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22B1 -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 Google Patents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22B1
KR101283422B1 KR1020110061168A KR20110061168A KR101283422B1 KR 101283422 B1 KR101283422 B1 KR 101283422B1 KR 1020110061168 A KR1020110061168 A KR 1020110061168A KR 20110061168 A KR20110061168 A KR 20110061168A KR 101283422 B1 KR101283422 B1 KR 10128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fit
window frame
hous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75A (ko
Inventor
채승학
Original Assignee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캡스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캡스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6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에 상관없이 윈도우 프레임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유리창 설치형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 부위는 어느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 일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 벽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스냅핏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 중 타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의 각 후크가 걸리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된 스냅핏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설치형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extension clip for window frame}
본 발명은 도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리창이 설치되는 구조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유리창을 도어 프레임에 결합 고정하는 한 쌍의 윈도우 프레임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창 설치형 도어는 유리창의 설치를 위한 개구부를 갖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유리창을 상기 개구부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윈도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윈도우 프레임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 내에 위치되는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실내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실내측 윈도우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실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실외측 윈도우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두 윈도우 프레임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서로 간의 결합면에는 스냅핏(snap-fit)과, 상기 스냅핏이 수용되는 스냅핏 하우징(snapfit housing)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냅핏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걸림턱이 돌출되는 복수의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냅핏 하우징은 상기 각 후크의 일괄적인 수용이 이루어지는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각 둘레 벽면에는 상기 각 후크의 걸림턱이 수용되는 수용공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냅핏 및 스냅핏 하우징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리창을 지지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는 상기 스냅핏과 스냅핏 하우징의 돌출 높이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특정 두께의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에의 적용만이 가능할 뿐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 변화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스냅핏과 스냅핏 하우징의 돌출 높이가 다른 별도의 윈도우 프레임을 적용하여야만 하였다.
즉, 종래의 윈도우 프레임은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가 다를 경우에는 공용으로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별로 각 윈도우 프레임 역시 각각 준비되어야만 하였던 것이다.
이로 인해,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될 수밖에 없고, 각 크기별 윈도우 프레임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에 따른 물류 관리비의 상승이 야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에 상관없이 윈도우 프레임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에 따르면 복수의 후크로 이루어진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수용됨과 더불어 양측벽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수용공이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을 가지는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일단 부위는 어느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 일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 벽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스냅핏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 중 타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의 각 후크가 걸리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된 스냅핏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면 중 수용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감싸는 제1결합단과,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면 중 수용공이 형성된 부위를 감싸는 제2결합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단과 제2결합단은 서로 개별적인 탄력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단의 중앙측 부위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스냅핏 하우징의 수용공 내부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냅핏 결합부의 끝단 부위인 스냅핏이 수용되는 입구측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스냅핏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타단 부위는 도어 프레임의 두께 및 유리창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 연장 길이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단 부위에는 상기 스냅핏의 각 후크 중 외측을 향하는 후크가 있을 경우 상기 후크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단 부위에는 상기 외측을 향하는 후크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은 윈도우 프레임을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두께에 따라 윈도우 프레임을 각각 달리 제조하지 않아도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가 얇은 종류의 도어의 경우는 연장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 프레임 및 유리창의 두께가 두꺼운 종류의 도어의 경우는 상기한 연장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두께별로 윈도우 프레임을 각각 준비하지 않고도 동일한 윈도우 프레임을 도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설치형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은 간단한 구조로도 스냅핏 하우징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연장 클립의 하우징 결합부 중 제2결합단이 스냅핏 하우징의 수용공이 형성된 부위에 요입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냅핏 하우징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 클립의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이 적용되는 유리창 설치형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유리창 설치형 도어 중 윈도우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사용하여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사용하여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을 사용하여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을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도시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유리창 설치형 도어라 함은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에 유리창(20)이 설치된 형태의 도어를 의미하며, 윈도우 프레임(31,32)은 실내측 및 실외측에서 상기 개구부(11)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상기 유리창(2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한 윈도우 프레임(31,32)에는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냅핏(40)과, 상기 스냅핏(40)이 수용되는 스냅핏 하우징(5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냅핏(40)은 복수의 후크(41)를 포함함과 더불어 상기 각 후크(41)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4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은 상기 스냅핏(40)을 이루는 각 후크(41)가 동시에 수용됨과 더불어 그 양측벽에는 상기 후크(41)의 걸림턱(41a)이 걸릴 수 있도록 수용공(51)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냅핏(40)과 스냅핏 하우징(50)은 두 윈도우 프레임(31,32)을 마주보게 배치할 경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한 윈도우 프레임(31)에는 스냅핏(40)만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32)에는 스냅핏 하우징(50)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이하, “연장 클립”이라 함)(100)이 도시되고 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100)은 크게 몸체부(110)와 하우징 결합부(120) 및 스냅핏 결합부(130)가 서로 일체형을 이루면서 구성된다.
