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829A -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829A
KR20170089829A KR1020170094922A KR20170094922A KR20170089829A KR 20170089829 A KR20170089829 A KR 20170089829A KR 1020170094922 A KR1020170094922 A KR 1020170094922A KR 20170094922 A KR20170094922 A KR 20170094922A KR 20170089829 A KR20170089829 A KR 2017008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uni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broadcast receiving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295B1 (ko
Inventor
김주연
권용환
김정아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5/4403
    • H04N5/4454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04N2005/4407
    • H04N2005/44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제어 디바이스는, 양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단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되지 않으면, 제어 디바이스의 모드가 제1 통신 모드에서 제2 통신 모드로 변경되어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 RECIEVER}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방송 또는 아날로그방송 및 각종 외부기기(Video Player, DVD Player, Blue-ray Disc Player 등)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TS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거나,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의 대표적 예로는 디지털 TV, VOD(Video On Demand) 등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셋톱박스(Set Top Box)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는 통상적으로 리모컨과 같은 전용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어되나, 최근에는 WI-FI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휴대장치에서도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WI-FI를 이용하는 휴대 장치의 경우,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를 이용한다. 그러나 휴대 장치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WI-FI를 웨이크-업(Wake-up) 하는 대기 시간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리모컨과 같이 들자마자 바로 동작이 필요로 하는 장치에서, 이러한 대기 시간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모드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모드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상기 판단된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상기 판단된 통신 모드에 따라 전송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통해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통해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제1 통신 모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선택받으며, 상기 상태 판단부는, 상기 선택받은 통신 모드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제1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및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의 모드 변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 중에,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1 통신 모드로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판단된 제어 모드가 제1 통신 모드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하나의 모드 진입 전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저전력 통신 인터페이스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무선 주파수(RF), 블루투스(BlueTooth) 및 Wireless HDMI-CEC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단방향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에서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모드 중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을 상기 판단된 통신 모드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통해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통해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제1 통신 모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통신 모드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제1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및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중 적어도 하나의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상기 제1 통신 모드로의 모드 변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 중에,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1 통신 모드로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제어 모드가 제1 통신 모드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하나의 모드 진입 전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통신 모드는, 제1 통신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불가능한 상태로 놓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은 와이파이(WI-FI), 무선 주파수(RF), 블루투스(BlueTooth) 및 Wireless HDMI-CEC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단방향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의 연결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제어 디바이스에서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은 방송수신장치(100) 및 제어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상 또는 영상/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디지털 TV, 셋톱박스(Set Top Box), 피시(PC), 노트북, PM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저장부(12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3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LCD, PDP, CRT 등과 같은 영상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방송수신장치(100)가 디지털 TV와 같은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내부의 구성일 수 있으며, 방송수신장치(100)가 셋톱박스(Set top box)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에 연결된 모니터 또는 TV)일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20)는 방송수신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별도의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 디바이스(200)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와 링크를 형성하며, 제어 디바이스(200)가 요구하는 각종 정보를 전송하거나,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무선통신이란, BT(BlueTooth),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edlity),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reless HDMI-CEC 등 현존하는 모든 통신 기술과, 미래의 모든 양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 디바이스(200)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의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방향 무선통신이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등 현존하는 모든 통신 기술과, 미래의 모든 단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방송수신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서비스 동작 또는 서비스 상태를 변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장치(100)가 'TV 채널 업' 제어 명령을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하면, 제어부(150)는 TV 채널이 변경된 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현재 제공중인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 제어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정보, 예를 들어,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크기,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제어 디바이스(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양방향 무선통신 또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리모컨, 휴대폰, MP3, PMP, 내비게이션, 디지털 액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2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 저장부(240), 상태 판단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모드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수신장치(100)와 양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링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링크를 통하여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방송수신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모드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전송된 제어 명령은 방송수신장치(100)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수신된다. 