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322B1 -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322B1
KR101281322B1 KR1020110056022A KR20110056022A KR101281322B1 KR 101281322 B1 KR101281322 B1 KR 101281322B1 KR 1020110056022 A KR1020110056022 A KR 1020110056022A KR 20110056022 A KR20110056022 A KR 20110056022A KR 101281322 B1 KR101281322 B1 KR 10128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ansport
frame
scattering preven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840A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5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3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물을 운송토록 제공되는 운송수단 및 상기 운송수단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운송물의 낙광이나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TRANSPORT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SCATTERING}
본 발명은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소의 연료 및 원료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연료 및 원료의 낙하 및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비산방지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란 일정한 거리를 자동적, 연속적으로 재료나 물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기계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공장 내에서는 부품 또는 반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운송시키기 위해서, 또는 제품 출하를 위해서 사용하고 있고, 항만, 광산, 제철소 등에서는 석탄이나 광석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고 있고, 건설현장에서는 자갈이나 모래 등을 운반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제철소에서는 고로공정의 연료 및 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 분말형 철광석 및 코크스 등을 소결공장이나 코크스공장 또는 전기로 등으로 운송하기 위해서 주로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연료 및 원료를 운송하는 과정에서, 바람 등의 외부요인, 연료 및 원료의 성질 또는 기계적 장치의 속성상 연료 및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 바깥으로 낙하하거나 분진이 비산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컨베이어 벨트 바깥으로 낙하하는 연료 및 원료에 의해 그 아래에서 작업하고 있던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연료 및 원료의 운송시에 발생하는 분진이 대기중으로 비산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낙하된 연료 및 원료와 분진을 청소하기 위해 노동력을 추가로 투입하여야 하고, 분진이 설비장치에 쌓여 손상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조업을 중단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경제성 및 작업능률의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제철소에서 연료 및 원료와 같은 운송물의 낙광이나 분진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때에 운송수단을 따라 전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운송물을 덮을 수 있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운송물을 운송토록 제공되는 운송수단 및 상기 운송수단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은, 상기 운송수단을 따라 전개가능하게 제공되는 본체프레임부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상기 운송물을 덮도록 제공되되,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위치조정되는 위치조정형 커버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의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회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부에, 상기 운송물에 물을 뿌리도록 제공되는 살수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부를 전개 또는 원위치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프레임부는, 상기 운송수단의 운송방향을 따라 양 지점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에 의하면,연료 및 원료와 같은 운송물의 낙광이나 분진비산 발생시 전개형 비산방지수단이 운송수단을 따라 전개되어, 운송물을 덮음으로써, 낙광이나 분진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운송물의 낙광이나 분진비산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낙광이나 분진이 설비장치에 쌓여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조정형 커버가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회동하거나 높이조절되어, 운송물을 안정적으로 덮도록 함으로써, 낙광이나 분진비산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의 전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의 전개 전 상태도
도 3은 상기 운송장치의 위치조정형 커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상기 운송장치의 위치조정형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상기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1)가 운송수단(100)에 전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 2는 상기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1)의 사용이 필요치 않는 때 운송수단(100)의 일지점에 모아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운송장치의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 3은 회동가능한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도 4는 높이조절가능한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1)는 크게 운송수단(100)과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수단(100)은 운송물(미도시)을 운송토록 제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철소에서 연료 및 원료를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운송수단(100)에 제공되되 운송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운송수단(100)에 직, 간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운송수단(100)에 인접하게 바닥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운송수단(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운송수단(100)을 따라 전개, 즉 펼쳐져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고, 미사용시에는 원위치로 모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송물의 운송 중에 분진이 발생하는 경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전개되어 운송물을 덮음으로써,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프레임부(210)와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부(210)는 운송수단(100)을 따라 전개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부(210)는 고정프레임(211)(211'), 레일(212) 및 이동프레임(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고정프레임(211)(211')은 운송수단(100)에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고자 하는 구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운송수단(100)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은 인접한 이동프레임이 연결된 기준 고정프레임(211), 및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격되어 배치된 단순 지지용 지지 고정프레임(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11)(211')은 운송수단(100)에 인접하여 바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운송수단(100)의 프레임이 고정프레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212)은 양측의 고정프레임(211)(211') 사이에 운송수단(100)의 운송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이동프레임(213)은 복수로 상기 레일(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213)은 이동이 가능토록 레일측 단부에 바퀴(219)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프레임(213)은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바퀴(219)가 레일(212)의 상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바퀴(219) 사이에 레일(212)이 끼이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동프레임(213)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을 인접한 이동프레임(213)끼리 서로 연결함으로써,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의 전개시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이 연동하여 전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개시 이동프레임(213)의 간격이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11)(211') 중 하나의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에 인접한 이동프레임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을 기준으로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이 전개되거나 원위치될 수 있다.
