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23B1 -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23B1
KR101283223B1 KR1020117020773A KR20117020773A KR101283223B1 KR 101283223 B1 KR101283223 B1 KR 101283223B1 KR 1020117020773 A KR1020117020773 A KR 1020117020773A KR 20117020773 A KR20117020773 A KR 20117020773A KR 101283223 B1 KR101283223 B1 KR 101283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electrocardiograph
defibrillation
electrode group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709A (ko
Inventor
유타카 오노데라
야스히로 고지마
겐지 모리
야스오 사카노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56Implantable devices for applying electric shocks to the heart, e.g. f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63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fibrillation or cardiov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61B5/287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e.g. electrode catheters for electrophysiological study [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75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2Detecting R peaks, e.g. for synchronising diagnostic apparatus; Estimating R-R interv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제세동 카테터(100)와, 전원장치(700)와, 심전계(800)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으로서, 제세동 카테터(100)는,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을 구비해서 되며; 전원장치(700)는, DC 전원부(71)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와,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와, DC 전원부(71)를 제어하는 동시에, DC 전원부(71)로부터의 직류전압의 출력회로(751)를 갖는 연산처리부(75)와, 공통 접점에 카테터 접속 커넥터(72)가 접속되며, 제1 접점에 심전계 접속 커넥터(73)가 접속되며, 제2 접점에 연산처리부(75)가 접속된 전환부(76)를 구비해서 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이다.
이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은, 제세동에 필요하며 또한 충분한 전기 에너지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어, 제세동 치료를 행하지 않을 때는, 제세동 카테터(100)를 심전위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Intracardiac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본 발명은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심강 내에 삽입되는 제세동 카테터와, 이 제세동 카테터의 전극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심전계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심방세동을 제거하는 제세동기로서 체외식 제세동기(AED)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AED에 의한 제세동 치료에서는, 환자의 체표에 전극 패드를 장착하고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환자의 체내에 전기에너지를 부여한다. 여기에, 전극 패드로부터 환자의 체내에 흐르는 전기에너지는, 통상 150~200 J가 되고, 그 중 일부(통상, 수 %~20% 정도)가 심장으로 흘러 제세동 치료에 제공된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112874호 공보 참조
이 때문에, 심방세동은 심장 카테터술 중에 있어서 일어나기 쉬워, 이 경우에도 전기적 제세동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기에너지를 체외로부터 공급하는 AED에 의해서는, 세동을 일으키고 있는 심장에 대해 효과적인 전기에너지(예를 들면 10~30 J)를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체외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중, 심장으로 흐르는 비율이 적은 경우(예를 들면 수 % 정도)에는, 충분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없다.
한편, 체외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높은 비율로 심장으로 흐른 경우에는, 심장의 조직이 손상을 받을 우려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AED에 의한 제세동 치료에서는, 전극 패드를 장착한 체표에 화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심장으로 흐르는 전기에너지의 비율이 적은 경우에는, 전기에너지의 공급을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화상의 정도가 심해져, 카테터술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장 카테터술 중에 심방세동을 일으킨 심장에 대해, 제세동에 필요하며 또한 충분한 전기에너지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표에 화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세동 치료를 행하지 않을 때는, 제세동 카테터를 심전위(心電位)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은, 심강 내에 삽입되어 제세동을 행하는 제세동 카테터와, 이 제세동 카테터의 전극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심전계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세동 카테터는, 절연성의 튜브 부재와,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상 전극으로 되는 제1 전극군(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基端側)으로 이간하여 상기 튜브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상 전극으로 되는 제2 전극군(제2 DC 전극군)과,
상기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는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는 제2 리드선군을 구비해서 되며;
상기 전원장치는, DC 전원부와,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제1 리드선군 및 제2 리드선군의 기단측에 접속되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와,
상기 심전계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심전계 접속 커넥터와,
외부 스위치의 입력을 토대로 상기 DC 전원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당해 DC 전원부로부터의 직류전압의 출력회로를 갖는 연산처리부와,
1회로 2접점의 전환 스위치로 되고, 공통 접점에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며, 제1 접점에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고, 제2 접점에 상기 연산처리부가 접속된 전환부를 구비해서 되며;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전극(제1 DC 전극군 및/또는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심전위를 측정할 때는, 전환부에 있어서 제1 접점이 선택되고, 상기 제세동 카테터로부터의 심전위정보가,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 상기 전환부 및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심전계에 입력되고,
상기 제세동 카테터에 의해 제세동을 행할 때에는,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환부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상기 DC 전원부로부터, 상기 연산처리부의 출력회로, 상기 전환부 및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상기 제1 DC 전극군과, 상기 제2 DC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를, 제1 DC 전극군이 관상정맥 내에 위치하고, 제2 DC 전극군이 우심방 내에 위치하도록 심강 내에 삽입하여, 전원장치에 의해, 제1 리드선군 및 제2 리드선군을 매개로,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 사이에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세동을 일으키고 있는 심장에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가 부여되고, 이것에 의해 제세동 치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심강 내에 배치한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 제2 DC 전극에 의해, 세동을 일으킨 심장에 대해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에 의하면, 제세동 치료에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전기적 자극(전기 쇼크)을 심장에만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장에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체표에 화상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없다.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전환부에 있어서, 제1 접점을 선택함으로써, 카테터 접속 커넥터로부터 심전계 접속 커넥터에 이르는 경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또는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심전위를 측정하고, 얻어지는 심전위정보를, 카테터 접속 커넥터, 전환부 및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심전계에 입력할 수 있다.
즉, 심장 카테터술 중에 있어서 제세동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를 심전위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심장 카테터술 중에 심방세동이 일어났을 때에, 전극 카테터를 발거(拔去)하고, 제세동을 위한 카테터를 새롭게 삽입하는 등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는, 상기 제1 DC 전극군 또는 상기 제2 DC 전극군으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튜브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전극으로 되는 전위 측정 전극군과,
상기 전위 측정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고, 그 기단측이, 상기 전원장치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위 측정용 리드선군을 구비해서 되고,
상기 전원장치에는,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와,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는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위 측정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환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심전계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 상기 제2 DC 전극군으로부터의 심전위를 심전계가 취득할 수 없는 제세동 치료시에도, 전위 측정 전극군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를 심전계가 취득할 수 있어, 심전계에 있어서 심전위를 감시(모니터링)하면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심전계에는, 상기 제세동 카테터 이외의 심전위 측정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또한, 이 심전위 측정수단이 전극 패드 또는 전극 카테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 상기 제2 DC 전극군으로부터의 심전위를 심전계가 취득할 수 없는 제세동 치료시에도, 당해 심전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를 심전계가 취득할 수 있어, 심전계에 있어서 심전위를 감시(모니터링)하면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장치는, 상기 연산처리부 및 상기 심전계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심전도 입력 커넥터와, 상기 연산처리부에 접속된 표시수단을 구비해서 되고,
상기 심전도 입력 커넥터에 입력된 상기 심전계로부터의 심전위정보는, 상기 연산처리부에 입력되고, 또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심전계에 입력된 심전위정보(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또는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취득된 심전위, 제세동 카테터의 전위 측정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취득된 심전위, 또는, 제세동 카테터 이외의 심전위 측정수단에 의해 취득된 심전위)의 일부가 연산처리부에 입력되고, 연산처리부에서는, 이 심전위정보를 토대로 DC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산처리부에 입력된 심전위정보(파형)를 표시수단으로 감시하면서 제세동 치료(외부 스위치의 입력 등)를 행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심전도 입력 커넥터를 경유하여 입력된 심전위 파형에 동기(同期)를 취해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상기 DC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심전위 파형에 동기를 취해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전압의 인가에 앞서,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만,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DC 전원부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세동 카테터의 제1 DC 전극군 및 제2 DC 전극군이, 소정의 부위(예를 들면, 관상정맥의 관벽, 우심방의 내벽)에 확실하게 맞닿았을 때에만 전압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에 의하면, 심장 카테터술 중에 심방세동 등을 일으킨 심장에 대해, 제세동에 필요하며 또한 충분한 전기에너지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체표에 화상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없고 침습성도 적다.
