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081Y1 -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081Y1
KR200473081Y1 KR2020140001503U KR20140001503U KR200473081Y1 KR 200473081 Y1 KR200473081 Y1 KR 200473081Y1 KR 2020140001503 U KR2020140001503 U KR 2020140001503U KR 20140001503 U KR20140001503 U KR 20140001503U KR 200473081 Y1 KR200473081 Y1 KR 200473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fishing
fishing line
insertion por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현
Original Assignee
권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현 filed Critical 권오현
Priority to KR2020140001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6Fly t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에 관한 것으로, 봉의 형상을 갖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미끼를 관통하며 선단과 인접하여 낚싯줄이 걸리는 걸림 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기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돌돔 낚시와 같은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갖는 미끼에 낚싯줄을 쉽고 편리하게 관통시켜 미끼에 낚싯줄을 메달 수 있어 낚시를 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Fishing Auger}
본 고안은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돔 낚시에서 사용되는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갖는 미끼에 쉽고 편리하게 낚싯줄을 메달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에 관한 것이다.
돌돔은 바닷고기 중 최고의 낚시 대상어로 꼽힌다. 남성적 외형에 박력 있는 입질과 동급 최강의 파워를 지녀 '갯바위의 황제'라 불린다. 일반에는 다금바리와 쌍벽을 이루는 최고급 횟감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돌돔은 서식 지역이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먼바다와 서해 일부로 좁고, 5월부터 10월까지의 하절기에만 주로 낚이는 계절적 제한이 있어서 쉽게 낚을 수 있는 물고기는 아니다. 또한, 철저히 바닥에 붙어사는 습성 때문에 찌낚시가 잘 통하지 않고 낚시 장비와 미끼, 출조 비용이 모두 고액이라는 것도 단점이다. 그러나 바로 그런 특수성과 난이도가 꾼의 도전욕구를 자극하는 돌돔낚시의 매력이기도 하다.
이러한 돌돔낚시 장비는 돌돔 전용 릴낚싯대 또는 갯바위용 5호 낚싯대에 파워 위주의 서브캐스팅 릴(중대형 장구통 릴)을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사용하는 미끼는 참갯지렁이(일명 혼무시)나 성게, 소라, 게고동, 활 전복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돌돔 낚시에 사용되는 미끼는 매우 비싼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미끼를 낚시 바늘에 잘못 끼우는 경우 미끼가 낚싯줄에서 빠지거나 물고기가 쉽게 미끼만을 빼먹고 도망갈 수 있어 고가의 미끼를 낭비하게 된다.
특히, 성게와 같은 미끼의 경우 낚싯줄을 성게에 관통시켜 관통된 낚싯줄의 끝단에 낚시 바늘을 연결하여 돌돔이 성게를 먹기 위해 입을 벌리는 사이에 낚시 바늘이 돌돔의 입에 걸리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낚싯줄이 성게를 쉽게 관통할 수 있도록 꼬챙이와 같은 막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17480호에는 낚시 바늘에 지렁이 등의 미끼를 삽입하는 낚시 미끼 삽입구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금속제로 된 끼움간의 하단에는 손잡이가 부착되고, 그 상단 예리부 중심에는 낚시 바늘의 침이 끼움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돌돔 낚시와 같은 낚싯줄이 성게를 관통하여 낚싯줄에 성게가 매달리게 하는 작업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게와 같은 딱딱한 표피를 가진 미끼가 낚싯줄에 쉽고 안전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봉의 형상을 갖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미끼를 관통하며 선단과 인접하여 낚싯줄이 걸리는 걸림 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기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부를 통해 인입된 낚싯줄이 삽입부의 양 측면으로 인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개구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삽입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삽입부의 선단 표면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기단은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기단은 손잡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는, 돌돔 낚시와 같은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갖는 미끼에 낚싯줄을 쉽고 편리하게 관통시켜 미끼에 낚싯줄을 메달 수 있어 낚시를 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는 삽입부의 선단과 인접하여 개구부와 연장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이 낚싯줄의 지름보다 큰 곡률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걸림 홈에 부착되지 않아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깨끗한 상태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의 양 측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미끼를 관통한 삽입부를 후퇴시킬 때 낚싯줄이 연장부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미끼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미끼에 형성되어 낚싯줄이 인출되는 구멍이 확장되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낚싯줄을 미끼에 안정적으로 메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중 걸림 홈에 낚싯줄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중 삽입부의 자유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100)는 돌돔 낚시의 미끼로 사용되는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뚫어 관통시킬 수 있도록 날카롭고 뾰족한 선단이 형성된 삽입부(110)와 삽입부(110)의 기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130)로 구성된다.
