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495B1 -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495B1
KR101282495B1 KR1020120118011A KR20120118011A KR101282495B1 KR 101282495 B1 KR101282495 B1 KR 101282495B1 KR 1020120118011 A KR1020120118011 A KR 1020120118011A KR 20120118011 A KR20120118011 A KR 20120118011A KR 101282495 B1 KR101282495 B1 KR 10128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case
drying
liquid
hemp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화
Original Assignee
최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화 filed Critical 최태화
Priority to KR102012011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2Decalcomanias with a transfer layer comprising indicia with definite outlines such as letters and with means facilitating the desired fitting to the permanent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2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 D06Q1/14Decorating textiles by transferring a chemical agent or a metallic or non-metallic material in particulate or other form, from a solid temporary carrier to the textile by transferring fibres, or adhesives for fibres, to the textile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의 파이프 표면에 찹쌀 풀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1혼합물을 칠한 다음 파이프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삼베를 감아 부착하는 단계; 파이프에 감긴 삼베의 표면에 토분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2혼합물을 칠하여 감긴 삼베의 외표면 격자 눈 사이를 메워 준 다음 일정시간 건조하는 단계; 제2혼합물이 건조된 삼베의 표면으로부터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한 다음 일정시간 재건조하는 단계; 액상의 옻에 담긴 실을 재건조된 삼베의 표면에 감아 케이스에 볼륨감을 갖도록 한 다음 재차 일정시간 건조하는 성형단계; 실을 감아 건조한 상태에서 옻칠과 건조를 2회 반복하여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 옻칠이 2회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케이스의 표면에 모래분말(사분)을 고르게 뿌려 표면을 경화시키는 단계; 외형이 완성된 케이스의 외형에 문양 자개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자개가 부착된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자개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옻칠과 건조, 사포를 이용한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균일화시키는 단계; 표면이 연마된 케이스의 외형에 광택제로 광택을 내어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일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제작되는 필기구용 케이스에 비해 그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특히 스크래치, 충격 등에 매우 강하여 케이스에 표현된 문양 자개의 문양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용으로 필기구의 소장가치를 더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Writing materials case manufacture method using dry varnishing lacquer modes}
본 발명은 필기구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볼펜 또는 만년필과 같은 필기구의 케이스에 건칠 방식을 적용하여 자개, 타투, 홀로그램 등과 같은 문양을 장식하여 고급화하면서 필기구 케이스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스크래치 발생을 없애며, 광택, 촉감, 수명이 뛰어나고 소장가치가 있는 필기구를 얻을 수 있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펜이나, 만년필은 제품의 품질에 따라 다양하게 디자인되고,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출이 용이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거나 알루미늄소재 등으로 제작된다.
전자와 같은 플라스틱소재의 필기구 케이스는 자체 색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사출한 다음 광택작업으로 마무리하여 제작되거나, 혹은 다양한 문양을 케이스에 부착하고, 그 표면에는 광택 혹은 무광택 타입의 투명한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문양의 훼손을 방지하는 타입으로 제작된다.
후자인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필기구 케이스는 외관에 금장이나 은장, 다양한 색상을 코팅처리 하거나, 아노다이징 처리된 표면을 다이아몬드 커팅방식으로 문양을 미려하게 한 다음 표면 처리와 광택작업으로서 제작되어 필기구의 케이스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한편 또 다른 일 예로써, 기본적으로 외형이 제작되어지는 필기구 케이스의 에 상감기법과 같이 문양이 삽입될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문양을 삽입한 다음 표면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필기구 케이스 제작은 실사용 및 보관에 있어, 표면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에서 케이스의 표면 광택이 사라지게 되면서 문양이 또렷하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어 통상 필기구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된 필기구를 향후 잘 사용하지 않게 되거나 외관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버리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펜 또는 만년필과 같은 필기구의 케이스에 건칠 방식을 적용하여 자개, 타투, 홀로그램 등과 같은 문양을 장식하여 고급화하면서 필기구 케이스의 내구성을 강화시켜 스크래치 발생을 없애며, 광택, 촉감, 수명이 뛰어나고 소장가치가 있는 필기구를 얻을 수 있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의 파이프 표면에 찹쌀 풀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1혼합물을 칠한 다음 파이프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삼베를 감아 부착하는 단계; 파이프에 감긴 삼베의 표면에 토분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2혼합물을 칠하여 감긴 삼베의 외표면 격자 눈 사이를 메워 준 다음 일정시간 건조하는 단계; 제2혼합물이 건조된 삼베의 표면으로부터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한 다음 일정시간 재건조하는 단계; 액상의 옻에 담긴 실을 재건조된 삼베의 표면에 감아 케이스에 볼륨감을 갖도록 한 다음 재차 일정시간 건조하는 성형단계; 실을 감아 건조한 상태에서 옻칠과 건조를 2회 반복하여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 옻칠이 2회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케이스의 표면에 모래분말(사분)을 고르게 뿌려 표면을 경화시키는 단계; 외형이 완성된 케이스의 외형에 문양 자개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자개가 부착된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자개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옻칠과 건조, 사포를 이용한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균일화시키는 단계; 표면이 연마된 케이스의 외형에 광택제로 광택을 내어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일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필기구용 케이스 혹은 금속재의 파이프 형태에서 가공 제작된 필기구 케이스에 비해 그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특히 스크래치, 충격 등에 매우 강하여 케이스에 표현된 문양 자개의 문양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용으로 필기구의 소장가치를 더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필기구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인 필기구 케이스의 제조방법 중 모래분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나누어 도시한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로서 제작된 필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금속재의 파이프(1) 표면에 찹쌀 풀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1혼합물(A)을 칠한 다음 파이프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삼베(20)를 감아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1)에 감긴 삼베(20)의 표면에는 삼베가 완전히 부착되어 제1혼합물(A)이 굳은 상태에서 토분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2혼합물(B)을 칠하여 감긴 삼베(20)의 외표면 격자 눈 사이를 메우고, 건조기 혹은 자연건조방식에 의해 일정시간 건조시켜 준다.