또한, 제세동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를 심전위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동 카테터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동 카테터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치수 및 경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단면, C-C 단면, D-D 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제세동 카테터의 일실시형태의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핸들 내부(선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핸들 내부(기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 제세동 카테터의 커넥터와, 전원장치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의 연결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 제세동 카테터에 의해 심전위를 측정하는 경우의 심전위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a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의 동작 및 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부(Step 1~Step 6)이다.
도 11b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의 동작 및 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잔부(Step 7~Step 15)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에 있어서, 심전위 측정모드에 있어서의 심전위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의 제세동 모드에 있어서, 전극군간 저항의 측정값에 관한 정보 및 심전위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의 제세동 모드에 있어서 직류전압 인가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낸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에 의해 소정의 전기에너지를 부여했을 때 측정되는 전위 파형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은, 제세동 카테터(100)와, 전원장치(700)와, 심전계(800)와, 심전위 측정수단(9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세동 카테터(100)는, 멀티루멘 튜브(10)와, 핸들(20)과,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과,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과,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과, 제3 리드선군(43G)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멀티루멘 튜브(10)(멀티루멘 구조를 갖는 절연성의 튜브 부재)에는, 4개의 루멘(제1 루멘(11), 제2 루멘(12), 제3 루멘(13), 제4 루멘(1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15는 루멘을 구획하는 불소 수지층, 16은 저경도의 나일론 엘라스토머로 되는 이너(코어)부, 17은 고경도의 나일론 엘라스토머로 되는 아우터(쉘)부이고, 도 4에 있어서의 18은 편조(編組)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소선(素線)이다.
루멘을 구획하는 불소 수지층(15)은,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절연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멀티루멘 튜브(10)의 아우터부(17)를 구성하는 나일론 엘라스토머는, 축방향에 따라 상이한 경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경도가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도 3에 있어서, L1(길이 52 ㎜)으로 나타내는 영역의 경도(D형 경도계에 의한 경도)는 40, L2(길이 108 ㎜)로 나타내는 영역의 경도는 55, L3(길이 25.7 ㎜)로 나타내는 영역의 경도는 63, L4(길이 10 ㎜)로 나타내는 영역의 경도는 68, L5(길이 500 ㎜)로 나타내는 영역의 경도는 72이다.
스테인리스 소선(18)에 의해 구성되는 편조 블레이드는, 도 3에 있어서 L5로 나타내어지는 영역에 있어서만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부(16)와 아우터부(1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멀티루멘 튜브(10)의 외경은, 예를 들면 1.2~3.3 ㎜가 된다.
멀티루멘 튜브(10)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세동 카테터(100)를 구성하는 핸들(20)은, 핸들 본체(21)와, 손잡이(22)와, 스트레인 릴리프(24)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22)를 회전조작함으로써, 멀티루멘 튜브(10)의 선단부를 편향(고개 흔들기)시킬 수 있다.
멀티루멘 튜브(10)의 외주(내부에 편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선단영역)에는, 제1 DC 전극군(31G), 제2 DC 전극군(32G) 및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 「전극군」이란, 동일 극을 구성하거나(동일 극성을 갖거나), 또는 동일 목적을 가지고, 좁은 간격(예를 들면 5 ㎜ 이하)으로 장착된 복수의 전극의 집합체를 말한다.
제1 DC 전극군은, 멀티루멘 튜브의 선단영역에 있어서, 동일 극(-극 또는 +극)을 구성하게 되는 복수의 전극이 좁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된다. 여기에, 제1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개수는, 전극의 폭이나 배치간격에 따라서도 상이하나, 예를 들면 4~13개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8~10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31G)은, 멀티루멘 튜브(10)의 선단영역에 장착된 8개의 링형상 전극(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은, 리드선(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 및 후술하는 커넥터를 매개로, 전원장치(700)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 전극(31)의 폭(축방향의 길이)은 2~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4 ㎜이다.
전극(31)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전압 인가시의 발열량이 과대해져, 주변 조직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한편, 전극(31)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멀티루멘 튜브(10)에 있어서의 제1 DC 전극군(31G)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가요성·유연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전극(31)의 장착간격(서로 인접하는 전극의 이간거리)은 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 ㎜이다.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시(심강 내에 배치될 때)에 있어서, 제1 DC 전극군(31G)은, 예를 들면 관상정맥 내에 위치한다.
제2 DC 전극군은, 멀티루멘 튜브의 제1 DC 전극군의 장착위치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간하여, 제1 DC 전극군과는 반대의 극(+극 또는 -극)을 구성하게 되는 복수의 전극이 좁은 간격으로 장착되어 된다. 여기에, 제2 DC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개수는, 전극의 폭이나 배치간격에 따라서도 상이하나, 예를 들면 4~13개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8~10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DC 전극군(32G)은, 제1 DC 전극군(31G)의 장착위치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간하여 멀티루멘 튜브(10)에 장착된 8개의 링형상 전극(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32)은, 리드선(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 및 후술하는 커넥터를 매개로, 전원장치(700)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 전극(32)의 폭(축방향의 길이)은 2~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4 ㎜이다.
전극(32)의 폭이 지나치게 좁으면, 전압 인가시의 발열량이 과대해져, 주변 조직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한편, 전극(32)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멀티루멘 튜브(10)에 있어서의 제2 DC 전극군(32G)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가요성·유연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전극(32)의 장착간격(서로 인접하는 전극의 이간거리)은 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2 ㎜이다.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시(심강 내에 배치될 때)에 있어서, 제2 DC 전극군(32G)은, 예를 들면 우심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은, 제2 DC 전극군(32G)의 장착위치로부터 기단측으로 이간하여 멀티루멘 튜브(10)에 장착된 4개의 링형상 전극(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전극(33)은, 리드선(제3 리드선군(43G)을 구성하는 리드선(43)) 및 후술하는 커넥터를 매개로 전원장치(700)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 전극(33)의 폭(축방향의 길이)은 0.5~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1.2 ㎜이다.
전극(33)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심전위의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이상 전위의 발생 부위의 특정이 곤란해지거나 한다.
전극(33)의 장착간격(서로 인접하는 전극의 이간거리)은 1.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5 ㎜이다.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시(심강 내에 배치될 때)에 있어서,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은, 예를 들면, 이상 전위가 발생하기 쉬운 상대정맥에 위치한다.
