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90Y1 - 이탈방지용 낚싯대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90Y1
KR200450090Y1 KR2020100001769U KR20100001769U KR200450090Y1 KR 200450090 Y1 KR200450090 Y1 KR 200450090Y1 KR 2020100001769 U KR2020100001769 U KR 2020100001769U KR 20100001769 U KR20100001769 U KR 20100001769U KR 200450090 Y1 KR200450090 Y1 KR 200450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topper
rod body
installation groo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주진
Original Assignee
임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주진 filed Critical 임주진
Priority to KR2020100001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90Y1/ko
Priority to PCT/KR2011/001085 priority patent/WO201110266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01K97/11Supports for rods with automatic h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개에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하거나 기립할 수 있게 회동하는 회동날개를 설치하여 조작과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낚싯대몸체가 거치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 이탈방지용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에 따라, 낚싯대몸체와; 후단이 상기 낚싯대몸체의 전(前)단에 연결되는 마개와; 일측단이 상기 마개의 좌우 양측 외주 면에 힌지결합하여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기립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용 낚싯대{FISHING POLE WITH MEANS FOR SEPERATION}
본 고안은 이탈방지용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개에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하거나 기립할 수 있게 회동하는 회동날개를 설치하여 조작과 보관이 용이함과 동시에 낚싯대몸체가 거치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간편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 이탈방지용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함에 있어서, 특히 민물낚시의 경우에는 한 사람이 다수의 낚싯대를 던져놓고 이를 지켜보면서 고기가 물린 낚싯대를 들어올려 고기를 잡게 된다. 이를 위해 통상 "Y" 자형의 거치대를 지면에 고정한 후 여기에 낚싯대를 거취 하게 된다.
바다낚시의 경우에는 곳곳에 바위들이 있어 낚싯대를 바위틈 사이에 끼워 고정하기가 용이한데 반하여, 민물낚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자연석이 흔치 않아 상기 거치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고기가 물기 전에는 낚싯대가 지지되어 지지만 고기가 입질을 하거나 물게 되면 낚싯대는 유동하게 되며 특히, 대어가 물린 경우에는 낚싯대가 물속에 끌려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은 한 사람의 낚시꾼이 동시에 여러 개의 낚싯대를 던져놓고 낚시를 하기 때문이며 또한 낚시꾼이 한눈을 팔게 되면 낚싯대를 잃어버리게도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안출된 종래의 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는 다단으로 결합한 로드(10)와 로드의 끝 단부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나사결합된 낚싯대마개(20)로 구성된다. 더불어, 분실방지구(30)는 연결고리(31)와 끈(33) 및 걸림구(32)로 이루어져 별도로 구성된다.
사용시에는 분실방지구(30)에 구비된 연결고기(31)를 낚싯대마개(20)에 구비된 고리(21)에 연결한 후 그 걸림구(32)를 뒤 받침대의 뒤쪽 아래로 늘어뜨린 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낚싯대마개(20)와 분리되어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상 번거로움이 많아 사용자가 상기 분실방지구(3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낚싯대를 사용하는 일이 빈번해 상기 분실방지구(30)가 유명무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낚싯대를 걷어올릴 때 길게 늘어뜨려진 걸림구에 사용자의 손등 신체부위가 부딪히게 되어 부상을 당하는 안전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미끼를 투척하고 회수하는 것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때, 낚싯줄이 상기 분실방지구(30)에 엉키거나 낚시 바늘이 걸려서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혹 대어가 물려서 낚싯대가 끌려갈 때 상기 분실방지구(30)가 상기 거치대에 제대로 걸리지 않아 낚싯대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분실방지구(30)를 상기 낚싯대마개(20)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보관이 번거롭다는 편리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개의 좌우 양측에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하게 하거나 기립하게 할 수 있는 회동날개를 설치한 이탈방지용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낚싯대몸체의 전(前)방부에 원터치 방식의 탈착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회동날개를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반자동으로 기립할 수 있게 한 이탈방지용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이탈방지용 낚싯대는, 낚싯대몸체와; 후단이 상기 낚싯대몸체의 전(前)단에 연결되는 마개와; 일측단이 상기 마개의 좌우 양측 외주면에 각각 힌지결합하여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기립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는 원통형으로 후측부 외주면이 수나사산을 이룸과 함께 내측으로 단을 형성하고, 상기 낚싯대몸체의 전(前)단은 개구되고, 전(前)방부 내주면에 상기 수나나산과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가 상기 낚싯대몸체에 탈착 결합하게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마개는 상기 낚싯대몸체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날개는 밑판이 상기 낚싯대몸체와 경첩에 의해 회동하게 결합되고, 상기 밑판은 상면에 상판을 설치하는데, 상기 상판은 상기 밑판과 상기 경첩을 