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323B1 -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323B1
KR100693323B1 KR1020050073598A KR20050073598A KR100693323B1 KR 100693323 B1 KR100693323 B1 KR 100693323B1 KR 1020050073598 A KR1020050073598 A KR 1020050073598A KR 20050073598 A KR20050073598 A KR 20050073598A KR 100693323 B1 KR100693323 B1 KR 10069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molding
pattern
mol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113A (ko
Inventor
장학진
윤두례
Original Assignee
장학진
윤두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학진, 윤두례 filed Critical 장학진
Priority to KR1020050073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2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1/00Processes for making continuous lengths of paper, or of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 board production, on paper-making machines
    • D21F11/006Making 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2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Landscapes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Abstract

붓글씨나 회화가 그려지는 선지 또는 전통 한지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연속 제조함으로써, 서화 작품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입체문양을 구현하여 벽지, 편선지, 문구류의 표지, 수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각문양이 형성된 하부성형틀과 음각문양에 동일한 양각문양이 형성된 상부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이송되는 하부성형틀의 상부에 제 1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 하부성형틀과 함께 이송되는 제 1 성형지 풀칠된 제 2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 상부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를 하부성형틀 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성형하는 단계; 제 2 성형지에 제 3 성형지를 배접하여 평탄하게 마감 성형하는 단계; 하부성형틀에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가 자연적으로 분리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 및 하부성형틀에서 분리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는 주변을 재단하여 입체문양지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Functional solid-type paper using traditional hanji and automatic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통종이, 예를 들면 선지(宣紙) 및 한지(韓紙)를 이용한 입체 문양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붓글씨나 회화(繪畵)가 그려지는 선지(宣紙) 또는 전통 한지(韓紙)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연속 제조함으로써, 서화(書畵) 작품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입체문양을 구현하여 벽지(壁紙), 편선지(便宣紙), 문구류의 표지(表紙), 수의(壽衣)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지(韓紙)는 동양의 서화(書畵)에 이용되는데, 이러한 한지(韓紙)는 고대 중국에서 발달하여 중국, 대한민국, 일본 및 베트남 등 여러 나라에서 계승 발달하였다.
이러한 서화(書畵) 작품은 주로 선지(宣紙)에 표현되는데, 선지(宣紙)는 마지(삼베), 저지(닥종이)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 중에서 화선지는 먹을 잘 빨아들 이고 또 잘 번지며 내구성이 뛰어나 회화(繪畵) 또는 서예(書藝) 용지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예전부터 현재까지 서화작품은 평면상태의 선지(宣紙) 위에 서화가(書畵家)들의 의식을 표현해 왔기 때문에 선지(宣紙)의 발전은 미미하였고, 선지(宣紙)에 문양을 미리 그린 편액(扁額), 종획(縱劃) 및 대련구(對聯句) 등이 있으나, 이 또한 선지(宣紙)의 다른 발전은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 0495904 호를 살펴보면, 전통종이 중 하나인 선지(宣紙)의 표면에 입체문양을 돌출 형성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 등록은 서화가(書畵家)들이 붓글씨나 회화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선지(宣紙)에서만 이용되기 때문에 다른 산업분야에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붓글씨나 회화(繪畵)가 그려지는 선지(宣紙) 또는 전통 한지(韓紙)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연속 제조함으로써, 동일한 디자인을 갖는 입체문양지를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노동력 및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에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각문양이 형성된 하부성형틀과 음각문양에 동일한 양각문양이 형성된 상부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S1);
이송되는 하부성형틀의 상부에 제 1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S2);
하부성형틀과 함께 이송되는 제 1 성형지 풀칠된 제 2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S3);
상부성형틀을 이용하여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를 하부성형틀 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성형하는 단계(S4);
단계(S4)가 완료되면, 제 2 성형지에 제 3 성형지를 배접하여 평탄하게 마감 성형하는 단계(S5);
제 3 성형지가 제 2 성형지에 배접되면(S5), 하부성형틀에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가 자연적으로 분리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S6); 및
하부성형틀에서 분리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는 주변을 재단하여 입체문양지를 완성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S4)에서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 중 하부성형틀의 음각문양 내로 밀착된 부분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사체가 선택적으로 충진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붓글씨나 회화(繪畵)가 그려지는 선지(宣紙) 또는 전통 한지(韓紙)의 표면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연속 제조함으로써, 서화(書畵) 작품을 입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입체문양을 구현하여 벽지(壁紙), 편선지(便宣紙), 문구류의 표지(表紙), 수의(壽衣)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는,
먼저, 성형틀을 제작한다(단계 S1). 성형틀은 목판, 고무판, 아크릴수지판 또는 석고판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 성형틀은 생산하고자 하는 입체 문양지의 입체문양에 대응하는 형성이 음각(陰刻)된 하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에 음각(陰刻)된 문양과 동일한 문양이 양각(陽刻)된 상부성형틀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성형틀은 롤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롤러에는 하부성형틀의 음각문양에 대응하는 양각문양이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성형틀은 하부성형틀의 전체 길이 및 전체 폭과 동일한 성형솔뭉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렇게 성형틀이 제작되면(단계 S1), 이송되는 하부성형틀의 상부에 제 1 성형지를 합지한다(단계 S2).
