는 다수개의 개방통공(341)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통공(341)의 크기는 상기 미끼공간(338)에서 외부로 미끼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된다.
상기 도어(340)는 본 실시예에서 종단면이 사다리꼴이고 횡단면이 삼각형상이 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도어(340)가 평평한 면에 놓여지면 소정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40)가 상기 차폐구(324)에 장착되면 차폐구(324)의 내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다.
상기 도어(340)는 힌지부(342)에 의해 상기 하우징(336)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342)와 도어(340)는 설계시에 상기 도어(340)에서 상기 하우징(336)과 마주보는 가장자리가 하우징(336)에 밀착되도록 된다. 이는 상기 도어(340)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상기 도어(340)가 힌지부(342)로 연결되지 않고 하우징(336)과 별개로 형성되고 걸이레그와 같은 것으로 하우징(336)에 착탈되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 부품수가 늘어나게 된다.
상기 도어(340)에서 상기 힌지부(342)의 반대쪽에는 체결편(34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편(344)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체결편(344)은 상기 차폐구(324)의 차폐몸체(328)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공(32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분으로, 체결을 위한 체결리브(3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리브(346)에 상기 체결공(324')의 가장자리가 걸어짐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편(344)은 상기 하우징(336)에 형성된 체결공(336')에 걸어짐과 동시에 상기 체결공(324')에 걸어지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336)의 체결공(336')과 상기 차폐구(324)의 체결공(324')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체결편(344)의 체결리브(346)가 상기 하우징(336)의 체결공(336')을 관통해서 상기 차폐구(324)의 체결공(324')에 걸어진다. 상기 미끼수납부(334)가 차폐구(324)에서 분리되었을 때에는 상기 체결리브(346)가 상기 하우징(336)의 체결공(336)에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336) 외면의 길이방향 중간쯤에는 걸이레그(348)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레그(348)는 상기 체결편(344)과 함께 상기 미끼수납부(334)를 상기 차폐몸체(328)에 체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걸이레그(348)의 선단에는 걸이턱(35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그(348)의 걸이턱(350)이 걸어지는 부분이 상기 차폐몸체(328)에 형성되나, 편의상 도시를 생략했다.
참고로, 미끼수납부(334)를 상기 차폐몸체(328)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은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체결편(344)과 걸이레그(348)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편(344)만을 사용하고 미끼수납부(334)의 하우징(336) 외면을 둘러 상기 차폐몸체(328)의 채널에 걸어지는 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미끼수납부(334)를 상기 차폐몸체(328)에 장착하는 구조는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고, 상기 체결편(344)이 차폐몸체(328)의 체결공(324')에 체결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을 위한 다른 구성이 체결공(324')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편(344)은 도어(340)를 하우징(336)에 체결하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도면부호 352는 도어(340)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을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구(24)는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에 장착되어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을 외부와 차폐한다. 이때,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24)의 차폐몸체(28)에 형성된 걸이홈(28')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차폐구(24)에 형성되어 있는 미끼수납부(34)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미끼수납부(34)에는 상기 차폐구(24)를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미끼를 넣을 수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34)에 미끼를 넣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40)를 회전시켜 상기 미끼수납부(34)의 미끼공간(38)을 개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체결편(44)을 작업자 손으로 잡아 탄성변형시켜, 상기 체결편(44)의 체결홈(46)에서 상기 차폐몸체(28)가 빠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도어(40)를 상기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40)가 상기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상기 미끼공간(38)에 미끼를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미끼공간(38)에 미끼를 넣은 후, 상기 도어(40)를 다시 닫으면, 즉 상기 체결편(44)의 체결홈(46)에 상기 차폐몸체(28)가 결합되도록 하면 도어(40)가 상기 미끼공간(38)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미끼공간(38)에 미끼가 넣어진 상태의 통발(10)은 모릿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고다리에 걸어진 상태로 바다에 투입된다. 바다에 투입된 상태의 통발(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기가 포획된다.
