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705B1 -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705B1
KR101281705B1 KR1020087007274A KR20087007274A KR101281705B1 KR 101281705 B1 KR101281705 B1 KR 101281705B1 KR 1020087007274 A KR1020087007274 A KR 1020087007274A KR 20087007274 A KR20087007274 A KR 20087007274A KR 101281705 B1 KR101281705 B1 KR 10128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trahydroxycurcumin
tetrahydrotetrahydroxycurcumin
curcumin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167A (ko
Inventor
강가 라주 고카라주
라마 라주 고카라주
벤카타 서브바라주 곳투무크칼라
벤카테스왈루 소메팔리
Original Assignee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9423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817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filed Critical 라일라 뉴트라슈티칼스
Publication of KR2008005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hydrogenation of carbon-to-carbon double or trip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45/67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79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solid-liquid treatment; by chemi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1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데메틸커큐민, 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및 이들의 무색의 테트라히드로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은 커큐마(Curcuma) 종으로부터 심황의 유기 용매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천연 커큐민류의 탈메틸화로 구성된다. 상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에 대하여 수소화를 수행하여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을 얻는다. 상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들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염증을 경감시킨다.
커큐민

Description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ENRICHED FRACTIONS OF TETRAHYDROXYCURCUMIN AND TETRAHYDROTETRAHYDROXY-CURCUMIN FROM THE EXTRACTS OF CURCUMA LONGA}
본 발명은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 그의 테트라히드로 유도체인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풍부화된 분획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염증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생성물들은 식품 첨가제, 건강보조제(nutraceutical applications) 또는 기능성화장료(cosmoceutical applications)에 적합하다.
자유 라디칼은 암, 알츠하이머, 파킨슨, 및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광범위한 병리학적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식품 산업에 있어서, 자유 라디칼은 가공 및 저장 중에 식품의 변질(deterioration)을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유 라디칼을 제거(scavenge)하기 위하여, 식품 중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 및 생물학적 시스템에 항산화제를 보충하는 것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상기 항산화성 화합물들은 두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페놀성 화합물류(phenolics) 및 β-디케톤류. 페놀성 화합물들은 주로 수소 원자 공 여체로서 작용하여 라디칼 연쇄 반응의 전파를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페놀성 화합물류의 항산화력은 방향족 고리상의 다른 치환기의 특성뿐만 아니라, 페놀성 히드록실 기의 수 및 배열에 의존한다. 커큐미노이드류와 같은 소수의 천연물만이 동일한 분자 내에 페놀성 및 β-디케톤 기들을 동시에 가지며, 따라서 강력한 항산화제가 된다. 커큐민류, 즉 페놀성 디아릴헵타노이드류는 심황(turmeric)(커큐마 롱가 Curcuma longa)의 특징적인 황색의 구성성분이며, 영양제, 식품, 및 화장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도 1은 커큐민류 즉, 커큐민, 모노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화학 구조를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서 각각 C, MDC, BDC, TC로 칭해진다. 이들 화합물들은 항산화, 항-염증, 항암, 항-알츠하이머, 및 항-바이러스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4종의 커큐민류 중, TC는 가장 강력한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천연의 커큐민 혼합물은, 원료 물질에 따라, TC를 매우 낮은 농도 (0-5%)로 함유한다.
최근, 비-스테로이드성, 식물 유래의 항-염증제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해 왔다.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는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염증, 알러지, 및 저해 과정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인 류코트리엔류 및 5(S)-HETE 생합성을 위한 주요 효소이다. 5-리폭시게나아제는 천식, 관절염, 대장염과 같은 장질환(bowl diseases) 및 쇼크 및 빈혈과 같은 순환계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염증 및 과민증-관련 질환에 대처할 수 있는 활성을 갖는, 저해제들을 동정하기 위한 표적 효소이다.
