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379B1 -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379B1
KR101282379B1 KR1020130034486A KR20130034486A KR101282379B1 KR 101282379 B1 KR101282379 B1 KR 101282379B1 KR 1020130034486 A KR1020130034486 A KR 1020130034486A KR 20130034486 A KR20130034486 A KR 20130034486A KR 101282379 B1 KR101282379 B1 KR 10128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rming block
aggregate
cur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필
Original Assignee
한림로덱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로덱스(주) filed Critical 한림로덱스(주)
Priority to KR102013003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72Non-mechanical reshaping of the surface, e.g. by burning, acids, radiation energy, air flow,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in moulds moved in succession past one or more shap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시멘트 몰타르와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골재가 혼합된 골재 몰타르를 성형틀에 주입한 다음 프레스장치로서 가압하여 성형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가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이 표층부에 도포된 성형블록을 양생실에서 일정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 및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를 제거하면서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은 기층부의 시멘트 몰타르에 고착된 표층부의 골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성형블록의 표층부에 일정세기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the Aggregate Exposure Block}
본 발명은 골재가 노출된 성형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 몰타르를 성형하는 공정관리 및 고압수를 분사하여 골재를 노출시키는 공정관리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고압수 분사시 표면손상에 의한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차량이 왕래하는 도로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소의 바닥 포장재로서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은 다양한 재질과 구조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사용되는 블록으로는 화강석을 비롯한 자연석을 채취하여 재단 및 연마한 자연석블록과 시멘트와 골재, 물 등을 배합하여 성형 및 양생한 콘크리트블록이 있다.
이와 같은 자연석블록의 경우, 자연석 특유의 질감과 미감을 그대로 갖추고 있어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 품질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재료비용과 가공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콘크리트블록은 상대적으로 재료비용과 가공비용이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자연석블록과 콘크리트블록의 상호 보완을 위한 것으로, 비교적 입도가 큰 골재와 시멘트, 물, 혼화재 등이 혼합된 건식 몰타르를 형틀에 투입하여 블록을 성형하고, 이 블록의 표면을 골재가 노출되도록 연마한 후 쇼트블라스트 가공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자연석과 유사한 질감과 미감을 구현할 수 있는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록 제조방법은 연마단계에서 골재를 외부로 노출시키고, 연마 표면을 쇼트 블라스트로 가공처리하는 쇼트블라스트 가공처리에 의해서 인조 화강석의 질감을 주고는 있으나, 골재 입도를 크게 하여 골재간격을 크게 하고 투수율을 높이는 경우, 쇼트볼이 골재 사이에 박혀 금속재료의 쇼트 볼에서 이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2321호(2011.4.25.)에는 골재간의 공극을 만들 수 있도록 바인더로 접합시키고 일정 휨강도를 갖도록 블록을 프레스 성형하고, 성형된 블록표면에 일정세기의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골재의 자연색상을 노출시키는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프레스 성형시 일정한 강도를 갖는 블록을 제조할 수 있도록 바인더의 배합 및 프레스 공정관리를 엄격하게 수행해야만 하고, 양생되어 경화되기 전 블록표면에 고압수를 분사할 때 1700Kgf/㎠ 내지 2500Kgf/㎠ 압력을 갖는 고압의 분사수를 분사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정관리도 엄격하게 수행해야만 하는 한편, 고압수 분사시 과도한 고압수에 의해 블록의 표면이 손상되면서 제품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몰타르를 성형하는 공정관리 및 고압수를 분사하여 골재를 노출시키는 공정관리를 보다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고압수 분사시 표면손상에 의한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일정량의 시멘트 몰타르와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골재가 혼합된 골재 몰타르를 성형틀에 주입한 다음 프레스장치로서 가압하여 성형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가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이 표층부에 도포된 성형블록을 양생실에서 일정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 및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를 제거하면서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은 기층부의 시멘트 몰타르에 고착된 표층부의 