이를 각 부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몸체부(110)는 연장 클립(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며, 평판(plate)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몸체부(110)의 일단 부위(도 4를 참조할 때 도면상 하단 부위)는 어느 한 윈도우 프레임(이하, “제1윈도우 프레임”이라 함)(31)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5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 부위(도 4를 참조할 때 도면상 상단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이하, “제2윈도우 프레임”이라 함)(32)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 부위에 대한 연장 길이는 도어 프레임(10)의 두께 및 유리창(20)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 부위에는 상기 스냅핏(40)의 각 후크(41) 중 걸림턱(41a)이 몸체부(100)를 향하는 후크(41)가 있을 경우 상기 후크(41)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공(111)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120)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양측 벽면을 감싸면서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하우징 결합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중 일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양측 벽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양측 벽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 결합부(120)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양측면 중 수용공(5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감싸는 제1결합단(121)과,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양측면 중 수용공(51)이 형성된 부위를 감싸는 제2결합단(1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단(121)과 제2결합단(122)은 서로 개별적인 탄력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리 형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결합단(122)의 중앙측 부위에 볼록부(122a)가 더 형성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때, 상기 볼록부(122a)는 중앙으로 갈수록 스냅핏 하우징(50)의 수용공(51)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51)에 걸려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 부위 중 걸림공(11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대되는 윈도우 프레임(31,32)의 스냅핏(40)의 각 후크(41) 중 상기 몸체부(110)를 향하여 걸림턱(41a)이 돌출된 후크(41)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록부(112)는 상기 후크(41)의 걸림턱(41a)이 걸리는 영역을 추가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장 클립(100)의 몸체부(110)가 스냅핏 하우징(50)의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됨을 고려할 때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만큼 걸림공(111)이 상기 걸림턱(41a)으로부터 멀어지며, 상기와 같이 멀어진 거리 만큼 상기 볼록부(112)가 상기 걸림턱(41a)의 걸림 부위를 보상해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는 제1윈도우 프레임(31)의 스냅핏 하우징(50)을 대신하여 제2윈도우 프레임(32)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40)이 수용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한 스냅핏 결합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중 타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결합부(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에는 상기 제2윈도우 프레임(32)의 스냅핏(40)을 이루는 각 후크(41)의 걸림턱(41a)이 걸리도록 걸림공(13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의 끝단 부위인 스냅핏(40)이 수용되는 입구측 부위에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된 확장단(132)이 더 포함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확장단(132)은 상대되는 윈도우 프레임(31,32)의 스냅핏(40)을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어 프레임(10) 및 유리창(20)이 일반적인 두께의 제품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100)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첨부된 도 2 및 도 3고, 제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윈도우 프레임(31)을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중 실외측에 장착한 후 상기 개구부(11) 내에 유리창(20)을 설치하고, 계속해서 제2윈도우 프레임(32)을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중 실내측에 장착한다.