상방에서 모두 커버함과 함께 기립한 상기 회동날개가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밑판의 전체 또는 일부 중 어느 하나는 수지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는 후면 상하부에 길이를 갖고 후방을 향하게 입설되어 각각 외측으로 제1걸림돌기가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하며, 좌우 양측면은 오목진 제1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날개는 상기 제1설치홈에 설치되고, 상기 낚싯대몸체는 전(前)방부 내측 상하면에 상기 제1걸림돌기가 걸리는 제1걸림홈이 구비되고, 외측 좌우 양측면은 상기 제1설치홈과 연결되는 제2설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2설치홈에 후방을 향하는 상기 회동날개를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마개는 좌우 양 측면에 오목진 제1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날개는 상단에 오목진 제2걸림홈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텐션철편이 설치되어, 일측의 상하단으로 상기 텐션철편의 일부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마개의 제1설치홈 상하면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회동날개가 상기 마개에 기립한 상태로 결합하게 하고, 상기 낚싯대몸체는 전(前)방부 외측 좌우 양 측면에 오목진 제2설치홈이 구비되며, 전(前)방부 내부는 복원력을 갖는 "T" 자형의 탈착스위치가 하단과 좌우 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고, 상기 탈착스위치의 하단을 누름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단이 후방으로 회동한 상기 회동날개의 제2걸림홈에 삽탈됨에 의해 상기 회동날개를 고정하거나 기립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텐션철편은 'T' 자형으로 하부는 상기 회동날개의 타측을 향하게 내부에 위치하고, 좌우단은 하방으로 절곡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스위치는 하단이 상기 낚싯대몸체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좌우 단은 하방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2설치홈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는 오목진 삽입홈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을 삽입하고, 상기 낚싯대몸체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끼움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끼움 결합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에 의하면, 마개의 좌우 양측에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하게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거나 기립하게 하게 하여 낚싯대가 거치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는 회동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보관이 편리하고, 별도의 장착 없이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낚싯대몸체의 전(前)방부에 원터치 방식의 탈착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회동날개를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반자동으로 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지 상기 낚싯대몸체를 거치대에 올려놓는 것으로 상기 낚싯대몸체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전성과 함께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례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일 실시예를 회동날개의 작동상태와 함께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개가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개가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를 절단하여 "A1"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7을 절단하여 "A2"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일 실시예를 회동날개의 작동상태와 함께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다른 실시예에서 마개가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개가 분리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는 낚싯대몸체(100), 마개(110)와 회동날개(120)로 대분 된다.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길이를 갖는 봉형으로 후단에 바늘이 구비된 낚싯줄이 연결되고, 전(前)단이 개구되어 사용자가 강, 연못, 호수, 냇가, 낚시터, 저수지 또는 바다와 같은 곳에서 물고기를 낚을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상기 마개(110)는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전(前)단에 후단이 연결되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개구된 전단을 폐쇄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마개(100)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시예와 같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100)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와 같이 후방부가 내측으로 단을 이루고 외주 면에 수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전단을 개구되고, 전(前)방부 내주 면에는 상기 수나사산(111)에 대응하는 암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00)가 상기 낚싯대몸체(100)와 탈착하게 결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개(100)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후면 상하부에 후방을 향하게 입설된 탄성편(114)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114)은 후단에 외 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돌기(113)가 각각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전(前)방부 내측 상하면에는 오목진 제1걸림홈(102)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14)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개구된 전단으로 인입될 시 상기 제1걸림돌기(113)를 삽입하여 상기 마개(100)가 상기 낚싯대몸체(100)와 결합하여 빠지지 않도록 걸리게 한다.