이때, 하부성형틀에 제 1 성형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부성형틀과 함께 이송되는 제 1 성형지의 상부에는 통상의 분무기에서 분무수가 분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성형지에 분무되는 분무수는 제작되는 입체문양지의 전체적인 색상을 결정하는데, 이를 위해서 분무수로는 물에 희석된 통상의 한국화용 물감 또는 물에 회석된 황토물, 감물과 같은 천연물감재료 또는 통상의 염색용 물감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제 1 성형지가 하부성형틀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면, 제 1 성형지에 풀칠된 제 2 성형지를 합지한다(단계 S3). 바람직하게는 제 1 성형지 및 제 2 성형지는 섬유질이 비교적 많이 함유된 통상의 순지를 채택한다. 또한 제 1 성형지 및 제 2 성형지는 동일한 크기로 절단된 상태로 준비됨과 아울러 하부성형틀의 길이 및 폭보 다 크게 준비된다.
전술한 단계(S3)가 완료되면,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를 하부성형틀 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성형한다(단계 S4).
이때, 상부성형틀 또는 성형솔뭉치 중 어느 하나를 통상의 프레스 장치에 장착한 후 상부성형틀 또는 성형솔뭉치를 하부성형틀 측으로 하강시키면, 제 1 성형지 및 제 2 성형지는 하부형성틀에 형성된 음각문양 내로 삽입된다. 또한, 롤러 형상의 제작된 상부성형틀은 회전하면서 하부성형틀과 이송되는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를 음각문양 내로 삽입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성형지 및 제 1 성형지 중 하부성형틀의 음각문양 내로 밀착된 부분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사체가 충진될 수 있다. 방사체는 통상의 숯 분말, 옥 분말 또는 황토분말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전술한 단계(S4)에서 제 1 성형지 및 제 2 성형지에 입체문양이 성형되면, 제 2 성형지에 제 3 성형지를 배접하여 평탄하게 마감 성형한다(단계 S5). 제 3 성형지는 제 2 성형지와 마찬가지로 풀칠되며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이송하는 제 2 성형지의 상부에 배접되고, 제 2 성형지의 배접된 제 3 성형지는 통상의 절단날에 의해서 절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성형지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하나 이상 동일한 방법으로 배접될 수 있다.
이렇게 제 3 성형지가 제 2 성형지에 배접되면(단계 S5), 하부성형틀과 함께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를 건조한다(단계 S6). 이때. 하부성형틀에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가 분리될 때 까지 자연건조한다. 또한,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건조기 예를 들면, 열풍건조기, 폐쇄형 오븐건조기 또는 판형상의 건조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기에서 30~45°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건조한다.