상기 제2혼합물(B)이 완전히 건조된 삼베(20)의 표면으로부터는 액상의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한 다음 일정시간 재건조하는 방식으로 옻칠을 완성하여 옻칠 두께(S)를 갖도록 한다.
참고로 여기서 옻칠은 건칠(乾漆: dry varnishing with lacquer)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칠은 작업대상물인 외형에 옻칠이 된 삼베를 외형에 부착하고, 다수의 옻칠을 반복하여 삼베를 형에 맞게 본을 떠내어 속이 빈 형상의 외형을 갖출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본원발명에서는 통상적인 목조 건칠과 같이 옻칠의 반복작업으로 형태가 이루어진 삼베를 외형에서 제거하지 않고 외형을 유지토록 하여 후술하는 공정을 통해 케이스의 외관을 단단한 형태로 내구성을 갖추고자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형이 완성되어 가는 케이스(10)의 외형에 문양 자개(50)를 접착제로 부착한다.
상기 문양 자개를 부착하는 접착제는 목공용으로 사용하는 아교로 된 접착제이다.
상기 문양 자개(50)가 부착된 케이스(10)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문양자개(50) 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옻칠과 건조, 사포(C)를 이용한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매끈하게 균일화시켜 준다.
표면이 연마된 케이스(10)의 외형에는 통상적으로 광택제를 이용하여 표면 광택을 내어 필기구용 케이스(10)의 외형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2혼합물(B)이 건조된 삼베(20)의 표면으로부터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하고 일정시간 재건조하는 공정으로서 케이스(10)에 볼륨감을 줄 수 있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볼륨감이란 케이스의 길이방향이 일자형이 아닌 가운데 지점이 불룩한 형태의 모양을 갖추도록 하기 위한 작업공정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액상의 옻에 담긴 실(30)을 재건조된 삼베(20)의 표면에 감아 케이스(10)에 볼륨감을 갖도록 한 다음 재차 일정시간 건조한다.
상기와 같이 실(30)이 감겨 건조된 상태에서 옻칠과 건조를 2회 반복하여 케이스(10)의 외형을 완성하고, 외형이 완성된 케이스(10)의 외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양 자개(50)를 접착제로 부착하도록 한다.
통상적인 필기구의 케이스(10)는 일자형의 파이프를 기준으로 제작하거나, 혹은 상기와 같이 볼륨감을 주어 파지감 및 외형의 미감을 더 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형이 완성된 케이스(10)의 외형에 문양 자개(50)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문양 자개(50)가 부착된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문양 자개 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옻칠과 건조, 사포(C)를 이용한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매끈하게 균일화시켜 준다.
표면이 연마된 케이스(10)의 외형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공정으로 광택제를 이용하여 표면 광택을 내어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케이스(10)의 제작에 있어,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제2혼합물(B)이 건조된 삼베(20)의 표면으로부터 액상의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하고 일정시간 재건조한 다음 옻칠이 2회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케이스(10)의 표면에 모래분말(사분)(40)을 고르게 뿌려 표면을 경화시켜 준다.
상기 모래분말(40)은, 모래와 물을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모래에 섞인 불순물을 제거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모래를 채취하여 분쇄기로서 분쇄하여 고운 모래분말을 구하며, 분말형태인 모래분말을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모래에 흡수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진 모래분말을 사용한다.