여기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단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통신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창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제1 통신 모드 또는 제2 통신 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터치패드와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키패드 및 표시 장치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하나의 통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선택 동작은 후술할 상태 판단부(250)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통신 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후술한 상태 판단부(250)에서 판단된 통신 모드 또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의 선택에 통신 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2 통신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비교적 간단한 제어 명령만을 입력받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사용자로부터 제1 통신 모드로의 모드 변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선택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 중에 제1 통신 모드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1 통신 모드로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한 상태 판단부(250)에서 통신 모드가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100)의 제어가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별도의 정보 표시 동작 없이 자동으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방송수신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장치(100)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TV 제어 모드, VTR 제어 모드, 검색 제어 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TV 제어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인터넷 검색 수행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이전 정상 모드 시의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때, 제어 디바이스(200)의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하나의 모드 진입 전에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TV 화면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다가 제어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또는 오프 모드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 디바이스(200)가 다시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게 되는 경우, 이전 제1 통신 모드시 표시한, TV 화면 제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방송수신장치(100)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도움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 모드별 복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제어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및 오프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 진입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표시하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4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240)는 제어 디바이스(2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드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태 판단부(250)는 제어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단부(25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즉 제어 디바이스(200)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1 통신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태 판단부(25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방송수신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즉, 제어 디바이스(200)가 오프 모드, 슬립 모드, 웨이크-업 모드인 경우,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2 통신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 모드는 제어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며, 슬립 모드(Sleep mode)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양방향 무선통신이 중단된 상태이며, 웨이크-업 모드는 중단된 양방향 무선통신을 재동작 시키는 과정의 상태이며, 정상 모드는 제어 디바이스(200)와 방송수신장치(100) 간의 WI-FI가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정상 모드는 TV를 제어하기 위한 TV 모드, VTR 제어를 위한 VTR 모드, 인터넷 써치를 위한 써치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 판단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통신 모드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1 통신 모드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제2 통신 모드로 제어 디바이스(200)가 동작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태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제어 디바이스(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상태 판단부(250)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200)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동작 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의 변경을 요청받으면, 제어부(260)는 요청된 통신 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방송수신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260)는 현재 통신 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1 통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26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2 통신 모드인 경우, 제어부(260)는 단방향 무선 통신을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200)가 오랫동안 동작하지 않은 경우, 즉, 슬립모드로 동작해야 하는 경우, 제어부(260)는 제1 통신 모드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방송수신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수신된 정보를 현재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함께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정보, 예를 들어,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크기,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전송할 수 있는바, 제어부(260)는 이를 현재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함께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수신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는 계속 표시될 수 있고,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00)는, 양방향 무선통신이 불가한 상태(즉, 양방향 무선 통신이 웨이크-업 하는 대기 시간 중)에서도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드에 따라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바,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00)가 하나의 방송수신장치(100)에 대한 제어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00)의 연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1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00)는 리모컨으로 구현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들 즉, TV(100-1), BDP(Blue-ray Disk Player, 100-2), HTS(100-3)과 양방향 무선통신 및 단방향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200)가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200)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200)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직전에 제어 중이던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립 모드로 진입한 제어 디바이스(200)를 웨이크-업 한 경우, 이전에 제어 중인 장치가 TV(100-1)이면, 제어 디바이스(200)는 단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바로 TV(100-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전에 제어 중인 장치가 BDP(100-2)인 경우, 제어 디바이스(200)는 단방향 통신을 이용하여 바로 BDP(100-2)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00)가 복수의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해서 직접 제어하는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어 디바이스(200)는 TV(100-1)와 양방향 무선통신 및 단방향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TV(100-1)에서 BDP(Blue Disk Player, 100-2), HTS(100-3)가 제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가 3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200)가 방송수신장치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방송수신장치 이외에 양방향 무선통신 및 단방향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제어 디바이스(2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300)은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제1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일반 모드'는 제2 통신 모드를 지칭하는 것이고, '전용 모드'는 제1 통신 모드를 지칭하는 것이다. 사용자를 표시된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에서 제1 통신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통신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영역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비교적 간단한 리모컨 형상(예를 들어, 채널 업/다운, 음량 업/다운)을 갖는 영역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디바이스(200)가 웨이크-업되어 제1 통신 모드로 동작 가능하거나, 사용자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2 통신 모드를 제1 통신 모드로 변경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어 디바이스(200)가 제1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가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현재 동작 모드인 TV 모드를 표시하는 제1 영역(410) 및 사용자로부터 TV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영역(420)을 포함한다.
