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326B1 -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 Google Patents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326B1
KR101285326B1 KR1020110097263A KR20110097263A KR101285326B1 KR 101285326 B1 KR101285326 B1 KR 101285326B1 KR 1020110097263 A KR1020110097263 A KR 1020110097263A KR 20110097263 A KR20110097263 A KR 20110097263A KR 101285326 B1 KR101285326 B1 KR 10128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hip
civil engineering
vegetation part
engineering method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549A (ko
Inventor
강성원
이용수
김석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9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침전지(1)에서 우드 칩(10)을 여과재로 하여 탁수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우드 칩(10)을 본 구조물(2) 주위에 포설하여 식생부(100)를 형성하는 식생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종래 폐기물로 취급되어 오던 우드 칩을 토목공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토목공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USING WOOD CHIP}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드 칩을 이용한 공법에 관한 것이다.
산지에 도로, 교량 등의 토목 구조물을 건설하는 경우, 다량의 목재를 벌채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단히 많은 양의 우드 칩(폐목재 조각)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우드 칩의 활용 방안이 마땅히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단지 폐기물로 취급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폐기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이는 환경 측면, 경제성 측면에서 모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종래 폐기물로 취급되어 오던 우드 칩을 토목공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토목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침전지(1)에서 우드 칩(10)을 여과재로 하여 탁수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상기 우드 칩(10)을 본 구조물(2) 주위에 포설하여 식생부(100)를 형성하는 식생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정화단계는 투수성 재질에 의한 마대(20)의 내부에 상기 우드 칩(10)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마대(20)를 상기 침전지(1) 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대(20)의 내부에 부상방지용 중량물(30)을 상기 우드 칩(10)과 함께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상기 본 구조물(2)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토목공법을 이용한 도로 공법으로서,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도로 구조물(2a)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도로 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토목공법을 이용한 도로 공법으로서,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철도 구조물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철도 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종래 폐기물로 취급되어 오던 우드 칩을 토목공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토목공법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침전지의 평면도.
도 2는 마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구조물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목공법은 기본적으로, 건설현장의 침전지(1)에서 우드 칩(10)을 여과재로 하여 탁수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우드 칩(10)을 본 구조물(2) 주위에 포설하여 식생부(100)를 형성하는 식생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우드 칩(10)이란 폐목재 조각의 통칭으로서, 멀치(mulch)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건설현장에서는 다량의 탁수가 발생하는데, 이는 반드시 침전지(침사지)에서 토사 등을 제거한 후, 하천으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산지의 건설현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우드 칩(10)을 위 침전지(1)에서 여과재로 사용하도록 하므로, 단순한 침전방식에 의해 탁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1차적 효과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침전지(1)의 수중에서 여과재로 사용되는 우드 칩(10)은 부패하지 않고(수중의 목재는 부패하지 않음), 탁수의 여과 과정에서 다량의 미세토사를 머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우드 칩(10)을 본 구조물(2) 주위 사면 등에 포설하는 경우, 부패가 쉽게 발생하고, 식물의 생장을 위한 영양분을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식생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는 2차적 효과가 있다.
예컨대 산지에 도로 구조물(2a)을 시공하는 경우, 우드 칩이 발생하는 벌목 작업은 공사의 초기에 진행되고, 도로 구조물 주위 사면에 대한 식생부 형성작업은 공사의 말기에 진행되는데, 이 간격은 시공 환경에 따라 3~4년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만약 공사 초기에 발생한 우드 칩을 본 발명과 같이 수중 여과재로 사용하지 않고 공기 중에 방치하는 경우(이렇다 하더라도 야적공간이 문제된다), 위 장시간 동안 부패할 수밖에 없으므로, 공사 말기의 식생작업에는 우드 칩을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공사 초기에는 어차피 설치해야 할 침전지(1)에 우드 칩(10)을 집어넣어 여과재로 사용하여 탁수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장시간이 경과하여 공사 말기가 되는 경우, 침전지(1)로부터 우드 칩(10)을 건져내어 도로 구조물 주위 사면에 포설하여 식생 작업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의 재활용에 의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우드 칩(10)은 천과 같은 투수성 재질에 의한 마대(20)의 내부에 이를 충전한 후, 그 마대(20)를 침전지(1) 내에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우드 칩(1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2).
우드 칩(10)이 여과재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면서도, 부패를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중에 충분히 잠겨 있을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마대(20)의 내부에 돌과 같은 부상방지용 중량물(30)을 우드 칩(10)과 함께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는 산지에 도로 구조물(2a)을 시공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철도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방식의 시공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침전지 2 : 본 구조물
2a : 도로 구조물 10 : 우드 칩
20 : 마대 30 : 중량물
100 : 식생부