커큐미노이드류의 입증된 안전하고 비-독성의 성질 및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의 결여 때문에, 염증성 질환, 자유 라디칼 매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한 식품 보조제(dietary supplement) 및 영양제 및 화장품으로서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Figure 112008021782608-pct00001
도-1: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의 커큐민류의 화학 구조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심황(turmeric)(커큐마(Curcuma) 종)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분획은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C), 및 비-주요(minor) 화합물로서 데메틸커큐민(DC), 데메틸데메톡시-커큐민(DMDC)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BDC)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물에 투여를 위한 상기 분획 및 다양한 염증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의 분획을 투여함으로써 다양한 산화성(oxidative) 질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으로부터 풍부화된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HTC)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다양한 염증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또한 본 발명의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을 투여함으로써 다양한 산화성 질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결정화에 의해 TC, DC, DMDC 및 BDC를 순수한 형태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심황 종, 특히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의 유기 용매 추출물은 총 4 종의 커큐민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각각 C, MDC, BDC 및 TC로 나타낸다. 도 1에서 TC로 지칭되는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농도는 천연의 커큐민 분획 중에 단지 0.1 내지 5% 범위에 불과하다 (Mimura Akio et al., US 5266344, 1993). 4 종의 커큐민류 중, TC가 가장 강력한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커큐민 혼합물 중 TC를 풍부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고가 없다.
본 발명은 커큐민 분획 중 TC 농도를 100% 까지의 원하는 농도로 풍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덜 강력한 커큐민류를 탈메틸화하여 강력한 항산화성 데메틸커큐민류(demethylcurcumins)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탈메틸화에 의해 더 높은 농도의 TC를 함유하는 분획이 얻어진다. 순수한 TC는 단순한 정제 공정에 의하여 TC가 풍부화된 분획으로부터 또한 얻을 수 있다.
간단한 화학 반응 및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한 정제의 조합에 의해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된다.
Figure 112008021782608-pct00002
도-2: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중의 구성성분들의 화학 구조
천연의 커큐마(Curcuma)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본 발명의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은 총 4 종의 화합물들을 함유한다. 이들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고, 각각 TC, DC, BMDC 및 BDC로 나타낸다. TC의 농도는 10-100% 범위이다.
본 발명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루이스 산 촉매에 의하여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 추출물을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으로 탈메틸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할라이드류에 추가하여 유기 염기 및 촉매가 탈메틸화를 위해 사용된다. 단순한 마무리(work-up) 후 얻어진 건조 물질은 HPLC 분석으로 50-80% 의 TC를 나타내었다.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브로마이드, 알루미늄 아이오다이드,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또는 보론 트리클로라이드-메틸 설파이드 복합체(complex) 또는 N-메틸아닐린의 소듐 염 또는 소듐 에탄티올레이트 또는 디메틸 포름아미드 중의 리튬 클로라이드 또는 베릴리움 클로라이드와 같은 루이스 산이 사용된다.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및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가 사용된다.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피페리딘과 같은 유기 염기가 사용되며, 촉매는 소듐 아이오다이드 또는 포타슘 아이오다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PTC 촉매로부터 선택된다.
순수한 TC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하여 상기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으로부터 얻어진다. 실리카 겔, 역상 실리카, 알루미나 및 세파덱스와 같은 고체 지지체가 상기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은 중력 컬럼(gravity column),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 역상 크로마토그래피(reversed phase chromatography), 프리퍼러티브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preparative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중력 컬럼 또는 플래쉬 컬럼 또는 중압 컬럼(medium pressure column)을 조작하기 위하여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및 물과 같은 용매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커큐마(Curcuma) 종, 특히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의 추출물로부터 50% 내지 100%의 TC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탈메틸화 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단계를 포함하여 50% 내지 100% 범위로 TC가 풍부화된 분획을 얻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용리제로서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어지는 결정화에 의하여 본 발명의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중의 모든 4 종의 화합물들을 순수한 형태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된 순수한 TC, DC, DMDC 및 BDC의 구조(도 2)는 이들의 물리적 및 스펙트럼 데이터(IR, NMR 및 질량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상기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이 커큐민류에 비하여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지만,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황색 색깔로 인하여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적용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무색의 식품 및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수소화 공정에 의한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을 발명하였다. 상기 커큐민류의 수소화 공정은 또한 위장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은 또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과 유사한 강력한 항산화제이며, 황색 색깔을 결여하므로 현재 통상의 합성 항산화제를 적용하는 무색의(achromatic) 식품 및 화장품에 적용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THTC)이 풍부화된 분획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gure 112008021782608-pct00003
도-3: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의 화학 구성성분
상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으로부터 얻어진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이 풍부화된 분획은 총 4 종의 테트라히드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각각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HTC), 테트라히드로데메틸커큐민(THDC), 테트라히드로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THBMDC) 및 테트라히드로비스데메톡시커큐민(THBDC)으로 나타낸다. THTC의 농도는 10-100% 범위이다.