제세동 카테터(100)의 선단에는, 선단 칩(35)이 장치되어 있다.
이 선단 칩(35)에는, 리드선은 접속되어 있지 않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으로서 사용하고 있지 않다. 단, 리드선을 접속시킴으로써,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단 칩(35)의 구성재료는, 백금,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료, 각종의 수지재료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DC 전극군(31G)(기단측의 전극(31))과, 제2 DC 전극군(32G)(선단측의 전극(32))의 이간거리(d2)는 4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66 ㎜이다.
제2 DC 전극군(32G)(기단측의 전극(32))과,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선단측의 전극(33))의 이간거리(d3)는 5~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30 ㎜이다.
제1 DC 전극군(31G), 제2 DC 전극군(32G) 및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전극(31, 32, 33)으로서는, X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백금 또는 백금계의 합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제1 리드선군(41G)은,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1)의 집합체이다.
제1 리드선군(41G)(리드선(41))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의 각각을 전원장치(7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1)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1)에 접속된다. 리드선(41)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1)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동시에, 멀티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공(側孔)으로부터 제1 루멘(11)에 진입한다. 제1 루멘(11)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1)은, 제1 리드선군(41G)으로서, 제1 루멘(11)에 연재(延在)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제2 리드선군(42G)은,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에 접속된 8개의 리드선(42)의 집합체이다.
제2 리드선군(42G)(리드선(42))에 의해,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의 각각을 전원장치(7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8개의 전극(32)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2)에 접속된다. 리드선(42)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2)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동시에, 멀티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공으로부터 제2 루멘(12)(제1 리드선군(41G)이 연재되는 제1 루멘(11)과는 상이한 루멘)에 진입한다. 제2 루멘(12)에 진입한 8개의 리드선(42)은, 제2 리드선군(42G)으로서, 제2 루멘(12)에 연재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리드선군(41G)이 제1 루멘(11)에 연재되며, 제2 리드선군(42G)이 제2 루멘(12)에 연재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양자는 멀티루멘 튜브(10) 내에 있어서 완전히 절연 격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제1 리드선군(41G)(제1 DC 전극군(31G))과, 제2 리드선군(42G)(제2 DC 전극군(32G)) 사이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어지는 제3 리드선군(43G)은,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전극(33)의 각각에 접속된 4개의 리드선(43)의 집합체이다.
제3 리드선군(43G)(리드선(43))에 의해,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전극(33)의 각각을 전원장치(7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4개의 전극(33)은, 각각, 상이한 리드선(43)에 접속되어 있다. 리드선(43)의 각각은, 그 선단 부분에 있어서 전극(33)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동시에, 멀티루멘 튜브(10)의 관벽에 형성된 측공으로부터 제3 루멘(13)에 진입한다. 제3 루멘(13)에 진입한 4개의 리드선(43)은, 제3 리드선군(43G)으로서, 제3 루멘(13)에 연재된다.
상기와 같이, 제3 루멘(13)에 연재되어 있는 제3 리드선군(43G)은, 제1 리드선군(41G) 및 제2 리드선군(42G)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완전히 절연 격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제3 리드선군(43G)(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과, 제1 리드선군(41G)(제1 DC 전극군(31G)) 또는 제2 리드선군(42G)(제2 DC 전극군(32G)) 사이의 단락(短絡)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리드선(41), 리드선(42) 및 리드선(43)은, 모두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에 의해 금속 도선의 외주면이 피복된 수지 피복선으로 된다. 여기에, 피복 수지의 막두께로서는 2~30 ㎛ 정도가 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65는 풀와이어이다.
풀와이어(65)는, 제4 루멘(14)에 연재되고, 멀티루멘 튜브(10)의 중심축에 대해 편심(偏心)되어 뻗어 있다.
풀와이어(65)의 선단 부분은, 땜납에 의해 선단 칩(3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풀와이어(65)의 선단에는 빠짐 방지용 대경부(빠짐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선단 칩(35)과 풀와이어(65)는 강고히 결합되어, 선단 칩(35)의 탈락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풀와이어(65)의 기단 부분은, 핸들(20)의 손잡이(22)에 접속되어 있어, 손잡이(22)를 조작함으로써 풀와이어(65)가 인장되고,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의 선단부가 편향된다.
풀와이어(65)는, 스테인리스나 Ni-Ti계 초탄성 합금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다. 풀와이어(65)는, 예를 들면 고강도의 비도전성 와이어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멀티루멘 튜브의 선단부를 편향시키는 기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판스프링을 구비해서 되는 것이어도 된다.
멀티루멘 튜브(10)의 제4 루멘(14)에는, 풀와이어(65)만이 연재되어 있고, 리드선(군)은 연재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의 선단부의 편향 조작시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풀와이어(65)에 의해 리드선이 손상(예를 들면, 찰과상)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핸들(20)의 내부에 있어서도,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과, 제3 리드선군(43G)이 절연 격리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의 핸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핸들 내부(선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핸들 내부(기단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멀티루멘 튜브(10)의 기단부는, 핸들(20)의 선단 개구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와 핸들(20)이 접속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의 기단부에는, 선단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핀 단자(51, 52, 53)를 선단면(50A)에 배치해서 되는 원통형상의 커넥터(50)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의 내부에는 3개의 리드선군(제1 리드선군(41G), 제2 리드선군(42G), 제3 리드선군(43G))의 각각이 삽통되는 3개의 절연성 튜브(제1 절연성 튜브(26), 제2 절연성 튜브(27), 제3 절연성 튜브(28))가 연재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연성 튜브(26)의 선단부(선단으로부터 10 ㎜ 정도)는, 멀티루멘 튜브(10)의 제1 루멘(11)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제1 절연성 튜브(26)는,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재되는 제1 루멘(1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루멘(11)에 연결된 제1 절연성 튜브(26)는, 핸들(20)의 내부에 연재되는 제1 보호 튜브(61)의 내공을 통과하여 커넥터(50)(핀 단자가 배치된 선단면(50A))의 근방까지 뻗어 있어, 제1 리드선군(41G)의 기단부를 커넥터(50)의 근방으로 안내하는 삽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제1 루멘(11))로부터 뻗어 나온 제1 리드선군(41G)은, 킹크되는 경우 없이, 핸들(20)의 내부(제1 절연성 튜브(26)의 내공)를 연재할 수 있다.
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제1 리드선군(41G)은, 이것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1)으로 분할되고, 이들 리드선(41)의 각각은, 커넥터(50)의 선단면(50A)에 배치된 핀 단자의 각각에 땜납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이 접속 고정된 핀 단자(핀 단자(51))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1 단자군영역」으로 한다.
제2 절연성 튜브(27)의 선단부(선단으로부터 10 ㎜ 정도)는, 멀티루멘 튜브(10)의 제2 루멘(12)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제2 절연성 튜브(27)는,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재되는 제2 루멘(1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루멘(12)에 연결된 제2 절연성 튜브(27)는, 핸들(20)의 내부에 연재되는 제2 보호 튜브(62)의 내공을 통과하여 커넥터(50)(핀 단자가 배치된 선단면(50A))의 근방까지 뻗어 있어, 제2 리드선군(42G)의 기단부를 커넥터(50)의 근방으로 안내하는 삽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제2 루멘(12))로부터 뻗어 나온 제2 리드선군(42G)은, 킹크되는 경우 없이, 핸들(20)의 내부(제2 절연성 튜브(27)의 내공)를 연재할 수 있다.