골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성형블록의 표층부에 일정세기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1챔버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시키도록 반송장치에 의해서 성형블록을 수평이송시키는 단계 ; 상기 제1챔버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1분사관의 제1분사노즐로부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여 상기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블록을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록과 제1개구부가 대응하도록 상기 반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경화 지연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제1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분사관의 제1분사노즐을 개방작동시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분사관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높이조절용 실린더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의 혼합액 분사위치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2챔버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시키도록 반송장치에 의해서 성형블록을 수평이송시키는 단계 ; 상기 제2챔버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2분사관의 제2분사노즐로부터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를 제거하고 상기 성형블록의 기층부에 고착된 표층부의 골재를 외부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블록을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록과 제2개구부가 대응하도록 상기 반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2분사관의 제2분사노즐을 개방작동시켜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분사관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수직대에 구비된 수평대의 랙기어와 기어물림된 피니언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의 분사위치를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수평이송되는 성형블록의 표층부를 일방향 회전하는 브러쉬롤에 의해서 브러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성형틀에서 압축성형된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를 분사하여 침투시킨 후 양생과정에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는 고압수에 의해서 제거되고, 경화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아 경화된 기층부의 시멘트 몰타르에 고착된 골재를 외부노출시킴으로써 성형틀에서 압축성형되는 성형블록이 일정강도를 갖도록 필요이상으로 고압으로 압축성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성형시 공정관리가 용이해지고 프레스장치의 공정관리가 용이해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2)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시멘트 몰타르만을 제거하기 위해서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을 필요이상으로 높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압분사시 공정관리가 용이해지고, 고압수에 의한 블록의 표면손상을 방지하여 제품불량을 낮추고, 이로 인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도시한 전체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에서 혼합액을 분사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에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경화 지연제가 도포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양생하는 단계 및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골재가 외부노출되는 성형블록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블록(100)을 성형하는 단계는 분말상태의 시멘트와 물이 혼합된 일정량의 시멘트 몰타르와,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골재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골재 몰타르를 성형틀(110)에 주입한 다음, 상기 성형틀(110)의 직상부에서 상하작동되는 프레스장치(120)의 가압판(122)에 의해서 성형틀(110)내에 주입된 골재 몰타르를 일정세기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대략 육면체상의 블록(100)을 압축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성형틀(110)에서 가압판에 의한 성형 압력과 시간은 블록의 규격과 시멘트 몰타르의 혼합물 종류 및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시멘트 몰타르에 사용되는 분말 시멘트는 백시멘트, 포틀랜드시멘트, 고로슬래그시멘트, 초조강시멘트, 조강시멘트, 속경시멘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틀랜드시멘트 분말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되는 골재는 천연골재 또는 천연종석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0.6 내지 5.0 mm의 입도를 갖는 규사와 같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틀(110)로부터 분리된 대략 육면체상의 성형블록(100)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가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분사하여 도포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레트(101)상에 올려진 성형블록(100)은 일방향으로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하는 반송장치인 콘베어 벨트(109)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콘베어 