또한, 상기 마개(100)는 본 고안에 다른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좌우 양측 외표면에 후단까지 연결되는 오목진 제1설치홈(11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전(前)방부 좌우 양측 외표면에 전(前)단까지 연결되는 오목진 제2설치홈(103)이 형성되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전단에 연결되는 상기 마개(100)의 제1설치홈(115)과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동날개(120)는 판형상의 밑판(120a)과 상기 밑판(120a)의 일측단에 결합하는 경첩(121)과 상기 밑판(120a)의 상방으로 결합하여 상기 밑판(120a)과 상기 경첩(121)의 상측 표면을 모두 커버하는 상판(12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첩(121)은 상기 마개(110)의 좌우 양측 외주면 또는 상기 제1설치홈(115)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날개(120)가 회동할 수 있게 하는데, 상기 상판(120b)은 상기 경첩(121)의 상측 표면을 커버함으로 인해 상기 회동날개(120)가 기립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경첩(121)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마개(100)의 외표면을 상기 상판(120b)의 전단이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날개(120)는 후방으로 회동하거나 기립되게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제2설치홈(103)은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회동날개(120)를 삽입하여 상기 회동날개(120)가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으로 회동하였을 때는 상기 회동날개(120)가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Y" 자형의 거치대(a)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거치 되는데, 상기 회동날개(120)를 기립하게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날개(120)의 저면에 상기 거치대(a)의 상부 전(前)면이 걸리게 되어 본 고안의 이탈방지용 낚싯대가 상기 거치대(a)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밑판(120a)은 전체 또는 상기 밑판(120a)의 저면 중 어느 하나는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수지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밑판(120a)이 탄성을 갖음으로 상기 회동날개(120)와 상기 거치대(a)가 충돌하였을 때 충격을 완화하여 제품 손상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를 절단하여 "A1"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7을 절단하여 "A2" 방향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탈방지용 낚싯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동날개(120)의 내부에는 "T" 자형의 텐션철편(12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텐션철편(123)은 텐션을 갖는 금속재의 철사로 이루어진 것으로, "T" 자의 하부가 상기 회동날개(120)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좌우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회동날개(120)의 일측단 좌우면을 관통하여 끝단이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텐션철편(123)이 설치된 상기 회동날개(120)는 상기 제1설치홈(115)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철편(123)의 좌우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제1설치홈(115)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회동하여 기립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텐션철편(123)의 좌우로 돌출된 부위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텐션에 의해 기립 하게 회동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전(前)방부 내부에 "T" 자형의 탈착스위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탈착스위치(130)는 "T" 자형의 하단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함으로써 버튼 역할을 하고, 좌우로 돌출된 부위의 끝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131)가 상기 제2설치홈(122)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날개(120)는 상면에 오목진 제2걸림홈(122)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설치홈(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돌기(131)가 상기 제2걸림홈(122)에 끼워져서 상기 회동날개(120)가 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설치홈(12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탈착스위치(130)의 