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02B1 -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02B1
KR101283402B1 KR1020110128581A KR20110128581A KR101283402B1 KR 101283402 B1 KR101283402 B1 KR 101283402B1 KR 1020110128581 A KR1020110128581 A KR 1020110128581A KR 20110128581 A KR20110128581 A KR 20110128581A KR 101283402 B1 KR101283402 B1 KR 10128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ide member
frame
fluid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142A (ko
Inventor
김동현
방춘석
이지하
이창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8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면과 전,후면이 개구되도록 하여 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자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Modular lift force generating device for vessel}
본 발명은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람이나 화물 등을 수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 대량 운송 및 장거리 운송이 용이하고, 운임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행시 그 일부가 물 속에 잠기도록 구성되어 있어 물의 저항에 의해 주행속도가 빠르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들어, 선박의 선수부나 선미부에 측면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비행기의 에어포일 형상을 이루는 단면을 갖는 날개를 설치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주행시 발생하는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거나 선체의 하부에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367호에는 유체저항 저감을 위한 로터가 장착된 선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상(水上)에서 이동하게 되는 선체(20)와; 상기 선체(20)의 선미부(船尾部)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20)의 이동을 유도하게 되는 추진기구(40) 및; 상기 선체(20)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추진기구(40)로부터 선수부(船首部)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선체(2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62)를 가진 로터(64)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20)의 수상(水上) 이동시 상기 선체(20)에 대하여 상대운동하게 되는 유체의 유동에 따라 상기 로터(64)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형 유체기구(60)를 포함하여, 상기 추진기구(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선체(20)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선체(20)의 하부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로터(64)가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선체(20)의 부양이 유도되어 상기 선체(20)에 대한 유체의 저항이 감소되면서 상기 선체(20)의 이동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구성은 선체 이동시 발생되는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로부터 발생하게 되는 부양력에 의해 선체의 부양이 유도되어 선체에 대한 유체저항이 최소화되면서 선박의 이동속도가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선체(20)에 회전형 유체기구(60)를 설치하여야 하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기존의 선박에는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체에 회전형 유체기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선체의 하부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에 맞는 선체를 제조하여야 되고, 회전형 유체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므로 제조 및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의 하부에 선박의 주행시 발생하는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회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선박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장치를 선체에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을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선박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회전장치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면과 전,후면이 개구되도록 하여 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회전장치는 선체의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회전장치는 선체의 선두부와 선미부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의 전단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은 저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1측면부재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측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재의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제2측면부재가 제1측면부재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부재의 상단부에는 선체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가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재에는 제2측면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측면부재에는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의 전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블레이드에 가해지는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회전장치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체에 결합되는 양력발생장치를 모듈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선수에 양력 날개를 부착한 선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양력 발생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1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0), 회전축(200) 및 회전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선체(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장치(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면과 전,후면이 개구되도록 하여 그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을 이루는 저면부재(120)와, 상기 저면부재(120)의 양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선체(1)의 하부에 결합되는 측면부재(110)로 구성되어 '┗┛'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회전장치(300)를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 후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선박의 주행에 의해 상대적으로 뒤쪽방향으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은 좁은 프레임(100)의 입구부를 통과하게 되어 유속이 빨라지게 되므로 후술할 회전장치(300)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술할 회전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이 프레임(1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장치(300)의 측면 및 하부에 위치되는 측면부재(110) 및 저면부재(120)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저면부재(120)는 프레임(100)의 전단부로부터 회전장치(300)가 설치된 위치의 전방까지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재(110)는 저면부재(120)의 후단부로부터 회전축(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높이까지 절단되어 회전장치(300)의 회전에 의한 유체의 흐름이 프레임(100)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회전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회전축(200)은 프레임(100)의 양 측벽, 즉 측면부재(11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장치(30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측면부재(110)에 연결되는 회전축(200)의 양측 단부에는 베어링(210)이 결합된다.
다음, 상기 회전장치(300)는 회전축(200)에 축결합되어 선박의 주행시 발생하는 유체의 상대적인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물속에 잠기는 선체(1)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10)는 다수의 블레이드(310)를 포함한 회전장치(300)를 프레임(100)의 양 측면부재(11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200)에 축결합시켜 선체(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선박의 주행시 선체(1)에 양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선체(1)에 작용하는 유체의 저항을 줄여 선박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면 사이 전단부에는 가이드 부재(130)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이 회전부재의 아래쪽에 작용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적을 줄여 유속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도록 하여 보다 큰 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11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40)가 힌지 결합될 수도 있는데, 상기 플랜지부(140)는 선체(1)의 다양한 저면 형상에 관계없이 프레임(100)을 선체(1) 하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 결합에 의해 플랜지부(140)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체(1)의 저면 형상에 관계없이 프레임(100)을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140)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프레임(100)이 선체(1)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도 있고, 용접 또는 리베팅에 의해 플랜지부(140)를 선체(1)의 하부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양 측면, 즉 측면부재(11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선체(1)의 저면 형상이나 프레임(100)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회전축(200)이 수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회전장치(3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이 항상 수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체(1)에 작용하는 양력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재(110)를 제1측면부재(112)와 제2측면부재(114)로 분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측면부재(112)의 상부에는 결합홈(112a)이 형성되어 제2측면부재(114)가 결합홈(112a)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2측면부재(114)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프레임(100)의 측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측면부재(112)에는 제2측면부재(114)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150)이 삽입 결합되는 체결공(112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112b)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측면부재(114)에는 체결수단(150)이 통과하는 가이드 홀(114a)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00)의 측면부재(110)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체결공(112b)을 통해 삽입 결합된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50)을 풀고, 제2측면부재(114)를 원하는 높이만큼 이동시킨 후, 체결수단(150)을 체결하면 제2측면부재(114)가 고정되어 측면부재(110)의 높이 조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필요에 따라 프레임(100)의 좌,우측 측면부재(11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플랜지부(140)는 제2측면부재(114)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100)을 선체(1) 하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제2측면부재(114)의 전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아래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10)는 선체(1)의 크기 및 구조를 고려하여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나, 보다 큰 양력 발생 효과를 얻기 위하여 선체(1)의 선미부에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선박은 선체(1)의 선수부 보다는 선미부의 무게가 많이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선미부에 양력 발생장치(10)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큰 양력발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력 발생장치(10)를 선체(1)의 선수부와 선미부에 모두 설치하여 양력발생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선박의 주행속도 및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00)의 저면부재(120) 폭을 넓게 하거나 길이를 길게 하여 하나의 프레임(100)에 다수의 회전장치(300)를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양력 발생장치(10)에 의하면,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10)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3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프레임(100)의 전면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30)를 설치함으로써 블레이드(310)에 가해지는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여 회전장치(300)의 회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선체(1)에 결합되는 양력 발생장치(10)를 모듈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개수만큼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하부에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력 발생장치를 착탈 가능한 모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선박이 주행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에 의해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피를 줄여 유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추가적인 가공 없이도 기존의 모든 선박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1 : 선체 10 : 양력 발생장치
100 : 프레임 110 : 측면부재
112 : 제1측면부재 112a : 결합홈
112b : 체결공 114 : 제2측면부재
114a : 가이드 홀 120 : 저면부재
130 : 가이드 부재 140 : 플랜지부
150 : 체결수단 200 : 회전축
210 : 베어링 300 : 회전장치
310 : 블레이드