상기 공정은 적절한 용매 중에서 금속 촉매 및 수소 가스 또는 수소 공여체를 사용하여 이중 결합을 환원시킴으로써,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HTC)의 풍부화된 분획으로 TC가 풍부화된 분획을 수소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요할 경우, 유기 염기가 또한 사용된다.
팔라듐-카본, 라니-니켈, 백금, 아연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촉매가 사용된다.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가 사용된다.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파논산(propanoic acid) 또는 암모늄 포르메이트와 같은 수소 공여체가 사용된다.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또는 피페리딘과 같은 유기 염기가 사용된다.
순수한 THTC는 상기한 바와 같은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으로부터 얻어진다. 순수한 THTC는 또한 순수한 TC의 수소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또는 정제된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사용에 의해 염증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활성은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의 측정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 값의 퍼센트로부터(표 1), 본 발명의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또는 순수한 TC 또는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은 강력한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을 나타내며, 상기 활성은 종래의 상업적인 커큐민 혼합물의 활성보다 우수하고 또한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a)로부터의 강력한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제인 AKBA의 활성에 필적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또는 정제된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사용에 의해 인간 또는 식품에서 라디칼 매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활성은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및 DPPH 라디칼 제거(scavenging) 활성의 측정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저해 값의 퍼센트로부터(표 2), 본 발명의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또는 순수한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상기 활성은 종래의 상업적인 커큐민 혼합물, BHT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A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비타민 C 및 비타민 E의 활성보다 우수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항-염증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70-100%의 TC를 함유하는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의 용도를 개시한다. 상기 항염증 활성은 카라기닌 유도 발(paw) 부종 방법에 의해 입증되었다. 표준 약물인 디클로페낙 소듐은 25 mg 농도에서 63.10% 저해를 나타낸 반면, 상기 풍부화된 TC 분획은 50 mg 농도에서 20.56% 저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이 유의성 있는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예를 들어, 수성 또는 비수성 담체) 중에 상기한 바와 같은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의 풍부화된 분획 또는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약학 제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염증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염증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예를 들어, 치료하거나 진행을 늦추는 등에 유효한 양)의 상기한 바와 같은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또는 순수한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라디칼 매개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라디칼 매개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동물에게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예를 들어, 치료하거나 진행을 늦추는 등에 유효한 양)의 상기한 바와 같은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또는 순수한 TC 또는 무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기술되며, 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EtOAc (2.5 L) 중의 커큐민 혼합물(95%, 55 g)의 차가운(ice cold) 용액에, 알루미늄 클로라이드(150 g)를 가한 후, 피리딘(350 mL)를 15 분 동안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가온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로 냉각한 후, 차가운 묽은 염산(20%)을 가하여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복합체를 분해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5 x 1.0 L).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합하여 물,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잔사를 클로로포름(100 mL)으로 희석하고, 10 시간 동안 방치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건조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21 g, 38%).
HPLC 분석:
TC = 78.40
DC = 4.11
DMDC = 11.52
BDC = 0.86
총계 = 94.89%
실시예 2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EDC (4 L) 중의 커큐민 혼합물(95%, 110 g)의 차가운(ice cold) 용액에, 건조 알루미늄 클로라이드(160 g)를 가한 후, 피리딘(증류됨, 200 mL)를 15 분 동안 적가한 다음, 소듐 아이오다이드(5 g)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7 시간 동안 가온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로 냉각한 후, 물(2 L)로 희석하고, HCl(50%)로 산성화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10 L 용적까지 물을 수층에 가하였다. 상기 수층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고, 16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2.5 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데메틸커큐민류의 조 혼합물 94 g을 얻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2.5 L) 중에서 70-80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슈퍼셀(supercel)을 통하여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생성물 84 g을 얻었다. 상기 고체를 디에틸 에테르(500 mL)와 함께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생성물 58 g을 얻었다.