상기 통발(10) 내에는 상기 차폐구(24)의 일방향입구(32)를 통해 고기가 들어가게 된다. 고기는 상기 미끼수납부(34) 내에 있는 미끼에 유인되어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기는 상기 일방향입구(32)를 구성하는 바아(33)들 사이를 통해서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지만, 상기 바아(33)들의 선단이 모여 있는 일방향입구(32)를 통해서는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따라서, 고기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 내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있는 고기는 미끼를 먹지 못한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14)과는 구획되어 있는 상기 미끼수납부(34) 내에 미끼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있는 미끼수납부(34)에 계속해서 미끼가 존재하면, 상기 일방향입구(3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4)으로 계속해서 고기가 들어갈 수 있다.
통발(10)을 바다에 투입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릿줄을 회수하여 상기 통발(10)을 선박에 끌어올리게 된다. 선박 상에 끌어올려진 통발(10)은 상기 차폐구(24)를 통발몸체(12)에서 분리하여 내부공간(14)의 고기를 꺼내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걸이힌지(26)를 차폐구(24)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차폐구(24)를 통발몸체(12)에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차폐구(24)의 미끼수납부(34)에 있는 미끼는 그 상태를 확인하여 더 사용할 수 있으면, 그대로 사용하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면 교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도 8에 있는 차폐구(124)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어(140)를 개폐하는 것만을 설명한다. 이는 상기 차폐구(124)의 사용이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140)는 상기 차폐몸체(128)의 걸이슬롯(139)에 걸이레그(142)의 걸이턱(143)이 걸어짐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걸이레그(142)는 한 쌍이 나란히 구비되고, 상기 걸이턱(143)은 양측의 걸이레그(142)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턱(143)이 상기 걸이슬롯(139)에 상기 걸이레그(142)가 탄성변형되었다 복원되면서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144)의 체결리브(146)가 상기 체결공(124')에 걸어짐에 의해 도어(140)가 상기 차폐몸체(128)에 체결된다.
상기 차폐몸체(128)에 장착되어 미끼수납부(134)의 미끼공간(138)을 차폐하는 도어(140)는 상기 손잡이(148)를 잡고, 상기 체결편(144)이 상기 체결공(12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빠지게 된다. 물론, 상기 체결편(144)이 상기 체결공(124')에서 빠진 상태이고, 상기 걸이레그(142)의 걸이턱(143)은 아직 빠지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체결편(144)만이 상기 체결공(124')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미끼의 교체는 가능하다.
상기 도어(140)를 상기 차폐몸체(128)에서 완전히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레그(142)의 걸이턱(143)이 상기 걸이슬롯(139)에서 빠지도록 하면 된다. 상기 걸이슬롯(139)에서 상기 걸이턱(143)이 빠지면, 상기 도어(140)가 상기 차폐몸체(128)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미끼를 교체하고 상기 도어(140)를 다시 상기 차폐몸체(128)에 장착시키고, 차폐구(124)를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구(224)는 상기 통발몸체(12)의 후단에 장착되어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을 외부와 차폐한다. 이때, 상기 걸이힌지(26)가 상기 차폐구(224)의 차폐몸체(228)에 형성된 걸이홈(228')에 걸어짐에 의해 차폐구(224)가 상기 통발몸체(12)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차폐구(224)에 장착되어 있는 미끼수납부(234)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미끼수납부(234)에는 상기 차폐구(224)를 상기 통발몸체(12)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미끼를 넣을 수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234)에 미끼를 넣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40)를 힌지부(24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미끼수납부(234)의 미끼공간(238)을 개방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240)를 작업자 손으로 잡아 탄성변형시켜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도어(240)를 상기 힌지부(24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240)가 개방되면 상기 미끼공간(238)에 미끼를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미끼공간(238)에 미끼를 넣은 후, 상기 도어(240)를 다시 닫으면 상기 미끼공간(238)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미끼공간(238)에 미끼를 넣는 것은 상기 미끼수납부(234)가 상기 차폐구(224)에 장착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미끼수납부(234)를 상기 차폐구(224)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은 상기 걸이레그(248)의 걸이턱(250)에 상기 차폐구(224)의 대응되는 걸이공에 걸어지도록 하거나 분리되도록 하고, 동시에 체결편(244)의 체결홈(246)에 차폐구(224)의 일측이 걸어지거나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미끼공간(238)에 미끼가 넣어진 상태의 통발(10)은 모릿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고다리에 걸어진 상태로 바다에 투입된다. 바다에 투입된 상태의 통발(10)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고기가 포획된다.