돌출된 하단을 누르면 상기 제2걸림돌기(131)가 상기 제2걸림홈(122)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텐션철편(123)의 텐션에 의해 상기 회동날개(120)가 기립 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평소에 상기 회동날개(120)를 상기 제2설치홈(122)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다가 상기 거치대(a)에 상기 낚싯대몸체(100)를 거치하면서 상기 탈착스위치(130)의 외부로 노출된 하단이 상기 거치대(a)의 상단과 맞닿으면서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무게의 압력에 의해 눌려짐으로 인해 별도의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상기 회동날개(120)가 기립하게 함으로써 낚싯대가 상기 거치대(a)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낚싯대의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0: 낚싯대몸체 110: 마개
120: 회동날개 130: 탈착스위치

Claims (9)

  1. 낚싯대몸체(100)와;
    후단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전(前)단에 연결되는 마개(110)와;
    일측단이 상기 마개(110)의 좌우 양측 외주 면에 각각 힌지결합하여 후방을 향한 상태에서 기립하는 한 쌍의 회동날개(1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날개(120)는 밑판(120a)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와 경첩(121)에 의해 회동하게 결합하고, 상기 밑판(120a)은 상면에 상판(120b)을 설치하는데, 상기 상판(120b)은 상기 밑판(120a)과 상기 경첩(121)을 상방에서 모두 커버함과 함께 기립한 상기 회동날개(120)가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10)는 원통형으로 후방부 외주 면이 수나사산(111)을 이룸과 함께 내측으로 단(112)을 형성하고,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전(前)단은 개구되고, 전(前)방부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111)과 대응하는 암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10)가 상기 낚싯대몸체(100)에 탈착 결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10)는 상기 낚싯대몸체(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120a)의 전체 또는 일부 중 어느 하나는 수지재로 이루어져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10)는 후면 상하부에 길이를 갖고 후방을 향하게 입설되어 각각 외 측으로 제1걸림돌기(113)가 돌출된 탄성편(114)을 구비하며, 좌우 양 측면은 오목진 제1설치홈(115)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날개(120)는 상기 제1설치홈(115)에 설치되고,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전(前)방부 내측 상하면에 상기 제1걸림돌기(113)가 걸리는 제1걸림홈(102)이 구비되고, 외측 좌우 양 측면은 오목진 제2설치홈(103)이 구비되어 상기 제2설치홈(103)에 후방을 향하는 상기 회동날개(120)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110)는 좌우 양 측면에 오목진 제1설치홈(115)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날개(120)는 상단에 오목진 제2걸림홈(122)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탄성을 갖는 텐션철편(123)이 설치되어, 일측의 상하단으로 상기 텐션철편(123)의 일부가 노출됨과 함께 상기 마개(110)의 제1설치홈(115) 상하면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회동날개(120)가 상기 마개(110)에 기립한 상태로 결합하게 하고,
    상기 낚싯대몸체(100)는 전(前)방부 외측 좌우 양 측면에 오목진 제2설치홈(103)이 구비되며, 전(前)방부 내부는 복원력을 갖는 "T" 자형의 탈착스위치(130)가 하단과 좌우 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고, 상기 탈착스위치(130)의 하단을 누름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단이 후방으로 회동한 상기 회동날개(120)의 제2걸림홈(122)에 삽탈됨에 의해 상기 회동날개(120)를 고정하거나 기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철편(123)은 'T' 자형으로 하부는 상기 회동날개(120)의 타측을 향하게 내부에 위치하고, 좌우 단은 하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스위치(l30)는 하단이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좌우 단은 하방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131)가 상기 제2설치홈(122)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는 오목진 삽입홈(132)이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33)을 삽입하고, 상기 낚싯대몸체(100)의 상측 내면에는 상기 삽입홈(132)에 대응하는 끼움돌기(134)가 돌출되어 상기 탄성스프링(133)을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낚싯대.
