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96B1 -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96B1
KR101283496B1 KR1020110069067A KR20110069067A KR101283496B1 KR 101283496 B1 KR101283496 B1 KR 101283496B1 KR 1020110069067 A KR1020110069067 A KR 1020110069067A KR 20110069067 A KR20110069067 A KR 20110069067A KR 101283496 B1 KR101283496 B1 KR 10128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rebar
suppl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362A (ko
Inventor
이남수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이남수
(주)태강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수, (주)태강건철 filed Critical 이남수
Priority to KR102011006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8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guiding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25Orienta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끈에 의해 일정 개수만큼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뒤엉켜 있는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결속끈으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안착시켜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지면에 설치된 기체; 상기 기체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정렬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키도록 한 철근 정렬수단; 및 상기 철근 정렬수단으로부터 펼쳐진 철근을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기체의 일측 하부에 공급롤러들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들에 의해 철근이 후공정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전후진되는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이 상기 가이드봉의 후진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로 안착되게 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arrangement supply device of iron bind}
본 발명은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끈에 의해 일정 개수만큼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뒤엉켜 있는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철근은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결속끈으로 일정 개수씩 묶어서 운반 및 보관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이 결속끈에 의해 일정 개수씩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은 교차 및 뒤엉킴이 발생되고, 이러한 뒤엉킴은 결속끈을 절단하여도 펼쳐지지 않는다.
또한, 각종 산업현장에서 철근을 사용하기 위해 철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데, 철근이 뒤엉켜 있을 경우 철근 절단기로 철근을 공급하기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철근의 절단을 위해 철근 절단기에 철근을 공급할 경우 뒤엉켜 있는 철근을 작업자가 펼친 후 1개씩 공급하였음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공급력 부족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속끈에 의해 일정 개수만큼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뒤엉켜 있는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속끈으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안착시킬 수 있게 지면에 설치된 기체; 상기 기체에 안착되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상기 결속끈이 절단된 묶음 철근을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기체에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들로 이루어진 철근 이동수단; 상기 철근 이동수단으로부터 이동된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정렬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키도록 한 철근 정렬수단; 및 상기 철근 정렬수단으로부터 펼쳐진 철근을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기체의 일측 하부에 공급롤러들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들에 의해 철근이 후공정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전후진되는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이 상기 가이드봉의 후진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로 안착되게 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이동수단과 철근 정렬수단 및 철근 공급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설치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철근이 이동되도록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철근 정렬수단에 철근이 위치되면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되게 제어하여 상기 철근 정렬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철근 정렬수단에 의해 철근이 펼쳐지게 정렬되면 상기 체인 컨베이어를 다시 구동시켜 펼쳐진 철근이 계속 이동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을 공급롤러에 안착되게 상기 가이드봉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이동수단의 체인 컨베이어는 상기 기체에 단차되게 설치되는 제1 체인 컨베이어와 제2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는 결속끈으로 묶여 있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들이 묶음끈으로 묶여 있는 대다발을 안착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대다발의 묶음끈을 절단하고, 상기 묶음끈이 절단된 소다발의 묶음 철근들을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에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걸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는 소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상기 결속끈이 절단된 묶음 철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정렬수단은 제1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며, 승강된 위치에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킬 수 있게 소정 거리만큼 상부로 더 승강되게 작동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제3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제2 이탈방지봉과 상기 제1,제2 이탈방지봉의 사이에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에 인접하는 철근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 공급수단은 가이드봉들이 각각 설치된 이동블록들과 상기 이동블록들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5 실린더들과 상기 제5 실린더들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블록들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들과 상기 가이드롤러들이 안내되게 상기 기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봉들은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봉들은 동일한 속도로 전진됨과 아울러 후진시에는 상기 철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 보다 상기 철근의 외측단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들이 먼저 후진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서 가이드봉의 후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철근의 끝단이 정렬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철근의 양측단부가 공급롤러에 먼저 안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작위로 교차하여 뒤엉켜 있는 묶음 철근을 점핑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일렬로 펼쳐주어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정렬된 철근은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곧바로 후공정인 철근 절단기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철근 정렬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의 철근 정렬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에 구비되는 철근 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표시의 철근 공급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도 7b는 도 5표시의 철근 공급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기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체(110)는 지면에 설치되어 결속끈(2)으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1)을 일측에 안착시켜 다른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철근 이동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철근 