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828B1 - 물고기 포획용 어항 - Google Patents

물고기 포획용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828B1
KR101337828B1 KR1020110129524A KR20110129524A KR101337828B1 KR 101337828 B1 KR101337828 B1 KR 101337828B1 KR 1020110129524 A KR1020110129524 A KR 1020110129524A KR 20110129524 A KR20110129524 A KR 20110129524A KR 101337828 B1 KR101337828 B1 KR 10133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ice cake
support shaft
receptor
par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157A (ko
Inventor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석 filed Critical 이민석
Priority to KR102011012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8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을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사출 성형하여 간편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어항 내부에 설치되는 떡밥수용체를 사출 성형하여 견고한 상태로 어항의 내부에 고정되게 함과 아울러 어항에 구비되는 유인구에도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물고기들을 상기 유인구로 쉽게 유인할 수 있게 한 물고기 포획용 어항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고기 포획용 어항{fishing tackle for fish capture}
본 발명은 물고기 포획용 어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냇가에서 비교적 작은 물고기를 포획하는데 사용되는 어항을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사출 성형한 후, 이들 분할체들을 간편하게 조립하여 물속에서 세워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물고기 포획용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흐르는 물속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측으로 물고기(어류)를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어항은 투명한 재질로써 통 형상을 이루게 형성되며, 통의 내측으로는 유인구를 형성하여 한번 들어온 물고기가 밖으로 나가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항의 내측에는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떡밥이나 미끼들을 넣어 둠으로서, 물고기들을 유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어항들은 내측에 물고기들의 유인을 위해 떡밥을 넣어둘 때 상기 떡밥을 수용할 수 있는 떡밥수용체(그릇, 용기 등)에 떡밥을 넣은 후, 그 떡밥수용체를 어항의 내측에 매다는 형태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물살에 의해 떡밥수용체가 흔들리게 되어 안정적으로 떡밥수용체를 고정 지지할 수 없었다. 즉, 떡밥수용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항을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사출 성형하여 간편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 어항 내부에 설치되는 떡밥수용체를 사출 성형하여 견고한 상태로 어항의 내부에 고정되게 함과 아울러 어항에 구비되는 유인구에도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물고기들을 상기 유인구로 쉽게 유인할 수 있게 한 물고기 포획용 어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칭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분할체와 하부 분할체 및 상기 상부 분할체와 하부 분할체의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상하부 분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통 형상을 이룰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됨과 아울러 측부에는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유인구가 형성된 몸통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그 지지축을 몸체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을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상부 분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의해 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상기 지지축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개폐되는 떡밥수용체와 상기 떡밥수용체에 관통되게 형성한 제1유출공들로 이루어진 제1 떡밥수용부; 및 상기 제1 떡밥수용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유인구의 일부위에 어느 일측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어느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에 관통되게 형성한 제2유출공으로 이루어진 제2 떡밥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떡밥수용부에는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싯바늘들이 상기 지지축과 상기 떡밥수용체의 외측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분할체에는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2 유인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가 물속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무게중심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연결끈에 의해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적어도 2개 이상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부 분할체와 하부 분할체 및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되는 몸통 분할체들을 형성하여 상기 분할체들을 간편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항 내부에 설치되는 떡밥수용체를 사출 성형하여 견고한 상태로 어항의 내부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떡밥수용체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물고기를 어항 내부로 유인하기 위한 유인구에도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고기들을 상기 유인구로 쉽게 유인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 떡밥수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을 2개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체(110)는 사출 성형된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이루어진다. 즉,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칭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분할체(112)와 하부 분할체(114) 및 상기 상부 분할체(112)와 하부 분할체(114)의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상하부 분할체(112,11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통 분할체(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분할체(112)와 하부 분할체(114)는 날개살들에 의해 구멍들이 형성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몸통 분할체(116)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됨과 아울러 측부에는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유인구(118)가 형성된 다수개의 분할체들로 이루어짐이 좋다.
이와 같은 몸체(110)는 하부 분할체(114)에 다수개로 분할된 몸통 분할체(116)들을 결합하여 상기 몸통 분할체(116)가 통 형상을 이루게 함과 아울러 상기 몸통 분할체(116)에 상부 분할체(112)를 결합하여 조립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 분할체(112,114)와 몸통 분할체(116)의 결합은 훅크 형태로 결합함이 좋고, 또 상기 몸통 분할체(116)들은 상호 맞물리는 부위에 결합단부(116a)를 형성하여 결합함이 좋다.
이러한 상기 몸체(1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제1 떡밥수용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떡밥수용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축(122)과 상기 지지축(122)의 일단에 결합되어 그 지지축(122)을 몸체(110)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122)을 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상부 분할체(11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124)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124)에 의해 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상기 지지축(122)에 떡밥수용체(12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떡밥수용체(126)는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개폐되는데, 그 떡밥수용체(126)에는 제1유출공(128)들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떡밥수용체(126)에 형성되는 제1유출공(128)들은 날개살들을 갖도록 상기 지지축(122)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게 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제2 떡밥수용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떡밥수용부(130)는 상기 유인구(118)에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유인구(118)의 일부위에 어느 일측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수용공간부(132)와 상기 수용공간부(132)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어느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1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13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상기 커버체(134)에는 제2유출공(136)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유출공(136)은 구멍으로 이루어짐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상기 유인구(118)에 제2 떡밥수용부(130)를 더 설치함에 의해 물고기들이 유인구(118)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어항들은 어항 내부에만 떡밥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물고기들이 유인구를 통해 어항 내부로 들어가기 쉽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어항은 유인구(118)에 설치된 떡밥에 의해 물고기들이 유인구(118)로 쉽게 유인된 후, 어항 내부에 설치된 떡밥에 의해 유인구를 통해 쉽게 어항 내부로 들어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상기 제1 떡밥수용부에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싯바늘(129)들을 더 설치함이 좋다. 이러한 낚싯바늘(129)들은 상기 지지축(122)과 상기 떡밥수용체(126)의 외측으로 설치함이 좋다.
이러한 낚싯바늘(129)에는 물고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지렁이와 같은 미끼들을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1 떡밥수용부(120)와 제2 떡밥수용부(130)와 함께 물고기의 유인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상기 하부 분할체(114)에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2 유인구(119)를 더 형성함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분할체(114)에 제2 유인구(119)를 더 형성하게 되면, 물고기들은 상기 몸통 분할체(116)들에 형성되는 유인구(118)와 상기 하부 분할체(114)에 형성되는 제2 유인구(119)를 통해 보다 쉽게 어항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무게중심추(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무게중심추(140)는 상기 몸체(110)가 물속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무게중심추(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끈(142a)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끈(142a)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144a)를 상기 하부 분할체(11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144a)에 끈(142a)을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무게중심추(140)를 장착함에 의해, 어항의 무게 중심을 하부로 향하게 하여 흐르는 물속에서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상기 무게중심추(140)의 무게로 인하여 물살에 쉽게 떠내려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적어도 2개 이상을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분할체(112)와 하부 분할체(114)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고정구(144a,144b)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구(144a,144b)를 이용하여 2개의 어항을 연결끈(142b)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최하부에 위치하는 어항에는 무게중심추(140)를 설치하는데, 상기 무게중심추(140)는 하부 분할체(114)에 형성되는 고정구(144a)에 연결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고기 포획용 어항은, 빙어 낚시를 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 종류의 물고기 낚시에 모두 활용 가능하다.
110 - 몸체 112 - 상부 분할체
114 - 하부 분할체 116 - 몸통 분할체
118 - 유인구 120 - 제1 떡밥수용부
122 - 지지축 124 - 고정체
126 - 떡밥수용체 128 - 제1유출공
130 - 제2 떡밥수용부 132 - 수용공간부
134 - 커버체 136 - 제2유출공
140. 무게중심추