이의 경우 상기 제1윈도우 프레임(31)에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50)으로는 상기 제2윈도우 프레임(32)에 형성된 스냅핏(40)이 수용되고, 상기 제1윈도우 프레임(31)에 형성된 스냅핏(40)은 상기 제2윈도우 프레임(32)에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50) 내에 수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냅핏(40)을 이루는 후크(41)들의 걸림턱(41a)은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수용공(51)에 각각 걸린다.
따라서, 상기 제1윈도우 프레임(31)과 제2윈도우 프레임(32)은 서로 협력한 상태로 유리창(20)을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내에 설치된 상태로 지지한다.
한편, 도어 프레임(10) 및 유리창(20)이 일반적인 두께의 제품에 비해 더욱 두꺼운 종류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100)을 사용하며,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와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렇게 연장 클립(100)을 사용하는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장 클립(100)을 각 윈도우 프레임(31,32)의 스냅핏 하우징(50)에 각각 결합한다.
이때, 연장 클립(100)을 이루는 몸체부(110) 중 일부(하우징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부(110) 중 나머지 일부(스냅핏 결합부가 형성된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으로부터 스냅핏(40)과의 결합 방향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연장 클립(100)의 하우징 결합부(120)를 이루는 제2결합단(122)은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수용공(51)이 형성된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제1결합단(121)은 상기 스냅핏 하우징(50) 중 수용공(5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특히, 상기한 과정에서 제2결합단(122)의 중앙측 부위에 형성된 볼록부(122a)는 상기 수용공(51) 내로 요입됨으로써 상기 연장 클립(100)이 상기 스냅핏 하우징(50)의 돌출 방향으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윈도우 프레임(31,32)의 스냅핏 하우징(50)에 연장 클립(100)을 각각 결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연장 클립(100)이 설치된 제1윈도우 프레임(31)을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중 실외측에 장착한 후 상기 개구부(11) 내에 유리창(20)을 설치하고, 계속해서 제2윈도우 프레임(32)을 상기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중 실내측에 장착한다.
이의 경우, 상기 제2윈도우 프레임(32)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40)은 상기 제1윈도우 프레임(31)의 스냅핏 하우징(50)에 결합되어 있는 연장 클립(100)의 스냅핏 결합부(130) 내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스냅핏(40)을 이루는 각 후크(41) 중 양측에 위치된 후크들은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의 끝단 부위를 이루는 확장단(132)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해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 내로 원활히 수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냅핏(40)이 상기 연장 클립(100)의 스냅핏 결합부(130) 내로 수용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스냅핏(40)을 이루는 각 후크(41)의 걸림턱(41a)은 상기 스냅핏 결합부(130)에 형성된 걸림공(131)에 각각 걸린다.
이때, 상기 스냅핏(40)을 이루는 각 후크(41) 중 연장 클립(100)의 몸체부(110)를 향해 걸림턱(41a)이 돌출된 후크(41)는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된 걸림공(111)에 걸리고, 이의 경우 상기 연장 클립(100)의 몸체부(110)에 형성된 볼록부(112)는 상기 후크(41)의 걸림턱(41a)이 안정적으로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윈도우 프레임(31)과 제2윈도우 프레임(32)은 상기 연장 클립(100)에 의해 서로 협력한 상태로 유리창(20)을 도어 프레임(10)의 개구부(11) 내에 설치된 상태로 지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 클립(100)의 추가적인 제공에 의해 도어 프레임(10) 및 유리창(20)의 두께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형상의 윈도우 프레임(31,32)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연장 클립(100)은 다양한 길이별로 제조하여, 도어의 종류에 따라 윈도우 프레임(31,32)의 변경 없이 상기 연장 클립(100)에 대한 종류별 변경만을 수행하여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10. 도어 프레임 11. 개구부
20. 유리창 31,32. 윈도우 프레임
40. 스냅핏 41. 후크
41a. 걸림턱 50. 스냅핏 하우징
51. 수용공 100. 연장 클립
110. 몸체부 111. 걸림공
112. 볼록부 120. 하우징 결합부
121. 제1결합단 122. 제2결합단
122a. 볼록부 130. 스냅핏 결합부
131. 걸림공 132. 확장단

Claims (7)