Claims (8)

  1.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면과 전,후면이 개구되도록 하여 선체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회전장치는 선체의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회전장치는 선체의 선수부와 선미부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 사이의 전단부에는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가 아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은 저면에 연결 설치되는 제1측면부재와, 상기 제1측면부재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측면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재의 상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제2측면부재가 제1측면부재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부재의 상단부에는 선체와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부가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재에는 제2측면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삽입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2측면부재에는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가이드 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KR1020110128581A 2011-12-02 2011-12-02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KR10128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1A KR101283402B1 (ko) 2011-12-02 2011-12-02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1A KR101283402B1 (ko) 2011-12-02 2011-12-02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2A KR20130062142A (ko) 2013-06-12
KR101283402B1 true KR101283402B1 (ko) 2013-07-08

Family

ID=4885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581A KR101283402B1 (ko) 2011-12-02 2011-12-02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4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44A (en) * 1975-12-24 1977-01-25 Moore John J Twin turbine-wheel driven boat
WO1997020730A1 (en) 1995-12-01 1997-06-12 Sacar Holding N.V. Tugboat having azimuthal propelling units
KR19990022673A (ko) * 1995-06-07 1999-03-25 윌리엄 더블유 제스윈 유체의 가속 및 방향 제어를 위한 유체 추진 시스템
KR20100135367A (ko) * 2009-06-17 2010-12-27 윤부일 유체저항 저감을 위한 로터가 장착된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544A (en) * 1975-12-24 1977-01-25 Moore John J Twin turbine-wheel driven boat
KR19990022673A (ko) * 1995-06-07 1999-03-25 윌리엄 더블유 제스윈 유체의 가속 및 방향 제어를 위한 유체 추진 시스템
WO1997020730A1 (en) 1995-12-01 1997-06-12 Sacar Holding N.V. Tugboat having azimuthal propelling units
KR20100135367A (ko) * 2009-06-17 2010-12-27 윤부일 유체저항 저감을 위한 로터가 장착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2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312B1 (ko) 기계적으로 구동되는, 허브없는 고효율 선박 추진기
EP1886015B1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with water turbine with bi-symmetric airfoil
JP5808428B2 (ja) 船舶用の格納式スラスタユニット
JP5841106B2 (ja) 拡大流れを利用した船舶用マグナス揚力発生装置
DK2847071T3 (en) Marine unit propulsion unit comprising nozzle with curved follower at the nozzle exit
CA2613309A1 (en) Shroud-enclosed inverted surface-piercing propeller outdrive
KR20120126910A (ko) 복수열의 핀을 가지는 선박의 프로펠러 덕트 구조체
CN102602510A (zh) 抗撞减摇型单体船
AU686826B2 (en) Water jet aggregat for a vessel
JP4753382B2 (ja) 係留浮上型水力発電機
KR101067343B1 (ko) 선박 추진장치
KR101283402B1 (ko) 모듈식 선박용 양력 발생장치
JP5294265B2 (ja) ポッド推進器
JP2013139175A (ja) 船尾構造および船舶
JP2011213339A (ja) 空気空洞船舶
EP2744702B1 (en) Marine vessel operating in ice-covered waters
KR101323828B1 (ko) 에너지 회수 장치를 구비한 선박
JP4406690B2 (ja) 船尾水流案内翼付きポッドプロペラ船
KR101324964B1 (ko) 선박용 러더
JP2016088145A (ja) 水陸両用車
KR20160129228A (ko) 추진효율향상장치
KR101170379B1 (ko) 유체저항 저감을 위한 로터가 장착된 선박
JP4597047B2 (ja) 高負荷釣合舵
KR101379717B1 (ko) 선박
KR20110019271A (ko) 프로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