Claims (5)

  1. 소정 간격을 이루며 상호 대칭을 이루게 설치되는 상부 분할체와 하부 분할체 및 상기 상부 분할체와 하부 분할체의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상하부 분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통 형상을 이룰 수 있게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분할됨과 아울러 측부에는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유인구가 형성된 몸통 분할체들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중앙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그 지지축을 몸체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축을 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상부 분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의해 몸체의 내부로 설치되는 상기 지지축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개폐되는 떡밥수용체와 상기 떡밥수용체에 관통되게 형성한 제1유출공들로 이루어진 제1 떡밥수용부; 및
    상기 제1 떡밥수용부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유인구의 일부위에 어느 일측만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떡밥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수용공간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게 어느 일단이 상기 수용공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에 관통되게 형성한 제2유출공으로 이루어진 제2 떡밥수용부를 포함하는 물고기 포획용 어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떡밥수용부에는 물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싯바늘들이 상기 지지축과 상기 떡밥수용체의 외측으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포획용 어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할체에는 물고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의 제2 유인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포획용 어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가 물속에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무게중심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포획용 어항.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연결끈에 의해 소정 간격을 이루게 2개 연결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1020110129524A 2011-12-06 2011-12-06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10133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24A KR101337828B1 (ko) 2011-12-06 2011-12-06 물고기 포획용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24A KR101337828B1 (ko) 2011-12-06 2011-12-06 물고기 포획용 어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57A KR20130063157A (ko) 2013-06-14
KR101337828B1 true KR101337828B1 (ko) 2013-12-06

Family

ID=4886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24A KR101337828B1 (ko) 2011-12-06 2011-12-06 물고기 포획용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8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622A (ko) 2018-08-28 2020-03-09 권기환 선별적 물고기 포획이 가능한 어항
US11452282B2 (en) * 2019-04-24 2022-09-27 S & K Innovations, Llc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KR20230149504A (ko) 2022-04-20 2023-10-27 권동엽 물고기 유인 포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076B1 (ko) 2016-07-19 2018-08-17 김용선 물고기 포획용 어포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04Y1 (ko) * 2008-08-06 2011-08-31 민택병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304Y1 (ko) * 2008-08-06 2011-08-31 민택병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622A (ko) 2018-08-28 2020-03-09 권기환 선별적 물고기 포획이 가능한 어항
US11452282B2 (en) * 2019-04-24 2022-09-27 S & K Innovations, Llc Crawfish trap bait guard system and method
KR20230149504A (ko) 2022-04-20 2023-10-27 권동엽 물고기 유인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57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828B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EP2810555B1 (en) Improved tube bird feeder
US3002312A (en) Minnow trap and bucket
KR101188334B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US9756847B1 (en) Decoy actuating apparatus
KR20130047538A (ko) 어류 포획 어항
KR20090013148A (ko) 게잡이용 통발
US20150373957A1 (en) Bubbling Fishing Lure
KR200449587Y1 (ko) 낙지잡이용 통발
KR200267614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KR101258148B1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KR101285873B1 (ko)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JP2002186393A (ja) 生き餌容器
KR20100042951A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US2677486A (en) Fisherman's box
KR900002972Y1 (ko) 어류 포획구
US20190133104A1 (en) Rotating Tackle Box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00013065U (ko) 통발
KR101567722B1 (ko) 채집망을 수납부에서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다슬기 포획기
KR20230149504A (ko) 물고기 유인 포획장치
KR100998438B1 (ko) 다용도 부화통
US20150047573A1 (en) Removable skin for animal enclosure
KR20140128570A (ko) 물고기 포획용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