상기 통발(10) 내에는 상기 차폐구(224)의 일방향입구(232)를 통해 고기가 들어가게 된다. 고기는 상기 미끼수납부(234) 내에 있는 미끼에 유인되어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기는 상기 일방향입구(232)를 구성하는 바아(233)들 사이를 통해서 내부공간(14)으로 들어가지만, 상기 바아(233)들의 선단이 모여 있는 일방향입구(232)를 통해서는 내부공간(14)에서 빠져나올 수 없다. 따라서, 고기는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 내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있는 고기는 미끼를 먹지 못한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14)과는 구획되어 있는 상기 미끼수납부(234) 내에 미끼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상기 통발몸체(12)의 내부공간(14)에 있는 미끼수납부(234)에 계속해서 미끼가 존재하면, 상기 일방향입구(232)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4)으로 계속해서 고기가 들어갈 수 있다.
통발(10)을 바다에 투입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모릿줄을 회수하여 상기 통발(10)을 선박에 끌어올리게 된다. 선박 상에 끌어올려진 통발(10)은 상기 차폐구(224)를 통발몸체(12)에서 분리하여 내부공간(14)의 고기를 꺼내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발몸체(12)의 걸이힌지(26)를 차폐구(224)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차폐구(224)를 통발몸체(12)에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차폐구(224)의 미끼수납부(234)에 있는 미끼는 그 상태를 확인하여 더 사용할 수 있으면, 그대로 사용하고,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면 교체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도 15에 있는 차폐구(324)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어(340)를 개폐하는 것만을 설명한다. 이는 상기 차폐구(324)의 사용이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상기 차폐구(324)에 상기 미끼수납부(33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40)는 상기 차폐몸체(328)의 체결공(324')에 걸어짐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상기 도어(340)는 도어(340) 자체의 설계와 상기 힌지부(342)의 설계에 의해 상기 하우징(336)에 밀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미끼수납부(334)를 상기 차폐구(324)에서 분리하거나 차폐구(324)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손잡이(352)를 걸어 당기면 상기 도어(340)는 힌지부(34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공간(338)을 개방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미끼공간(338)에 미끼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상기 미끼수납부(334)를 상기 차폐몸체(328)의 장착부(334')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레그(348)의 걸이턱(350)이 상기 차폐몸체(328)의 걸이공에서 빠지도록 하면 된다. 상기 걸이턱(350)이 차폐몸체(328)측에서 빠지면, 상기 미끼수납부(334)가 상기 차폐몸체(328)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통발 12: 통발몸체
14: 내부공간 16: 통공
18: 연결목부 20: 걸이기구
22: 웨이트와이어 24: 차폐구
26: 걸이힌지 28: 차폐몸체
30: 격자리브 32: 일방향입구
33: 바아 34: 미끼수납부
36: 하우징 38: 미끼공간
40: 도어 41: 개방슬릿
42: 힌지 43: 회전축
44: 체결편 46: 체결홈
124: 차폐구 128: 차폐몸체
130: 격자리브 132: 일방향입구
133: 바아 136: 격벽
134: 미끼수납부 138: 미끼공간
140: 도어 141: 개방통공
144: 체결편 146: 체결리브
148: 걸이레그 150: 걸이턱
152: 손잡이 224: 차폐구
228: 차폐몸체 230: 격자리브
232: 일방향입구 233: 바아
234: 미끼수납부 236: 하우징
238: 미끼공간 240: 도어
241: 개방슬릿 242: 힌지
244: 체결편 246: 체결홈
324: 차폐구 328: 차폐몸체
330: 격자리브 332: 일방향입구
333: 바아 336: 격벽
334: 미끼수납부 338: 미끼공간
340: 도어 341: 개방통공
344: 체결편 346: 체결리브
348: 걸이레그 350: 걸이턱
352: 손잡이

Claims (20)

  1. 내부에 고기가 포획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통발몸체와,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차폐구와,
    상기 차폐구와 별개로 만들어져 상기 차폐구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곳으로 상기 차폐구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하는 통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는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구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통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 또는 차폐구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되는 통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차폐구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차폐구를 관통하거나 상기 차폐구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일부가 홈형상으로 만들어지는 통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잡아 취급하도록 하는 통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에는 상기 차폐구에의 체결을 위한 걸이레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레그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있어 상기 차폐구에 걸어지는 통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는 상기 차폐구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차폐구에서 연장되어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만들어진 미끼공간이 일정 이상의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통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구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통발.