HPLC 분석:
TC = 75.68
DC = 6.32
DMDC = 11.24
BDC = 1.1
총계 = 95.31%
실시예 3
순수한 TC [l,7- 비스 (3,4- 디히드록시페닐 )-l,6- 헵타디엔 -3,5- 디온 ]의 분리. 실시예 2로부터 얻은 데메틸커큐민 혼합물(1 Kg, 75% TC)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 2 Kg) 상에 흡착시키고, 용리제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95:5)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수한 TC를 얻고, 이를 클로로포름-메탄올로부터 황색 분말로 결정화하였다 (0.5 Kg). mp 302-304 ℃; IR (KBr): 3488, 3386, 1629, 1617, 1600, 1271, 1289, 1142, 1120, 955 cm-1; 1H NMR (DMSO-d6) δ 6.06 (1H, s, H-4), 6.56 (2H, d, J=15.6 Hz, H-2,6), 6.77 (2H, d, J=8.3 Hz, H-5',5"), 7.00 (2H, d, J=1.8 Hz, H-2',2"), 7.06 (2H, dd, J=8.3, 1.8 Hz, H-6',6"), 7.44 (2H, d, J=15.6 Hz, H-1,7), 13C NMR (DMSO-d6) δ 183.1, 147.8, 145.1, 140.8, 127.7, 126.5, 121.9, 115.9, 114.5, 100.9; LC-MS m/z (%): (ESI-negative mode) 339 [(M-H)-, 100].
실시예 4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중의 다른 성분의 분리 및 동정. 실시예 2로부터 얻은 데메틸커큐민 혼합물(1 Kg)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 2 Kg) 상에 흡착시키고, 용리제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95:5)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수한 DC, DMDC 및 BDC를 얻었다. 다음은 분리된 화합물들의 스펙트럼 데이터이다.
DC [l-(3,4- 디히록시페닐 )-7-(3- 메톡시 -4- 히드록시페닐 )-l,6- 헵타디엔 -3,5-디온]. 황색 분말, mp 164-166 ℃; IR (KBr): 3484, 1621, 1267, 1132, 1140, 964 cm-1, 1H NMR (DMSO-d6) δ 3.82 (3H, s, Ar-OCH3), 6.04 (1H, s, H-4), 6.53 (1H, d, J=16.0 Hz, H-2 or H-6), 6.74 (1H, d, J=16.0 Hz, H-2 or H-6), 6.76 (1H, d, J=8.5 Hz, H-5'), 6.80 (1H, d, J=8.3 Hz, H-5"), 7.07 (1H, dd, J=8.5, 1.8 Hz, H-6'), 7.00 (1H, d, J=1.8 Hz, H-2'), 7.12 (1H, d, J=1.8 Hz, H-2"), 7.29 (1H, dd, J=8.3, 1.8 Hz, H-6"), 7.44 (1H, d, J=16.0 Hz, H-1 or H-7), 7.51 (1H, d, J=16.0 Hz, H-1 or H-7); 13C NMR (DMSO-d6): 183.0, 183.2, 148.6, 147.9, 147.7, 145.1, 140.8, 140.7, 126.5, 122.8, 121.9, 121.0, 120.7, 115.9, 115.6, 114.6, 111.0, 101.0, 55.4; EIMS m/z (%): 354 (M+, 16), 336 (20), 328 (54), 271 (71), 192 (53), 191 (30), 177 (100), 167 (47), 163 (49), 150 (40), 149 (24), 145 (84), 135 (48), 117 (42), 89 (57), 77 (43).
DMDC [l-(4- 히드록시페닐 )-7-(3,4- 디히드록시페닐 )-l,6- 헵타디엔 -3,5- 디온 ]. 황색 분말, mp 218-220 ℃; IR (KBr): 3338, 1627, 962 cm-1; 1H NMR (DMSO-d6) δ 6.06 (1H, s, H-4), 6.59 (1H, d, J=15.8 Hz, H-2 or H-6), 6.69 (1H, d, J=15.8 Hz, H-2 or H-6), 6.83 (1H, d, J=8.2 Hz, H-5"), 6.79 (2H, d, J=8.0 Hz, H-3',5'), 7.03 (1H, s, H-2"), 7.09 (1H, d, J=8.2 Hz, H-6"), 7.45 (1H, d, J=15.9 Hz, H-1 or H-7), 7.47 (1H, d, J=15.9 Hz, H-1 or H-7), 7.57 (2H, d, J=8.0 Hz, H-2',6'), 9.17 (1H, br s, Ar-OH), 9.63 (1H, br s, Ar-OH), 10.04 (1H, br s, Ar-OH); EIMS m/z (%): 324 (M+, 18), 306 (8), 299 (34), 298 (90), 242 (30), 241 (100), 163 (49), 161 (26), 162 (38), 147 (87), 110 (43), 119 (39), 91 (21), 44 (34).
