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20Y1 -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20Y1
KR200484520Y1 KR2020170002098U KR20170002098U KR200484520Y1 KR 200484520 Y1 KR200484520 Y1 KR 200484520Y1 KR 2020170002098 U KR2020170002098 U KR 2020170002098U KR 20170002098 U KR20170002098 U KR 20170002098U KR 200484520 Y1 KR200484520 Y1 KR 200484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astening
bait
fishing ro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이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우 filed Critical 이선우
Priority to KR2020170002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의 하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미끼보관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 및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1고리부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A BAIT CASE FOR EASY TO MOUNT ON FISHING ROD STAND}
본 고안은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란 낚싯바늘에 미끼를 꿰어 물고기를 낚는 것으로써, 낚으려는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낚싯바늘이나 낚싯대와 같은 낚시도구의 종류가 각각 다르게 구성된다.
특히, 낚싯바늘에 꿰어지는 미끼는 물고기를 낚는데 사용되었거나, 또는 미끼가 물살에 의해 떨어져 나갔을 경우마다 새로운 미끼를 꿰어줘야 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주로 자리하는 낚싯대와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401510 호에는 낚시용 조구박스 겸용 미끼통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조구박스 겸용 미끼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낚시용 조구박스 겸용 미끼통을 설명하자면, 미끼통 내부에 낚싯바늘이나 추 및 도래와 같은 낚시채비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하나의 장비로 미끼와 낚시채비를 한 번에 수납할 수 있어 낚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낚시용 조구박스 겸용 미끼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낚시에 필요한 미끼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측에 개방구를 형성한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허리띠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이대(2a)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걸이대(2a)의 하단과 몸체부(1)의 저면으로는 벨크로테입(2b)을 형성한 걸이부(2)와, 상기 걸이부(2)의 걸이대(2a) 상측으로는 개폐편(3a)을 형성한 덮개(3b)를 몸체부(1) 전방으로 힌지 형성한 덮개부(3)와, 상기 덮개부(3)의 덮개(2b) 저면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 수납박스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박스 양측으로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도록 박스덮개를 형성한 박스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걸이부(2)의 걸이대(2a)가 허리띠를 감싸도록 하여 휴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자세로 장시간 동안 유지해야 하는 낚시의 특성상, 많은 양의 미끼를 수납하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가 갈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미끼가 필요할 경우, 이를 따로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다른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 제 20-0217424 호에는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이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을 설명하자면, 미끼통의 일 측으로 고정걸이를 형성함으로서 낚시도구의 운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분실 등으로 인한 경제적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부덮개(4)와 상기 상부덮개(4) 하부에 연결 구성된 하부저장박스(5)와 상기 하부저장박스(5)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요홈(6)으로 구성된 낚시용 미끼통에 있어서, 상기 하부저장박스(5) 전면으로 'ㄱ'자형 고정걸이(7)가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여러 종류의 미끼가 필요할 경우 이를 따로 수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단순히 'ㄱ'자형 고정걸이(7)만을 이용하여 하부저장박스(5) 내부에 수납되는 미끼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하부저장박스(5)가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01510 호(2005.11.1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7424 호(2001.01.0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81326 호(2005.04.0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1995-0002625호(1995.02.16.)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로 구성되는 몸체부의 내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미끼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미끼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의 하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미끼보관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 및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1고리부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중앙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의 하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미끼보관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힌지홈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양측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체결홈이 체결되는 체결막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적어도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숫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막대부는, 일면 양 측에 상기 체결막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리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이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막대본체;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는 고리본체; 및 상기 막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막대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하부 중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막대뚜껑에는 상기 회전축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리부재의 고리 형상 일단에는 상기 고리본체가 상기 삽입홈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상기 삽입홈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막대부의 상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의하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로 구성되는 몸체부의 내부에 각각 다른 종류의 미끼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미끼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용 조구박스 겸용 