건조가 완료되면(S6), 하부성형틀에서 분리된 제 1 성형지, 제 2 성형지 및 제 3 성형지는 주변을 재단하여 입체문양지를 완성한다(단계 S7).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입체 문양지는 자동적으로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동일한 디자인의 기능성 입체 문양지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에 대량의 기능성 입체 문양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문양지는 시대의 다양화를 요구하는 서화가(書畵家)들에게 새로운 작품세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멋을 세계에 전도하는 새로운 창작의 기회를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입체문양지를 건축물의 벽지, 띠벽지 또는 문구류의 겉표지, 또는 장례용 수의(壽衣) 등에 사용할 수 있어 전통종이를 다른 산업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음각문양이 형성된 하부성형틀과 음각문양에 동일한 양각문양이 형성된 상부성형틀을 제작하는 단계(S1);
    이송되는 상기 하부성형틀의 상부에 제 1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S2);
    상기 하부성형틀과 함께 이송되는 제 1 성형지 풀칠된 제 2 성형지를 합지하는 단계(S3);
    상기 상부성형틀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성형지 및 상기 제 1 성형지를 상기 하부성형틀 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성형하는 단계(S4);
    상기 단계(S4)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성형지에 제 3 성형지를 배접하여 평탄하게 마감 성형하는 단계(S5);
    상기 제 3 성형지가 상기 제 2 성형지에 배접되면(S5), 상기 하부성형틀에서 상기 제 1 성형지, 상기 제 2 성형지 및 상기 제 3 성형지가 자연적으로 분리될 때 까지 건조하는 단계(S6); 및
    상기 하부성형틀에서 분리된 상기 제 1 성형지, 상기 제 2 성형지 및 상기 제 3 성형지는 주변을 재단하여 입체문양지를 완성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의 상기 상부성형틀은 롤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에는 상기 하부성형틀의 음각문양에 대응하는 양각문 양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의 상기 상부성형틀은 성형솔뭉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의 상기 제 1 성형지에는 상기 하부성형틀에 밀착될 수 있도록 분무수가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수는 물에 희석된 통상의 한국화용 물감 또는 물에 회석된 천연물감재료 또는 통상의 염색용 물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종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에서 상기 제 2 성형지 및 상기 제 1 성형지 중 상기 하부성형틀의 음각문양 내로 밀착된 부분에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방사체가 선택적으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종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체는 숯 분말, 옥 분말 또는 황토분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종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의 상기 제 3 성형지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상기 제 2 성형지에 배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종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6)에서는 통상의 건조기에서 30~45°의 온도에서 30~120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종이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073598A 2005-08-11 2005-08-11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KR10069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98A KR100693323B1 (ko) 2005-08-11 2005-08-11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598A KR100693323B1 (ko) 2005-08-11 2005-08-11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113A KR20070019113A (ko) 2007-02-15
KR100693323B1 true KR100693323B1 (ko) 2007-03-13

Family

ID=4162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598A KR100693323B1 (ko) 2005-08-11 2005-08-11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95A (ko) * 2019-09-17 2021-03-25 이미자 문양이 형성된 한지 제조방법
KR20210055239A (ko) * 2019-11-07 2021-05-17 조주연 능화지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능화지 및 상기 능화지를 이용한 가공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70B1 (ko) * 2008-04-28 2010-09-10 박주현 커팅플로터를 이용한 한지 문양 가공방법
KR100936377B1 (ko) * 2009-06-25 2010-01-13 최미경 천연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9613B1 (ko) * 2018-10-31 2021-02-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을 이용한 구조체의 생산방법
KR102148356B1 (ko) * 2018-10-31 2020-08-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KR102219612B1 (ko) * 2018-10-31 2021-02-2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질 패널 생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질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695A (ko) * 2019-09-17 2021-03-25 이미자 문양이 형성된 한지 제조방법
KR102335572B1 (ko) 2019-09-17 2021-12-06 이미자 문양이 형성된 한지 제조방법
KR20210055239A (ko) * 2019-11-07 2021-05-17 조주연 능화지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능화지 및 상기 능화지를 이용한 가공품
KR102485451B1 (ko) * 2019-11-07 2023-01-05 조주연 능화지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능화지 및 상기 능화지를 이용한 가공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113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323B1 (ko) 전통한지를 이용한 기능성 입체 문양지의 자동 제조방법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6585260A (zh) 一种大漆艺术漆立体胎体造型工艺方法
KR101472841B1 (ko) 자연소재 유래의 입체문양 한지 제조방법
KR100495904B1 (ko) 입체 문양 선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6202B1 (ko)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CN103612535B (zh) 一种仿金属浮雕烫印装饰板的制作工艺
CN104442159A (zh) 一种玛瑙线雕图案方法
CN104827678A (zh) 自然纤维片材热固性制作方法、片材和手机壳的制作方法
CN111532073A (zh) 平丝景泰蓝工艺画的制作方法
CN112159252B (zh) 一种带有凸出图案擦彩陶瓷器的制备方法
KR20060115980A (ko) 개금 개채 방법
CN104816574B (zh) 薄木拼花壁画制作方法
CN104827540B (zh) 速生材二维立体木质室内装饰护壁挂板的制造方法
CN113618867A (zh) 一种环保重组装饰板的制造方法
CN206571343U (zh) 一种具有3d打印图案的门
KR100810668B1 (ko) 색상 무늬를 갖는 멜라민수지 식기의 제조방법
CN215790550U (zh) 一种原木本色多维雕刻工艺品
CN100589993C (zh) 艺术装饰条生产工艺
KR101745182B1 (ko) 마지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CN105003064B (zh) 一种表面晶莹剔透的人造石装饰花纹线条的制造方法
KR102186726B1 (ko) 황토와 닥섬유를 이용한 공예품의 제조방법
US657914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nvironmental protective paper doll
CN112223475A (zh) 一种原木本色多维雕刻工艺品及制备方法
KR200253017Y1 (ko) 나무안경다리의 인각(印刻)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