벨트(109)의 길이중간에 구비된 제1챔버(13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블록(100)이 올려진 파레트(101)를 이송하는 반송장치는 콘베어 벨트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진입된 성형블록(100)은 이를 감지하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135)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콘베어 벨트(109)를 구동시키는 구동롤(108)의 회전구동을 중단하여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정지시킨 다음, 상기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135)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1분사관(140)의 제1분사노즐(141)을 통해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사관(140)의 제1분사노즐(141)에서 분사되는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은 상기 제1챔버(130)의 상부면에 개구 형성된 제1개구부(131)를 통해 하부로 분사하게 되어 상기 성형블록(100)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경화지연제는 상기 성형블록(100)의 표면에 80~1200g/㎡의 도포량 및 1.0 ~ 2.5mm 의 침투깊이로 도포되고 침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80 g/㎡ 이하의 도포량 및 1.0mm 침투깊이로 설정하는 경우, 지연제의 도포량 및 침투깊이가 미약하여 몰타르의 경화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압수에 의한 표층부의 몰타르 분리이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골재노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1200g/㎡ 이상의 도포량 및 2.5mm 의 침투깊이로 설정하는 경우, 지연제의 도포량 및 침투깊이가 과도해져 몰타르의 경화가 미약하게 이루어지면서 고압수에 의한 표층부의 몰타르 분리이탈이 과도하게 이루어지면서 성형블럭의 제품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135)는 도포대상물인 성형블록(100)과 제1개구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1개구부(131)와 대응하는 제1챔버(130)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하여, 상기 제1분사노즐(141)을 통한 혼합액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콘베어 벨트(109)를 구동시키는 구동롤(108)의 회전구동을 재개하게 되면, 상기 제1챔버(130)의 개방된 출구를 통해 경화 지연제가 도포된 성형블록(100)을 제1챔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배출된 성형블록은 후술하는 양생실(150)로 운반되어 양생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분사관(140)의 좌우양단은 좌우한쌍의 높이조절용 실린더부재(146)의 로드선단과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부재(146)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1분사노즐(141)의 혼합액 분사위치를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관(140)은 전기신호에 의해서 혼합액공급을 단속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개폐 및 조절밸브(143a)를 갖는 혼합액공급용 라인(143)을 매개로 하여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이 일정량 저장된 제1저장탱크(145)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저장탱크(145)는 미도시된 가압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1분사노즐(141)을 통한 혼합액의 스프레이 분사가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고압분위기로 유지한다.
상기 성형블록을 양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챔버(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경화 지연제가 혼합된 혼합액이 표층부(100a)에 도포된 성형블록(100)을 양생실(150)의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양생실(150)에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생실에서 이루어지는 양생 공정은 30 ~ 60℃ 정도의 온도에서 24시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액이 도포되어 경화 지연제가 침투되는 표층부(100a)는 양생실에서 양생이 이루어지는 일정시간 동안 침투된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시멘트 몰타르가 미경화되는 반면에 경화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는 기층부(100b)는 시멘트 몰타르가 경화되어 강도 발현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층부(100b)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층부(100a)는 고압수 분사에 의한 충돌에너지에 의한 골재노출이 가능하도록 기층부(100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양생실(150)에서 양생된 후 외부로 배출된 성형블록(100)의 상부표면인 표층부(100a)에 일정세기의 고압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표층부(100a)에 침투된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100a)의 시멘트 몰타르를 고압수로서 제거하게 되고,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아 강도발현되도록 경화된 기층부(100b)의 시멘트 몰타르에 고착된 골재만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생실(150)에 배출된 성형블록(100)은 일방향으로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하는 반송장치인 콘베어 벨트(109a)에 올려져 일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콘베어 벨트(109a)의 길이중간에 구비된 제2챔버(16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그 내부진입하게 된다.