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제2 리드선군(42G)은, 이것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2)으로 분할되고, 이들 리드선(42)의 각각은, 커넥터(50)의 선단면(50A)에 배치된 핀 단자의 각각에 땜납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이 접속 고정된 핀 단자(핀 단자(52))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2 단자군영역」으로 한다.
제3 절연성 튜브(28)의 선단부(선단으로부터 10 ㎜ 정도)는, 멀티루멘 튜브(10)의 제3 루멘(13)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제3 절연성 튜브(28)는, 제3 리드선군(43G)이 연재되는 제3 루멘(13)에 연결되어 있다.
제3 루멘(13)에 연결된 제3 절연성 튜브(28)는, 핸들(20)의 내부에 연재되는 제2 보호 튜브(62)의 내공을 통과하여 커넥터(50)(핀 단자가 배치된 선단면(50A))의 근방까지 뻗어 있어, 제3 리드선군(43G)의 기단부를 커넥터(50)의 근방으로 안내하는 삽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멀티루멘 튜브(10)(제3 루멘(13))로부터 뻗어 나온 제3 리드선군(43G)은, 킹크되는 경우 없이, 핸들(20)의 내부(제3 절연성 튜브(28)의 내공)를 연재할 수 있다.
제3 절연성 튜브(28)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제3 리드선군(43G)은, 이것을 구성하는 4개의 리드선(43)으로 분할되고, 이들 리드선(43)의 각각은, 커넥터(50)의 선단면(50A)에 배치된 핀 단자의 각각에 땜납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 제3 리드선군(43G)을 구성하는 리드선(43)이 접속 고정된 핀 단자(핀 단자(53))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3 단자군영역」으로 한다.
여기에, 절연성 튜브(제1 절연성 튜브(26), 제2 절연성 튜브(27) 및 제3 절연성 튜브(28))의 구성재료로서는,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 경도가 높고, 리드선군을 삽통하기 쉬워, 육박(肉薄) 성형이 가능한 폴리이미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절연성 튜브의 두께로서는 20~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30 ㎛이다.
또한, 절연성 튜브가 내삽(內揷)되는 보호 튜브(제1 보호 튜브(61) 및 제2 보호 튜브(62))의 구성재료로서는, 「Pebax」(ARKEMA사의 등록상표) 등의 나일론계 엘라스토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하면, 제1 절연성 튜브(26) 내에 제1 리드선군(41G)이 연재되고, 제2 절연성 튜브(27) 내에 제2 리드선군(42G)이 연재되며, 제3 절연성 튜브(28) 내에, 제3 리드선군(43G)이 연재되어 있음으로써, 핸들(20)의 내부에 있어서도,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과, 제3 리드선(43G)을 완전히 절연 격리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있어서, 핸들(2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제1 리드선군(41G)과, 제2 리드선군(42G)과, 제3 리드선(43G) 사이의 단락(특히, 루멘의 개구 부근에 있어서 뻗어 나온 리드선군간에 있어서의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20)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절연성 튜브(26)가 제1 보호 튜브(61)에 의해 보호되고, 제2 절연성 튜브(27) 및 제3 절연성 튜브(28)가 제2 보호 튜브(52)에 의해 보호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멀티루멘 튜브(10)의 선단부의 편향 조작시에 손잡이(22)의 구성 부재(가동 부품)가 접촉·찰과함으로써 절연성 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복수의 핀 단자가 배치된 커넥터(50)의 선단면(50A)을, 제1 단자군영역과, 제2 단자군영역 및 제3 단자군영역으로 구분하여, 리드선(41)과, 리드선(42) 및 리드선(43)을 서로 격리하는 격벽판(5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단자군영역과, 제2 단자군영역 및 제3 단자군영역을 구분하는 격벽판(55)은, 절연성 수지를, 양쪽에 평탄면을 갖는 홈통형상으로 성형 가공해서 된다. 격벽판(55)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폴리에틸렌 등의 범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격벽판(55)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0.5 ㎜가 되고,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2 ㎜이다.
격벽판(55)의 높이(기단 가장자리로부터 선단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커넥터(50)의 선단면(50A)과 절연성 튜브(제1 절연성 튜브(26) 및 제2 절연성 튜브(27))의 이간거리보다 높은 것이 필요하고, 이 이간거리가 7 ㎜인 경우, 격벽판(55)의 높이는, 예를 들면 8 ㎜가 된다. 높이가 7 ㎜ 미만인 격벽판의 경우는, 그 선단 가장자리를, 절연성 튜브의 기단보다도 선단측에 위치시킬 수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41)의 기단 부분)과,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개구로부터의 뻗어 나온 리드선(42)의 기단 부분)을 확실하고 또한 정연하게 격리할 수 있다.
격벽판(55)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드선(41)과, 리드선(42)을 정연히 격리하는(나누는) 것이 불가능하여, 이들이 혼선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서로 상이한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과,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이, 격벽판(55)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100)의 사용시에 있어서, 심강 내 제세동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하여도,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41)의 기단 부분)과, 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42)의 기단 부분)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세동 카테터의 제조시에 있어서, 리드선을 핀 단자에 접속 고정할 때에 실수가 생긴 경우, 예를 들면, 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을, 제2 단자군영역에 있어서의 핀 단자에 접속한 경우에는, 그 리드선(41)은 격벽(55)에 걸치게 되기 때문에, 접속의 실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제3 리드선군(43G)을 구성하는 리드선(43)(핀 단자(53))은, 리드선(42)(핀 단자(52))과 함께, 격벽판(55)에 의해 리드선(41)(핀 단자(51))으로부터 격리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드선(41)(핀 단자(51))과 함께, 격벽판(55)에 의해 리드선(42)(핀 단자(52))으로부터 격리되어 있어도 된다.
제세동 카테터(100)에 있어서, 격벽판(55)의 선단 가장자리는, 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및 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중 어느 것보다도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제1 리드선군(41G)을 구성하는 리드선(41))과, 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제2 리드선군(42G)을 구성하는 리드선(42)) 사이에는, 항상 격벽판(55)이 존재하게 되어, 리드선(41)과 리드선(42)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절연성 튜브(26)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와 커넥터(50)의 핀 단자(51)에 접속 고정된 8개의 리드선(41), 제2 절연성 튜브(27)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와 커넥터(50)의 핀 단자(52)에 접속 고정된 8개의 리드선(42), 제3 절연성 튜브(28)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와 커넥터(50)의 핀 단자(53)에 접속 고정된 4개의 리드선(43)은, 이들의 주위가 수지(58)로 굳어짐으로써, 각각의 형상이 유지 고정되어 있다.