BDC [l,7- 비스 (4- 히드록시페닐 )-l,6- 헵타디엔 -3,5- 디온 ]. 황색 분말, mp 222-224 ℃; IR (KBr): 3211, 1620, 1600, 1269, 1168, 1140, 955, 831 cm-1; 1H NMR (DMSO-d6) δ 6.03 (1H, s, H-4), 6.68 (2H, d, J=16.0 Hz, H-2,6), 6.80 (4H, d, J=8.0 Hz, H-3',5',3".5"), 7.50 (2H, d, J=16.0 Hz, H-1,7), 7.55 (4H, d, J=8.0 Hz, H-2',6',2",6"); EIMS m/z (%): 308 (M+, 20), 290 (14), 159 (36), 146 (100), 147 (87), 119 (38), 106 (42), 90 (42), 65 (32).
Example 5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중의 실시예 2로부터 얻은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95%, 25 g)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50 mL) 및 팔라듐-칼슘 카보네이트(5%, 3.75 g)를 가한 후, 포름산(8 mL)을 1 시간 동안 환류 온도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포름산(4.5 mL)을 2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약, 50 ml). 냉각시킨 반응 혼합물을 HCl (50%)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100 mL)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슈퍼셀(supercel)을 통하여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였다. 상기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가로 추출하고(2 X 100 mL),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합하여 물, 소금물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10 mL 용적까지 증발시키고, 헥산(20 mL)으로 희석하였다. 상기 용액을 용리제로서 클로로포름-메탄올(10%, 100 mL)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을 통하여 통과시켜 생성물(13 g)을 저융점 고체(low melting solid)로 얻었다.
HPLC 분석:
THTC = 72.86%
THDC = 15.98%
THDMDC = 7.56%
THBDC = 0.12%
총계 = 96.39%
항산화 활성
(a) 슈퍼옥사이드 자유 라이칼 제거 활성( Superoxid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슈퍼옥사이드 자유 라이칼 제거 활성은 NBT (니트로 블루 테르라졸리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반응혼합물은 최종 용적 3 ml 중에 EDTA (6.6 mM), NaCN (3 ㎍), 리보플라빈(2 μM), NBT (50 μM), 에탄올 중의 다양한 농도의 시험 약물 및 인산 완충액(58 mM, pH 7.8)을 함유하였다. 광학 밀도를 560 nm에서 측정하였다. 시험관은 15 분 동안 백열 전구로 균일하게 비추었으며, 이 후 광학 밀도를 다시 560 nm에서 측정하였다. 퍼센트 저해 및 슈퍼옥사이드 라이칼 생성은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시험 화합물들의 흡광도 값들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IC5O 값은 퍼센트 저해에 대한 ㎍ 농도의 곡선(plot)으로부터 얻었다.