상기 제2챔버(160)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진입된 성형블록(100)은 이를 감지하는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165)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콘베어 벨트(109a)를 구동시키는 구동롤(108a)의 회전구동을 중단하여 상기 제2챔버(160)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정지시킨 다음, 상기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165)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2챔버(130)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2분사관(170)의 제2분사노즐(171)을 통해 고압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상기 제2분사관(170)의 제2분사노즐(171)에서 분사되는 고압수는 상기 제2챔버(160)의 상부면에 개구형성된 제2개구부(161)를 통해 하부로 분사하게 되어 상기 성형블록(100)의 표면인 표층부(100a)에 부딪히면서 충돌에너지를 전달하게 됨에 따라,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경화가 지연되어 미경화된 표층부(100a)의 시멘트몰타르는 고압수에 의해서 제거되는 반면에 상기 표층부(100a)의 골재는 경화된 기층부(100b)의 시멘트몰타르에 고착되어 잔류하게 되어 외부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165)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와 마찬가지로 골재노츨대상물인 성형블록(100)과 제2개구부(16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2개구부(161)와 대응하는 제2챔버(160)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분사노즐(171)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의 분사압력은 1200~1700 kgf/㎠ 범위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1200 kgf/㎠ 이하의 분사압력의 경우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몰타르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1700 kgf/㎠ 이상의 압력의 경우 표층골재가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연속하여, 상기 제2분사노즐(171)을 통한 고압수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콘베어 벨트(109a)를 구동시키는 구동롤(108a)의 회전구동을 재개하게 되면, 상기 제2챔버(160)의 개방된 출구를 통해 표층부의 골재가 노출된 성형블록(100)을 제2챔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배출된 성형블록은 후술하는 브러쉬에 의한 브러슁공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분사관(170)의 좌우양단에는 수직대(176)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대(176)에는 하부면에 랙기어를 형성한 수평대(176a)를 갖추고 상기 랙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177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17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77)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2챔버(16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2분사관(170)의 제2분사노즐(171)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압수의 분사위치를 정지된 성형블록에 대하여 적절히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분사관(170)은 전기신호에 의해서 고압수공급을 단속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개폐 및 조절밸브(173a)를 갖는 고압수공급용 라인(173)을 매개로 하여 세척수가 일정량 저장된 제2저장탱크(175)와 연결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175)는 미도시된 가압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2분사노즐을 통한 고압수의 고압분사가 가능하도록 내부공간을 고압분위기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챔버(160)의 개방된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성형블록(100)은 상기 콘베어 벨트(109a)의 길이중간에 구비되어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브러쉬롤(180)을 통과하면서 상기 성형블록의 표층부(100a)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브러슁에 의해서 제거한다.
이러한 브러쉬롤(180)은 상기 콘베어 벨트(109a)의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롤지지대(182)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러쉬롤(180)의 일단은 모터부재(181)의 구동축과 연결됨으로써 모터부재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콘베어 벨트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성형블록은 상기 브러쉬롤의 브러쉬와 표층부가 서로 접하게 되면서 브러쉬에 의한 브러슁에 의해서 표층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브러쉬롤을 통과하면서 브러슁 처리된 성형블록은 콘베어 벨트의 출측에서 운반하여 야적하게 됨으로써 성형블록을 제조하는 공정을 모두 종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성형블록 109,109a : 콘베어 벨트
110 : 성형틀 120 : 프레스 장치
130 : 제1챔버 131 : 개구부
135 : 제1 블록위치 감지센서 140 : 제1분사관
141 : 제1분사노즐 143 : 혼합액공급용 라인
146 : 높이조절용 실린더부재 150 : 양생실
160 : 제2챔버 161 : 제2개구부
165 :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 170 : 제2분사관
171 : 제2분사노즐 173 : 고압수공급용 라인
176 : 수직대 176a : 수평대
177 : 구동모터 180 : 브러쉬롤

Claims (10)

  1. 일정량의 시멘트 몰타르와 일정크기의 입도를 갖는 골재가 혼합된 골재 몰타르를 성형틀에 주입한 다음 프레스장치로서 가압하여 성형블록을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성형틀로부터 분리된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가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 ;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이 표층부에 도포된 성형블록을 양생실에서 일정시간 동안 양생하는 단계 ; 및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를 제거하면서 지연제가 침투되지 않은 기층부의 시멘트 몰타르에 고착된 표층부의 골재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성형블록의 표층부에 일정세기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제1개구부를 갖는 제1챔버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시키도록 반송장치에 의해서 성형블록을 수평이송시키는 단계 ;