미끼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도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막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관통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도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11)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2)의 하부에는 체결홈(13)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미끼보관부(11)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20) 및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1고리부재(3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몸체부(10)의 체결홈(13)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체결홈(13)에 체결되는 체결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낚시터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연직 방향의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미끼통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단일로 구성되는 몸체부(10)가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지지되는 체결부(3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10)의 미끼보관부(11)에 채워지는 미끼가 상기 미끼보관부(11)의 모서리 측에 끼여서 빠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끼보관부(11)의 형상은 상기 몸체부(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중앙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미끼보관부(11)의 내부에 채워지는 미끼가 다소 상기 미끼보관부(11)에 채워질 수 있는 한계 용량보다 더 많은 양의 미끼가 채워지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고, 심미적인 효과를 얻기 위함이며, 상기 도어부(20)의 형상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20)의 하부에는, 일부가 상기 몸체부(10)의 미끼보관부(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미끼보관부(11)의 밀폐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도어부(20)가 상기 몸체부(10)를 폐쇄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돌기(22)가 형성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돌기(22)는 상기 도어부(20)의 하부 형상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부(20)의 하부 형상을 따라 복수로 구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의 체결홈(13)은 상기 체결부(30)의 체결돌기(32)가 상기 체결홈(13)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0)의 체결돌기(32)가 상기 체결홈(13)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부를 통해 상기 체결홈(13)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미끼보관부(11)의 내부에 채워지는 미끼의 무게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눌려져 상기 체결부(30)의 체결돌기(32)를 하부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낚싯대용 받침대(100)는 상기 받침대(10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0)가 상기 체결부(30)의 제1고리부재(31)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체결부(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이 상기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체결막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관통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11)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2)의 하부에는 체결홈(13)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미끼보관부(11)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20)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양측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42a)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체결홈(13)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체결홈(13)이 체결되는 체결막대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10) 및 도어부(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의 몸체부 및 도어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낚시터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연직 방향의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미끼통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은, 복수로 구성되는 몸체부(10)가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지지되는 체결막대부(4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32)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는 사용자 임의로 사용하고자 하는 미끼의 양 또는 미끼의 수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막대부(40)는, 일면 양 측에 상기 체결막대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리부재(42a)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삽입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부재(4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41b)이 상기 삽입홈(41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막대본체(41),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42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축(41b)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회전홈(42b)이 형성되는 고리본체(42) 및 상기 막대본체(41)의 하부에 결합되는 막대뚜껑(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막대부(40)는 상기 막대본체(41), 고리본체(42) 및 막대뚜껑(43)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막대본체(41)의 회전축(41b)에 상기 고리본체(42)의 회전홈(42b)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막대뚜껑(43)이 상기 막대본체(4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리본체(42)가 상기 회전축(41b)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41b)의 하부 중심에는 결합홈(41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막대뚜껑(43)에는 상기 회전축(41b)의 결합홈(41c)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홈(41c)과 대응되는 결합돌기(4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41b)은 상기 막대본체(41)의 양 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축(41b)이 상기 막대본체(41)의 양 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43a) 또한 상기 막대뚜껑(43)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1b)의 결합홈(41c)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리부재(42a)의 고리 형상 일단에는 상기 삽입홈(41a)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a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42aa)는, 상기 제2고리부재(42a)가 상기 삽입홈(4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미끼통을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고리부재(42a)가 상기 삽입홈(41a)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막대부(40)의 상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통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홈(44)은,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거치하고자 하는 별도의 물건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별도의 클립(20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별도의 클립(200)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미끼통은 하부 방향으로 더욱 지지되어 상기 낚싯대용 받침대(100)에 더욱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의하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가능한 제1고리부재가 몸체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미끼 관리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몸체부 11 : 미끼보관부