리드선의 형상을 유지하는 수지(58)는, 커넥터(50)과 동일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 수지 성형체의 내부에, 핀 단자, 리드선, 절연성 튜브의 기단부 및 격벽판(55)이 매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성 튜브의 기단부가 수지 성형체의 내부에 매입되어 있는 구성에 의하면, 절연성 튜브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와 핀 단자에 접속 고정되기까지의 리드선(기단 부분)의 전역을 수지(58)로 완전히 덮을 수 있어, 리드선(기단 부분)의 형상을 완전히 유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형체의 높이(기단면에서 선단면까지의 거리)는, 격벽판(55)의 높이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격벽판(55)의 높이가 8 ㎜인 경우에, 예를 들면 9 ㎜가 된다.
여기에, 수지 성형체를 구성하는 수지(58)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우레탄계, 에폭시계, 우레탄-에폭시계의 경화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지(58)에 의해 리드선의 형상이 유지 고정되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100)를 제조할 때(핸들(20)의 내부에 커넥터(50)를 장착할 때)에, 절연성 튜브의 기단 개구로부터 뻗어 나온 리드선이 킹크되거나, 핀 단자의 에지와 접촉하여 손상(예를 들면, 리드선의 피복 수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원장치(700)는, DC 전원부(71)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와,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와, 외부 스위치(입력수단)(74)와, 연산처리부(75)와, 전환부(76)와, 심전도 입력 커넥터(77)와, 표시수단(78)을 구비하고 있다.
DC 전원부(71)에는 콘덴서가 내장되어, 외부 스위치(74)(충전 스위치(743))의 입력에 의해, 내장 콘덴서가 충전된다.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는, 제세동 카테터(100)의 커넥터(50)와 접속되고, 제1 리드선군(41G), 제2 리드선군(42G) 및 제3 리드선군(43G)의 기단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세동 카테터(100)의 커넥터(50)와, 전원장치(700)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72)가, 커넥터 케이블(C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제1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1)을 접속 고정한 핀 단자(51)(실제로는 8개)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1)(실제로는 8개),
제2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8개의 리드선(42)을 접속 고정한 핀 단자(52)(실제로는 8개)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2)(실제로는 8개),
제3 리드선군을 구성하는 4개의 리드선(43)을 접속 고정한 핀 단자(53)(실제로는 4개)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3)(실제로는 4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1) 및 단자(722)는, 전환부(76)에 접속되고, 단자(723)는 전환부(76)를 거치지 않고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도달하고,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전환부(76)를 거치지 않고,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도달한다.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는, 심전계(800)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수단인 외부 스위치(74)는, 심전위 측정모드와 제세동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스위치(741), 제세동시에 인가하는 전기에너지를 설정하는 인가 에너지 설정 스위치(742), DC 전원부(7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위치(743), 에너지를 인가하여 제세동을 행하기 위한 에너지 인가 스위치(방전 스위치)(744)로 된다. 이들 외부 스위치(74)로부터의 입력 신호는 모두 연산처리부(75)로 보내진다.
연산처리부(75)는, 외부 스위치(74)의 입력을 토대로, DC 전원부(71), 전환부(76) 및 표시수단(78)을 제어한다.
이 연산처리부(75)에는, DC 전원부(71)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전환부(76)를 매개로 제세동 카테터(100)의 전극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회로(751)를 가지고 있다.
이 출력회로(751)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1)(최종적으로는,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와,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의 단자(722)(최종적으로는,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2 DC 전극군(32G))가 서로 다른 극성이 되도록(한쪽의 전극군이 -극일 때는, 다른 쪽의 전극군은 +극이 되도록)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전환부(76)는, 공통 접점에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단자(721) 및 단자(722))가 접속되며, 제1 접점에 심전계 접속 커넥터(73)가 접속되고, 제2 접점에 연산처리부(75)가 접속된 1회로 2접점의 전환 스위치로 된다.
즉, 제1 접점을 선택했을 때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와,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연결하는 경로가 확보되고, 제2 접점을 선택했을 때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72)와, 연산처리부(75)를 연결하는 경로가 확보된다.
전환부(76)의 전환동작은, 외부 스위치(74)(모드 전환 스위치(741)·에너지 인가 스위치(744)의 입력을 토대로 연산처리부(75)에 의해 제어된다.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는 연산처리부(75)에 접속되고, 또한, 심전계(80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이 심전도 입력 커넥터(77)에 의해, 심전계(800)로부터 출력되는 심전위정보(통상, 심전계(800)에 입력된 심전위정보의 일부)를 연산처리부(75)에 입력할 수 있어, 연산처리부(75)에서는, 이 심전위정보를 토대로, DC 전원부(71) 및 전환부(76)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수단(78)은 연산처리부(75)에 접속되고, 표시수단(78)에는,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로부터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정보(주로, 심전위 파형)가 표시되어, 오퍼레이터는,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정보(파형)를 감시하면서 제세동 치료(외부 스위치의 입력 등)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심전계(800)(입력단자)는, 전원장치(700)의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접속되고, 제세동 카테터(100)(제1 DC 전극군(31G), 제2 DC 전극군(32G) 및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로부터 심전계(800)에 입력된다.
또한, 심전계(800)(다른 입력단자)는 심전위 측정수단(900)에도 접속되어, 심전위 측정수단(900)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도 심전계(800)에 입력된다.
여기에, 심전위 측정수단(900)으로서는, 12 유도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 환자의 체표면에 첩부(貼付)되는 전극 패드, 환자의 심장 내에 장착되는 전극 카테터(제세동 카테터(100)와는 상이한 전극 카테터)를 들 수 있다.
심전계(800)(출력단자)는, 전원장치(700)의 심전도 입력 커넥터(77)에 접속되어, 심전계(800)에 입력된 심전위정보(제세동 카테터(100)로부터의 심전위정보 및 심전위 측정수단(900)으로부터의 심전위정보)의 일부를,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로부터 연산처리부(75)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는, 제세동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심전위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심장 카테터술(예를 들면 고주파치료)을 행할 때, 본 실시형태의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해 심전위를 측정하는 경우의 심전위정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전원장치(700)의 전환부(76)는, 심전계 접속 커넥터(73)가 접속된 제1 접점을 선택하고 있다.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또는 제2 DC 전극군(32G)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72), 전환부(76) 및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심전계(800)에 입력된다.
또한, 제세동 카테터(100)의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심전계(800)에 입력된다.
제세동 카테터(100)로부터의 심전위정보(심전위 파형)는, 심전계(800)의 모니터(도시 생략)에 표시된다.
또한, 제세동 카테터(100)로부터의 심전위정보의 일부(예를 들면, 제1 DC 전극군(31G)을 구성하는 전극(31)(제1 극과 제2 극)간의 전위차)를, 심전계(800)로부터, 심전도 입력 커넥터(77) 및 연산처리부(75)를 경유하여, 표시수단(78)에 입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심장 카테터술 중에 있어서 제세동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제세동 카테터(100)를 심전위 측정용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장 카테터술 중에 있어서 심방세동이 일어났을 때는, 전극 카테터로서 사용하고 있던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해 바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심방세동이 일어났을 때에, 제세동을 위한 카테터를 새롭게 삽입하는 등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에 의한 제세동 치료의 일례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따라 설명한다.