  9.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통발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통발용 차폐구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는 차폐몸체와,
    상기 차폐몸체에 일체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하는 통발용 차폐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는 격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어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통발용 차폐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힌지걸이부에 걸어지는 회전축이 일측단부에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되는 통발용 차폐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레그가 구비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지는 체결리브가 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되는 통발용 차폐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면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통발용 차폐구.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통발용 차폐구.
  15. 통발몸체의 후단을 통해 통발의 외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고기가 들어가도록 하는 통발용 차폐구에 있어서,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통발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방향입구를 구비하는 차폐몸체와,
    상기 차폐몸체와 별개로 만들어져 상기 차폐몸체의 장착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미끼가 넣어지는 미끼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 내에 위치되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미끼수납부를 포함하는 통발용 차폐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는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미끼가 위치하는 미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차폐몸체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통발용 차폐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미끼수납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하우징 또는 차폐구에 걸어지는 체결편이 형성되는 통발용 차폐구.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가 장착되도록 상기 차폐몸체에 형성된 장착부는 상기 차폐몸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차폐몸체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지거나 일부가 홈형상으로 만들어지는 통발용 차폐구.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끼수납부에는 상기 차폐몸체에의 체결을 위한 걸이레그가 구비되는데, 상기 걸이레그의 선단에는 걸이턱이 있어 상기 차폐몸체에 걸어지는 통발용 차폐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차폐몸체가 상기 통발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내부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통발용 차폐구.
KR1020120147609A 2012-12-17 2012-12-17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KR10128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09A KR101285873B1 (ko) 2012-12-17 2012-12-17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609A KR101285873B1 (ko) 2012-12-17 2012-12-17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873B1 true KR101285873B1 (ko) 2013-07-12

Family

ID=4899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609A KR101285873B1 (ko) 2012-12-17 2012-12-17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87A (ko) 2015-09-16 2017-03-24 유금범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90Y1 (ko) * 1986-05-21 1989-05-10 이상용 통 발
KR900007191Y1 (ko) * 1987-09-13 1990-08-11 조장문 어로용 통발
KR20000016485U (ko) * 1999-02-02 2000-09-25 강계홍 장어잡이용 통발
KR200327118Y1 (ko) 2003-06-14 2003-09-19 박희만 어류 포획용 어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90Y1 (ko) * 1986-05-21 1989-05-10 이상용 통 발
KR900007191Y1 (ko) * 1987-09-13 1990-08-11 조장문 어로용 통발
KR20000016485U (ko) * 1999-02-02 2000-09-25 강계홍 장어잡이용 통발
KR200327118Y1 (ko) 2003-06-14 2003-09-19 박희만 어류 포획용 어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987A (ko) 2015-09-16 2017-03-24 유금범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KR101807672B1 (ko) * 2015-09-16 2017-12-11 유금범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503B1 (ko) 통발
US9155291B1 (en) Time release bait cannister
US3176427A (en) Bait bag for crab fishing
US2502816A (en) Minnow holder
US20020092475A1 (en) Handing bird feeder
KR101285873B1 (ko)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US4706409A (en) Crab pot construction
US9374988B2 (en) Device for timed release of bait
KR101337828B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100684212B1 (ko)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KR200450090Y1 (ko) 이탈방지용 낚싯대
KR101495008B1 (ko) 낚시용 통발
US9545091B2 (en) Retainer apparatus
KR102419914B1 (ko) 어로용 통발
KR20100013065U (ko) 통발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484520Y1 (ko)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US2509105A (en) Fish lure
KR101807672B1 (ko)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KR102587286B1 (ko) 주꾸미 포획 어구
US3800465A (en) Fish and crab trap
KR102147622B1 (ko) 미끼통 및 이를 구비하는 통발 장치
KR101397465B1 (ko) 통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