(b) DPPH 자유 라디칼 제거 활성(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l,l-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라디칼 제거 활성은 색깔있는 DPPH의 메탄올 용액의 환원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DPPH의 메탄올 용액에 가해지는 에탄올 중의 시험 약물의 자유 라디칼 제거 활성은 516 nm에서 DPPH 용액의 초기 및 최종 흡수 차이에 반비례한다. 반응 혼합물은 1 x 10-4 mM DPPH 메탄올 용액 및 다양한 농도의 시험 약물들을 함유한다. 상기 퍼센트 저해는 시험 및 대조 시험관의 흡광도 값을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5-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혼합물의 풍부화된 분획, 순 수한 TC 및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에 대하여, 비색 방법(colorimetric method)을 사용하여 각각의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검색하였다. 상기 분석 혼합물은 총 용적 0.5 mL 중에 50 m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6.3, 5-리폭시게나아제, 디메틸 술폭시드 중의 다양한 농도의 시험 물질, 및 리놀렌산(linoleic acid)을 함유하며, 상기 반응 혼합물을 5 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한 후, 0.5 mL 페릭 실레놀 오렌지 시약(ferric xylenol orange reagent)을 가하고, 2 분 후에 585 nm에서 스펙트로포토메터를 사용하여 OD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험 물질 용액 대신에 비이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퍼센트 저해를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시험 용액의 흡광도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항-염증 활성( 카라기닌 유도 발 부종 방법): 시험 전에, 모든 동물(알비노 위스터 랫트, 양쪽 성(性), 체중 180-300 g)을 물은 자유롭게 먹이면서 절식시키고, 무게를 측정하고, 수를 세고, 각각 3 마리씩을 포함하는 군들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초기 발 용적을 부종측정기(plethesm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군들을 대응하는 시험 물질로 가스트릭 튜브(gastric tube)를 사용하여 경구로 처리하였다. 대조군은 10 mL/Kg 비히클 (0.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소듐염)로 처리하였다. 30분 후, 모든 동물들에게 피하 바늘(hypodermic needle)을 사용하여 1% 카라기닌 0.1 mL을 왼쪽 뒷발의 발바닥 부위에 피하 주사하였다. 모든 동물들은 20 mL/Kg 체중의 물을 투여하고, 3 시간 동안 물 없이 유지시켰다(균일한 수화를 유지). 3 시간 후, 모든 동물의 발 용적을 2 회 측정하고, 두 측정치로부터 평균 용적을 기록하였다. 발 부종의 % 저해를 대조군의 발 부종에 대한 시험물질 처리군의 발 부종을 비교함으로써 계산하였다.
항산화 활성
S. No. 화합물 명 슈퍼옥사이드
(NBT)
IC50 (ug)
DPPH
IC50 (ug)
1 천연 커큐민 혼합물 (95%) 27.5 2.9
2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95%) 3.1 1.1
3 순수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C) 2.5 1.1
4 테트라히드로커큐민 혼합물 >100 2.9
5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3.0 1.5
6 순수한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HTC) 4.0 1.6
7 BHT 90 5.3
8 BHA 174 6.1
9 비타민 C 150 4.4
BHA: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HT: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IC50 값이 낮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다.
5-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S. No. 화합물 명 농도 (ug/mL) % 저해
1 천연 커큐민 혼합물 (95%) 160 22
2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95%) 4 51
3 순수한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C) 16 60
4 테트라히드로커큐민 혼합물 100 Nil
5 풍부화된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분획 50 46
6 순수한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THTC) 80 0.2
7 AKBA 41 55
8 NDGA 24 60
AKBA: 아세틸-케토-보스웰산(Acetyl-keto-boswellic acid);
NDGA: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틱산(Nordihydroguaiaretic acid)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와 함께, 30 내지 8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4 내지 2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데메틸커큐민; 5 내지 25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0.1 내지 1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2.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와 함께, 30 내지 80 중량%의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4 내지 20 중량%의 데메틸커큐민; 5 내지 25 중량%의 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0.1 내지 10 중량%의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3. (i) 커큐마 롱가(curcuma longa)의 뿌리로부터 얻어진, 커큐민, 모노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및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천연 커큐민 혼합물을, 루이스 산, 피리딘, 및 알칼리 금속 아이오다이드 존재하에서, 유기 용매 중에서 탈메틸화하여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데메틸커큐민 및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조(crude) 탈메틸화된 커큐민 조성물을 얻는 단계; 및
    (ii) 상기 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혼합물을 금속 촉매로, 수소 가스 또는 수소 공여체의 존재하에서 유기 용매 중에서 수소화(hydrogenating)시켜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테트라히드로데메틸커큐민; 테트라히드로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테트라히드로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조성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사용되는 루이스 산이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브로마이드, 알루미늄 아이오다이드, 및 베릴리움 클로라이드(berrylium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사용되는 상기 금속 촉매가 팔라듐, 라니 니켈, 마그네슘, 및 아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수소 공여체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파논산(propanoic acid) 및 암모늄 포르메이트(ammonium for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기 용매가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30-8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4-2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데메틸커큐민; 5-25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0.1-10 중량%의 테트라히드로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조제 조성물.