(1) 먼저, X선 화상에서, 제세동 카테터(100)의 전극(제1 DC 전극군(31G), 제2 DC 전극군(32G) 및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시에, 심전위 측정수단(900)(체표면에 첩부한 전극 패드)으로부터 심전계(800)에 입력되어 있는 심전위정보(12 유도 심전도)의 일부를 선택하여,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로부터 전원장치(700)의 연산처리부(75)에 입력한다(도 11a의 Step 1). 이때,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정보의 일부는 표시수단(78)에 표시된다(도 12 참조).
또한,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또는 제2 DC 전극군(32G)의 구성전극으로부터, 카테터 접속 커넥터(72), 전환부(76),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심전계(800)에 입력된 심전위정보, 제세동 카테터(100)의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으로부터, 카테터 접속 커넥터(72),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심전계(800)에 입력된 심전위정보는, 심전계(800)의 모니터(도시생략)에 표시되어 있다.
(2) 다음으로, 외부 스위치(74)인 모드 전환 스위치(741)를 입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700)는, 초기상태에 있어서 「심전위 측정모드」이고, 전환부(76)는 제1 접점을 선택하여,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확보되어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741)의 입력에 의해 「제세동 모드」로 된다(Step 2).
(3)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드 전환 스위치(741)가 입력되어 제세동 모드로 전환되면, 연산처리부(75)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환부(76)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연산처리부(75)에 이르는 경로가 확보되어,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차단된다(Step 3). 전환부(76)가 제2 접점을 선택하고 있을 때,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의 구성전극로부터의 심전위정보는, 심전계(800)에 입력할 수 없다(따라서, 이 심전위정보를 연산처리부(75)로 보내는 것도 불가능하다.). 단, 전환부(76)를 경유하지 않는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로부터의 심전위정보는 심전계(800)에 입력된다.
(4) 전환부(76)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된 시점에서,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과 제2 DC 전극군(32G)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Step 4).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저항값은,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 측정수단(900)으로부터의 심전위정보의 일부와 함께, 표시수단(78)에 표시된다(도 13 참조).
(5) 전환부(76)의 접점이 제1 접점으로 전환되고,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복귀된다(Step 5).
또한, 전환부(76)의 접점이 제2 접점을 선택하고 있는 시간(상기 Step 3~Step 5)은, 예를 들면 1초간이 된다.
(6) 연산처리부(75)는, Step 4에서 측정한 저항이 일정 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Step 7(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준비)으로 진행하고,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Step 1(제세동 카테터(100)의 전극의 위치 확인)으로 돌아간다(Step 6).
여기에, 저항이 일정 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DC 전극군 및/또는 제2 DC 전극군이, 소정의 부위(예를 들면, 관상정맥의 관벽, 우심방의 내벽)에 확실하게 맞닿아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Step 1으로 돌아가, 전극의 위치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 및 제2 DC 전극군이, 소정의 부위(예를 들면, 관상정맥의 관벽, 우심방의 내벽)에 대해 확실하게 맞닿았을 때에만 전압을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7) 외부 스위치(74)인 인가 에너지 설정 스위치(742)를 입력하여, 제세동시의 인가 에너지를 설정한다(도 11b의 Step 7).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700)에 의하면, 인가 에너지는 1 J~30 J까지, 1 J 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8) 외부 스위치(74)인 충전 스위치(743)를 입력하여, DC 전원부(71)의 내장 콘덴서에 에너지를 충전한다(Step 8).
충전 완료 후, 외부 스위치(74)인 에너지 인가 스위치(744)를 입력한다(Step 9).
(10) 에너지 인가 스위치(744)가 입력되면, 연산처리부(75)에 의해 전환부(76)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연산처리부(75)에 이르는 경로가 확보되어,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차단된다(Step 10).
(11) 전환부(76)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된 후, 연산처리부(7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은 DC 전원부(71)로부터, 연산처리부(75)의 출력회로(751), 전환부(76) 및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를 경유하여,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과, 제2 DC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직류전압이 인가된다(Step 11, 도 14 참조).
여기에, 연산처리부(75)는,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를 경유하여 입력된 심전위 파형에 동기를 취해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산처리하여 DC 전원부(71)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구체적으로는, 연산처리부(75)에 축차 입력되는 심전위 파형(심전위 측정수단(900)으로부터의 12 유도 심전도의 일부)에 있어서 하나의 R파(최대 피크)를 검지하여, 그 피크 높이를 구하고, 다음으로, 이 피크 높이의 80%의 높이(트리거 레벨)에 전위차가 도달한 시점(다음 R파의 입상시)으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R파의 피크 폭의 1/10 정도의 매우 짧은 시간)의 경과 후에 인가를 개시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세동 카테터(100)에 의해 소정의 전기에너지(예를 들면, 설정출력=10 J)를 부여했을 때에 측정되는 전위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전위를 나타낸다.
먼저,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 파형에 있어서의 전위차가 트리거 레벨에 도달한 후에 일정 시간(t0) 경과 후, 제1 DC 전극군(31G)이 -극, 제2 DC 전극군(32G)이 +극이 되도록, 양자 사이에서 직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측정전위가 입상한다(V1은, 이때의 피크 전압이다.). 일정 시간(t1) 경과 후, 제1 DC 전극군(31G)이 +극, 제2 DC 전극군(32G)이 -극이 되도록, ±를 반전한 직류전압을 양자 사이에서 인가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측정전위가 입상한다(V2는, 이때의 피크 전압이다.).
여기에, 트리거 레벨에 도달한 후 인가를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t0)은, 예를 들면 0.01~0.05초,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01초가 되고, 시간(t=t1+t2)은, 예를 들면 0.006~0.03초,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자면 0.02초가 된다.
이것에 의해, 연산처리부(75)에 입력된 심전위 파형(최대 피크인 R파)에 동기를 취하여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측정되는 피크 전압(V1)은, 예를 들면 300~600V가 된다.
(12) 심전위 파형에 있어서의 전위차가 트리거 레벨에 도달한 후에 일정 시간(t0+t)이 경과 후, 연산처리부(7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 DC 전원부(71)로부터의 전압의 인가가 정지된다(Step 12).
(13) 전압의 인가가 정지한 후, 인가한 기록(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가시의 심전위 파형)이 표시수단(78)에 표시된다(Step 13). 표시시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5초간이 된다.
(14) 전환부(76)의 접점이 제1 접점으로 전환되고,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복귀되어,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의 구성전극로부터의 심전위정보가, 심전계(800)에 입력된다(Step 14).
(15) 심전계(800)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제세동 카테터(100)의 구성전극(제1 DC 전극군(31G), 제2 DC 전극군(32G) 및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으로부터의 심전위정보(심전도), 및 심전위 측정수단(900)으로부터의 심전위정보(12 유도 심전도)를 관찰하여, 「정상」이면 종료로 하고, 「정상이 아닌(심방세동이 진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Step 2로 돌아간다(Step 15).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시스템에 의하면,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에 의해, 세동을 일으킨 심장에 대해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어, 제세동 치료에 필요하고 또한 충분한 전기적 자극(전기 쇼크)을 심장에만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장에 직접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체표에 화상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없다.