12 : 힌지홈 13 : 체결홈
20 : 도어부 21 : 힌지돌기
22 : 가이드돌기
30 : 체결부 31 : 제1고리부재
32 : 체결돌기
40 : 체결막대부 41 : 막대본체
41a : 삽입홈 41b : 회전축
41c : 결합홈
42 : 고리본체 42a : 제2고리부재
42aa : 연장부
42b : 회전홈
43 : 막대뚜껑 43a : 결합돌기
44 : 관통홈
100 : 낚싯대용 받침대 110 : 걸림돌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미끼보관부(11)가 형성되며, 일 측 상부에는 힌지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2)의 하부에는 체결홈(13)이 형성되는 몸체부(10);
    상기 미끼보관부(11)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일 측에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과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힌지홈(12)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부(20); 및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 양측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42a)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체결홈(13)과 대응되는 형상의 체결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체결홈(13)이 체결되는 체결막대부(40);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막대부(40)는,
    일면 양 측에 상기 체결막대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고리부재(42a)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삽입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고리부재(42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41b)이 상기 삽입홈(41a)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막대본체(41);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제2고리부재(42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회전축(41b)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회전홈(42b)이 형성되는 고리본체(42); 및
    상기 막대본체(41)의 하부에 결합되는 막대뚜껑(43);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돌기(32)는 적어도 상기 몸체부(10)와 동일한 숫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1b)의 하부 중심에는 결합홈(41c)이 형성되며,
    상기 막대뚜껑(43)에는 상기 회전축(41b)의 결합홈(41c)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홈(41c)과 대응되는 결합돌기(4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리부재(42a)의 고리 형상 일단에는,
    상기 고리본체(42)가 상기 삽입홈(41a)에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상기 삽입홈(41a)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a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막대부(40)의 상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관통홈(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KR2020170002098U 2017-04-25 2017-04-25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KR200484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8U KR200484520Y1 (ko) 2017-04-25 2017-04-25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098U KR200484520Y1 (ko) 2017-04-25 2017-04-25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20Y1 true KR200484520Y1 (ko) 2017-09-15

Family

ID=6057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098U KR200484520Y1 (ko) 2017-04-25 2017-04-25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061A (ko) * 2021-08-13 2023-02-21 주상숙 낚시 미끼 보관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25Y1 (ko) 1992-10-22 1995-04-12 배정희 채즙, 강판 및 썰기를 하는 식품가공기
KR200217424Y1 (ko) 2000-09-23 2001-03-15 정진오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
KR20040001510A (ko)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기계적연마 방법
KR200381326Y1 (ko) 2005-01-17 2005-04-11 최용원 손목 착용형 낚시 미끼통
KR200381341Y1 (ko) * 2005-01-19 2005-04-12 임양식 개선된 낚시 미끼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625Y1 (ko) 1992-10-22 1995-04-12 배정희 채즙, 강판 및 썰기를 하는 식품가공기
KR200217424Y1 (ko) 2000-09-23 2001-03-15 정진오 고정걸이를 갖는 낚시용 미끼통
KR20040001510A (ko)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화학적기계적연마 방법
KR200381326Y1 (ko) 2005-01-17 2005-04-11 최용원 손목 착용형 낚시 미끼통
KR200381341Y1 (ko) * 2005-01-19 2005-04-12 임양식 개선된 낚시 미끼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061A (ko) * 2021-08-13 2023-02-21 주상숙 낚시 미끼 보관함
KR102660670B1 (ko) 2021-08-13 2024-04-24 주상숙 낚시 미끼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803B1 (en) Combination bait bucket and tackle box
US4884357A (en) Fish hook carrier
US2849825A (en) Fish hook keeper
US20070119093A1 (en) Mobile Fishing Utility Box
US2064696A (en) Fish holder
US2153549A (en) Combination bait and tackle box
KR200484520Y1 (ko) 낚싯대용 받침대에 거치가 용이한 미끼통
US9877469B1 (en) Vertical tackle storage box
CN114096150A (zh) 诱饵容器
US5371968A (en) Fishing lure carrier
US5366076A (en) Container for fishing rod and reel
JP3210864U (ja) 針外し具、及びこれを設置した蓋付き容器
US5275316A (en) Fisherman's back pack
US20120151819A1 (en) Speedy Tackle Box
JP2008253166A (ja) 携帯用タモ網
US2797137A (en) Bait and tackle box
JP2013046581A (ja) 釣り用バッグ及びホルダ
US20100257771A1 (en) Fishing lure carrier
US4054005A (en) Live-bait pack
JP2006034479A (ja) レジャー用ポーチ
US2866295A (en) Holder for fishing tackle
US20150351374A1 (en) Tackle system with removable lure organizer
US6082041A (en) Lure transporting system
JP2018064487A (ja) ルアーの釣針カバー装置
US20190133104A1 (en) Rotating Tackl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