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729U -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 Google Patents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729U
KR20070000729U KR2020070009188U KR20070009188U KR20070000729U KR 20070000729 U KR20070000729 U KR 20070000729U KR 2020070009188 U KR2020070009188 U KR 2020070009188U KR 20070009188 U KR20070009188 U KR 20070009188U KR 20070000729 U KR20070000729 U KR 200700007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ishing rod
rear end
grip memb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춘
Original Assignee
김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춘 filed Critical 김성춘
Priority to KR2020070009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729U/ko
Publication of KR20070000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2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01K87/025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telescop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을 구성하여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그 몸체가 다단의 절첩대로 구성되어, 그 다단 절첩대의 절첩으로 인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된 접이식 낚시대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의 후단 외주부에 씌워지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이 형성되어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립부재가 접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낚시대가 받침대를 지나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혀지는 전단부와 덮혀지는 후단부의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게 접혀지므로 견고하게 접힘선단이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GRIP MEANS FOR PREVENTING A SLIDING OF A FISHING ROD}
도 1a, 1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받침대, 4:∨형 걸림대,
6:걸림부, 8:낚시대,
10:다단절첩대, 30:그립부재,
34:철부, 36:요부,
38:접힘홈, 40:전단부,
42:후단부, 44:접힘단부.
본 고안은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을 구성하여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바다낚시의 경우에도 낚시대를 별도로 거치하는 거치대가 구비되어져 있지만, 특히 바다낚시에 비해 더 정적인 모션이 발생되는 민물 낚시의 경우에는 장시간 동일 장소에서 입질이 일어날 때까지 대기해야하므로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시켜두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대 거치구조는 도 1a, 1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낚시대(8)를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2)는 그 하단에 예봉(미도시)이 형성되어져 흙 등에 박히기 쉽게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대(2)의 상단 소정부는 복수개의 가지형상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형 걸림대(4)가 연장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2)와 ∨형 걸림대(4)가 상호 연결되는 위치에는 실질적으로 낚시대(8)가 자중에 의해 안착되는 걸림부(6)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형 걸림대(4)에 그 후단이 안착되는 낚시대(8)는 그 몸체가 다단의 절첩대(10)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다단 절첩대(10)의 후단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며 그립감을 높이기 위해 쿠션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손잡이 그립부(12)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대 후단에 구비된 상기 손잡이 그립부(12)는 얇은 우레탄 발포막 등의 합성수지막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대어가 물린 경우에는 낚시대(8)를 끌고 들어가게 되어 낚시대를 분실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낚시대(8)를 끌고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 그립부(12)가 매우 ∨은 수지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형 걸림대(4)나 걸림부(6)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낚시대(8)의 전단은 별도의 거치대(미도시)를 통해 거치하도록 하는 바, 이때 상기 낚시대(8)의 후단을 거치하는 받침대(2)의 높이보다 전단을 거치하는 거치대의 높이가 현저하게 낮고 낚시대(8)의 초리대는 거의 물에 잠기거나 수면에 접촉할 정도로 낮은 높이를 갖게 거치되므로, 이때에도 역시 상기 손잡이 그립부(12)가 매우 얇은 수지로 구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형 걸림대(4)나 걸림부(6)에 걸리지 않게 되어 물속으로 미끌어져 들어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그립부(12)의 후단에 별도의 마개(14)를 끼워넣고 그 마개(14)에 고리(16)를 구성하며, 그 고리(16)에 탄성줄(18)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탄성줄(18)의 타단에는 집게(20)를 장착함으로써, 집게(20)를 상기 받침대(2)의 소정부에 결합시키게 되면 낚시대(8)가 물속으로 미끌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고정부재가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부재를 이용한 낚시대 이탈방지 구조는 입질이 발생되어 낚시대(8)를 챔질할 경우 상기 고정부재가 걸리적거리게 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탄성줄(18)은 길이와 탄성도가 한계가 있으므로 낚 시대(8)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무한정 탄성줄(18)이 늘어나지 않게 되므로 집게(20)를 해체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을 구성하여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 몸체가 다단의 절첩대로 구성되어, 그 다단 절첩대의 절첩으로 인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된 접이식 낚시대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의 후단 외주부에 씌워지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이 형성되어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단부는 그 외주연에 덮히는 전단부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가 일반 낚시대의 손잡이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단부의 요부 및 철부는 상기 후단부의 철부와 요부에 각 각 대응되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힘홈은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요부의 깊이보다 더 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의 접힘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을 