    상기 제1챔버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1분사관의 제1분사노즐로부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여 상기 성형블록의 표면에 경화 지연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블록을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록과 제1개구부가 대응하도록 상기 반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지연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제1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1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분사관의 제1분사노즐을 개방작동시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지연제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분사관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높이조절용 실린더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분사노즐의 혼합액 분사위치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부면에 일정크기의 제2개구부를 갖는 제2챔버의 내부에 성형블록을 위치시키도록 반송장치에 의해서 성형블록을 수평이송시키는 단계 ;
    상기 제2챔버의 직상부에 배치된 제2분사관의 제2분사노즐로부터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경화 지연제에 의해서 미경화된 표층부의 시멘트 몰타르를 제거하고 상기 성형블록의 기층부에 고착된 표층부의 골재를 외부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블록을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록과 제2개구부가 대응하도록 상기 반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챔버를 통과하는 성형블록을 검지하는 제2블록위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2분사관의 제2분사노즐을 개방작동시켜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2분사관의 좌우양단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수직대에 구비된 수평대의 랙기어와 기어물림된 피니언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의 분사위치를 수평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를 분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수평이송되는 성형블록의 표층부를 일방향 회전하는 브러쉬롤에 의해서 브러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KR1020130034486A 2013-03-29 2013-03-29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KR10128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6A KR101282379B1 (ko) 2013-03-29 2013-03-29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6A KR101282379B1 (ko) 2013-03-29 2013-03-29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379B1 true KR101282379B1 (ko) 2013-07-04

Family

ID=4899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486A KR101282379B1 (ko) 2013-03-29 2013-03-29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39B1 (ko) * 2018-02-27 2018-06-04 (주)88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627A (ja) * 1997-07-29 1999-02-16 Tiger Mach Seisakusho:Kk 化粧舗装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139053B2 (ja) * 1991-06-19 2001-02-26 吉野理化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即時脱型ブロック表面加工方法及び同用セメント水和反応遅延剤
JP3139042B2 (ja) 1991-04-30 2001-02-26 吉野理化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表面骨材露出仕上装置
KR20050041099A (ko) * 2003-10-30 2005-05-04 삼영산업주식회사 미립자 타일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042B2 (ja) 1991-04-30 2001-02-26 吉野理化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表面骨材露出仕上装置
JP3139053B2 (ja) * 1991-06-19 2001-02-26 吉野理化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即時脱型ブロック表面加工方法及び同用セメント水和反応遅延剤
JPH1142627A (ja) * 1997-07-29 1999-02-16 Tiger Mach Seisakusho:Kk 化粧舗装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50041099A (ko) * 2003-10-30 2005-05-04 삼영산업주식회사 미립자 타일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139B1 (ko) * 2018-02-27 2018-06-04 (주)88콘크리트 콘크리트 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54335A1 (en) Decorative concrete with uniform surfa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254352C (zh) 一种通过涂洒来制造层状板材的方法和装置
US11020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or rack and elevator
CN101886457B (zh) 一种耐磨抗裂硬化地面施工方法
RU2007128344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ых камней или бетонных плит
CN101289891A (zh) 一种光固化氟碳饰面聚氨酯保温板及其生产工艺
EP094729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products with exposed aggregates
CN108103905A (zh) 一种混凝土路面养护用喷水设备
KR101282379B1 (ko) 골재노출 성형블록 제조방법
RU240314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онких плоских изделий и тонкое плоское изделие, получ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варианты)
KR101032321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블록
CN110065140A (zh) 一种矿物铸件表面加工方法
US3155529A (en) Method of producing decorative masonry blocks
KR101303312B1 (ko) 노출콘크리트 면처리마감 방법
KR101205742B1 (ko) 포장 블록 제조방법 및 장치
WO2003037584A3 (en) Methods for finishing top surfaces of concrete filled access floor panels
IT201900016799A1 (it)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lastre in graniglie minerali legate con resine
EP0436482B1 (fr) Procédé pour vieillir artificiellement des briques
KR100417475B1 (ko) 인터로킹 블록의 제조장치
US202400829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ishing plaster layers applied to block products
KR100417476B1 (ko) 인터로킹 블록의 제조공정
US1770303A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blocks and the like
CN106836817A (zh) 一种楼板整浇一次成型施工方法
US2099946A (en) Method of making concrete building blocks
CN109591206B (zh) 一种水晶面石材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