인접한 이동프레임(213)끼리 및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에 인접한 이동프레임의 연결은 다양한 형태의 연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인접한 이동프레임 또는 기준 고정프레임(211) 사이에 X자 형태의 연결끈 또는 사슬이 제공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본체프레임부(210)를 전개하거나 원위치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13)이 연결된 기준 고정프레임(211)을 기준으로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이 이동함에 따라, 전개되거나 원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위해 구동력이 필요하며, 이는 구동수단(23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230)은 고정프레임(211)(211')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232)(232')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모터(232)(232')의 회전축은 복수의 이동프레임(213) 중 기준 고정프레임(211)으로부터 가장 먼 이동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터(232)(232')는 운송수단(100)의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전개된 상태를, 도 2는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원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을 참조하면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원위치에서 기준 고정프레임(211)의 반대측, 즉 도면상 좌측의 구동모터(2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프레임(213)을 끌어당김으로써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전개될 수 있다.
그리고,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전개된 상태에서 기준 고정프레임(211)측, 즉 도면상 우측의 구동모터(2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프레임(213)을 끌어당김으로써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원위치될 수 있다.
다음, 위치조정형 커버(220)는 본체프레임부(210)에 운송물을 덮도록 제공되되,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부(210)의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은 꺾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동프레임(213)은 각각 수직부재(211a)(213a)와 수평부재(211b)(213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부재(211b)(213b)에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일단은 기준 고정프레임(211)의 수평부재(211b)에 구비되는 커버롤(215)에, 타단은 복수의 이동프레임(213) 중 기준 고정프레임(211)으로부터 가장 먼 이동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 외의 나머지 이동프레임의 수평부재에는 위치조정형 커버(220)에 대응되게 슬릿 형태로 관통되는 구멍(214)이 구비될 수 있다. 위치조정형 커버(220)는 상기 구멍(214)을 통과하여 위치가 지지될 수 있다.
즉,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일단은 기준 고정프레임(211)의 수평부재(211b)에, 중간부분은 마지막 이동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이동프레임들의 수평부재에, 그리고, 타단은 마지막 이동프레임의 수평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롤(215)은 기준 고정프레임(211)의 수평부재(211b)에 구비되거나 수평부재 자체로 제공되되, 내부에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다.
즉,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이 도 1의 전개된 상태에서 도 2의 원위치 상태로 모아질 때,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커버롤(215)에 자동으로 감기게 된다.
다음, 운송물과 이를 덮도록 제공되는 위치조정형 커버(220) 사이는, 운송물이 밖으로 떨어지거나 분진이 비산하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운송물의 종류나 운송수단(100)에 쌓이는 운송물의 양 등에 따라 운송물과 위치조정형 커버(220) 사이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운송물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운송물이 떨어지거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조정형 커버(220)는,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회동하거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됨으로써, 운송물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본체프레임부(210)에 제공되되,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회동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고정프레임(211) 및 이동프레임(213)은 각각 수직부재(211a)(213a)와 수평부재(211b)(213b)로 구성되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부분에 회동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부재(211b)(213b)에 구비되는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수직부재(211a)(213a)에 대하여 회동하여 운송물과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부재(211b)(213b)를 수직부재(211a)(213a)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회동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회동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연결되는 실린더(21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힌지 결합부분에 구동모터를 연결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본체프레임부(210)에 제공되되,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프레임부(210)의 고정프레임(211)(211')을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프레임(211)(211')이 레일(212) 아랫부분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뉘고, 상부와 하부가 실린더(217)로 연결되어, 상부가 하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의 수직부재(213a) 및 고정프레임(211)(211') 모두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양측 고정프레임(211)(211')의 수직부재들만을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보다 간단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회동수단(240)과 높이조절수단(250)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본체프레임부(210)에 제공되되, 운송물에 물을 뿌리도록 구성되는 살수수단(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수수단(260)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이동프레임(21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릴(262)과, 릴에 감겨있는 호스(264)와, 상기 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운송물에 살수토록 이동프레임(213)의 수평부재에 구비되는 노즐(2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살수수단(260)은, 이동프레임(213) 및 기준 고정프레임(211)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수수단(260)은 기준 고정프레임(211)으로부터 가장 먼 이동프레임(2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살수수단(260)은, 릴(262)이 생략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런데,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회동수단(240)에 의해 회동하는 경우에는 호스(264)의 긴장을 유지시키기 위해 릴(262)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높이조절수단(2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릴(262)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노즐(266)에 연결되는 호스(264)가 외부로 노출될 필요는 없으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동프레임(213)의 내부에 호스(26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1)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운송물의 운송 중에 발생하는 낙광이나 분진 또는 운송물의 형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구동모터(232), 살수수단(260) 및 실린더(216)(217)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토록 제공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100 ... 운송수단