이동수단(120)은 상기 기체(110)의 일측에 안착되는 묶음 철근(1)의 결속끈(2)을 절단하고, 상기 결속끈(2)이 절단된 묶음 철근(1)을 다른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철근 이동수단(120)은 상기 기체(110)에 철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122a,122b)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122a,122b)들은 기체(110)에 단차지게 설치되는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와 제2 체인 컨베이어(12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는 각각 제1,제2 모터(124a,124b)에 의해 구동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는 결속끈(2)으로 묶여 있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1)들이 묶음끈(3)으로 묶여 있는 대다발을 안착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122b)는 묶음끈(3)이 절단되어 소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1)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상기 결속끈(2)이 절단된 묶음 철근(1)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속끈(2) 및 묶음끈(3)의 절단은 작업자가 공구(tool)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절단한다. 즉, 상기 결속끈(2)은 철근을 소다발로 묶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소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다시 묶음끈(3)으로 대다발로 묶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 의해 이동되는 철근은 묶음끈(3)이 절단된 소다발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122b)는 결속끈(2)이 절단된 낱개의 철근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 의해 이동되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은 결속끈(2)으로 묶여 있는 상태에서 이동되는데, 이때, 소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이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하고자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의 상부로 인접하도록 걸고리(126)가 설치된다. 즉, 상기 걸고리(126)에 의해 쌓여있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들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들이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철근 정렬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철근 정렬수단(130)은 상기 철근 이동수단(120)으로부터 이동된 묶음 철근(1)을 펼쳐주어 정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근 정렬수단(130)은 상기 철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키도록 함으로서 철근을 펼쳐준다. 즉, 상기 결속끈(2)으로 묶여 있던 소다발의 묶음 철근들은 상기 결속끈(2)을 절단하여도 상기 철근들이 서로 엉켜 있게 됨으로 이를 펼쳐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철근 정렬수단(130)은 제1 실린더(133)에 의해 승강되며, 승강된 위치에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킬 수 있게 소정 거리만큼 상부로 더 승강되게 작동하는 승강부재(132)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132)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제3 실린더(135a,135b)에 의해 승강되는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이 설치되며, 상기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의 사이에서 상기 승강부재(132)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132)에 인접하는 철근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실린더(137)에 의해 승강되는 충격방지부재(136)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철근 공급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철근 공급수단(140)은 상기 철근 정렬수단(130)으로부터 펼쳐진 철근을 후공정(예컨대, 철근 절단기에 의한 절단공정 혹은 철근 절곡기에 의한 절곡공정 등)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철근 공급수단(140)은 상기 기체(110)의 일측 하부에 공급롤러(149)들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149)들에 의해 철근이 후공정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가이드봉(142)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봉(142)은 기체(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전후진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이 상기 가이드봉(142)의 후진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149)로 안착되게 하여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철근 공급수단(140)은 상기 가이드봉(142)들이 각각 이동블록(144)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록(144)들은 제5 실린더(143)에 의해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5 실린더(143)들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블록(144)들에는 가이드롤러(146a,146b)들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146a,146b)들이 안내되게 상기 기체(110)에는 가이드레일(148)들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144)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42)들은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이 하부에 설치되는 공급롤러(149)에 용이하게 안착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되면서 하부의 공급롤러(149)에 안착되는 철근은 그 끝단이 정렬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철근의 양측단부가 공급롤러(149)에 먼저 안착되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5 실린더(143)들에 의해 전후진되는 가이드봉(142)들이 전진시에는 도 7a표시와 같이 모든 가이드봉(142)들이 동일한 속도로 전진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봉(142)들이 후진시에는 도 7b표시와 같이 상기 철근(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 보다 상기 철근의 외측단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들이 먼저 후진되도록 컨트롤러(150)에 의해 제5 실린더(143)들을 제어하여 가이드봉의 후진속도를 달리함으로서 상기 공급롤러(149)에 안착되는 철근의 끝단이 정렬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철근의 양측단부가 먼저 공급롤러(149)에 안착되게 한다. 즉, 도 7b표시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철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142)은 느린 속도로 후진되게 하고, 철근의 외측단부로 위치하는 가이드봉(142)은 빠른 속도로 후진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컨트롤러(1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150)는 상기 철근 이동수단(120)과 철근 정렬수단(130) 및 철근 공급수단(14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철근 이동수단(120)의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제2 모터(124a,124b)와 상기 철근 정렬수단(1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제4 실린더(133~137) 및 상기 철근 공급수단(140)의 가이드봉(142)들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제5 실린더(143)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150)는 철근 이동수단(120)과 철근 정렬수단(130) 및 철근 공급수단(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에서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 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50)는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에 의해 철근이 이동되도록 상기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를 구동시키는 제1,제2 모터(124a,124b)를 제어하고, 상기 철근 정렬수단(130)에 철근이 위치되면 상기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의 구동을 정지되게 제1,제2 모터(124a,124b)를 제어하며, 상기 철근 정렬수단(130)을 작동시키도록 제1~제4 실린더(133~137)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철근 정렬수단(130)에 의해 철근이 펼쳐지게 정렬되면 상기 제1,제2 체인 컨베이어(122a,122b)를 다시 구동시키도록 제1,제2 모터(124a,124b)를 제어하여 펼쳐진 철근이 계속 이동되게 함으로서 상기 철근(1)이 가이드봉(142)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1)을 공급롤러에 안착되게 하고자 제5 실린더(143)들의 후진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는, 철근의 운반 및 보관을 위해 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펼쳐지게 정렬한 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즉, 철근은 결속끈(2)에 의해 소정 개수씩 묶여 있는 소다발의 묶음 철근이 묶음끈(3)에 의해 대다발로 묶여 운반 및 보관된다.