구성하여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는 그 몸체가 다단의 절첩대(10)로 구성되어, 그 다단 절첩대(10)의 절첩으로 인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된 접이식 낚시대(8)의 후단 외주부에 씌워지되, 그 몸체(32)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34)와 요부(36)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는 그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38)이 형성되어 그 접힘홈(38)을 기준으로 전 단부(40)가 후단부(42)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44)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부재이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는 이탈방지 그립부재(30)의 전단부(40)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뒤집어져 상기 접힘홈(38)을 기준으로 접히게 되며, 그 후단부(42)의 상면에 상기 전단부(40)가 덮어씌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단부(40)가 후단부(42)의 상면에 덮어씌워지게 되면 그 접힘단부(44)의 높이가 원래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의 높이(혹은 두께)보다 더 큰 높이를 갖게 되어 상기 받침대(2)에 낚시대(8)를 거치시켜 놓아도 상기 낚시대(8)의 후단에 장착된 이탈방지 그립부재(30)가 그 받침대(2)의 걸림부(6)와 상기 ∨형 걸림대(4)에 걸리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의 상기 후단부(42)는 그 외주연에 덮히는 전단부(40)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가 일반 낚시대의 손잡이 길이와 동일하도록 하며, 상기 전단부(40)의 길이는 단지 접힘단부(44)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예컨대, 4㎝ 내지 6㎝ 정도의 길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는 상기 전단부(40)의 요부 및 철부가 상기 후단부(42)의 철부와 요부에 각각 대응되어 덮혀지도록 철부와 요부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홈(38)이 이를 고려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단부(40)가 뒤집어져 상기 후단부(42)의 외주연 에 덮히게 될 때 상기 전단부(40)는 철부는 후단부(42)의 요부에 삽입되도록 함이 좋다. 이를 통해, 상기 전단부(40)가 뒤집어져 상기 후단부(42)의 외주연에 덮히게 되면 견고한 접힘단부(44)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30)의 상기 접힘홈(38)은 상기 전단부(40) 및 후단부(42)에 형성된 요부(36)의 깊이보다 더 깊게 구성된 것이 좋다. 그래야지만, 상기 전단부(40)가 뒤집어져 상기 후단부(42)의 외주연에 덮히게 될 때 용이하게 상기 전단부(40)가 접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립부재가 접히도록 구성함으로써 편리하게 낚시대가 받침대를 지나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혀지는 전단부와 덮혀지는 후단부의 요부와 철부가 각각 대응되게 접혀지므로 견고하게 접힘선단이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그 몸체가 다단의 절첩대로 구성되어, 그 다단 절첩대의 절첩으로 인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된 접이식 낚시대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의 후단 외주부에 씌워지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와 요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전단으로부터 소정길이 후단에 접힘홈이 형성되어 그 접힘홈을 기준으로 전단부가 후단부의 상면에 접힘으로써 접힘단부가 걸림턱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부는 그 외주연에 덮히는 전단부의 길이를 제외한 길이가 일반 낚시대의 손잡이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의 요부 및 철부는 상기 후단부의 철부와 요부에 각각 대응되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홈은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된 요부의 깊이보다 더 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KR2020070009188U 2007-06-04 2007-06-04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KR200700007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188U KR20070000729U (ko) 2007-06-04 2007-06-04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188U KR20070000729U (ko) 2007-06-04 2007-06-04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29U true KR20070000729U (ko) 2007-06-22

Family

ID=4365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188U KR20070000729U (ko) 2007-06-04 2007-06-04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7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90Y1 (ko) * 2010-02-19 2010-09-02 임주진 이탈방지용 낚싯대
JP2021183473A (ja) * 2020-05-22 2021-12-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落下防止部材を備えた伸縮式ライン案内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90Y1 (ko) * 2010-02-19 2010-09-02 임주진 이탈방지용 낚싯대
WO2011102667A2 (ko) * 2010-02-19 2011-08-25 Im Ju-Jin 이탈방지용 낚싯대
WO2011102667A3 (ko) * 2010-02-19 2012-01-19 Im Ju-Jin 이탈방지용 낚싯대
JP2021183473A (ja) * 2020-05-22 2021-12-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落下防止部材を備えた伸縮式ライン案内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8987S1 (en) Clothing care machine
JP5805236B2 (ja) 分割式シャフトにおける磁気によってアシストされた連結部
USD851733S1 (en) Faucet handle
WO2007051099A8 (en) Oral care implement
USD662745S1 (en) Fishing rod holder for use with a deck
USD865495S1 (en) Robe hook
USD823559S1 (en) Combination leash handle and ID tag
JP2007330133A (ja) 釣用バッグ
USD600773S1 (en) Fishing rod flotation handle
USD548336S1 (en) Injection device
US20140263031A1 (en) Pool handle attachment mechanism and methods thereof
KR20070000729U (ko) 낚시대의 이탈방지 그립부재
USD654389S1 (en) Lip hook with curl at the end
USD785540S1 (en) Paddle clip
USD607534S1 (en) Reel seat for fishing rod
CA3033261C (en) Vacuum cleaner handle mount assembly
KR200453302Y1 (ko) 돗자리
USD731609S1 (en) Paddle-retaining block with fishing rod holders
JP3214650U (ja) ヘアドライタオル
USD633981S1 (en) Bucket
USD606792S1 (en) Towel bar
KR20090018553A (ko) 낚시용 수건
USD871071S1 (en) Flexible hand sleeve for a clutch bag
KR200424900Y1 (ko) 프라이팬의 손잡이
KR100913053B1 (ko) 때밀이타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