200 ... 전개형 비산방지수단 210 ... 본체프레임부
211, 211' ... 고정프레임 212 ... 레일
213 ... 이동프레임 214 ... 구멍
215 ... 커버롤 216, 217 ... 실린더
218 ... 연결수단 219 ... 바퀴
220 ... 위치조정형 커버 230 ... 구동수단
232, 232' ... 구동모터 240 ... 회동수단
250 ... 높이조절수단 260 ... 살수수단
262 ... 릴 264 ... 호스
266 ... 노즐

Claims (7)

  1. 운송물을 운송토록 제공되는 운송수단(100); 및 상기 운송수단(100)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로 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토록 구성되는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상기 운송수단(100)을 따라 전개가능하게 제공되는 본체프레임부(210)와, 상기 본체프레임부(210)에 상기 운송물을 덮도록 제공되되,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위치조정되는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부(210)는, 상기 운송수단(100)의 운송방향을 따라 양 지점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211)(211')과,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212)과,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이동프레임(213)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은 인접한 이동프레임이 연결된 기준 고정프레임(211), 및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격되어 배치된 단순 지지용 지지 고정프레임(211')을 구비하며,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과 이동프레임(213)은 각각 수직부재(211a)(213a)와 수평부재(211b)(213b)로 구성되며,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일단은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의 수평부재(211b)에 구비되는 커버롤(215)에, 타단은 복수의 상기 이동프레임(213) 중 상기 기준 고정프레임(211)으로부터 가장 먼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부재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커버롤(215)은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220)를 자동으로 감을 수 있고, 상기 이동 프레임 외의 나머지 이동프레임의 수평부재에는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220)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비산방지형 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상기 본체프레임부(210)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회동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회동수단(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상기 본체프레임부(210)에 제공되되, 상기 운송물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조정형 커버(22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높이조절수단(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상기 본체프레임부(210)에, 상기 운송물에 물을 뿌리도록 제공되는 살수수단(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형 비산방지수단(200)은, 상기 본체프레임부(210)를 전개 또는 원위치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7. 삭제
KR1020110056022A 2011-06-10 2011-06-10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KR10128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22A KR101281322B1 (ko) 2011-06-10 2011-06-10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22A KR101281322B1 (ko) 2011-06-10 2011-06-10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40A KR20120136840A (ko) 2012-12-20
KR101281322B1 true KR101281322B1 (ko) 2013-07-03

Family

ID=4790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022A KR101281322B1 (ko) 2011-06-10 2011-06-10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436B1 (ko) * 2019-08-27 2021-03-12 김문삼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408U (ko) * 1978-06-20 1980-01-09
JP2007076804A (ja) * 2005-09-14 2007-03-29 Inaba Rubber Kiko:Kk 運搬用コンベアのカバー装置
KR20100101731A (ko) * 2009-03-10 2010-09-20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408U (ko) * 1978-06-20 1980-01-09
JP2007076804A (ja) * 2005-09-14 2007-03-29 Inaba Rubber Kiko:Kk 運搬用コンベアのカバー装置
KR20100101731A (ko) * 2009-03-10 2010-09-20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40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92167U (zh) 一种移动式装船机
EP2800636A1 (en) Material processing plant
KR10123708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물질 감지장치
KR101281322B1 (ko) 분진비산방지형 운송장치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100592501B1 (ko) 건설 폐기물의 골재 이송용 티에스 1200 체인 콘베이어
CN106687399A (zh) 给装货面装货的装货机
KR20110114999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N209601381U (zh) 一种防止扬尘的刮板输送机
KR20120033476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0912499B1 (ko) 롤 쵸크 선회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CN204938141U (zh) 新型活动式上料输送装置
CN102815469A (zh) 垂直给料贮矿仓机构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CN206318351U (zh) 砂石输送带
KR101435052B1 (ko) 차량용 호퍼 개폐장치
KR10222743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비산먼지 차단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100622825B1 (ko)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JP5114266B2 (ja) コンベア
KR101462628B1 (ko) 화력발전소용 저탄장의 상하탄기 방호벽
CN203593363U (zh) 连续输砂装置
CN203753789U (zh) 带式输送机人员过站保护装置
KR101368265B1 (ko)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