상기 모래분말(40)은 전 공정인 옻칠에 대해 그 위에 뿌려진 모래의 특성상 액상의 옻을 흡수하면서 부착이 이루어지며, 옻과 함께 상호 응집되어 고착됨으로써 그 두께 층으로 하여금 더욱 단단한 표면층을 갖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래분말(40)로 하여금 표면이 강화된 상태는 케이스(10) 제작의 80%정도 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서 모래분말(40)의 외형에 문양 자개(50)를 접착제로 부착하고, 문양 자개가 부착된 케이스(10)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문양 자개 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옻칠과 건조, 사포(C)를 이용한 옻칠 층(S)의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매끈하게 균일화시키고, 연마된 케이스(10)의 외형에는 최종적으로 광택제를 이용하여 표면 광택을 내어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로서 필기구 케이스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케이스는 일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된 필기구용 케이스에 비해 그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특히 스크래치, 충격 등에 매우 강하여 케이스에 표현된 문양 자개의 문양이 오랜 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고급용으로 필기구의 소장가치를 더해 줄 수 있게 된다.
1: 파이프 10: 필기구 케이스
20: 삼베 30: 실
40: 모래분말(사분) 50: 문양 자개
A: 제1혼합물 B: 제2혼합물
C: 사포 S: 옻칠 두께

Claims (4)

  1. 금속재의 파이프 표면에 찹쌀 풀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1혼합물을 칠한 다음 파이프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삼베를 감아 부착하는 단계(S110);
    파이프에 감긴 삼베의 표면에 토분 50 중량부, 액상의 옻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제2혼합물을 칠하여 감긴 삼베의 외표면 격자 눈 사이를 메워 준 다음 일정시간 건조하는 단계(S120);
    제2혼합물이 건조된 삼베의 표면으로부터 옻을 일정시간을 두고 2회 칠한 다음 일정시간 재건조하는 단계(S130);
    액상의 옻에 담긴 실을 재건조된 삼베의 표면에 감아 케이스에 볼륨감을 갖도록 한 다음 재차 일정시간 건조하는 성형단계(S131);
    실을 감아 건조한 상태에서 옻칠과 건조를 2회 반복하여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S132);
    옻칠이 2회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케이스의 표면에 모래분말(사분)을 고르게 뿌려 표면을 경화시키는 단계(S133);
    외형이 완성된 케이스의 외형에 문양 자개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S140);
    문양 자개가 부착된 케이스의 외형으로부터 옻칠 표면과 문양 자개 표면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옻칠과 건조, 사포를 이용한 표면연마를 반복하여 표면을 균일화시키는 단계(S150);
    표면이 연마된 케이스의 외형에 광택제로 광택을 내어 케이스의 외형을 완성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분말(사분)은,
    모래와 물을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모래에 섞인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S133a);
    불순물이 제거된 모래를 채취하여 분쇄기로서 분쇄하여 고운 모래분말을 구하는 단계(S133b);
    분말형태인 모래분말을 용기에 담아 가열하여 모래에 흡수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단계(S133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KR1020120118011A 2012-10-23 2012-10-23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KR10128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11A KR101282495B1 (ko) 2012-10-23 2012-10-23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11A KR101282495B1 (ko) 2012-10-23 2012-10-23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495B1 true KR101282495B1 (ko) 2013-07-05

Family

ID=4899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011A KR101282495B1 (ko) 2012-10-23 2012-10-23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60A (ko) * 2017-03-06 2018-09-14 성용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02B1 (ko) 2009-10-14 2011-09-21 박경옥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202B1 (ko) 2009-10-14 2011-09-21 박경옥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ottchilhwa.com/zb41pl8/view.php?id=study_on_ottchilhwa&page=1&sn1=on&divpage=1&sn=on&ss=off&sc=off&keyword=%BD%BD%B1%E2%BE%C6%BA%FC&select_arrange=subject&desc=asc&no=2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1860A (ko) * 2017-03-06 2018-09-14 성용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KR101949502B1 (ko) 2017-03-06 2019-02-18 성용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125B1 (ko)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CN104608431B (zh) 一种利用二层猪皮皮胚制备皮料的生产工艺
KR100693323B1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KR101282495B1 (ko) 건칠 방식을 이용한 필기구 케이스 제조방법
CN102717648A (zh) 一种拼花石材及拼接工艺
CN106004207A (zh) 一种漆器生产工艺
CN102172573A (zh) 木质家具涂装方法
JP2844439B2 (ja) バレル研磨機を用いた漆器の加飾方法
KR102462976B1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CN206873840U (zh) 平面仿古多层实木复合地板
TWI408010B (zh) Paint jade manufacturing method
KR101438396B1 (ko) 자개 장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개 장식품
KR101131889B1 (ko) 유브이에 의한 장식패턴을 갖는 데코 글라스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데코 글라스
JPS5884709A (ja) 木目強調化粧板の製造方法
CN202658832U (zh) 一种拼花石材
KR101627230B1 (ko)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KR101171644B1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745182B1 (ko) 마지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CN103342040A (zh) 一种眼镜布制作方法
KR100982026B1 (ko) 손톱 광택구 제조방법
KR101343542B1 (ko) 목기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목기
CN109747012A (zh) 一种家具丝印内雕三维油漆工艺
CN101497296A (zh) 一种木制品表面图案制作方法
JPH09155281A (ja) 研ぎ出し塗装方法
KR200331175Y1 (ko)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