  13. 30-80 중량%의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4-20 중량%의 데메틸커큐민; 5-25 중량%의 데메틸모노데메톡시커큐민; 및 0.1-10 중량%의 비스데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하는 식품 보조제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KR1020087007274A 2005-10-13 2005-10-13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제조방법 KR101281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N2005/000337 WO2007043058A1 (en) 2005-10-13 2005-10-13 Process for producing enriched fractions of tetrahydroxycurcumin and tetrahydrotetrahydroxy-curcumin from the extracts of curcuma long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167A KR20080059167A (ko) 2008-06-26
KR101281705B1 true KR101281705B1 (ko) 2013-07-03

Family

ID=3794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74A KR101281705B1 (ko) 2005-10-13 2005-10-13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68802B2 (ko)
EP (1) EP1933625B1 (ko)
JP (1) JP5258571B2 (ko)
KR (1) KR101281705B1 (ko)
CN (1) CN101227823B (ko)
AU (1) AU2005337331B2 (ko)
WO (1) WO20070430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149B1 (ko) 2011-04-20 2014-07-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27397A1 (en) * 2006-03-17 2007-09-27 Herbalscience Singapore Pte. Ltd. Extracts and methods comprising curcuma species
WO2009066303A2 (en) 2007-11-22 2009-05-28 Ganga Raju Gokaraju New synergistic phytochem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WO2009093255A2 (en) * 2008-01-21 2009-07-30 Ganga Raju Gokaraju A new nutraceutical composition from garcinia mangostana
AU2009329024A1 (en) * 2008-11-17 2010-06-24 Laila Pharmaceuticals Pvt. Ltd. Curcuminoids and its metabolites for the application in ocular diseases
JP5528472B2 (ja) * 2008-11-17 2014-06-25 ライラ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ピーブイティ.エルティディ. クルクミン及びクルクミン誘導体のナノ乳化法
WO2010070675A2 (en) 2008-12-01 2010-06-24 Laila Pharmaceuticals Pvt. Ltd Topical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skin and mucosal disorders and other diseases thereof
EP2410999A4 (en) 2009-03-23 2012-04-18 Laila Pharmaceuticals Pvt Ltd CURCUMINOIDS AND THEIR METABOLIC PRODUCTS FOR ALLERGIC EYE / NOSIS DISEASES
JP2014031330A (ja) * 2012-08-03 2014-02-20 Nippon Supplement Kk 高血糖等改善剤
US20140056828A1 (en) * 2012-08-21 2014-02-27 Indiran Pather Novel formulations and uses for curcuma extracts
WO2015193741A1 (en) * 2014-06-20 2015-12-23 Omni Cure Ltd. Phyto-active based anti-cancer formulation
US10085951B2 (en) 2014-12-11 2018-10-02 Designs For Health, Inc. Curcuminoid formulations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JP6940527B2 (ja) * 2016-06-13 2021-09-29 チャイナ メディ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China Medical University クルクミノイドの新規な誘導体およびその抗がん剤としての使用
KR101999842B1 (ko) * 2019-03-15 2019-07-15 주식회사 디지바이오 지방유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214600A1 (en) * 2019-04-14 2020-10-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sensitive lc-ms assay to measure curcuminoids in complex biological samples
CN110327315A (zh) * 2019-08-23 2019-10-15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姜黄素衍生物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6344A (en) * 1988-08-12 1993-11-3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ethod for making tetrahydrocurcumin and a substance containing the antioxidative substance tetrahydrocurcumi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239B2 (ja) * 1994-01-14 1997-10-15 日研フード株式会社 クルクミン脱メチル化新規化合物の製造方法
EP0839037B1 (en) 1995-07-14 2002-11-13 Sabinsa Corporation Bioprotectant composition, method of use and extraction process of curcuminoids
US6653327B2 (en) * 1999-04-09 2003-11-25 Sabinsa Corporation Cross-regulin composition of tumeric-derived tetrahydrocurcuminoids for skin lightening and protection against UVB rays
US6521668B2 (en) * 1999-12-14 2003-02-18 Avon Products, Inc.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CN1301535A (zh) * 1999-12-24 2001-07-04 天津市医药科学研究所 姜黄色素治疗乙型肝炎的应用
US6900356B2 (en) * 2001-04-18 2005-05-31 Laila Impex Polyhydroxy curcumin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US6875426B2 (en) * 2002-03-28 2005-04-05 L'oreal Self-tanning composition containing a tetrahydrocurcuminoid and a self-tanning agent