또한,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의 구성전극(33)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거치지 않고, 심전계 접속 커넥터(73)를 경유하여 심전계(800)에 입력되고, 또한, 이 심전계(800)에는, 심전위 측정수단(900)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으로부터의 심전위를 심전계(800)가 취득할 수 없는 제세동 치료시(전환부(76)가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카테터 접속 커넥터(72)로부터, 전환부(76)를 경유하여 심전계 접속 커넥터(73)에 이르는 경로가 차단되어 있을 때)에도,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33G) 및 심전위 측정수단(900)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를 심전계(800)가 취득할 수 있어, 심전계(800)에 있어서 심전위를 감시(모니터링)하면서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장치(700)의 연산처리부(75)는, 심전도 입력 커넥터(77)를 경유하여 입력된 심전위 파형에 동기를 취해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산처리하여 DC 전원부(71)를 제어하기(심전위 파형에 있어서의 전위차가 트리거 레벨에 도달한 후에 일정 시간(예를 들면 0.01초) 경과 후에 인가를 개시시키기) 때문에, 제세동 카테터(100)의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에 대해, 심전위 파형에 동기를 취해 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산처리부(75)는, 제세동 카테터(100)의 전극군간 저항이 일정 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즉, 제1 DC 전극군(31G) 및 제2 DC 전극군(32G)이, 소정의 부위(예를 들면, 관상정맥의 관벽, 우심방의 내벽)에 확실하게 맞닿았을 때에만,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준비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제세동 치료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701)에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원장치(700)의 구성에 더하여, 저항값 기지의 내장 저항(79)과, 이 내장 저항(79)이 접속된 전환부(762)가 설치되고, 외부 스위치(74)로서 테스트 모드 스위치(745)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부(762)는 공통 접점에 연산처리부(75)가 접속되며, 제1 접점에 전환부(76)가 접속되고, 제2 접점에 내장 저항(79)이 접속된 1회로 2접점의 전환 스위치로 된다.
즉, 제1 접점을 선택했을 때는, 연산처리부(75)와 전환부(76)를 연결하는 경로가 확보되고, 제2 접점을 선택했을 때는, 연산처리부(75)와 내장 저항(79)을 연결하는 경로가 확보된다.
전환부(762)의 제2 접점에 접속된 내장 저항(79)의 저항값은, 예를 들면 50 Ω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카테터 시스템에 의하면, 테스트 모드로 함으로써, 전원장치(701)가 정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모드 스위치(745)를 입력하면, 연산처리부(75)에 의해 전환부(762)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연산처리부(75)로부터 전환부(762)를 경유하여 내장 저항(79)에 이르는 경로가 확보되어, 이것에 의해, 내장 저항(79)의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저항값은, 표시수단(78)에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된 측정값이 기지의 저항값(50 Ω)에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제세동 카테터를 접속했을 때, 그 전극군간 저항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에너지 인가 스위치(744)를 입력함으로써, 내장 저항(79)에 직류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인가한 기록은 표시수단(78)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설정한 대로의 에너지를 내장 저항(79)에 인가할 수 있었는지 여부(제세동 카테터를 접속했을 때, 소정의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0 제세동 카테터
10 멀티루멘 튜브
11 제1 루멘
12 제2 루멘
13 제3 루멘
14 제4 루멘
15 불소 수지층
16 이너(코어)부
17 아우터(쉘)부
18 스테인리스 소선
20 핸들
21 핸들 본체
22 손잡이
24 스트레인 릴리프
26 제1절연성 튜브
27 제2절연성 튜브
28 제3 절연성 튜브
31G 제1 DC 전극군
31 링형상 전극
32G 제2 DC 전극군
32 링형상 전극
33G 기단측 전위 측정 전극군
33 링형상 전극
35 선단 칩
41G 제1 리드선군
41 리드선
42G 제2 리드선군
42 리드선
43G 제3 리드선군
43 리드선
50 제세동 카테터의 커넥터
51,52,53 핀 단자
55 격벽판
58 수지
61 제1 보호튜브
62 제2 보호튜브
65 풀와이어
700 전원장치
71 DC 전원부
72 카테터 접속 커넥터
721,722,723 단자
73 심전계 접속 커넥터
74 외부 스위치(입력수단)
741 모드 전환 스위치
742 인가 에너지 설정 스위치
743 충전 스위치
744 에너지 인가 스위치(방전 스위치)
745 테스트 모드 스위치
75 연산처리부
751 출력회로
76 전환부
762 전환부
77 심전도 입력 커넥터
78 표시수단
79 내장 저항
800 심전계
900 심전위 측정수단

Claims (7)

  1. 심강 내에 삽입되어 제세동을 행하는 제세동 카테터와, 이 제세동 카테터의 전극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와, 심전계를 구비한 카테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세동 카테터는, 절연성의 튜브 부재와,
    상기 튜브 부재의 선단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상 전극으로 되는 제1 전극군과,
    상기 제1 전극군으로부터 기단측(基端側)으로 사이를 두고 상기 튜브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링형상 전극으로 되는 제2 전극군과,
    상기 제1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는 제1 리드선군과,
    상기 제2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는 제2 리드선군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장치는, DC 전원부와,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제1 리드선군 및 제2 리드선군의 기단측에 접속되는 카테터 접속 커넥터와,
    상기 심전계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심전계 접속 커넥터와,
    외부 스위치의 입력을 토대로 상기 DC 전원부를 제어하는 동시에, 당해 DC 전원부로부터의 직류전압의 출력회로를 갖는 연산처리부와,
    1회로 2접점의 전환 스위치로 되고, 공통 접점에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며, 제1 접점에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가 접속되고, 제2 접점에 상기 연산처리부가 접속된 전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전극에 의해 심전위를 측정할 때는, 전환부에 있어서 제1 접점이 선택되고, 상기 제세동 카테터로부터의 심전위정보가,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 상기 전환부 및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심전계에 입력되고,
    상기 제세동 카테터에 의해 제세동을 행할 때에는,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환부의 접점이 제2 접점으로 전환되고, 상기 DC 전원부로부터, 상기 연산처리부의 출력회로, 상기 전환부 및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상기 제1 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군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세동 카테터는, 상기 제1 전극군 또는 상기 제2 전극군으로부터 사이를 두고 상기 튜브 부재에 장착된 복수의 전극으로 되는 전위 측정 전극군과,
    상기 전위 측정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의 각각에 선단이 접속된 복수의 리드선으로 되고, 그 기단측이, 상기 전원장치의 카테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위 측정용 리드선군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장치에는,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와,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는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위 측정 전극군을 구성하는 전극에 의해 측정된 심전위정보는,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카테터 접속 커넥터로부터, 상기 전환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심전계 접속 커넥터를 경유하여 상기 심전계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계에는, 상기 제세동 카테터 이외의 심전위 측정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위 측정수단이 전극 패드 또는 전극 카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연산처리부 및 상기 심전계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심전도 입력 커넥터와, 상기 연산처리부에 접속된 표시수단을 구비해서 되고,
    상기 심전도 입력 커넥터에 입력된 상기 심전계로부터의 심전위정보는, 상기 연산처리부에 입력되고, 또한,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심전도 입력 커넥터를 경유하여 입력된 심전위 파형에 동기(同期)를 취해 전압이 인가되도록 연산처리하여 상기 DC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의 상기 연산처리부는, 전압의 인가에 앞서, 상기 제세동 카테터의 제1 전극군과 제2 전극군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저항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만,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DC 전원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KR1020117020773A 2009-03-23 2010-02-23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KR101283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70940A JP4545216B1 (ja) 2009-03-23 2009-03-23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JP-P-2009-070940 2009-03-23
PCT/JP2010/052666 WO2010109997A1 (ja) 2009-03-23 2010-02-23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09A KR20110118709A (ko) 2011-10-31
KR101283223B1 true KR101283223B1 (ko) 2013-07-11

