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526B1 -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526B1
KR101282526B1 KR1020060094864A KR20060094864A KR101282526B1 KR 101282526 B1 KR101282526 B1 KR 101282526B1 KR 1020060094864 A KR1020060094864 A KR 1020060094864A KR 20060094864 A KR20060094864 A KR 20060094864A KR 101282526 B1 KR101282526 B1 KR 10128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external
control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175A (ko
Inventor
김영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5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는 영상표시기기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키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외부 입력을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라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복수개의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표시기기, 제어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콘트롤 라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의 작동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외부 입력 상태를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외부 입력 상태가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장치 20 ; 영상표시기기
21 ; 콘트롤 라인 판단부
본 발명에서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영상표시기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공항, 역, 호텔 등에서도 폭 넓게 사용된다.
특히, 호텔과 같은 곳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이 하나의 영상표시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영상표시기기에 다양한 외부입력을 연결하여 영상표시기기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캠코더(Camcoder)나 MP3 플레이어를 영상표시기기에 연결하여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영상표시기기에 출력되도록 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호텔 등에 비치된 영상표시기기는 고정되거나 이동이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영상표시기기의 후면에 형성된 외부입력 단자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부입력을 연결하고 영상표시기기의 모드를 외부입력에 따라 전환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원격의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입력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는 영상표시기기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영상표시기기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키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외부 입력을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라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복수개의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장치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변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변경된 경우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소스 전환 신호를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는 영상표시기기(2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20)와 분리되어 호텔 룸의 데스크 또는 침대 옆과 같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와 영상표시기기(20)는 복수의 신호라인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제어 신호가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제어장치(10)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채널을 제어할 수 있는 키,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키, Audio In L/R 단자, MP3 In 단자, S Video In 단자, Video In 단자, DVI In 단자, RGB In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에는 외부의 전화선과 연결되는 RJ11단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RJ45단자, AC전원이 출력되는 AC Outlet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10)에는 영상표시기기(20)를 제어할 수 있는 키와, 오디오, 비디오 신호가 영상표시기기(20)에 입력되도록 하는 외부 입력 단자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전원을 제공하는 단자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장치(10)에는 캠코더(Camcoder), 포터블 디브이디(Portable DVD),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 포터블 게임기(Portable Game Machine)와 같은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외부 입력이 연결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기본 기능인 채널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키를 구비한다.
또한, RJP(Remote Jack Pack) On/Off 키가 구비되어 외부입력의 변화에 따라 영상표시기기(20)의 자동 소스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와 영상표시기기(20)는 다수의 신호라인으로 연결된다.
콘트롤 라인(Controll Line)은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장치를 판단하여 영상표시기기(20)에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를 알려주는 자동 소스 전환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20)는 상기 콘트롤 라인을 통해 전송된 자동 소스 전환 신호에 따라 영상표시기기(20)의 소스를 전환한다.
상기 제어장치(10)는 마이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마이컴이 구비된 경우 마이컴에서 현재 연결된 외부장치를 판단하여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콘트롤 라인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연결된 외부장치를 알려준다.
상기 제어장치(10)에 마이컴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상기 콘트롤 라인의 신호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10)와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라 전압 레벨을 다르게 전송함으로써 영상표시기기(20)의 콘트롤 라인 판단부(21)에서 외부장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 라인은 Audio In L/R, MP3 In, S Video In, Video In, RGB In, DVI In에 외부장치의 연결 유무를 나타낼 수 있는 라인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콘트롤 라인 판단부(21)에서 외부장치의 연결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장치의 연결 여부를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에 마이컴이 구비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트롤 라인의 구성 형태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콘트롤 라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장치(10)와 영상표시기기(20)를 연결하는 콘트롤 라인은 1~6까지의 여섯개의 라인으로 구성되며, 12V의 전압이 인가되는 라인, 그라운드(GND), Control 0,1,2,3의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콘트롤 라인은 Low 레벨 전압의 인가로 외부 입력의 연결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Low 레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영상표기기기(20)은 소스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10)의 RGB In 단자에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Control 0 이 Low 레벨의 전압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라인 판단부(21)는 RGB In 단자에 외부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표시기기(20)의 소스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의 DVI In 단자와 Audio In 단자에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Control 2 와 Control 3 이 Low 레벨의 전압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 라인 판단부(21)는 DVI In 단자 및 Audio In 단자에 외부장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소스를 전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10)에 복수의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한 외부장치의 신호만 선택된다.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장치와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나,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장치 또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장치가 복수개가 연결된 경우에는 우선순위에 따른다.
예를 들어, RGB IN 단자와 Video In 단자에 각각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어 느 하나의 외부장치만 선택되어 상기 콘트롤 라인을 통해 Low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우선순위는 미리 결정되며,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외부 단자는 DVI IN, RGB IN, Video In 의 순서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외부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또는 RJP On/Off 버튼이 오프 상태가 된 경우에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튜너가 동작되고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장치(10)와 상기 영상표시기기(20)를 연결하는 TV 콘트롤 라인(Control Line)은 채널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채널 업/다운, 음량 업/다운 키의 눌림을 감지하여 입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RS232 포맷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장치(10)의 RJP On/Off 키는 토글(Toggle) 키로 동작되며, 온(On)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0)에 연결된 외부장치를 상기 영상표시기기(20)가 알 수 있도록 하여 자동 소스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에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0)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전송되지 않도록 하여 자동 소스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20)의 메뉴를 통해 소스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의 작동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10)는 외부 입력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전송하고, 키 입력에 따른 소스 전환 신호 및 TV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TV 제어신호는 상기 TV 콘트롤 라인을 통해 전송되고, 상기 소스 전환 신호는 상기 콘트롤 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는 DVI 라인, RGB 라인, Composite Video 라인, Audio 라인을 통해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외부 입력 상태를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 장치(10)가 초기화된다(S410)(S420).
상기 제어 장치(10)에 마이컴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 장치(10)의 현재 상태를 감지 후 저장한다(S430). 즉, 상기 제어 장치(10)는 현재 연결된 외부 장치를 파악하고 이를 상기 마이컴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그리고, 외부 입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440).
그리고, 외부 입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20)에 현재 외부 입력 상태를 전송한다(S450).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전송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소스 전환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외부 입력 상태가 전송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영상표시기기(20)가 초기화된다(S510)(S520).
상기 제어 장치(1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 입력의 현재 상태를 감지 후 저장한다(S530). 즉, 상기 영상표시기기(20)는 제어 장치(10)에 현재 연결된 외부 장치를 파악하고 이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그리고, 외부 입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540).
그리고, 외부 입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20)는 현재 외부 입력 상태를 변경하여 저장한다(S550).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전송된 외부 입력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소스 전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의 소스 전환 신호를 제공하며,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Claims (8)