삽입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의 형상을 갖으며 성게와 같은 미끼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형성하며, 삽입부(110)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에 낚싯줄이 걸리는 걸림 홈(120)이 형성된다.
봉의 형상을 갖는 삽입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삼각, 사각,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부(110)는 바람직하게 티탄과 같은 우수한 강도와 내식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삽입부(110)의 선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걸림 홈(120)은 삽입부(110)가 미끼를 관통하여 미끼의 껍질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노출된 삽입부(110)의 걸림 홈(120)에 낚싯줄(W)을 걸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부(110)를 미끼로부터 후퇴시켜 낚싯줄을 미끼에 관통시켜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렇게 삽입부(110)의 선단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낚싯줄을 걸게 되는 걸림 홈(120)은 개구부(122)와 연장부(124)로 구성된다. 개구부(122)는 삽입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개구부(122)를 통해 낚싯줄이 걸림 홈(1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입구가 되며 연장부(124)는 개구부(122)와 연결된 상태에서 삽입부(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124)는 개구부(122)가 끝나는 삽입부(110)의 내측에서 삽입부(110)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122)와 연장부(124)의 폭은 낚싯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 홈(120) 내에서 낚싯줄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 홈(120)은 도 2 위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는데, 개구부(122)는 삽입부(110)의 축선과 교차하여 삽입부(110)의 외주면을 향하게 형성되고, 개구부(122)가 끝나는 삽입부(110)의 축선에서 연장부(124)가 삽입부(110)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어 개구부(122)를 통해 인입된 낚싯줄은 연장부(124)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124)에 위치한 낚싯줄은 삽입부(110)의 양 측면으로 인출되어 미끼를 관통한 삽입부(110)를 미끼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에 따라 낚싯줄이 삽입부(110)에 안내되면서 미끼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구부(122)와 연장부(124)로 구성되는 걸림 홈(120)은 바람직하게 낚싯줄이 개구부(122)를 통해 연장부(124)로 인입될 때 낚싯줄이 개구부(122)에서 연장부(124)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만나 연결되는 부분에 라운드의 형태와 같은 곡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만나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라운드의 곡률은 바람직하게 낚싯줄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낚싯줄이 걸림 홈(120)에 인입되거나 걸림 홈(120)에서 분리되는 과정 중에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만나 연결되는 부분에 부착된 이물질이 낚싯줄의 표면과 접촉하여 탈락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삽입부(110)를 미끼에 관통시키는 중에 미끼의 살점 또는 껍질 등이 삽입부(110)의 걸림 홈(120)에 잔류할 수 있다. 이렇게 걸림 홈(120)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 홈(120)에 과도하게 달라붙게 되면 낚싯줄(W)이 걸림 홈(120)에 인입되는 것을 막아 낚싯줄이 걸림 홈(120)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없게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걸림 홈(120)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게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만나는 부분에 낚싯줄의 지름보다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낚싯줄이 개구부(122)에서 연장부(124)로 이동하는 과정 중에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연결되는 부분의 표면이 낚싯줄의 표면과 접촉하여 걸림 홈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락시키게 된다.