Family

ID=4278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773A KR101283223B1 (ko) 2009-03-23 2010-02-23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26284B2 (ko)
EP (1) EP2412402B1 (ko)
JP (1) JP4545216B1 (ko)
KR (1) KR101283223B1 (ko)
CN (1) CN102316927B (ko)
AU (1) AU2010228558B2 (ko)
BR (1) BRPI1006244B8 (ko)
HK (1) HK1162990A1 (ko)
WO (1) WO2010109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210B2 (ja) * 2008-09-11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除細動カテーテル
JP4545216B1 (ja) 2009-03-23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KR101360416B1 (ko) 2011-11-15 201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용 저마찰 코팅층 및 코팅층 형성방법
US20140180371A1 (en) * 2012-12-21 2014-06-26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Leads with proximal stiffening and rel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JP5900974B2 (ja) * 2013-05-10 2016-04-0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6289303B2 (ja) * 2014-08-08 2018-03-07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除細動器
JP5969635B2 (ja) * 2015-01-15 2016-08-17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EP3242711B1 (en) * 2015-05-11 2020-01-29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High density mapping and ablation catheter
JP6570123B2 (ja) * 2016-02-29 2019-09-0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667339B2 (ja) * 2016-03-29 2020-03-1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装置、及び除細動器
JP6700081B2 (ja) * 2016-03-29 2020-05-27 フクダ電子株式会社 除細動器
JP6632511B2 (ja) * 2016-11-04 2020-01-2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11446082B2 (en) 2017-02-03 2022-09-20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Electronic switchbox
JP7021992B2 (ja) * 2017-03-28 2022-02-17 ジェイソル・メディカル株式会社 複合電極型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及び複合電極型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ユニット
JP6560288B2 (ja) 2017-03-31 2019-08-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7055610B2 (ja) * 2017-09-26 2022-04-18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
JP7074444B2 (ja) * 2017-09-26 2022-05-24 フクダ電子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及び除細動器
JP7261182B2 (ja) * 2018-02-07 2023-04-19 株式会社カネカ 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および除細動用電源装置
CN111670062B (zh) * 2018-02-07 2023-09-12 株式会社钟化 除颤导管系统、除颤用电源装置以及除颤用电源装置的控制方法
JP7076012B2 (ja) 2018-12-27 2022-05-2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7167307B2 (ja) * 2019-03-15 2022-11-08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JP6876091B2 (ja) * 2019-05-09 2021-05-26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WO2022195644A1 (ja) * 2021-03-13 2022-09-22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7263593B1 (ja) 2022-05-06 2023-04-24 学 朝妻 心腔内除細動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0900A2 (en) 2006-05-01 2007-11-15 Cardiac Pacemakers, Inc. Lead with fibrous matrix coating
JP4167059B2 (ja) * 2000-11-10 2008-10-15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操縦できるループ構造体
JP4221492B2 (ja) * 2001-12-31 2009-02-12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心房除細動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908A (en) 1993-06-16 1995-01-24 Ventritex, Inc. Defibrillation system having innominate vein electrode and method for its use
US5405375A (en) * 1994-01-21 1995-04-11 Incontrol, Inc. Combined mapping, pacing, and defibrillating catheter
CN1147964A (zh) 1995-10-17 1997-04-23 郭伟 组合电极导管
US5738105A (en) * 1995-10-24 1998-04-14 Ange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R-waves using both near field and far field sensing simultaneously
US5855592A (en) * 1997-04-24 1999-01-05 Ep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site cardiac defibrillation using multiple electrode structures
US6038472A (en) 1997-04-29 2000-03-14 Medtronic, Inc. Implantable defibrillator and lead system
US5922014A (en) 1997-09-02 1999-07-13 Medtronic, Inc. Single pass lead and method of use
JP2002531164A (ja) * 1998-11-23 2002-09-24 シー・アール・バード・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心臓内把持カテーテル
US6219582B1 (en) * 1998-12-30 2001-04-17 Daig Corporation Temporary atrial cardioversion catheter
CN2375328Y (zh) 1999-05-12 2000-04-26 刘如参 多功能食道电极导管
US6314320B1 (en) 1999-10-01 2001-11-06 Daniel J Powers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inactivating AED functionality
US20030036774A1 (en) * 2000-06-01 2003-02-20 Chris Maier Switching apparatus for monitoring catherter signals and performing cardioversion defibrillations
US20050021118A1 (en) 2000-07-13 2005-01-27 Chris Genau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o a patient
US7130700B2 (en) 2002-11-19 2006-10-31 Medtronic, Inc. Multilumen body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254451B2 (en) 2003-11-20 2007-08-07 Medtronic, Inc. Implantable lead including sensor
AR047851A1 (es) 2004-12-20 2006-03-01 Giniger Alberto German Un nuevo marcapasos que restablece o preserva la conduccion electrica fisiologica del corazon y un metodo de aplicacion
US7959601B2 (en) 2005-02-14 2011-06-14 Biosense Webster, Inc. Steerable catheter with in-plane deflection
CN101190146B (zh) 2006-11-21 2010-12-08 李楚森 一种心脏介入消融导管
JP4545210B2 (ja) 2008-09-11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除細動カテーテル
JP4545216B1 (ja) 2009-03-23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059B2 (ja) * 2000-11-10 2008-10-15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操縦できるループ構造体
JP4221492B2 (ja) * 2001-12-31 2009-02-12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心房除細動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7130900A2 (en) 2006-05-01 2007-11-15 Cardiac Pacemakers, Inc. Lead with fibrous matrix co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09A (ko) 2011-10-31
CN102316927A (zh) 2012-01-11
EP2412402B1 (en) 2017-11-08
BRPI1006244A2 (pt) 2016-04-19
BRPI1006244B8 (pt) 2021-06-22
AU2010228558B2 (en) 2013-09-19
EP2412402A1 (en) 2012-02-01
WO2010109997A1 (ja) 2010-09-30
CN102316927B (zh) 2013-12-11
HK1162990A1 (en) 2012-09-07
JP2010220778A (ja) 2010-10-07
US8626284B2 (en) 2014-01-07
AU2010228558A1 (en) 2011-09-15
JP4545216B1 (ja) 2010-09-15
US20110319948A1 (en) 2011-12-29
BRPI1006244B1 (pt) 2020-10-13
EP2412402A4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223B1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KR101315013B1 (ko) 제세동 카테터
KR101217403B1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KR101572756B1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시스템
KR101261746B1 (ko) 심강 내 제세동 카테터
CN109922861B (zh) 心腔内除颤导管系统
US20230211154A1 (en) Intracardiac defibrillation catheter system
JP4672801B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WO2022195644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