이와 같이 묶음끈(3)에 의해 대다발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기체(110)의 일측에 안착하여 다른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대다발의 묶음 철근을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 상에 위치시키고,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묶음끈(3)을 절단하게 되면, 결속끈(2)에 의해 소다발로 묶여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모터(124a)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 의해 소다발의 묶음 철근이 제2 체인 컨베이어(122b) 상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 체인 컨베이어(122a)에는 걸고리(126)를 설치하여 하부의 소다발 철근만이 순차적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상부의 소다발 철근을 걸고리(126)로 지지함으로서 하부의 소다발 철근부터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소다발의 묶음 철근이 제2 체인 컨베이어(122b) 상으로 이동되면,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결속끈(2)을 절단하고, 제2 모터(124b)를 구동시키면 결속끈(2)이 해지된 묶음 철근이 제2 체인 컨베이어(122b)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122b)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묶음 철근이 철근 정렬수단(130)에 위치되면, 상기 제2 모터(124b)의 구동을 정지키고, 제1~제4 실린더(137)를 구동시켜 승강부재(132)와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 및 충격방지부재(136)를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은 철근 보다 높은 위치로 돌출되게 상승되고, 상기 충격방지부재(136)는 철근의 하부를 받치도록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132)는 상승된 위치에서 더 높은 위치로 왕복되게 승강시킴으로서 철근이 점핑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132)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은 상기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의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점핑됨과 아울러 상기 충격방지부재(136)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면서 점핑되어 펼쳐지게 되며, 상기 철근이 펼쳐져 정렬되면 상기 제1~제4 실린더(137)에 의해 승강부재(132)와 제1,제2 이탈방지봉(134a,134b) 및 충격방지부재(136)는 하강되고, 상기 제2 모터(124b)가 다시 구동되어 제2 체인 컨베이어(122b)에 의해 펼쳐진 철근이 계속 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기체(110)의 선단으로 돌출되게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봉(142)이 함께 전진하면서 상기 제2 체인 컨베이어(122b)에 의해 이동되는 철근이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계속 이동된다. 즉, 상기 가이드봉(142)은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철근이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42)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을 하부의 공급롤러(149)에 안착되게 하고자 상기 가이드봉(142)을 후진시켜 상기 가이드봉(142)으로부터 철근이 낙하되어 하부의 공급롤러(149)에 안착되게 함으로서 철근을 공급롤러(149)에 의해 후공정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봉(142)의 전후진은 제5 실린더(143)의 구동여부에 따라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봉(142)의 후진 속도를 달리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봉(142)으로부터 낙하되어 공급롤러(149)에 안착되는 철근의 끝단이 정렬될 수 있게 한다. 즉, 철근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은 빠른 속도록 후진되게 하고 철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은 느린 속도로 후진되게 함으로서 철근의 양단이 먼저 아래로 떨어지게 함으로서 끝단이 정렬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롤러(149)에 안착되는 철근은 상기 공급롤러(149)의 회전에 의해 후공정인 철근 절단기로 공급되어 철근을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게 한다.