한편, 연장부(124)에 위치한 낚싯줄이 삽입부(110)의 양 측면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미끼에 낚싯줄이 관통되도록 삽입부(110)를 미끼로부터 후퇴시킬 때 낚싯줄이 연장부(124)의 양 측면에서 삽입부(110)의 선단을 향해 밀착된 상태로 안내될 수 있도록 경사면(128)이 형성된다. 이를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중 걸림 홈에 낚싯줄이 걸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장부(124)는 개구부(122)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삽입부(1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삽입부(110)의 선단 표면과 가까워지는 경사면(128)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를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장부(124)의 내부에는 낚싯줄이 걸리는 걸림 턱(126)이 형성되고, 걸림 턱(126)에서 삽입부(110)의 선단으로 갈수록 삽입부(110)의 선단 표면과 가까워지는 경사면(128)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걸림 턱(126)은 평면상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낚싯줄이 걸림 턱(126)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밴딩될 때 낚싯줄이 급격하게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낚싯줄에 과도한 장력이 걸렸을 때 낚싯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 턱(126)에서 삽입부(110)의 선단을 향하는 경사면(128)를 형성하여 연장부(124)에서 양 측면으로 낚싯줄이 인출되었을 때 낚싯줄이 경사면(128)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연장부(124)에 경사면(128)이 형성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W)이 미끼를 관통하도록 삽입부(110)를 미끼로부터 후퇴시킬 때 연장부(124)의 양 측면으로 인출된 낚싯줄(W)이 미끼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미끼의 내부와 낚싯줄(W)이 접하게 되면서 낚싯줄(W)이 경사면(128)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삽입부(110)를 계속 후퇴시키게 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4)의 양 측면으로 인출된 낚싯줄(W)이 삽입부(110)의 선단 전방으로 모이게 되어 미끼에 형성된 삽입부(110)에 의한 구멍이 더 이상 확장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미끼에 형성된 낚싯줄(W)이 관통하는 구멍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낚싯줄(W)을 미끼에 안정적으로 메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연장부(124)에 미끼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124)에 형성된 경사면(128)의 경사각도(a)는 바람직하게 삽입부(110)의 축선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5~1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삽입부(110)의 기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30)가 형성되는데, 손잡이(130)는 몸체(132)와 회전부(134)로 구성된다. 몸체(132)는 전체적으로 봉의 형상을 갖되 삽입부(1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다각기둥은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몸체(132)의 기단에는 손잡이(13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134)가 형성되어 삽입부(110)를 미끼에 관통시켰을 때 회전부(134)를 중심으로 손잡이(130)를 회전시켜 더욱 원활하게 미끼의 껍질을 뚫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134)는 도 2 아래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32)의 기단 단부에 후크 형태의 돌기(136)가 손잡이(130)의 축선과 동일하게 돌출 형성되고 돌기(136)와 대응하는 끼움 홈이 회전부(134)에 형성되어 끼움 홈에 돌기(136)가 삽입됨으로써, 돌기(136)를 중심으로 회전부(134)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부(134)를 파지한 상태에서 몸체(132)를 회전시켜 삽입부(110)가 미끼를 관통할 때 삽입부(110)가 원활하게 미끼의 껍질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32)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몸체를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고 몸체(13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몸체(132)의 표면에 논슬립부(138)가 형성된다. 이러한 논슬립부(138)는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논슬립부(138)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가 몸체(13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몸체(132)의 표면에 미세한 홈을 사선의 형태로 가공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사용을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갖는 미끼에 낚싯줄(W)을 관통시키기 위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손에 손잡이(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성게와 같은 미끼를 들고 삽입부(110)의 선단이 미끼를 관통할 수 있게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부(110)가 미끼를 관통하게 되면 삽입부(110)의 선단이 미끼를 관통하여 삽입부(11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 홈(120)이 미끼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렇게 걸림 홈(120)이 미끼의 외부로 노출되면 걸림 홈(120)의 개구부(122)에 낚싯줄(W)을 인입시키게 되며 개구부(122)에 인입된 낚싯줄(W)이 연장부(124)에 위치할 수 있도록 낚싯줄(W)을 삽입부(110)의 선단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낚싯줄(W)의 양측에는 낚시바늘(N)이 형성되어 돌돔과 같은 어류가 입질할 때 입안에 낚시바늘(N)이 걸릴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낚싯줄(W)이 연장부(124)에 위치하게 되면 연장부(124)에 형성된 걸림 턱(126)을 중심으로 낚싯줄(W)이 삽입부(110)의 양 측면으로 인출된 상태를 갖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끼를 