  1. 복수의 후크로 이루어진 스냅핏과, 상기 스냅핏이 수용됨과 더불어 양측벽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수용공이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을 가지는 두 윈도우 프레임 간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일단 부위는 어느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고, 타단 부위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중 일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 벽면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스냅핏 하우징에 고정되는 하우징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 중 타단 부위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면서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 스냅핏의 각 후크가 걸리도록 걸림공이 관통 형성된 스냅핏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면 중 수용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감싸는 제1결합단과,
    상기 스냅핏 하우징의 양측면 중 수용공이 형성된 부위를 감싸는 제2결합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결합단과 제2결합단은 서로 개별적인 탄력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단의 중앙측 부위에는
    중앙으로 갈수록 스냅핏 하우징의 수용공 내부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핏 결합부의 끝단 부위인 스냅핏이 수용되는 입구측 부위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부로 벌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스냅핏 하우징으로부터 다른 한 윈도우 프레임의 대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 타단 부위는
    도어 프레임의 두께 및 유리창의 두께를 고려하여 그 연장 길이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 부위에는
    상기 스냅핏의 각 후크 중 외측을 향하는 후크가 있을 경우 상기 후크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 부위에는
    상기 외측을 향하는 후크를 향해 볼록한 볼록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KR1020110061168A 2011-06-23 2011-06-23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KR10128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68A KR101283422B1 (ko) 2011-06-23 2011-06-23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168A KR101283422B1 (ko) 2011-06-23 2011-06-23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75A KR20130000575A (ko) 2013-01-03
KR101283422B1 true KR101283422B1 (ko) 2013-07-08

Family

ID=4783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168A KR101283422B1 (ko) 2011-06-23 2011-06-23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4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435A (ko) * 1986-11-04 1988-07-22 존 브리. 헤이더 창문유리용 밀봉 및 압축클립
JP2006207736A (ja) * 2005-01-28 2006-08-10 Ochiai:Kk 連結クリップ、嵌合用構造体及び隅部構造
KR20090131614A (ko) * 2008-06-18 2009-12-29 박종태 인장시스템으로 천을 팽팽하게 끼우는 창문
KR20120011040A (ko) * 2009-05-13 2012-02-06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패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435A (ko) * 1986-11-04 1988-07-22 존 브리. 헤이더 창문유리용 밀봉 및 압축클립
JP2006207736A (ja) * 2005-01-28 2006-08-10 Ochiai:Kk 連結クリップ、嵌合用構造体及び隅部構造
KR20090131614A (ko) * 2008-06-18 2009-12-29 박종태 인장시스템으로 천을 팽팽하게 끼우는 창문
KR20120011040A (ko) * 2009-05-13 2012-02-06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패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75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2425B2 (en) Holding frame for a plug connector and methods of populating same
US20150361702A1 (en) Modular window balance assembly
US20160362922A1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US20140097019A1 (en) Modular enclosure assembly for terminals wiring and distribution
KR101678033B1 (ko)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KR101002459B1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윈도우 키트
JP7132106B2 (ja) 建具用面材
KR101283422B1 (ko) 윈도우 프레임용 연장 클립
US727056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wires to electronic boards in domotic networks
JP6010512B2 (ja) 窓ユニット
US9035177B1 (en) Spacer device and method for depth adjust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in a recessed electrical box
EP3644104B1 (en) Adapter with lc-type two-core shutter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JP6512874B2 (ja) 額縁部材の取付構造及び額縁部材の取付方法
JP2012031590A (ja) サッシ
KR101810131B1 (ko) 커넥터
KR101349341B1 (ko) 도어용 지지 클립 어셈블리
JP6377386B2 (ja) 建具
CN203012205U (zh) 防虫箱体
JP5608911B2 (ja) サッシ
TWM545382U (zh) 連接器
KR20180003417U (ko) 방충창의 롤러 일체형 마감구
JP5357504B2 (ja) 浴室カウンターの取付構造
KR200312137Y1 (ko) 문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