  1. 영상표시기기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키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외부 입력을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되도록 하고,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라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복수개의 외부 장치가 연결된 경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자동 소스 전환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화 연결 또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자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원의 인가에 따라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장치를 감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변경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변경된 경우 연결된 외부장치에 따른 소스 전환 신호를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외부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우선 순위에 따른 소스 전환 신호를 영상표시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60094864A 2006-09-28 2006-09-28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8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864A KR101282526B1 (ko) 2006-09-28 2006-09-28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864A KR101282526B1 (ko) 2006-09-28 2006-09-28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75A KR20080029175A (ko) 2008-04-03
KR101282526B1 true KR101282526B1 (ko) 2013-07-04

Family

ID=3953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864A KR101282526B1 (ko) 2006-09-28 2006-09-28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5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58B1 (ko) * 2000-08-17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무선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58B1 (ko) * 2000-08-17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무선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75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1061B2 (en) Plug device for controlling connection with power source
US11258269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JP201500585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US20080218372A1 (en) Light switch used as a communication device
WO2006095596A1 (ja) 通信接続方法、通信接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6986923B2 (ja) 電子機器制御装置
CN105578278B (zh) 显示设备及对mhl信源实现来电通功能的方法
KR10128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96834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
KR100990131B1 (ko)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20170089829A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JP2003153355A (ja) 音声認識遠隔制御装置
JP2002186068A (ja) 遠隔制御装置
JP4971005B2 (ja)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接続情報認識システム及びその認識方法
KR100712694B1 (ko) 네트워크 전등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JP2005276595A (ja) 省電機器
JPH05219575A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KR100574111B1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8384A (ko) 상업용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430819A (zh) 遥控方法及遥控系统
US20060123446A1 (en) Restarter
KR20020089637A (ko) 리모콘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8191352A (ja) 制御端末装置
KR20100045302A (ko)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416306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