Claims (6)

  1. 건설현장의 침전지(1)에서 우드 칩(10)을 여과재로 하여 탁수를 정화하는 정화단계;
    상기 우드 칩(10)을 본 구조물(2) 주위에 포설하여 식생부(100)를 형성하는 식생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단계는
    투수성 재질에 의한 마대(20)의 내부에 상기 우드 칩(10)을 충전하는 단계;
    상기 마대(20)를 상기 침전지(1) 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대(20)의 내부에 부상방지용 중량물(30)을 상기 우드 칩(10)과 함께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상기 본 구조물(2)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토목공법을 이용한 도로 공법으로서,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도로 구조물(2a)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도로 공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토목공법을 이용한 도로 공법으로서,
    상기 식생부 형성단계는
    상기 우드 칩(10)을 철도 구조물 주위 사면에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드 칩을 이용한 철도 공법.
KR1020110097263A 2011-09-27 2011-09-27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KR10128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63A KR101285326B1 (ko) 2011-09-27 2011-09-27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263A KR101285326B1 (ko) 2011-09-27 2011-09-27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549A KR20130033549A (ko) 2013-04-04
KR101285326B1 true KR101285326B1 (ko) 2013-07-11

Family

ID=4843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263A KR101285326B1 (ko) 2011-09-27 2011-09-27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3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59A (ja) 2000-10-30 2002-05-08 Kiyoyuki Horii 植栽土壌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6351A (ja) 2000-12-19 2002-07-02 Kumagai Gumi Co Ltd 植物生育基盤材料
KR20080012486A (ko) * 2006-08-03 2008-02-12 주식회사 풍록원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JP2009159897A (ja) 2008-01-08 2009-07-23 Masahito Mori 繊維質緑化基盤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459A (ja) 2000-10-30 2002-05-08 Kiyoyuki Horii 植栽土壌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6351A (ja) 2000-12-19 2002-07-02 Kumagai Gumi Co Ltd 植物生育基盤材料
KR20080012486A (ko) * 2006-08-03 2008-02-12 주식회사 풍록원 임목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법면 녹화방법
JP2009159897A (ja) 2008-01-08 2009-07-23 Masahito Mori 繊維質緑化基盤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549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294623U (zh) 一种基于海绵城市的地下透水装置
CN104163550B (zh) 叠水式阶梯人工湿地系统及其施工方法
CN106193245B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水田地下隐形水库及其施工方法
KR101310150B1 (ko) 비점오염 여과형 정화장치
CN102139961A (zh) 重污染支流口多层植物带水质原位净化方法
KR20180017990A (ko)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CN104179150A (zh) 一种生态护坡结构
CN107371432B (zh) 一种利用生物炭土和建筑废弃土综合改良滩涂沙土的方法
CN205839852U (zh) 一种海绵城市建设的雨水集蓄系统
CN205134273U (zh) 一种河道生态化改造系统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CN109281371A (zh) 一种用于寒冷干旱地区的废水生态处理系统
CN104164884B (zh) 一种组合体系护坡固堤方法
KR101352643B1 (ko) 친환경 물순환 빗물침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85326B1 (ko) 우드 칩을 이용한 토목공법
CN104264773A (zh) 一种用于处理停车场雨水及调节小气候的蓄流湿地系统
CN104480951B (zh) 一种硬质护坡生态软化的方法
JP5705029B2 (ja) 製鋼スラグを用いた防草材料
CN202881901U (zh) 一种梯级潜流式生态护岸结构
CN203514330U (zh) 环保型生态重建修复结构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JP2014110811A (ja) 製鋼スラグを用いた防草材料の施工方法
CN106049226A (zh) 三重坡面添加hdpe膜的防水渗沟
CN205296082U (zh) 一种生态透水坝
CN205917649U (zh) 一种河岸护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