110 - 기체 120 - 철근 이동수단
122a,122b - 제1,제2 체인 컨베이어 130 - 철근 정렬수단
132 - 승강부재 134 - 이탈방지봉
136 - 충격방지부재 140 - 철근 공급수단
142 - 가이드봉 144 - 이동블록
146a,146b - 가이드롤러 148 - 가이드레일
149 - 공급롤러 150 - 컨트롤러

Claims (5)

  1. 결속끈으로 묶여 있는 묶음 철근을 안착시킬 수 있게 지면에 설치된 기체;
    상기 기체에 안착되는 묶음 철근의 결속끈을 절단하고, 상기 결속끈이 절단된 묶음 철근을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기체에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체인 컨베이어들로 이루어진 철근 이동수단;
    상기 철근 이동수단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묶음 철근을 펼쳐주어 정렬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키도록 한 철근 정렬수단; 및
    상기 철근 정렬수단으로부터 펼쳐진 철근을 후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기체의 일측 하부에 공급롤러들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롤러들에 의해 철근이 후공정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철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기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전후진되는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철근이 이동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봉을 타고 이동되는 철근이 상기 가이드봉의 후진에 의해 상기 공급롤러로 안착되게 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 철근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정렬수단은 제1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되며, 승강된 위치에서 상기 철근을 점핑시킬 수 있게 소정 거리만큼 상부로 더 승강되게 작동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철근의 이동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제3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제1,제2 이탈방지봉과 상기 제1,제2 이탈방지봉의 사이에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점핑되는 철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상기 승강부재에 인접하는 철근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게 설치된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공급수단은 가이드봉들이 각각 설치된 이동블록들과 상기 이동블록들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게 설치된 제5 실린더들과 상기 제5 실린더들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블록들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들과 상기 가이드롤러들이 안내되게 상기 기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들은 소정 경사를 이루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들은 동일한 속도로 전진됨과 아울러 후진시에는 상기 철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 보다 상기 철근의 외측단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봉들이 먼저 후진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철근의 끝단이 정렬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상기 철근의 양측단부가 공급롤러에 먼저 안착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KR1020110069067A 2011-07-12 2011-07-12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KR10128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67A KR101283496B1 (ko) 2011-07-12 2011-07-12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067A KR101283496B1 (ko) 2011-07-12 2011-07-12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62A KR20130008362A (ko) 2013-01-22
KR101283496B1 true KR101283496B1 (ko) 2013-07-12

Family

ID=4783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067A KR101283496B1 (ko) 2011-07-12 2011-07-12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4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0848A (zh) * 2015-09-08 2015-12-23 郑州市聚能建筑机械有限公司 数控钢筋剪切线
KR102511699B1 (ko) * 2022-09-16 2023-03-20 장원철 철근 정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6650B (zh) * 2013-07-15 2015-04-29 青岛兴河建材有限公司 方桩钢筋骨架滚焊机钢筋搬运装置
KR101620712B1 (ko) 2014-08-29 2016-05-12 이남수 철근 공급장치
CN106180496A (zh) * 2016-07-26 2016-12-07 深圳市康振机械科技有限公司 8字筋自动输送成型设备和8字筋自动输送成型方法
KR102133729B1 (ko) * 2020-03-11 2020-07-14 월드인코리아 주식회사 철근 공급기
CN112374094A (zh) * 2020-11-18 2021-02-19 中建科技集团有限公司 输送设备以及钢筋生产线
CN113086617B (zh) * 2021-04-01 2022-08-02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下料转运装置
KR102485845B1 (ko) * 2021-12-21 2023-01-11 (주)케이에스엠 철근 수량 조절시스템
KR102442155B1 (ko) * 2021-12-24 2022-09-07 이행구 철근 정렬 및 공급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675A (ja) 2001-05-21 2002-12-03 Toyo Kensetsu Koki Kk 鉄筋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675A (ja) 2001-05-21 2002-12-03 Toyo Kensetsu Koki Kk 鉄筋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0848A (zh) * 2015-09-08 2015-12-23 郑州市聚能建筑机械有限公司 数控钢筋剪切线
KR102511699B1 (ko) * 2022-09-16 2023-03-20 장원철 철근 정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362A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496B1 (ko) 철근의 정렬 공급장치
JP2013035052A (ja) 鉄筋網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CN215484740U (zh) 钢筋绑扎用自走机器人
KR101280600B1 (ko) 선재 자동 결속기
CN104495399B (zh) 码垛机
KR101300366B1 (ko)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KR100943532B1 (ko) 철근 절단 및 절곡기의 4헤드-철근자동이송장치
KR101056629B1 (ko) 철망 제조기의 횡철선 자동공급 홉퍼장치
CN112458913B (zh) 一种桥梁空心墩钢筋自动化绑扎平台
CN102002897A (zh) 一种长轨铺设装置及铺设方法
CN103813969A (zh) 用于置入间隔绳的装置
JP334435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鉄筋籠横組立法
KR20170024346A (ko) 용접 철망 적층장치
EP1900873A2 (en) Process for transporting and laying or replacing railway switches, tracks and sleepers
KR102087725B1 (ko) 철근 구조물 자동 용접 장치
CN106271345B (zh) 一种钢筋的双层落料机构
JP4754110B2 (ja) 鉄筋処理装置
RU2373320C1 (ru) Поточная линия для сборки звеньев рельсошпальной решет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KR101620712B1 (ko) 철근 공급장치
CN111634615A (zh) 一种钢筋分料装置
WO2005032742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ire-net
KR200496277Y1 (ko) 철근 펼침 장치
KR101940549B1 (ko) 주근 자동 공급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철근 격자망 자동 제조 장치
CN108941391A (zh) 一种钢筋切断、输送、墩头一体机
CN112404203B (zh) 一种自动折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