KR2020100001769U 2010-02-19 2010-02-19 이탈방지용 낚싯대 KR200450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69U KR200450090Y1 (ko) 2010-02-19 2010-02-19 이탈방지용 낚싯대
PCT/KR2011/001085 WO2011102667A2 (ko) 2010-02-19 2011-02-18 이탈방지용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769U KR200450090Y1 (ko) 2010-02-19 2010-02-19 이탈방지용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090Y1 true KR200450090Y1 (ko) 2010-09-02

Family

ID=4447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769U KR200450090Y1 (ko) 2010-02-19 2010-02-19 이탈방지용 낚싯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0090Y1 (ko)
WO (1) WO201110266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80U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강원산업 낚싯대 뒷마개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KR20230030879A (ko) * 2021-08-26 2023-03-07 전민성 자동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용 수중 찌
KR20230037213A (ko) * 2021-09-09 2023-03-16 심유정 호환성이 우수한 낚시대 이탈방지용 뒤꽂이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045U (ko) * 1994-11-15 1996-06-17 서웅조 낚시대 이탈방지구
KR20000002439U (ko) * 1998-07-07 2000-02-07 이훈효 낚시대 지지장치
KR200221827Y1 (ko) * 1998-07-07 2001-05-02 이성연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KR20070000729U (ko) * 2007-06-04 2007-06-22 김성춘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556U (ko) * 1999-03-16 1999-07-05 조태식 낚시대이탈방지보조대
KR200399560Y1 (ko) * 2005-08-12 2005-10-25 주식회사 바낙스 낚시대용 릴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045U (ko) * 1994-11-15 1996-06-17 서웅조 낚시대 이탈방지구
KR20000002439U (ko) * 1998-07-07 2000-02-07 이훈효 낚시대 지지장치
KR200221827Y1 (ko) * 1998-07-07 2001-05-02 이성연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KR20070000729U (ko) * 2007-06-04 2007-06-22 김성춘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80U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강원산업 낚싯대 뒷마개
KR20200022711A (ko) * 2018-08-23 2020-03-04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KR102172402B1 (ko) * 2018-08-23 2020-10-30 송석록 낚시대 이탈 방지 장치
KR20230030879A (ko) * 2021-08-26 2023-03-07 전민성 자동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용 수중 찌
KR102626809B1 (ko) * 2021-08-26 2024-01-18 전민성 자동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용 수중 찌
KR20230037213A (ko) * 2021-09-09 2023-03-16 심유정 호환성이 우수한 낚시대 이탈방지용 뒤꽂이 지지대
KR102661478B1 (ko) * 2021-09-09 2024-04-25 심유정 호환성이 우수한 낚시대 이탈방지용 뒤꽂이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2667A2 (ko) 2011-08-25
WO2011102667A3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090Y1 (ko) 이탈방지용 낚싯대
US3426467A (en) Lure head with diving vane
JP3853726B2 (ja) 釣針保管用ケース構造及びその固定方法
US11412721B2 (en) Easy rig bait tackle
US7627980B2 (en) Snell holding and storing device
US3897647A (en) Bucktail fishing lure with detachable hook
US20110308135A1 (en) Spinner bait
US6880285B1 (en) Combined bobber and hook-setting assembly
US2968113A (en) Fish lure
KR20180040375A (ko)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KR102278049B1 (ko) 낚시용 집어장치
US8695273B2 (en) Waste fishing line holder
US8635804B1 (en) Ghost head fishing lure
KR20160002894U (ko) 다기능 낚시 집어용 봉돌
KR200473081Y1 (ko)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KR100860492B1 (ko) 낚시용 뜰채 걸이장치
US2171050A (en) Cutting device for fishermen
GB2566698A (en) Hook retaining device for fishing lures
US20130232847A1 (en) Large Eyelet Hook for Centering Soft Plastic Worm
RU2314685C1 (ru) Подледная жерлица с объемным сигнализатором
KR200381341Y1 (ko) 개선된 낚시 미끼통
US9526235B1 (en) Fishing harness apparatus with enhanced bait securement
KR200305481Y1 (ko) 이탈방지용 낚시대마개
KR101299856B1 (ko) 전방이 절곡되는 돌틈용 낚시대
KR200441870Y1 (ko) 좌대 체결형 뜰채 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