US20060165812A1 (en) * 2005-01-21 2006-07-27 Amershire Investment Corporation Method and topical formulation for treating headach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6344A (en) * 1988-08-12 1993-11-3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ethod for making tetrahydrocurcumin and a substance containing the antioxidative substance tetrahydrocurcum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149B1 (ko) 2011-04-20 2014-07-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8571B2 (ja) 2013-08-07
CN101227823B (zh) 2012-05-23
EP1933625A1 (en) 2008-06-25
EP1933625A4 (en) 2010-11-10
KR20080059167A (ko) 2008-06-26
EP1933625B1 (en) 2014-07-09
JP2009511573A (ja) 2009-03-19
US20100168248A1 (en) 2010-07-01
AU2005337331A1 (en) 2007-04-19
US8568802B2 (en) 2013-10-29
AU2005337331B2 (en) 2011-10-20
WO2007043058A1 (en) 2007-04-19
CN101227823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705B1 (ko) 커큐마 롱가의 추출물로부터 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 및테트라히드로테트라히드록시-커큐민의 풍부화된 분획의제조방법
Öztaşkı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bromophenols: Determination of their anticholinergic,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Khudhayer Oglah et al. Curcumin analogs: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ies
Xu et 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N-acetyldopamine dimers from Periostracum Cicadae
Venkateswarlu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polyhydroxycurcuminoids
Ahmad et al. Synthesis of novel chalcone derivatives by conventional and microwave irradiation methods and their pharmacological activities
Ibrahim et al. α-Mangostin from Cratoxylum arborescens: an in vitro and in vivo toxicological evaluation
Xu et al. Structure properties, acquisition protocol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leuropein aglycone
Kumar et al.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novel zerumbone analogues
Sharma et al. Synthesis and SAR investigation of natural phenylpropene-derived methoxylated cinnamaldehydes and their novel Schiff bases as potent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gents
Pérez-Bonilla et al. Isolation of antioxidative secoiridoids from olive wood (Olea europaea L.) guided by on-line HPLC–DAD–radical scavenging detection
Kanagalakshmi et al. Synthesis, antican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methoxyisoflavanone and 2, 3-diarylchromanones
Xia et al. Novel macamides from maca (Lepidium meyenii Walpers) root and their cytotoxicity
WO2009093259A2 (en) A PROCESS FOR PRODUCING γ-MANGOSTIN
Medimagh-Saidana et al.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novel coumarin derivatives from 4-methylumbelliferone
Wahyuni et al. Cytotoxic properties and complete nuclear magnetic resonance assignment of isolated xanthones from the root of Garcinia cowa Roxb.
Chang et al. Cytotoxic alkyl benzoquinones and alkyl phenols from Ardisia virens
Liu et al. Rynchopeterine F, unique heterodimer of phenethanol-phenylacetyl linking with lactic acid from the medicinal insect Blaps rynchopetera
Finnegan et al. Constituents of Mammea americana L. IV. The Structure of Mammeigin1, 2
Pailee et al. Dulcisenes CE, polyoxygenated cyclohexenes, from Uvaria dulcis dunal and their cytotoxic activity
de Lima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cytotoxic properties of stilbene-based resveratrol analogs
Qadeer et al. Synthesi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luorinated isocoumarins and 3, 4-dihydroisocoumarins
Harini et al. Novel 2, 6-bis (4-methoxyphenyl)-1-methylpiperidin-4-one oxime esters: synthesis and a new insight into thei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otential
KR101005173B1 (ko) 항산화 및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내는 물레나물과의가르시니아 오블롱기폴리아로부터 추출된 분획물 및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Wisetsai et al. Fatty acid acylated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seeds of Nephelium lappaceum and their nitric oxide suppression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