관통한 삽입부(110)를 후퇴시키면 삽입부(110)의 걸림 홈(120)에 걸림된 낚싯줄(W)이 삽입부(110)의 후퇴에 안내되어 미끼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부(110)가 미끼를 빠져나간 방향으로 인출되고, 이렇게 미끼의 외부로 인출된 낚싯줄(W)에 원줄을 감아 채비를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100)는 돌돔 낚시와 같은 성게와 같은 단단한 껍질을 갖는 미끼에 낚싯줄을 쉽고 편리하게 관통시켜 미끼를 준비할 수 있어 낚시를 하기 위한 준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100)는 삽입부(110)의 선단과 인접하여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형성되고, 개구부(122)와 연장부(124)가 연결되는 부분이 낚싯줄(W)의 지름보다 큰 곡률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걸림 홈(120)에 부착되지 않아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100)를 깨끗한 상태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4)의 양 측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경사면(128)이 형성되어 미끼를 관통한 삽입부(110)를 후퇴시킬 때 낚싯줄(W)이 연장부(124)의 경사면에 밀착된 상태로 미끼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낚싯줄(W)이 관통한 미끼에 형성된 구멍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낚싯줄을 미끼에 안정적으로 메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미끼의 껍질을 뚫게 되는 삽입부(110)의 자유단이 송곳과 같은 원뿔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각뿔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의 자유단은 그 끝단이 삽입부(110)의 자유단 전방으로 갈수록 뾰족하고 날카로워지며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사각뿔이 될 수 있다.
110 : 삽입부 120 : 걸림 홈
122 : 개구부 124 : 연장부
126 : 걸림 턱 128 : 경사면
130 : 손잡이 132 : 몸체
134 : 회전부 136 : 돌기
138 : 논슬립부 N : 낚시바늘
W : 낚싯줄

Claims (6)

  1. 봉의 형상을 갖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미끼를 관통하며 선단과 인접하여 낚싯줄이 걸리는 걸림 홈이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기단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기단은 손잡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서 삽입부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부를 통해 인입된 낚싯줄이 삽입부의 양 측면으로 인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은 상기 개구부와 연장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곡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삽입부의 선단으로 갈수록 삽입부의 선단 표면과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기단은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6. 삭제
KR2020140001503U 2014-02-26 2014-02-26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KR200473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3U KR200473081Y1 (ko) 2014-02-26 2014-02-26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3U KR200473081Y1 (ko) 2014-02-26 2014-02-26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081Y1 true KR200473081Y1 (ko) 2014-06-11

Family

ID=5148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503U KR200473081Y1 (ko) 2014-02-26 2014-02-26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0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43U (ko) 2017-07-07 2019-01-16 김화규 낚시용 바늘 교정기
KR20190002144U (ko) 2018-02-13 2019-08-21 김화규 낚시용 공기 제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28U (ko) * 2009-12-17 2010-01-22 윤일기 낚시용 보조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728U (ko) * 2009-12-17 2010-01-22 윤일기 낚시용 보조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43U (ko) 2017-07-07 2019-01-16 김화규 낚시용 바늘 교정기
KR20190002144U (ko) 2018-02-13 2019-08-21 김화규 낚시용 공기 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6467A (en) Lure head with diving vane
JP6857412B2 (ja) 釣り針の根がかり防止装置
KR200490008Y1 (ko) 낚시용 바늘 교정기
US20140208630A1 (en) Fishing lure connector
US7627980B2 (en) Snell holding and storing device
KR200473081Y1 (ko) 낚시용 미끼 끼움도구
US4559734A (en) Worm baiting tool
US3670448A (en) Fish hook locator-extractor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US6397512B1 (en) Fishhook-extracting device
US2584231A (en) Fishhook baiter
US3713243A (en) Fish hook remover
US2793459A (en) Fish lures
KR101887511B1 (ko) 낚싯바늘 보관홀더가 구비된 릴
US8826585B2 (en) Fishing hook assembly
US5084999A (en) Fish hook remover
US20130008076A1 (en) Fishing Hook Storage and Threading Device
US2492799A (en) Fishhook extractor
WO2012143538A2 (de) Mehrzweckgerät
US20090151220A1 (en) Hook assembly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US6289628B1 (en) Fishhook
US38726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a fish hook
US20220346360A1 (en) Fishing hook prot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