한편, 제어 디바이스(200)가 이전 정상 모드시 TV가 아닌 VTR 장치를 제어 중이었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은 현재 동작 모드인 VTR 모드를 표시하는 제1 영역(510) 및 사용자로부터 VTR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제2 영역(52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1 통신 모드 및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제2 통신 모드 중 제어 디바이스의 통신 모드를 판단한다(S610). 구체적으로, 제어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Sleep mode), 웨이크-업 모드(Wake-up mode)인 경우 양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드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고, 제어 디바이스(200)가 정상 모드인 경우, 제1 통신 모드가 동작 가능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판단 동작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판단 결과, 양방향 무선통신이 동작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S620-N),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S630),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한다(S640).
반면에, 양방향 무선통신이 동작 가능 상태인 경우(S620-Y), 현재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S650),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한다(S66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양방향 무선통신이 불가한 상태에서도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같은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방송수신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0: 방송수신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저장부
13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14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150: 제어부 200: 제어 디바이스
21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22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40: 저장부
250: 상태 판단부 260: 제어부

Claims (18)

  1.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양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단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상기 기능키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모드가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변경되어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모드가 동작되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현재 표시되는 채널 번호와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을 변경하는 제어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디바이스.
  8. 방송수신장치 및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양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단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켜져 있는 동안,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또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양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
    단방향 무선 통신에 따라 동작하는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통신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키 중에서 선택된 기능키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모드가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제2 통신 모드로 변경되어 제어 명령이 전송되도록 상기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디바이스 간에 상기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링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무선 주파수(RF), 블루투스(BlueTooth) 및 Wireless HDMI-CE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무선 통신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키에 의해 채널 업/다운 또는 음량 업/다운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채널을 변경하는 제어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현재 표시되는 채널 번호와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제4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70094922A 2017-07-26 2017-07-26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KR10179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22A KR101799295B1 (ko) 2017-07-26 2017-07-26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22A KR101799295B1 (ko) 2017-07-26 2017-07-26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240A Division KR101763888B1 (ko) 2010-12-31 2010-12-31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829A true KR20170089829A (ko) 2017-08-04
KR101799295B1 KR101799295B1 (ko) 2017-11-20

Family

ID=5965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22A KR101799295B1 (ko) 2017-07-26 2017-07-26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695B1 (ko) 2021-11-29 2022-06-24 박정봉 선택적 촉매 환원법에서 액상의 환원제 전구물질을 이용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KR102431125B1 (ko) 2021-10-14 2022-08-11 박정봉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07B1 (ko) * 2005-11-16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통합 블루투스 리모콘에서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등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25B1 (ko) 2021-10-14 2022-08-11 박정봉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11695B1 (ko) 2021-11-29 2022-06-24 박정봉 선택적 촉매 환원법에서 액상의 환원제 전구물질을 이용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95B1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466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 receiver
CN106254914B (zh) 便携式设备的操作方法、内容再现设备的操作方法、便携式设备以及内容再现设备
JP4811694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電子機器の電力状態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800837B2 (en) Virtual control device
KR20110018697A (ko) 방송수신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MX2011002547A (es) Sistema de visualizacion de imagen, unidad de visualizacion de imagen y dispositivo de control remoto.
US10298990B2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MX2011004472A (es) Sistema y metodo para ahorrar energia a traves de comunicacion basada en contexto.
CN108605057B (zh)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US20090054003A1 (en) Wireless video system controlled according to control command of external device, wireless video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video system
KR101799295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KR10137786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60023B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content
US20140198253A1 (en) Display apparatus, terminal, and a method of providing video using the display apparatus
KR202101217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JP2009253528A (ja) コンテンツ表示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処理方法、コンテンツ表示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220287B1 (ko) 외부입력 기기 변경에 기인한 방송수신장치 자동 모드 전환방법
KR100693595B1 (ko) 무선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50373405A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formation appli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45302A (ko) 영상표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8011A (ko) 방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